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7 19:19:53

보통우표

나무위키 내 별도 문서가 존재하는 우표의 종류
보통우표 기념우표 영원우표
인터넷 우표 부가금우표 맞춤형 우표
<rowcolor=#FFFFFF> 보통우표 430원권
파일:430원 보통우표.jpg
대한민국 보통우표 430원권 태극과 훈민정음.

/ definitive stamp

1. 개요2. 디자인3. 수집4. 대한민국의 보통우표
4.1. 보통우표 목록

1. 개요

우표의 한 종류로, 우편요금의 납부를 주 목적으로 하는 우표이다. 세계 각 나라의 우체국에서 상시 판매하는 우표이다. 우체국 외에도 문구점 등에서 흔히 구입할 수 있는 우표가 바로 보통우표다. 기념우표와 달리 발행기간과 발행량이 정해져 있지 않아 소진된 수량만큼 지속적으로 발행된다.

요금의 변경[1]이나 디노미네이션화폐개혁, 도안의 변경, 국가멸망 등이 있지 않는 이상 지속적으로 볼 수 있다.

미국, 영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우편 요금이 인상되어도 추가금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보통우표도 나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편요금 대신 우편등급이 쓰여있다. 보통 국내보통우편, 유럽의 경우 유럽 역내보통우편 정도가 이런 식으로 가격 없이 나온다. 우체국 입장에서는 우편요금을 인상해도 새 우표를 찍을 필요가 없으니 편리하지만, 어차피 덕후들이란 새로운 떡밥을 던져줘야 좋아하기 때문에 디자인을 바꾼다는 명목으로 이런 우표들도 디자인이 바뀌고는 한다. 대한민국에서도 영원우표를 발행하고 있는데, 아직까진 기념우표맞춤형 우표로만 발행하고 있다.
<rowcolor=#FFFFFF> 일본의 보통우표
파일:KT43260.jpg
일본우편에서 84엔으로 기본요금 인상 이후 발행하는 84엔보통우표.
매화를 소재로 했다. 홈페이지

2. 디자인

보통은 각 국가국기나 상징물, 동물, 식물, 문화재 등에서 따오며, 대통령제 공화정 국가에서는 대통령, 내각책임제 국가에서는 수상, 군주제 국가에서는 군주의 초상을 싣는 경우가 많다. 또, 각 국가의 우체국과 연관이 있는 사람을 디자인으로 쓰기도 한다. 위의 보통우표 600원권에 나온 홍영식과 우정총국은 대한민국 우정사업본부의 전신인 우정총국과 그 기관의 초대 국장이기때문에 실린 것.

3. 수집

한 가지 디자인으로 보통 10년 이상 발행되기 때문에 희소성이 없을것이라 생각한다면 오산. 오히려 우표 수집가들의 주머니를 터는 쪽은 기념우표라기보다는 보통우표이다. 세계 최초의 우표인 페니 블랙 역시 보통우표고, 그 이후로도 보통 가격을 띄울 수 있는 쪽은 잘 수집된 보통우표인 경우가 많다. 미사용, 사용, 전지, 블럭, 낱장에 판갈이까지... 블럭은 명판쪽, 색도표시쪽, 인쇄 가늠선쪽 등등 이름만 붙이는 대로 종류가 갈리고 사용제도 국내인과 국제인, 롤러인, 기계인 등 바리에이션을 넣고자 하면 끝도 없이 넣을 수 있다보니 각잡고 모으다 보면 기념우표보다 보통우표가 더 힘들다. 보통우표 발행일에도 당연히 기념날짜도장을 사용하니 보통우표 초일봉투도 생긴다.

한 번에 10년 이상 발행한다고는 하지만 2~3년에 한번씩 도안을 약간씩 수정하거나 매년 연도를 삽입하는 식으로 약간의 디자인 수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를 모두 수집하려고 수집가들은 없는 주머니까지 털어가며 보통우표를 모아버린다. 낱장으로는 당연히 모으는거고, 전지를 우판/좌판[2]으로 구분해서 모으는 사람도 있다. 잠깐 민화호랑이 전지로 사면 십만원이 넘는데? 특히 기본요금 보통우표로는 장기집권한 쪽에 속하는 기본료 100원시기 150원 청화백자매조죽문호, 기본료 170원시기 170원 참가재는 판갈이만 3~4회 이상 하고 실체도 어마어마하게 쏟아져 나오던 시절이라 말만 들어도 부들부들 떨린다는 사람도 있다. 쏟아부은 돈이 생각나거나 앞으로 쏟아부을 돈이 생각나거나

보통우표 전지는 기념우표의 손바닥만한 전지 따위와 비교할 크기가 아니다. 400원 이하는 전지 1장당 우표 100장[3], 500원 이상(민화 호랑이 제외)은 우표 50장이 전지 1장에 들어가기 때문에 웬만큼 큰 우체국이 아니면 전지가 없는 곳이 더 많다. 다만 2014년 신상품인 금귀걸이와 고사관수도는 60장 구성.

4. 대한민국의 보통우표

파일:(구)보통우표10원권.jpg
구 10원 보통우표.
<rowcolor=#FFFFFF> 보통우표 5000원권
파일:external/www.stampworld.co.kr/b311_1.jpg
▲ 현행 5000원 민화호랑이 총괄국 금고에서 잠자고 있는 아이라 구경할 일이 없다

대한민국 우정사업본부에서는 2017년 즈음부터 보통우표를 일반우표라 부르고 있다. 보통우표라는 낱말이 오랫동안 쓰였기 때문에 실생활에서는 여전히 보통우표란 말도 많이 쓰이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기본적인 우편요금을 납부하기 위해서 일반우표를 발행하고 있다. 영원우표가 아닌 기념우표는 기념우표 발행 당시의 기본 우편요금의 액면가로만 발행되기 때문에, 우편요금이 인상되면 추가로 차액을 지불할 10~100원 등 소액 일반우표를 사서 붙여야 한다. 또, 우체국 택배등기우편을 보내기 위한 일반우표 역시 따로 발행하고 있다. 등기우편 기본요금인 2180원의 국정추묘, 통화등기를 위한 5000원짜리 민화 호랑이 같은 것들. 민화호랑이는 체신부에서 수집덕후들 주머니 털려고 만든거 아닌가?

