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31 19:46:39

마스이 히로토시

마스이 히로토시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마스이 히로토시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우승 엠블럼 V3.sv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2016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우수 중간계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96 1997 1998 1999 2000
코노 히로후미
요미우리 / 12.45RP
시마다 나오야
요코하마 / 24.75RP
오치아이 에이지
주니치 / 19.70RP
이와세 히토키
주니치 / 28.15RP
이와세 히토키
주니치 / 26.20RP
<rowcolor=#ffffff> 2001 2002 2003 2004 2005
키즈카 아츠시
요코하마 / 28.40RP
이시이 히로토시
야쿠르트 / 34.60RP
이와세 히토키
주니치 / 31.15RP
오카모토 신야
주니치 / 24.80RP
후지카와 큐지
한신 / 53HP
<rowcolor=#ffffff> 2006 2007 2008 2009 2010
후지카와 큐지
한신 / 35HP
카토 타케하루
요코하마 / 35HP
쿠보타 토모유키
한신 / 55HP
쿠보타 토모유키
한신 / 37HP
야마구치 테츠야
요미우리 / 44HP
아사오 타쿠야
주니치 / 59HP
<rowcolor=#ffffff> 2011 2012 2013 2014 2015
아사오 타쿠야
주니치 / 52HP
야마구치 테츠야
요미우리 / 47HP
야마구치 테츠야
스캇 매시슨
요미우리 / 42HP
후쿠하라 시노부
한신 / 42HP
후쿠하라 시노부
한신 / 39HP
<rowcolor=#ffffff> 2016 2017 2018 2019 2020
스캇 매시슨
요미우리 / 49HP
쿠와하라 켄타로
마르코스 마테오
한신 / 43HP
콘도 카즈키
야쿠르트 / 42HP
야리엘 로드리게스
주니치 / 44HP
시미즈 노보루
야쿠르트 / 30HP
소부에 다이스케
후쿠 케이토
주니치 / 30HP
<rowcolor=#ffffff> 2021 2022 2023 2024 2025
시미즈 노보루
야쿠르트 / 53HP
야리엘 로드리게스
주니치 / 45HP
유아사 아츠키
한신 / 45HP
시마우치 소타로
히로시마 / 42HP
마츠야마 신야
주니치 / 43HP
기리시키 다쿠마
한신 / 43HP
타이세이
요미우리 / 54HP
<rowcolor=#ffffff> 2026 2027 2028 2029 203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96 1997 1998 1999 2000
시마자키 타케시
닛폰햄 / 16홀드
하시모토 타케히로
세이부 / 25홀드
요시다 슈지
다이에 / 21홀드
요시다 슈지
다이에 / 26홀드
후지타 소이치
롯데 / 19홀드
<rowcolor=#ffffff> 2001 2002 2003 2004 2005
요시다 슈지
다이에 / 19홀드
모리 신지
세이부 / 32홀드
모리 신지
세이부 / 26홀드
타테야마 요시노리
닛폰햄 / 13홀드
키쿠치하라 츠요시
오릭스 / 36HP
<rowcolor=#ffffff> 2006 2007 2008 2009 2010
타케다 히사시
닛폰햄 / 45HP
야부타 야스히코
롯데 / 38HP
카와사키 유스케
롯데 / 31HP
셋츠 타다시
소프트뱅크 / 39HP
셋츠 타다시
브라이언 팔켄보그
소프트뱅크 / 42HP
<rowcolor=#ffffff> 2011 2012 2013 2014 2015
히라노 요시히사
오릭스 / 49HP
마스이 히로토시
닛폰햄 / 50HP
사토 타츠야
오릭스 / 48HP
사토 타츠야
오릭스 / 42HP
마스다 타츠시
세이부 / 42HP
<rowcolor=#ffffff> 2016 2017 2018 2019 2020
미야니시 나오키
닛폰햄 / 42HP
이와사키 쇼
소프트뱅크 / 46HP
미야니시 나오키
닛폰햄 / 41HP
미야니시 나오키
닛폰햄 / 44HP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40HP
<rowcolor=#ffffff> 2021 2022 2023 2024 2025
호리 미즈키
닛폰햄 / 45HP
타이라 카이마
미즈카미 요시노부
세이부 / 35HP
루이스 페르도모
롯데 / 42HP
카와노 류세이
닛폰햄 / 34HP
마츠모토 유키
소프트뱅크 / 44HP
}}}}}}}}}}}}}}} ||
1996년부터 2004년까지 센트럴 리그는 릴리프 포인트(RP)라는 독자 지표로, 퍼시픽 리그는 홀드만 반영한 '최다 홀드 투수'라는 타이틀로 시상 대상을 선정하다
2002년에 퍼시픽 리그가 센트럴 리그와 동일한 명칭으로 개칭한 후 2005년부턴 홀드포인트(HP, 구원승+홀드)가 가장 많은 선수에게 시상하는 것으로 기준이 바뀌었다.
시미즈 노보루가 2021년 기록한 50홀드는 일본프로야구 단일시즌 최다 홀드 기록이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2016~2020
월간 MVP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2016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투수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 내야수
이시다 켄타
DeNA / 투수
하라구치 후미히토
한신 / 포수
노무라 유스케
히로시마 / 투수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내야수
타구치 카즈토
요미우리 / 투수
츠츠고 요시토모
DeNA / 외야수
오가와 야스히로
야쿠르트 / 투수
키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 내야수
이와사다 유타
한신 / 투수
호세 로페즈
DeNA / 내야수
<rowcolor=#ffffff> 2017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랜디 메신저
한신 / 투수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 외야수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투수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 내야수
이와세 히토키
주니치 / 투수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 외야수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투수
쿠와하라 마사유키
DeNA / 외야수
마일스 마이콜라스
요미우리 / 투수
