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
유럽 | ||||||||
러시아 |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영국 | ||||
프랑스 | 스페인 | 바티칸 | 산마리노 | 크로아티아 | ||||
슬로베니아 | 알바니아 | 그리스 | 튀르키예 | 몰타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스라엘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
우루과이 | 호주 | |||||||
아프리카 | ||||||||
에티오피아 | 에리트레아 | 소말리아 | 나이지리아 | |||||
다자관계 | ||||||||
독일·이탈리아·오스트리아 | ||||||||
과거의 대외관계 | ||||||||
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관계 | 추축국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아프리카 | ||||||
대한민국 | 중국 | 팔레스타인 | 말리 | 모로코 | |||
튀니지 | 리비아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
유럽·아메리카 | |||||||
러시아 | 프랑스 | 이탈리아 | 튀르키예 | 미국 | |||
다자관계 | |||||||
모로코·알제리·튀니지 | }}}}}}}}} |
이탈리아 | 알제리 |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와 알제리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양국은 지중해를 사이에 두고 활발한 영향을 주고 받았으나, 북아프리카의 이슬람화 이후 상호간 교류가 상당부분 축소되었다. 알제리는 프랑스와의 관계와 달리 갈등이 적은 편이다.2. 역사적 관계
2.1. 고대
고대 로마와 카르타고 사이에 발발한 제1차 포에니 전쟁 당시 누미디아의 가이아 왕은 카르타고 측에 누미디아 기병 전력을 지원하였다. 누미디아 측은 제2차 포에니 전쟁 당시에도 카르타고 측에 누미디아 기병 전력을 제공하였는데, 이 누미디아 기병은 한니발의 지휘 하에 로마군에 맞서 여러 차례 승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러나 가이아의 사망 이후 누미디아 부족들 사이에 시팍스와 마시니사를 중심으로 권력 다툼이 격화되었고, 로마 공화정은 이를 틈타서 마시니사를 친로마파로 포섭하였다.푸블리우스 스키피오가 북아프리카에 상륙하여 카르타고 본토를 위협하는 상황에서, 마시니사는 로마군 측에 상당수의 기병 전력을 보태주었고 이는 자마 전투 당시 로마군의 승전 그리고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고대 로마가 최종적으로 승리하는 데,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상술한 이유로 누미디아는 한동안 로마의 중요한 동맹 세력으로 평가받아 우대를 누렸으나, 제3차 포에니 전쟁 이후 카르타고가 멸망하면서, 누미디아의 위상은 동맹국에서 로마의 잠재적인 적국으로 변화하였다. 유구르타 전쟁을 계기로 누미디아는 로마의 속주가 되었다. 이후 수백여 년간 이탈리아 반도와 오늘날 알제리 북부에 해당하는 지역은 모두 로마 제국의 일부로서 역사를 공유하게 되었다.[1]
2.2. 고대 말
서기 5세기 로마 제국의 신학자 아우구스티누스가 알제리에서 태어났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로마에서도 활동했고, 이후 중세에서 아우구스티노회가 창설되기도 했다.로마 제국이 동로마 제국과 서로마 제국으로 나뉘어지는 과정에서 이탈리아 반도와 마그레브 일대는 서로마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서로마 제국이 붕괴되는 과정에서 반달족들이 오늘날의 알제리와 튀니지 일대에 자리잡아 반달 왕국을 건설하였다. 가이세리크 시절에는 로마 시를 약탈하였는데, 이는 파괴와 약탈을 뜻하는 단어인 반달리즘의 기원이 되었다. 이탈리아와 알제리 일대는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제위 시기 벨리사리우스의 아프리카 원정과 이탈리아 원정으로 다시금 동로마 제국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2.3. 중세
7세기부터 우마이야 제국이 영토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북아프리카 일대의 동로마 군을 격파하고, 아랍인들이 대거 정착하였다. 이 과정에서 마그레브 일대가 아랍화되고 대부분의 주민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하면서, 이탈리아와 알제리 주민들의 정체성에서 커다란 차이점이 생기게 되었다.북아프리카 해안 지대의 아랍인들을 해적단을 조직하여 이탈리아 반도 각지를 정기적으로 약탈하였다.[2] 이탈리아 반도의 일부 어촌이나 항구도시들은 자체적으로 민병대와 함대를 조직하여 아랍인 해적들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는데 성공하는데, 이들 중 아말피, 제노바, 피사는 후일 지중해의 주요 무역도시로 성장하게 되었다.
2.4. 근세
십자군 전쟁 당시 창설되어 몰타로 근거지를 옮긴 구호기사단[3]과 오스만 제국의 번국이었던 바르바리 해적 군벌들이 지중해에서 서로 대치하였다.2.5. 20세기
제2차 세계 대전 와중 프랑스령 알제리는 독일군과 이탈리아군 등 추축국 군대와 영연방 군대의 전쟁이 벌어지는 북아프리카 전역 무대의 일부였다.2차 대전 종전 이후 벌어진 알제리 독립 전쟁의 결과 독립국이 된 알제리는 프랑스의 지배에서 벗어나 이탈리아와 수교했다.
2.6. 21세기
양국은 교류,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알제리는 이탈리아와는 갈등이 적은 편이고 교류, 협력을 하고 있다. 이탈리아내에는 알제리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대부분은 경제적인 이유로 이탈리아로 건너가서 일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2010년대 중반부터 유럽 난민 사태가 일어나 이탈리아로 수많은 알제리인들이 이주했다. 하지만 양국간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2011년 2월 4일 이탈리아인 여성이 알제리 남부를 여행하던 중 알카에다에 의해 납치된 일이 발생했다.#
2016년 3월 27일 이탈리아 경찰은 파리와 브뤼셀 테러범들이 사용한 위조 신분증과 관련된 혐의로 알제리인을 체포했다.# 4월 1일 이탈리아 법원은 위조서류를 제조한 알제리인을 벨기에로 인도하는 판결을 내렸다.#
2020년 2월 17일 알제리로 입국한 이탈리아 남성이 코로나19에 감염됐다고 알제리 보건부가 밝혔다.# 12월 5일 이탈리아와 알제리 양국은 정치문제 및 포괄적 안보문제에 대한 전략적 대화를 약속하는 MOU에 서명했다.#
2021년 3월 8일 이탈리아의 도시 바리에서 다에쉬의 파리 테러에 동조한 알제리인 남성이 체포됐다.#1#2
3. 경제 교류
양국간 경제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이탈리아 이베코가 알제리 파트너사와 합작해 1,000~1,500대 규모의 상용차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2019년에는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합작회사와 알제리의 소나트랙이 해저 가스전 시추에 돌입했다.# 2022년 4월 11일 드라기 총리는 알제리를 방문해 천연가스 수입 계약을 체결했다.#1#24. 문화 교류
양국간의 문화 교류가 일부 존재한다. 알제리에는 이탈리아어 교육이 일부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양국간의 스포츠 교류가 일부 존재한다. 2019년 8월 4일 AC 밀란은 알제리 대표 이스마엘 베나세르를 완전 이적을 통해 영입하기로 했다.#5. 관련 문서
- 이탈리아/외교
- 알제리/외교
- 이탈리아/역사
- 알제리/역사
- 이탈리아인 / 알제리인
- 이탈리아어 / 아랍어 / 아랍어 방언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남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북아프리카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