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외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미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마카오 | 티베트 | 내몽골 | ||||
몽골 | 베트남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싱가포르 | 미얀마 | 필리핀 | 캄보디아 | 태국 | ||||
인도 | 파키스탄 | 아프가니스탄 | 부탄 | 스리랑카 | ||||
몰디브 | 네팔 | 방글라데시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
타지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위구르 | 제주특별자치도 | ||||
오키나와현 | ||||||||
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독일 | ||||
스위스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아일랜드 | ||||
스페인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바티칸 | 세르비아 | ||||
알바니아 | 튀르키예 | 그리스 | 노르웨이 | 스웨덴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시리아 | 이란 | 이라크 | 팔레스타인 | 예멘 | ||||
바레인 | 아랍에미리트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이집트 | ||||
리비아 | 수단 공화국 | 알제리 | 모로코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베네수엘라 | ||||
쿠바 | 칠레 | 파라과이 | 브라질 | 가이아나 | ||||
페루 | ||||||||
아프리카 | ||||||||
에티오피아 | 에리트레아 | 소말리아 | 케냐 | 탄자니아 |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모잠비크 | 코모로 | 모리타니 | ||||
카보베르데 | 세네갈 | 감비아 | 말리 | 니제르 |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차드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카메룬 | 적도 기니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상투메 프린시페 | ||||
가봉 | 콩고 공화국 | 짐바브웨 | 에스와티니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잠비아 | 레소토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파푸아뉴기니 | 솔로몬 제도 | 팔라우 | ||||
키리바시 | 나우루 | 투발루 | 사모아 | 피지 | ||||
바누아투 | ||||||||
다자관계 | ||||||||
한중일 | 한중러 | 미중러 | 북중러 | 미중일 | ||||
중화권·러시아·만주 | 러시아·인도·중국 | 러시아·몽골·중국 | 중국·인도·파키스탄 | 아프리카 | ||||
아세안 | 오세아니아 | |||||||
과거의 대외관계 | ||||||||
로마 제국 | 소련 | 가야-후한 관계 | 백제-수나라 관계 | 여요관계 | ||||
당나라 · 송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일본 | 중국 | 인도 | ||||
유럽 · 아메리카 | ||||||||
러시아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독일 | 영국 | ||||
프랑스 | 이탈리아 | 그리스 | 튀르키예 | 미국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 | 사우디아라비아 | 이란 |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이라크 | 시리아 | 레바논 | ||||
요르단 | 쿠웨이트 | 리비아 | 수단 공화국 | 모로코 | ||||
아프리카 | ||||||||
에티오피아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다자관계 | ||||||||
이집트·수단 공화국·에티오피아 | 이집트·리비아·수단 |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 }}}}}}}}} |
중국 | 이집트 |
1. 개요
중국과 이집트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은 냉전시절에 공식수교한 이후, 교류와 협력이 많아지고 있다.2. 역사적 관계
2.1. 고대
서기 70년경 당시 로마 제국 이집트 속주의 알렉산드리아의 그리스인 선원은 인도를 오가면서 견문한 내용을 바탕으로 <주항기>라는 이름의 책을 남기는데 이 책에는 당시 그리스 로마인들이 인도인들로부터 중국에 관하여 어떠한 정보를 접하였는가 관련한 내용이 담겨 있다.인도 최대의 강인 갠지스 강은 나일 강처럼 계절에 따라 수위가 높아진다. 이 강에 똑같은 이름의 중요한 무역기지가 있다. 갠지스 시[1] 이곳을 통해 말라바르산 향신료들, 감송, 배 그리고 갠지스산 최상급 모슬린이 수출된다. 이 지역 너머에는 아주 광대한 내륙지방인 지나(중국)라는 곳이 있는데, 이곳에서 생사, 견직물, 옷감이 육로로 들어온다. 이 지나라는 곳은 닿기가 쉽지 않다. 거기서 사람이 오는 경우는 거의 없고, 그리로 가는 사람도 많지 않다. 인도인들이 전하는 바에 의하면 이곳 너머의 땅 지나은 겨울이 혹독하여 추위가 심하다고 한다.
2.2. 20세기
중화민국 국민정부 시절 중국에서 후이족 출신 신학자 마젠을 이집트의 알 아즈하르 대학으로 유학 보냈던 바가 있었다. 국공내전 이후 마젠은 가말 압델 나세르와 저우언라이의 통역을 맡았던 바 있다.이집트와 중국은 냉전시절에 수교했다. 당시 이집트는 프랑스, 영국, 이스라엘과 갈등이 있었는데, 중국측은 소련과 함께 이집트를 지원했다. 무기도 많이 수출하고 이집트는 소련, 중국과 수교하면서 협력이 매우 활발했다. 사다트 대통령이 암살된 이후, 무바라크가 집권한 뒤에도 양국은 외교관계를 유지했다.
1991년 7월에 중국의 리펑 총리가 이집트를 포함한 중동 6개국을 순방한 적이 있었다.# 그리고 10월에 유세프 왈리 부총리가 중국, 터키로부터 새로운 나무품종을 수입해 10년간 2,500만 그루를 심는다고 밝혔다.#
1992년 2월 18일에 이집트의원사절단이 전인대의 초청으로 방중했다.# 그리고 중국조사단이 이집트 북부 해안지역의 구릉평탄화 준비를 위해 온 적이 있었다.#
1992년 8월 9일에 이집트공공사업부는 중국 우한대학과 나일강 보호를 위한 협정을 체결했다.#
2.3. 21세기
양국간의 교류와 협력이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크게 증가했다. 중국인 관광객들이 이집트에 관광하러 오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경제적으로 양국간의 교류가 많아지다보니 중국 기업들이 이집트에도 많이 진출했다. 양국간의 교류, 협력이 활발해지고 있다. 중국어는 이집트에서 제2 외국어 교육과정에 포함하는 절차에 돌입했고 이집트에서 주요 외국어에 속해 있다.# 이집트인 유학생들도 중국으로 유학하러 오는 경우가 많이 있다. 하지만 교류와 협력이 많아지는 과정에서 갈등도 나타나고 있다.이집트는 냉전 시절에 중국과 교류가 많다보니 이집트군은 중국으로부터 많은 무기들을 수입했다.
2016년 1월 21일에 시진핑 주석이 엘시시 대통령을 만나면서 15개 분야에서 150억달러(약 18조2000억원)에 달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2019년 7월에 이집트의 신행정수도 건설에 중국 자본이 많이 투입되고 중국 기업들이 많이 진출했지만, 이 과정에서 일대일로에 이집트도 참여한 것에 대해 이집트내에서 우려도 높아졌다.#
2020년초부터 코로나19가 전세계에 퍼지면서 이집트는 큰 피해를 입었다. 2월 4일에 코로나19가 퍼지자 이집트 정부는 우한시에 있던 이집트인 300여명을 철수시켰다.#1#2 코로나19로 인해 중국 노선이 잠시 단항되었다가 2월 27일에 이집트항공이 재개를 한다고 밝혔다.# 3월 3일에 이집트 보건부는 중국에서 코로나19 진단키트 1천개를 지원받았다고 밝혔다.#
2021년 1월 2일에 이집트는 중국산 백신인 시노팜 백신의 긴급사용을 승인했다.# 그리고 4월 26일에 이집트 의약품 당국은 시노팜 백신의 긴급사용을 승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