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keepall>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transparent>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3278><colcolor=#fff> 투수 | 17 이볼디IL-60 · 22 그레이IL-60 · 23 켈리 · 30 처치40인 · 35 라이터 · 41 밀너 · 43 암스트롱 · 46 코빈 · 48 디그롬 · 51 말리 · 54 쿨롬 · 55 마틴IL-15 · 57 커벨로 · 59 코니엘 · 60 윈IL-15 · 61 브래드포드IL-60 · 62 R.가르시아 · 66 스보즈IL-60 · 67 라츠 · 71 웹 · 80 라커40인 · 82 테오도40인 · 84 산토스40인 · 88 메이튼 · # 해멀40인 | |
포수 | 11 히가시오카 · 28 하임 | ||
내야수 | 2 시미언IL-60 · 4 피더슨 · 5 시거IL-10 · 6 영 · 8 스미스PL · 16 솔라노 · 20 듀란 · 21 버거 · 25 무어 · 39 프리먼 · 44 텔레즈 · 56 포스큐40인 | ||
외야수 | 0 해거티IL-60 · 19 오수나 · 24 헬먼 · 32 카터IL-60 · 33 맥키니 · 36 랭포드IL-10 · 38 해리스40인 · 53 A.가르시아 | ||
''' | |||
| }}}}}}}}} |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55번 | ||||
샘 허프 (2022~2024) | → | 크리스 마틴 (2025~) | → | 현역 |
| |
<colbgcolor=#003278><colcolor=#fff> 텍사스 레인저스 No.55 | |
크리스 마틴 Chris Martin | |
본명 | 크리스토퍼 라일리 마틴 Christopher Riley Martin |
출생 | 1986년 6월 2일 ([age(1986-06-02)]세) |
텍사스 주 알링턴 | |
국적 |
|
학력 | 알링턴 고등학교 - 맥레넌 커뮤니티 칼리지 |
신체 | 203cm | 102kg |
포지션 | 중간 계투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05년 드래프트 21라운드 (전체 627번, COL) |
소속팀 | 콜로라도 로키스 (2014) 뉴욕 양키스 (2015)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2016~2017) 텍사스 레인저스 (2018~2019)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19~2021) 시카고 컵스 (2022)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2) 보스턴 레드삭스 (2023~2024) 텍사스 레인저스 (2025~) |
계약 | 1yr / $5,500,000 |
연봉 | 2025 / $5,500,000 |
기록 | 무결점 이닝 (2019.9.11.[1]) |
1. 개요
텍사스 레인저스 소속 우완 투수.2. 선수 경력
2.1. 콜로라도 로키스
보스턴 레드삭스에 있다가 내야수 조나단 에레라의 반대급부로 투수 프랭클린 모랄레스와 함께 콜로라도 로키스로 이적했으며, 2014년 4월 25일에 메이저리그에 콜업되어 그 다음 날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를 상대로 구원등판해 무실점을 기록했다.시즌 성적은 15⅔이닝 14탈삼진 22피안타 ERA 6.89.
2015년 1월 5일 로키스가 닉 헌들리를 계약을 하게 되면서, DFA되었다.
2.2. 뉴욕 양키스
2015년 1월 13일, 뉴욕 양키스로 현금 트레이드되었다.2.3.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2015 시즌 종료 후 75만 달러로 일본프로야구 퍼시픽리그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 입단했다. 일본에서의 첫시즌 성적은 36경기 6.19의 ERA로 처참한 수준.2016년부터는 마스이 히로토시가 수행하던 마무리 투수직을 물려받아 닛폰햄의 마무리 투수로 정착하는 데에 성공, 퍼시픽 리그 올스타 팀에 선정되었는데 후반기 막바지 무렵 9월에 발목 부상으로 시즌 아웃되었고,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에서 복귀를 했지만 부상의 여파로 인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의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기대 이하의 모습을 보였고 결국 일본시리즈에서는 엔트리에 등록되지 못하면서 닛폰햄의 우승을 함께하지는 못했다.[2] 2번째 시즌의 성적은 21세이브 ERA 1.07. 그래도 52경기나 출전한 커리어 하이 시즌이었으며, 어찌되었던 파이널 스테이지에서 등판까지 한 덕분에 우승반지 획득을 하긴 했다.
좋은 성적을 바탕으로 2017년 89만 1,530달러, 일본 엔화로 환산할 경우 1억엔에 재계약에 성공해 40경기 출전 1.19 ERA를 기록했다.
2016년과 2017년 두 시즌 동안 마틴은 88경기에서 91개의 삼진을 잡아내는 한 경기당 삼진 1개 이상을 잡아내는 투수로 변모했다. 그의 인터뷰에 따르면 이 시기에 오타니 쇼헤이에게 스플리터를 배웠다고 한다. 즉 변화구를 더 날카롭게 익히면서 삼진을 잡을 줄 아는 투수가 된 것이다.