츠츠고 요시토모
DeNA / 외야수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투수
마츠야마 류헤이
히로시마 / 외야수
<rowcolor=#ffffff> 2018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랜디 메신저
한신 / 투수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내야수
오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투수
조일로 알몬테
주니치 / 외야수
오가와 야스히로
야쿠르트 / 투수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외야수
크리스 존슨
히로시마 / 투수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내야수
헤로니모 프란주아
히로시마 / 투수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 내야수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투수
네프탈리 소토
DeNA / 내야수
<rowcolor=#ffffff> 2019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야마구치 슌
요미우리 / 투수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내야수
이마나가 쇼타
DeNA / 투수
타카하시 슈헤이
주니치 / 내야수
야마구치 슌
요미우리 / 투수
이토이 요시오
한신 / 외야수
야마사키 야스아키
DeNA / 투수
호세 로페즈
DeNA / 내야수
데이비드 뷰캐넌
야쿠르트 / 투수
니시카와 료마
히로시마 / 내야수
니시 유키
한신 / 투수
후쿠다 노부마사
주니치 / 내야수
<rowcolor=#ffffff> 2020 시즌
<rowcolor=#ffffff> 6~7월 8월 9월 10~11월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투수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투수
사노 케이타
DeNA / 외야수
오노 유다이
주니치 / 투수
카지타니 타카유키
DeNA / 외야수
모리시타 마사토
히로시마 / 투수
타일러 오스틴
DeNA / 내야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2016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와쿠이 히데아키
롯데 / 투수
에르네스토 메히야
세이부 / 내야수
데니스 사파케
소프트뱅크 / 투수
브랜든 레어드
닛폰햄 / 내야수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투수
타무라 타츠히로
롯데 / 포수
아리하라 코헤
닛폰햄 / 투수
아다치 료이치
오릭스 / 내야수
마츠이 유키
라쿠텐 / 투수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 내야수
마스이 히로토시
닛폰햄 / 투수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외야수
<rowcolor=#ffffff> 2017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투수
T-오카다
오릭스 / 외야수
노리모토 타카히로
라쿠텐 / 투수
브랜든 레어드
닛폰햄 / 내야수
토가메 켄
세이부 / 투수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밴크 / 외야수
히가시하마 나오
소프트뱅크 / 투수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 외야수
데니스 사파테
소프트뱅크 / 투수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내야수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투수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내야수
<rowcolor=#ffffff> 2018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타와타 신사부로
세이부 / 투수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내야수
키시 타카유키
라쿠텐 / 투수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마이클 볼싱어
롯데 / 투수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 외야수
아리하라 코헤이
닛폰햄 / 투수
이노우에 세이야
롯데 / 내야수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 투수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내야수
타와타 신사부로
세이부 / 투수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내야수
<rowcolor=#ffffff> 2019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아리하라 코헤이
닛폰햄 / 투수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내야수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 투수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 외야수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 투수
스즈키 다이치
롯데 / 내야수
야마오카 타이스케
오릭스 / 투수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외야수
앨런 부세니츠
라쿠텐 / 투수
모리 토모야
세이부 / 포수
잭 닐
세이부 / 투수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외야수
<rowcolor=#ffffff> 2020 시즌
<rowcolor=#ffffff> 6~7월 8월 9월 10~11월
와쿠이 히데아키
라쿠텐 / 투수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이시카와 아유무
롯데 / 투수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외야수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내야수
키시 타카유키
라쿠텐 / 투수
레오니스 마틴
롯데 / 외야수
}}}}}}}}}}}}}}} ||
}}}}}}}}}}}} ||

