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미국 | 중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아프리카 | ||||||
대만 | 몽골 | 만주 | 싱가포르 | 베트남 | ||
오키나와현 | 캄보디아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타지키스탄 | ||
인도 | 파키스탄 | 나이지리아 | 앙골라 | 적도 기니 | ||
소말리아 | 탄자니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란 | 팔레스타인 | 시리아 | 이스라엘 | 리비아 | ||
이집트 | ||||||
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독일 | 영국 | 네덜란드 | ||
스페인 | 바티칸 | 루마니아 | 몬테네그로 | 알바니아 | ||
스웨덴 | 폴란드 | |||||
아메리카 | ||||||
쿠바 | 베네수엘라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
기타 | ||||||
아프리카 | ||||||
다자관계 | ||||||
남북러 | 북중러 | |||||
과거의 대외관계 | ||||||
소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대만 | 일본 | |||
유럽 |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영국 | 프랑스 | 이탈리아 | |||
그리스 | 튀르키예 | 몰타 | |||||
서아시아·북아프리카 | |||||||
예멘 | 오만 | 이란 | 팔레스타인 | 사우디아라비아 | |||
시리아 | 이스라엘 | 이라크 | 알제리 | 이집트 | |||
튀니지 | 모로코 | 수단 공화국 | 동서관계 | 베르베르 | |||
아프리카 | |||||||
차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아메리카 | |||||||
미국 | |||||||
다자관계 | |||||||
이집트·리비아·수단 | }}}}}}}}} |
북한 | 리비아 |
[clearfix]
1. 개요
북한과 리비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2. 역사적 관계, 상호 교류
2.1. 20세기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무아마르 카다피는 북한의 정치인들과 만났으며, 외교를 수립했다. 북한은 노동자들을 리비아에 파견시켰다.2.2. 21세기
2.2.1. 2000년대
2000년 평양에서 두 나라간의 외무장관회담이 있었다. #2000년 7월, 리비아는 북한제 노동미사일을 입수했다고 2000년 9월에 전해졌다. #, #
2004년 리비아는 북한과 군사거래 단절하기로 했다. #
2.2.2. 2010년대
1차 리비아 내전 때에는 북한은 카다피 정부만 인정하고 간접적으로 지원했으며 반군들을 비판적으로 봤다. 리비아에 있던 북한 의사 부부가 폭격을 당하기도 했다. #카다피 정권 몰락 이후에도 리비아에는 북한 노동자들이 남아있으며, 두 나라 간의 외교 관계, 무역 등도 여전히 존재한다.
2014년 3월 북한 선박은 리비아 폭격 경고에도 불구하고 석유 선정을 강행했다. #
2018년 UN은 북한이 리비아와 예멘에 불법 무기 수출 시도한 것이 알려졌다고 했으며, 안보리 제재를 위반했다고 경고했다. #
2019년 2차 리비아 내전 때에는 북한이 리비아에 몰래 불법 무기거래를 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