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유럽 | ||||
| 대한민국 | 일본 | 북한 | 중국 | 캄보디아 | |
| 프랑스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 대한민국 | 미국 | 중국 | 러시아 | 일본 | ||
| 아시아 · 아프리카 | ||||||
| 제주특별자치도 | 대만 | 몽골 | 만주 | 싱가포르 | ||
| 베트남 | 캄보디아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타지키스탄 | ||
| 인도 | 파키스탄 | 나이지리아 | 앙골라 | 적도 기니 | ||
| 소말리아 | 탄자니아 |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 이란 | 팔레스타인 | 시리아 | 이스라엘 | 리비아 | ||
| 이집트 | ||||||
| 유럽 |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독일 | 영국 | 네덜란드 | ||
| 스페인 | 바티칸 | 루마니아 | 몬테네그로 | 알바니아 | ||
| 스웨덴 | 폴란드 | 헝가리 | ||||
| 아메리카 | ||||||
| 쿠바 | 베네수엘라 | |||||
| 오세아니아 | ||||||
| 호주 | 뉴질랜드 | |||||
| 기타 | ||||||
| 아프리카 | ||||||
| 다자관계 | ||||||
| 남북러 | 북중러 | |||||
| 과거의 대외관계 | ||||||
| 소련 | }}}}}}}}} | |||||
| | |
| 라오스 | 북한 |
1. 개요
라오스와 북한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양국은 공산주의 국가라서 서로 우호적이고 교류도 은근 있다. 그러나 요즘 국제사회의 북한은 점점 외교적 입지가 많이 사라지고 있어 과거보다는 덜한 편이다.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라오스는 1975년 6월 북한과 수교했다. 라오스는 그해 공산화가 되었기 때문에 냉전 시절에 한국 정부는 라오스를 여행금지국가로 지정했다. 1995년 한국과 라오스의 수교 이후 라오스는 여행금지국가에서 해제됐지만, 라오스와 북한은 명목상 여전히 친선중이다.2.2. 21세기
2000년대 이후에도 라오스는 북한과 교류중이다.#쭘말리 싸이냐쏜 라오스 국가주석이 2010년 9월에 북한을 방문하여 김정일, 김정은 부자와 회담했다.
2013년 라오스는 탈북민 9명을 북송하여 논란이 되었다.#
2015년 7월 13일 북한과 라오스는 국방분야 양해문을 체결했다.# 11월 30일에 북한의 군사대표단이 라오스를 방문했다.#
2016년 북한과 라오스 공안당국이 상호 협조할 것을 합의했다.#
2018년 7월 26일 라오스 세노피안 댐 사고와 관련해 북한의 김영남이 사고 피해를 위로하는 전문을 보냈다.# 라오스를 방문한 북한 인사들이 홈 그로운 급식 사업에 관심을 보였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이 보도했다.#
2019년 3월 27일 리수용이 라오스를 방문했다.#
라오스와 북한은 교류, 협력을 하고 있기 때문에 북한이 대북제재 이전에 라오스에 북한 식당을 열었다.# 심지어는 북한이 세운 게스트하우스가 라오스에 존재하자 한국 대사관에서 주의보를 내렸다.# 다만, 라오스 측은 북한과의 무역은 없고 대북제재에 따라 북한 노동자도 체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라오스 외교차관은 북한이 핵개발을 포기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2020년 10월 28일 로동신문은 라오스와의 첫 정상회담 55주년을 맞아 양국관계를 더욱 발전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2022년 3월 22일 김정은이 라오스에 라오 인민혁명당 창건 67주년 축전을 보냈다.# 그리고 주 북한 라오스 대사관에서 대면 행사가 있었다.#
알 자지라가 라오스의 북한 식당들이 돈세탁 창구로 이용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2025년 10월 7일 통룬 씨쑬릿 국가주석이 조선로동당 창건 80주년 행사 참석차 북한을 방문해 김정은과 양자회담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