}}} ||
마스이 히로토시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등번호 43번
호시노 야치호
(2006~2009)
<colbgcolor=#c8b88c><colcolor=#000> 마스이 히로토시
(2010~2011)
와카타케 류지
(2012~2013)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등번호 19번
하야시 마사노리
(2009~2011)
마스이 히로토시
(2012~2017)
마이클 톤킨
(2018)
오릭스 버팔로즈 등번호 17번
야마사키 사치야
(2015~2017)
마스이 히로토시
(2018~2022)
소타니 류헤이
(2023~)
}}} ||
}}} ||
파일:BBOCDlh.jpg
마스이 히로토시
増井浩俊 | Hirotoshi Masui
출생 1984년 6월 26일 ([age(1984-06-26)]세)
시즈오카현 야이즈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시즈오카현립시즈오카고교 - 고마자와대학
신체 181cm, 74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9년 드래프트 5라운드 (닛폰햄)
소속팀 도시바 경식 야구부 (2007~2009)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2010~2017)
오릭스 버팔로즈 (2018~2022)

1. 개요2. 선수 경력
2.1. 프로 입단 이전2.2.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2.3. 오릭스 버팔로즈2.4. 국가대표 경력
3. 은퇴 이후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오릭스 버팔로즈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2.1. 프로 입단 이전

시즈오카현립시즈오카고교, 고마자와대학, 도시바 경식 야구부를 거쳐 2009년 드래프트에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 지명되었다.

2.2.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입단 2년차인 2011년부터 필승조로 발탁되어 2015년까지 매년 50경기 이상 등판했고. 2012년에는 퍼시픽리그 최다인 73경기에 등판해 45홀드로 일본프로야구 홀드왕도 했으며 일본프로야구 사상 가장 빠르게 통산 100홀드에 도달한 그야말로 일본 내 1류 계투이다. 오랫동안 닛폰햄의 마무리 투수를 맡던 다케다 히사시가 부진을 보이자[1] 2014년부터는 셋업맨에서 마무리로 자리를 옮겼고 그 보직에서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WBSC 프리미어 12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된 2015 시즌의 성적은 56경기 60이닝 1패 4홀드 39세이브(2위) 71탈삼진, 방어율 1.50.

2016년에는 초반 6점대 방어율을 기록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2군으로 강등되었다가, 복귀한 뒤에는 선발진에 안착하며 좋은 투구를 보여주었다. 특히 시즌 막판인 9월에는 5경기에 등판해 5승 무패, ERA 1.10, 1완봉승을 기록하며 월간 MVP에 오르는 활약을 보이며 닛폰햄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리그 독주를 극복하고 역전우승을 거두는 데 크게 공헌했다. 이 해 최종성적은 30경기(8선발) 81이닝 10승 3패 10세이브 ERA 2.44.

2017년에는 2016년 후반기 마스이를 대신해 마무리 투수를 맡던 크리스 마틴텍사스 레인저스와 계약하며 마무리 자리에 복귀했고, 52경기 52⅓이닝 6승 1패 27세이브 7홀드 2.39ERA의 좋은 성적을 냈다. 특히 82개의 삼진을 잡는 동안 11개의 볼넷만을 내주는(K/BB 7.45) 등 빼어난 세부성적을 보였다.

2.3. 오릭스 버팔로즈

2017 시즌 종료 후 국내 FA권을 행사해 오릭스 버팔로즈와 3년 총액 9억엔 규모의 계약을 맺고 이적했다.[2] 오릭스에서 맞는 첫 시즌인 2018년에는 35세이브로 퍼시픽리그 세이브 2위를 했지만, 작년보다 3배나 많은 볼넷을 내주며 WHIP이 1군 정착 이후 가장 높은 1.35로 치솟는 등 이전에 비해 다소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2019년에는 한없이 맞아나가며 7월 종료 시점에서 평균자책점이 6점대까지 치솟는 부진을 보인 끝에 마무리 자리를 박탈당했다. 시즌 최종성적은 53경기 등판 1승 4패 14홀드 방어율 4.83이었다.

2020년에는 16경기 등판 2승 2패 5홀드 방어율 3.03을 기록했다.

2021년 10월 4일 기준 14경기 등판 3승 6패 1홀드 방어율 4.95를 기록중이다.

2022년에는 2경기에서 2패 방어율 3.86을 기록했고, 시즌 종료 후 방출되었다. 현역 생활을 이어나가길 원했지만 팀을 찾지 못해 2023년 1월 27일, 은퇴를 선언했다.

