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미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마카오 | 티베트 | 내몽골 | ||||
몽골 | 베트남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싱가포르 | 미얀마 | 필리핀 | 캄보디아 | 태국 | ||||
인도 | 파키스탄 | 아프가니스탄 | 부탄 | 스리랑카 | ||||
몰디브 | 네팔 | 방글라데시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
타지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위구르 | 제주특별자치도 | ||||
오키나와현 | ||||||||
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독일 | ||||
스위스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아일랜드 | ||||
스페인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바티칸 | 세르비아 | ||||
알바니아 | 튀르키예 | 그리스 | 노르웨이 | 스웨덴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시리아 | 이란 | 이라크 | 팔레스타인 | 예멘 | ||||
바레인 | 아랍에미리트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이집트 | ||||
리비아 | 수단 공화국 | 알제리 | 모로코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베네수엘라 | ||||
쿠바 | 칠레 | 파라과이 | 브라질 | 가이아나 | ||||
페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
아프리카 | ||||||||
에티오피아 | 에리트레아 | 소말리아 | 케냐 | 탄자니아 |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모잠비크 | 코모로 | 모리타니 | ||||
카보베르데 | 세네갈 | 감비아 | 말리 | 니제르 |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차드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카메룬 | 적도 기니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상투메 프린시페 | ||||
가봉 | 콩고 공화국 | 짐바브웨 | 에스와티니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잠비아 | 레소토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파푸아뉴기니 | 솔로몬 제도 | 팔라우 | ||||
키리바시 | 나우루 | 투발루 | 사모아 | 피지 | ||||
바누아투 | ||||||||
다자관계 | ||||||||
한중일 | 한중러 | 미중러 | 북중러 | 미중일 | ||||
중화권·러시아·만주 | 러시아·인도·중국 | 러시아·몽골·중국 | 중국·인도·파키스탄 | 아프리카 | ||||
아세안 | 오세아니아 | |||||||
과거의 대외관계 | ||||||||
로마 제국 | 소련 | 가야-후한 관계 | 여요관계 | |||||
수나라 · 당나라 · 송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유럽·아프리카·아메리카 | ||||
대한민국 | 북한 | 일본 | 중국 | 사우디아라비아 | |
예멘 | 오만 | 러시아 | 영국 | 이탈리아 | |
튀르키예 | 에티오피아 | 에리트레아 | 지부티 | 케냐 | |
소말릴란드 | 미국 | 캐나다 | |||
다자관계 | |||||
에티오피아·지부티·소말리아 | 소말리아·소말릴란드·아랍권 |
| |
중국 | 소말리아 |
1. 개요
중국과 소말리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소말리아는 독립 이후, 중국과 수교했다. 그리고 여러 지원을 많이 받았고 소말리아의 국립극장이 내전이 일어나기 이전에 중국의 지원으로 세워졌다.#오가덴 전쟁으로 소말리아와 소련간의 관계가 악화되자, 소말리아는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1991년에 소말리아 내전이 일어나자 중국측은 대사관을 철수시켰다.#
2.2. 21세기
2001년 12월 10일에 중국과 소말리아의 IT기업이 알카에다와 연계돼 있다는 의심을 받자 해명했다.#2007년에는 소말리아로 중국 기업들이 에너지 확보를 위해 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과 소말리아는 외교관계를 맺고 있지만, 양국은 소말리아 해적 문제가 남아있다. 2008년에 소말리아 해적들이 중국 선박을 습격하자 육탄저항에 나섰다.# 12월 18일에는 소말리아 해상에 구축함을 파견할 방침을 세웠다.#1#2 12월 26일에 소말리아 해적 소탕을 위해 중국 해군이 출항했다.#
2009년 7월 19일에는 자전거로 세계 여행을 하던 50대 중국인이 소말리아로 입국하다가 추방됐다.# 중국 선박이 소말리아 해적들에 의해 피랍돼 중국측이 극비협상에 착수한 것이 밝혀졌다.# 12월 28일에 피랍된 중국 선원들이 전부 석방됐다.#
2010년 4월 12일에 중국 해양수색구조센터(CMSRC)는 소말리아 해적에 납치된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선적 화물선 RAK 아프리카나호에 애초 알려진 것과 달리 중국인 선원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2011년에 홍해에서 중국 상선이 소말리아 해적에 의해 납치됐다.#
2015년 7월 27일에 모가디슈의 호텔에서 폭탄테러가 일어나 중국인 1명을 포함한 10여명이 사망했다.#
4년 넘게 소말리아 해적에 의해 억류된 중국인, 대만인 12명이 풀려나 광저우시에 도착했다.#
2017년에 중국과 인도 해군이 합동으로 소말리아 해적에 납치된 피랍선박을 구조했다.#
2022년 3월 22일에 이슬라마바드에서 개최된 이슬람 협력기구 회의에서 왕이 외교부장이 소말리아, 이집트, 사우디 외교장관과 만나 회담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