대한민국에서 2022년 현행으로 판매중인 가장 오래된 일반우표는 20원 우표 (2000년 발행).

4.1. 보통우표 목록

2021년 10월 1일부로 우편요금이 30~50원씩 인상되었다. 430원(규격우편)은 태극기, 520원(규격외)은 무궁화
<rowcolor=#FFFFFF> 발행중인 우표
액면가 도 안 최초발행일
10원 큰주홍부전나비[4]
파일:보통우표10원권.jpg
2021년 10월 29일
50원 유과
파일:50원 보통우표.jpg
2021년 10월 29일
100원 긴꼬리딱새
파일:100원 보통우표.jpg
2021년 10월 29일
430원(규격) 태극훈민정음
파일:430원 보통우표.jpg
2021년 9월 1일
500원 산사나무
파일:500원 보통우표.jpg
2021년 12월 17일
520원(비규격) 무궁화
파일:520원 보통우표.jpg
2021년 9월 1일
1000원 한글
파일:1000원 보통우표.jpg
2021년 12월 17일
2530원(등기) 청자 퇴화초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및 승반 [5]
파일:2530원 보통우표.jpg
2021년 9월 1일

순번 발행중지 우표[6]
1 액면가 도 안 발행중지일
2 10원 태극기 2021년 10월 29일
3 20원 해오라기 2021년 6월 1일
4 30원 왕머루 2021년 6월 1일
5 40원 모자주홍하늘소 2016년 1월 5일
6 50원 올빼미 2021년 10월 29일
7 60원 밀화부리 2013년 11월 11일
8 70원 홍월귤 2009년 10월 12일
9 80원 동박새 2008년 7월 18일
10 90원 박새 2021년 6월 1일
11 100원 문주란 2021년 10월 29일
12 200원 대게 2016년 1월 5일
13 220원 무궁화-원화 3송이 2011년 10월 1일
14 250원 솔부엉이 2011년 10월 1일
15 250원 가시연꽃 2011년 10월 1일
16 270원 태극기 2013년 11월 11일
17 300원 종다리 2008년 7월 18일
18 300원 아름다운 우리나라 2021년 6월 1일
19 330원 태극기 2021년 6월 1일
20 340원 고니 2011년 10월 1일
21 360원 나팔고둥 2013년 11월 11일
22 380원 태극기 2021년 9월 1일
23 390원 나팔고둥 2021년 6월 1일
24 400원 청자귀형수병 2013년 11월 11일
25 400원 팔색조 2016년 1월 5일
26 420원 무궁화 2021년 6월 1일
27 470원 무궁화 2021년 9월 1일
28 500원 백자철화승문병 2021년 12월 16일
29 600원 홍영식과 우정총국 2008년 7월 11일
30 700원 고려옥제운학문장신구 2013년 11월 11일
31 800원 제주마 2009년 10월 12일
32 900원 금동계미명삼존불 2016년 1월 5일
33 1000원 청자사자유개향로 2021년 12월 17일
34 1750원 분청사기철화연어문병 2011년 10월 1일
35 1770원 토우장식장경호 2012년 10월 1일
36 1930원 토우장식장경호 2014년 4월 1일
37 1930원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 2021년 6월 1일
38 1960원 분청사기상감연화당초문병 2021년 6월 1일
39 2000원 금동대탑 2014년 4월 1일
40 2000원 청자 어룡형 주자 2016년 1월 5일
41 2130원 백자청화구름용무늬항아리 2021년 6월 1일
42 2480원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2021년 9월 1일
43 3000원 강희안의 고사관수도 2016년 1월 5일
44 3550원 대한제국 국새 황제지보[7] 2018년 1월 5일
45 5000원 민화 호랑이 2016년 1월 5일

[1] 대한민국에서는 우편요금을 5~6년마다 한 번씩 인상하는데, 그 이전의 우표 역시 추가금을 내고 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우편요금이 올라도 보통우표는 계속 발행된다. 380원짜리 우표와 50원짜리 우표가 같이 붙어있는 경우를 생각해보자.[2] 우표 전지는 원지를 잘라서 만들기 때문에 인쇄할 때 판맞춤을 위해 프린트한 가늠자의 위치에 따라 우판과 좌판으로 나뉜다. 우체국 직원들이 보기에도 별 차이 없는 것 같지만 모으는 사람들은 깨알같이 구분해서 모은다. 심지어 낱장도 우판에서 나온것 좌판에서 나온것 구분해서 모으니까...[3] 단 300원 권은 숭례문, 수원 화성, 부산 동백섬, 단양 도담삼봉, 홍도, 경주 첨성대, 남원 광한루, 강릉 경포대 , 한라산 백록담 이 각각 10장씩 90장이다[4] 현재판매되는 우표중 최저가우표[5] 현재 판매되는 우표중 최고가우표[6] 추가발행은 중지했으나 우체국별 보유 재고내에서 판매 가능.[7] 법원 등기용이 주 목적인 우표라 법원 구내나 인근의 우체국, 우편취급국 등지에서만 판매했었다. 2018년부로 완판되었고, 발행수량은 180만장.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