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외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미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마카오 | 티베트 | 내몽골 | ||||
몽골 | 베트남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싱가포르 | 미얀마 | 필리핀 | 캄보디아 | 태국 | ||||
인도 | 파키스탄 | 아프가니스탄 | 부탄 | 스리랑카 | ||||
몰디브 | 네팔 | 방글라데시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
타지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위구르 | 제주특별자치도 | ||||
오키나와현 | ||||||||
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독일 | ||||
스위스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아일랜드 | ||||
스페인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바티칸 | 세르비아 | ||||
알바니아 | 튀르키예 | 그리스 | 노르웨이 | 스웨덴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시리아 | 이란 | 이라크 | 팔레스타인 | 예멘 | ||||
바레인 | 아랍에미리트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이집트 | ||||
리비아 | 수단 공화국 | 알제리 | 모로코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베네수엘라 | ||||
쿠바 | 칠레 | 파라과이 | 브라질 | 가이아나 | ||||
페루 | ||||||||
아프리카 | ||||||||
에티오피아 | 에리트레아 | 소말리아 | 케냐 | 탄자니아 |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모잠비크 | 코모로 | 모리타니 | ||||
카보베르데 | 세네갈 | 감비아 | 말리 | 니제르 |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차드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카메룬 | 적도 기니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상투메 프린시페 | ||||
가봉 | 콩고 공화국 | 짐바브웨 | 에스와티니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잠비아 | 레소토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파푸아뉴기니 | 솔로몬 제도 | 팔라우 | ||||
키리바시 | 나우루 | 투발루 | 사모아 | 피지 | ||||
바누아투 | ||||||||
다자관계 | ||||||||
한중일 | 한중러 | 미중러 | 북중러 | 미중일 | ||||
중화권·러시아·만주 | 러시아·인도·중국 | 러시아·몽골·중국 | 중국·인도·파키스탄 | 중화권·아제르바이잔 | ||||
아프리카 | 아세안 | 오세아니아 | ||||||
과거의 대외관계 | ||||||||
로마 제국 | 소련 | 가야-후한 관계 | 백제-수나라 관계 | 여요관계 | ||||
당나라 · 송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아프리카 | ||||||
대한민국 | 중국 | 팔레스타인 | 말리 | 모로코 | |||
튀니지 | 리비아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
유럽·아메리카 | |||||||
러시아 | 프랑스 | 이탈리아 | 튀르키예 | 미국 | |||
다자관계 | |||||||
모로코·알제리·튀니지 | }}}}}}}}} |
중국 | 알제리 |
[clearfix]
1. 개요
중국과 알제리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은 냉전 시절에 수교한 이후, 교류와 협력이 매우 활발하다. 양쪽 모두 반서방 진영이다보니 서로 매우 우호적이다.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알제리 전쟁 당시 소련 측에서는 알제리 독립운동 측을 적극 지원하였고 그 결과 알제리는 프랑스의 식민지배에서 벗어난 뒤, 소련과 매우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알제리는 중국과도 교류, 협력이 활발한 편이었다. 알제리는 소련과의 군사적 우호 관계를 바탕으로 소련 외에도 중국으로부터 무기를 수입했다. 90년대 탈냉전 이후에도 알제리는 소련식 사회경제 체제를 상당부분 유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유로 아직도 러시아 및 중국과 우호적인 편이다.2.2. 21세기
중국과 알제리 사이의 민간 교류는 21세기에 들면서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했다. 알제리는 경제적으로 중국과의 교역비중이 높다. 일대일로 실시 이전부터 상당수의 중국 기업들이 알제리에서 대규모 건설 사업을 추진하면서 중국인 노동자들을 알제리로 불러들인 바 있다. 이로 인해 에어 알제리가 수도 알제에서 중국 베이징으로 무려 주 2회 취항중이다.2002년 9월 26일에 주룽지 전 총리가 알제리를 방문하면서 알제리 무명용사기념탑에 헌화했다.#
2.2.1. 2010년대
2010년에 중국은 알제리에 오페라하우스를 세웠다.#2011년에 주 알제리 중국 대사관이 중국 문화를 알리는 행사를 진행했다.#
2016년 7월 20일에 중국은 알제리에 중국산 스텔스 호위함을 수출했다.#
2017년에는 중국이 알제리의 통신위성 개발, 발사도 대행했다.#
2.2.2. 2020년대
2020년초부터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퍼지면서 알제리 역시 피해를 입었다. 4월 1일에 중국측은 알제리에 코로나19 방제물자를 보낸다고 밝혔다.# 5월 19일에 알제리에서 중국어TV방송이 개설되자 알제리 총리는 중국어를 배워야 한다고 밝혔다.#알제리는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코로나19 백신을 들여왔다.#
2021년에 왕이 외교부장이 알제리를 포함한 아랍권 국가들을 방문했다.#1#2
알제리가 브릭스 가입에 관심을 표명했다.#
조사에 의하면 알제리인들은 미국보다 중국을 선호한다고 한다. #
3. 경제 교류
전술했다시피 알제리는 석유와 천연가스 및 농업 외에는 경쟁력 있는 산업이 빈약하다. 이 때문에 경공업 제품 상당수를 중국산 수입품으로 충당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중국 역시 알제리가 석유, 천연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에 중국 기업들중에는 석유관련 기업들이 많이 진출했다. 알제리내에는 수많은 중국인 노동자들이 거주하면서 중국의 영향력이 매우 크다.#2010년에 알제리의 재건사업에 중국 기업들이 진출했다.#
알제리가 중국 기업의 아프리카 투자처 2위가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중국-아프리카 관계 문서 참조
2018년 11월 25일에 알제리와 중국은 인산염을 수출하기 위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그리고 중국에 알제리산 천연가스를 수출하고 있다.#
중국 기업들이 알제리에 많이 진출하면서 타이어 공장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