폐역 | 동익산 - |
삼례역 | ||
용산 방면익 산 ← 13.6 ㎞ | 여수엑스포 방면전 주 11.9 ㎞ → | |
전라선 무궁화호 | ||
역명 표기 | ||
전라선 | 삼례 Samnye 參禮 / 参礼 / [ruby(参礼, ruby=サムニェ)] | |
주소 |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역로 85-32 (후정리)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전주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 ||
운영 기관 | ||
전라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전주선 | 1914년 11월 17일[1] | |
경전북부선 | 1930년 1월 11일[2] ~ 1936년 12월 16일[a] | |
전라선 | 1936년 12월 16일[a] | |
2023년 9월 1일 | ||
무궁화호 | 1990년 3월 15일 | |
철도거리표 | ||
익산 방면동익산 ← 10.8 ㎞ | 전라선 삼 례 | 여수엑스포 방면동 산 4.0 ㎞ → |
3대 역사 (2011년 준공) | ||
2대 역사 (1997년 준공) |
[clearfix]
1. 개요
문화콘텐츠 정거장
삼례에 철도가 들어온 것은 1914년 11월 17일 '이리-전주 간 경편철도'가 들어설 당시였다. 그와 함께 삼례역 또한 춘포역과 임피역을 닮은 소박한 형태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그 후 1997년, 처마 끝 등의 형태가 살짝 올라간 한옥지붕과 석재 외장을 가진 큰 역사가 지어졌는데, 역이 지어진 지 불과 14년 만에 전라선 복선 전철화로 역을 이설하게 되어 새로운 역사가 다시 들어서게 되었다. 새롭게 지어진 역사는 오랜 철도역사의 정취를 표현한 내후성강판으로 외장재를 채택하였다. 내후성강판이란 구리, 크롬, 인, 니켈 등의 원소를 소량 첨가한 저합금강으로 초기에는 일반강과 유사한 녹이 발생하지만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녹의 일부가 모재에 밀착하여 오히려 외부 대기부식에 대한 보호막이 되어 독특한 분위기를 만드는 경제적인 자재이다. 역사 이전으로 남겨진 구 삼례역은 새로운 모양의 지붕과 함께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세계 막사발 미술관'으로 이용되며 완주군의 막사발 브랜드화와 문화콘텐츠 발전을 위해 활용되기도 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삼례에 철도가 들어온 것은 1914년 11월 17일 '이리-전주 간 경편철도'가 들어설 당시였다. 그와 함께 삼례역 또한 춘포역과 임피역을 닮은 소박한 형태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그 후 1997년, 처마 끝 등의 형태가 살짝 올라간 한옥지붕과 석재 외장을 가진 큰 역사가 지어졌는데, 역이 지어진 지 불과 14년 만에 전라선 복선 전철화로 역을 이설하게 되어 새로운 역사가 다시 들어서게 되었다. 새롭게 지어진 역사는 오랜 철도역사의 정취를 표현한 내후성강판으로 외장재를 채택하였다. 내후성강판이란 구리, 크롬, 인, 니켈 등의 원소를 소량 첨가한 저합금강으로 초기에는 일반강과 유사한 녹이 발생하지만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녹의 일부가 모재에 밀착하여 오히려 외부 대기부식에 대한 보호막이 되어 독특한 분위기를 만드는 경제적인 자재이다. 역사 이전으로 남겨진 구 삼례역은 새로운 모양의 지붕과 함께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세계 막사발 미술관'으로 이용되며 완주군의 막사발 브랜드화와 문화콘텐츠 발전을 위해 활용되기도 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전라선의 철도역.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역로 83 (후정리 283-13) 소재.
2. 역 정보
초대 역사 (1914년 준공, 1997년 철거) |
2008년 11월 1일부로 화물열차 취급이 중단되었다.
1997년 8월 30일 구 역사가 새로 준공되었으나 2011년 6월 1일 지금의 역사로 이전하였다.[6]
구 역사는 세계 막사발 미술관으로 운영되다가 복합문화공간으로 용도가 전환되었고 단선 시절 전주로 향하던 만경강 철교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주변에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버스나 택시를 타려면 왠지 역 앞에 있는 버스/택시 환승센터에서 타야 정석일 것 같지만 버스타는 곳이 나뉘어 있는데 익산이나 삼례읍내로 가는 버스는 약 300m(..) 쭉 가다보면 구 역사(세계 막사발 미술관) 옆에 있는 버스 정류장에서 익산, 또는 삼례 읍내로 가는 버스를 탈 수 있다.
