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27 18:47:28

알제리-리비아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유럽·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다자관계
파일:모로코 국기.svg 파일:알제리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모로코·알제리·튀니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서아시아·북아프리카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리비아 국기.svg
동서관계
파일:베르베르기.svg
베르베르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다자관계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리비아·이집트·시리아
}}}}}}}}}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알제리 국기.svg
리비아 알제리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고대2.2. 고대 말2.3. 중세2.4. 근세2.5. 근현대
3. 교통 교류4. 관련 문서

1. 개요

리비아, 알제리의 대외 관계. 양국은 언어, 문화, 종교 등에서 공통점이 많이 있다. 그리고 아프리카 연합, 이슬람 협력기구, 아랍 연맹, 아랍 마그레브 연합의 회원국들이다.

2. 역사적 관계

2.1. 고대

두 나라의 공통점은 고대에는 베르베르인의 거주지역이었으며,(리비아라는 명칭은 이집트 서부를 퉁쳐 부르던 어휘였다.) 페니키아, 그리고 페니키아의 지류인 카르타고가 세워지면서 카르타고로부터 상당히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다. 고대 그리스의 헤로도토스 그리고 고대 로마의 지리학자 스트라본은 리비아와 알제리 일대의 여러 민족들에 대한 기록을 남겼는데, 헤로도투스의 기록과 고대 로마의 기록을 비교해보면 카르타고의 영향으로 누미디아인들이 농업화되고 리비아와 알제리 일대의 해안지대에 렙티스 마그나 같은 대도시들이 건설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2. 고대 말

고대 말 양 지역은 기독교화되었던 이 지역은 도나투스파보편교회 사이의 갈등으로 사회가 극심한 혼란과 분열을 겪었고 이 틈을 타서 반달족들이 침공하여 반달 왕국을 건국하였다. 반달 왕국은 북아프리카 북부 해안 지대 중에서 가장 비옥한 지역을 차지하였고, 리비아 페잔 일대의 가라만테스 왕국은 상당히 빈곤하고 낙후된 상황이라서 따로 반달 왕국이 정복하지 않고 방치하다시피한 상황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벨리사리우스가 이끄는 동로마 제국 군대가 반달 왕국을 무너트리고 튀니지와 알제리 일대를 다시 동로마 제국 영토로 편입시켰고 리비아 일대는 방치되었다.

2.3. 중세

중세 시대에는 양 지역 모두 이슬람 제국에게 점령되어 아랍화와 이슬람화가 되었다. 우마이야 칼리프조 시절 같은 이슬람 제국에 묶여 있던 양 지역은, 우마이야 칼리프조의 멸망 그리고 뒤이은 압바스 칼리프조의 부흥과 쇠퇴, 지방 군벌의 발흥 같은 과정 속에서 각기 다른 지방 군벌 정권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그러나 알제리 해안지대가 나름 농경에 나름 유리했던 것과 반대로, 리비아는 해안지대에서도 농경에 적합한 지역이 드물었고, 리비아 지역은 이집트나 튀니지, 알제리 일대의 왕조들의 간접 지배를 받는 형태가 지속되었다.

2.4. 근세

오스만 제국이 북아프리카 일대로 세력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알제리와 튀니지, 리비아에 해당하는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알제리 일대에는 오스만 제국의 번국 형태로 상당한 수준의 자치권을 부여받게 된 반면, 인구가 희박했던 리비아 일대는 예니체리 주둔군들의 병영을 중심으로 점과 선 형태의 통치가 이루어졌다.

2.5. 근현대

서구 열강들로부터 침략을 받았으며 리비아는 이탈리아, 알제리는 프랑스에 점령되었다. 리비아는 1951년 12월 24일에 독립, 알제리는 1962년 7월 5일에 독립되었다.

독립 후 두 나라들은 한 때 반서방에 기인한 정권이 나타났다. 무아마르 카다피,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는 서로 긴밀한 정치적 관계를 형성했다. 다만 1990년대부터 2002년까지 일어났던 알제리 내전 때에는 이슬람 원리주의 성향의 반군을 도운 적도 있었기에 내전이 더 치열해져 알제리와 리비아의 관계에서 갈등이 나타나기도 했었다. 전쟁이 끝난 이후에는 다시 협력, 동맹관계로 돌아섰다.

2010년대 아랍의 봄으로 두 나라에 반정부 시위가 일어났다. 2010년 12월 28일, 알제리에 먼저 시위가 일어났으나 얼마 안되어 2011년 1윌에 시위는 끝났다. 리비아는 1월에 잠시 시위가 있었으나 끝이 났고 훗날 2월 15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위가 나타났고 2월 17일에 반군들 주도의 내전이 나타났다. 알제리 정부는 카다피 정권을 지지했으며#, #, 카다피의 망명 후보지로 지목되기도 했었으나 카다피가 시민들과 반군에 붙잡혀 사살됨으로써 없는 계획이 되었다. 2019년 4월에는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가 사임함으로서 알제리도 독재자가 물러났다. 리비아에서도 알제리 시위의 영향으로 하프타르 정권, 그 외 군벌들에 대한 반대 시위가 나타나기도 했다. 카다피 정권 붕괴 후에도 두 나라들은 여전히 서로 협력을 하는 상황이다.

3. 교통 교류

알제트리폴리를 잇는 항공 노선이 존재한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