2.4. 국가대표 경력

2015 프리미어 12 준결승에서 이대호에게 역전 적시타를 허용했다. 사실 2015 시즌 마스이 VS 이대호의 성적은 4타수 무안타 4삼진이었다. 그야말로 그 해에 이대호가 힘을 못 썼던 선수라 사실상 핀포인트로 이대호를 공략하기 위해 내보낸 셈이었는데 이대호가 포크볼을 주무기로 쓰는 마스이의 노림수를 제대로 읽고 역으로 공략해낸 것. 결국 이날은 마스이가 못한 게 아니라 이대호가 잘한 것이다. 무사만루라는 막장상태에서 올라온 마스이가 결국 이대호 안타로 2실점, 블론세이브를 먹었지만 이후 추가실점 없이 어찌저찌 1점차로 막아냈다.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도 참가했다.

3. 은퇴 이후

2025년부터 GAORA의 야구 해설자로 활동한다.

4. 플레이 스타일

평속 148~9km/h, 최속 155km/h의 속구와 포크볼을 주 무기로 하는 투수. 2018년까지 통산 K/9가 9.18, BB/9 3.25(K/BB 2.82)로 높은 탈삼진 능력을 갖춘 우완투수다.

구위 이외에도 마무리 투수가 갖춰야 할 능력 중 하나인 포커페이스를 매우 잘 유지하는 선수로, 앞서 언급했던 도쿄 대첩에서의 일본 해설에서도 “마쓰이 선수는 표정 변화가 거의 없네요~” 라며 칭찬한다. 또한 멘탈이 좋아서 안타를 맞고도 잘 극복해내는 위기관리능력도 빼어난 투수라 여겨진다. 본격적으로 1군에 정착한 2012년부터 지금까지 선발 알바를 뛴 2016년 한 시즌을 빼면 부상으로 인한 결장 없이 매년 50경기 이상을 등판할 만큼 꾸준한 투수이기도 하다.

5. 여담


* 닛폰햄 시절 마무리를 맡을 때의 등장곡이 AC/DC의 'Hells Bells' 였다. 야구팬들에게는 메이저리그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의 레전드 마무리인 트레버 호프만의 테마로 유명한 곡인데, 닛폰햄 구단에서도 파드레스 시절 호프만이 등판하면 '트레버 타임'이라고 전광판에 띄워준 것처럼 '마스이 타임'이라 전광판에 띄워주며 호응을 유도하곤 했다. 오릭스로 이적한 2018년에는 에드 시런Shape of You를 등장곡으로 쓰는 중. 링크
  • 프리미어 12 당시에 마츠이 유키의 뒤를 이어 등판하면서 한국의 아나운서를 비롯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마츠이라고 착각하게 되었다. 마츠이와 마스이는 전혀 다른 성으로 발음자체가 다르다.[3][4] '마츠'라는 발음은 마츠이, 마츠다등 일본에서 비교적 흔하게 쓰이는 성이고 마스이는 한국인들은 접하기 어려운 성인지라 착각해서 생긴 것.

6. 관련 문서


[1] 170cm의 작은 키, 최고구속 145km/h 정도의 느린 최고구속으로도 오랜 기간 닛폰햄의 필승조-마무리로 활약했던 선수였지만, 사실 2012~2013년부터 방어율은 어떻게 2점대로 낮게 유지되는데 비해 볼넷과 피안타를 꽤 많이 허용하는 불안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2013년에는 2.28 ERA, 31세이브를 기록했지만 1.75의 어마어마하게 높은 WHIP를 기록하는 대작가 기질을 보였으며 시즌 도중에는 평균자책점보다 WHIP가 높은 정말 변태적인 스탯을 찍기도 했다. 결국 마스이에 밀려 마무리 자리를 뺏긴 뒤 부진한 모습만 보이다 2017년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프로 입문 전 뛰었던 일본통운 사회인야구팀으로 복귀해 코치 겸 선수로 뛰는 중.[2] 전임 마무리였던 히라노 요시히사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 계약하며 마무리투수 공백이 생긴 걸 메꾸는 영입.[3] 애초에 한자와 영어 스펠링도 다른데 마츠는 한자로 松(소나무 송)라고 쓰고 영어로 Matsu라고 하지만 마스는 여러 표현이 있지만 대체로 増(더할 증)이라 쓰고 영어로 Masu라고 한다.[4] 일본어 つ와す는 다른 발음으로 つ는 한국어'츠'와 '쯔' 어느쪽도 표기 가능하지만 す는 스나 수로 표기해야지 츠/쯔는 틀린 발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