역 북쪽 인근에 급곡선 구간이 있는데, 곡선반경은 무려 R=400m으로 호남선 계룡역~개태사역 구간의 급곡선과 같은 수준이다. 원래 이 구간은 전라선 익산~신리 구간 복선전철화 당시 R=1200m로 개량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결국 기존 선형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었다.
완주군 내에서 인구가 가장 많았던[7] 삼례읍내에 위치하고 있어 이용객이 꽤 많은 편이며, 전라선을 지나는 모든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2023년 9월 1일 부터 ITX-새마을 열차가 왕복 1회 정차한다.
2.1. 승강장
익산 | |||||||
↑ | 4 | 3 | ↑ | ↓ | 2 | 1 | ↓ |
전주 |
1·2 | 전라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전주·순천·여수 방면 |
3·4 | 익산·서대전·용산 방면 |
3. 역 주변 정보
걸어서 5분 정도의 거리에 우석대학교가 있다.전주월드컵경기장으로 가려는 축구팬들은 전주역보다 이 역을 이용하는 게 더 가깝고, 전주 시내를 관통할 필요가 없어 이동 시간이 절약된다.[8] 다만 연계 대중교통이 부실하고[9] 열차 운행 횟수도 더 적으므로 시간을 잘 계획하는것을 추천한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30e2f><bgcolor=#c30e2f> 연도 ||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c30e2f> 총합 ||<bgcolor=#c30e2f> 비고 ||2004년 | 248명 | |||
2005년 | 273명 | |||
2006년 | 272명 | |||
2007년 | 267명 | |||
2008년 | 280명 | |||
2009년 | 274명 | |||
2010년 | 281명 | |||
2011년 | 288명 | |||
2012년 | 292명 | |||
2013년 | 319명 | |||
2014년 | 319명 | |||
2015년 | 308명 | |||
2016년 | 300명 | |||
2017년 | 292명 | |||
2018년 | 322명 | |||
2019년 | 338명 | |||
2020년 | 219명 | |||
2021년 | 260명 | |||
2022년 | 294명 | |||
2023년 | 30명 | 276명 | 306명 | [10]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5. 둘러보기
전라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동익산† - - - 동산† - - - - - - 신리† - 죽림온천† - 관촌† - - - 봉천† - - 서도† - 산성† - - - 주생† - 옹정† - 금지† - - - 압록† - - 봉덕† - 괴목† - 개운† - 동운† - - - 성산† - 율촌† - - 덕양† - - - - - ( ) | }}}}}}}}} |
완주군 교통체계 | ||
<colbgcolor=#2D7C1F> 철도 | 일반철도 | 전라선(삼례역) |
광역철도 | ||
도로 | 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서전주IC, 삼례IC, 익산IC),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완주IC, 소양IC), 순천완주고속도로(상관IC) |
국도 | 1번 국도, 17번 국도, 21번 국도, 26번 국도, 27번 국도 | |
지방도 | 49번 지방도, 55번 지방도, 643번 지방도, 713번 지방도, 716번 지방도, 721번 지방도, 722번 지방도, 732번 지방도, 740번 지방도, 741번 지방도, 749번 지방도, 799번 지방도 | |
버스 |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 전주시 시내버스(완주군 버스), 삼례터미널 |
전북특별자치도의 교통 |
[1] 이리~전주 구간 개통일(협궤로 개설)[2] 표준궤화로 호남선과 직결된 날짜[a] 現 전라선 구간이 완전 연결된 날짜[a] [5] 이리-전주 구간[6] 역이 마을 한가운데에 놓여있는 형국이라 역 주변 구간에 새로 놓일 복선 선로는 현재 선로에 비해 약간 지반을 낮춰서 짓고 있었는데, 이러한 계획을 고려하지 않고 기존의 단선 선로에 맞춰 지은 것이라서 역사를 전주 방면으로 약간 옮겨서 지은 것이다.[7] 2000년대 후반부터 전주 제3공업단지가 조성된 봉동읍에 밀려 2위로 떨어졌다.[8] 단순 거리로만 따지면 동산역이 제일 가깝지만 여긴 여객 영업을 안 한다.[9] 27번 마을버스가 호남제일문을 지나가지만 하루에 7회밖에 운행하지 않는 노선이다. 또한 현재는 주민 편의상 호남제일문에 정차하지만 원래는 마을버스 규정으로 인해 무정차 통과가 원칙이다. 아니면 삼례30번대 마을버스나 도보로 삼례터미널까지 이동 후 309번 시내버스를 타는 방법도 있다.[10] ITX-새마을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9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2일간의 자료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