2.4. 텍사스 레인저스
2017년 12월, 일본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텍사스와 2년 400만 달러 계약을 체결했는데 41경기에서 ERA 4.54로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더니 2018년에 평범한 투수로 전략해버리고 말았다. 그나마 11월에 미일 올스타전에 참가한 게 위안거리.2.5.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2019년 7월 30일에 콜비 알라드와 맞트레이드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로 이적했다. 트레이드 후 20경기에서 ERA 4.08를 기록했고, 총 58경기 ERA 3.40의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2019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1차전 도중 워밍업 직후 사타구니 부상으로 명단에서 제외되었고, 팀은 2승 3패로 디비전 시리즈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시즌 후 11월 19일 2년 1,400만 달러의 규모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 재계약에 성공했다. 2020년에는 ERA 1.00이라는 좋은 모습을 보였고, 2021년에는 46경기 3.95로 약간 주춤한 모습을 보였지만 애틀랜타가 2021년 월드 시리즈에서 1995년 월드 시리즈 이후 26년 만에 우승을 기록하는 데에 조금이나마 힘을 보탰고, 선수 본인도 일본시리즈 우승반지를 획득한 지 6년 만에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획득에도 성공했다. 월드 시리즈에서 성적은 5경기 ERA 2.08.
2.6. 시카고 컵스
|
2022년, 컵스와 1년 250만 달러 + 인센티브 형태로 계약을 맺었다. 4월과 5월까지는 31경기 4.31의 ERA로 부진한 성적을 보이다가, 6월 이후에는 3점대의 ERA로 살아날 기미를 보였다.
2.7.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2022년 7월 30일, 잭 맥킨스트리와 맞트레이드를 통해 LA 다저스로 이적했다.
다저스로 와서는 26경기 24⅔이닝 3승 1패 2세이브 3홀드 ERA 1.46으로 전성기의 모습을 되찾으면서 다저스 불펜진에 큰 힘이 되어주었다.
2.8. 보스턴 레드삭스
|
2022년 12월 2일, 보스턴과 2년 1,75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2023 시즌에는 마무리 켄리 잰슨의 앞에서 철벽 필승조로 맹활약했다.
2024 시즌에는 성적이 다소 떨어졌으나 여전히 필승조로 기용되었다.
2.9. 텍사스 레인저스 2기
2025년 1월 6일, 텍사스와 1년 55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3. 피칭 스타일
203cm의 큰 키에서 뿜어져 나오는 평균 95마일의 패스트볼, 그리고 오타니 쇼헤이에게 배웠다고 하는 스플리터와 함께 컷패스트볼로 삼진을 많이 솎아내는 유형의 파워피처라고 볼 수 있다. 아쉬운 점이라면 이 시기부터 부상이 부쩍 많아졌다는 것.4. 수상 내역
5. 연도별 성적
| |||||||||||||||||
<rowcolor=#C4CED4>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2014 | COL | 16 | 0 | 0 | 0 | 3 | 15⅔ | 6.89 | 22 | 2 | 4 | 0 | 14 | 1.660 | 63 | 0.1 | -0.3 |
<rowcolor=#fff>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2015 | NYY | 24 | 0 | 2 | 1 | 5 | 20⅔ | 5.66 | 28 | 2 | 6 | 1 | 18 | 1.645 | 73 | 0.1 | -0.1 |
<rowcolor=#fff>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2018 | TEX | 46 | 1 | 5 | 0 | 14 | 41⅔ | 4.54 | 46 | 5 | 5 | 3 | 37 | 1.224 | 105 | 0.7 | 0.6 |
<rowcolor=#fff>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2019 | TEX/ATL | 58 | 1 | 3 | 4 | 18 | 55⅔ | 3.40 | 52 | 9 | 5 | 0 | 65 | 1.024 | 148 | 1.1 | 1.7 |
2020 | ATL | 19 | 1 | 1 | 1 | 6 | 18 | 1.00 | 8 | 1 | 3 | 1 | 20 | 0.611 | 475 | 0.5 | 1.2 |
2021 | 46 | 2 | 4 | 1 | 13 | 43⅓ | 3.95 | 49 | 4 | 6 | 3 | 33 | 1.269 | 112 | 0.5 | 0.4 | |
<rowcolor=#fff>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2022 | CHC/LAD | 60 | 4 | 1 | 2 | 9 | 56 | 3.05 | 50 | 6 | 5 | 1 | 74 | 0.982 | 137 | 1.6 | 1.0 |
<rowcolor=#fff>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2023 | BOS | 55 | 4 | 1 | 3 | 23 | 51⅓ | 1.05 | 45 | 2 | 8 | 0 | 46 | 1.032 | 434 | 1.5 | 3.2 |
2024 | 45 | 3 | 1 | 2 | 15 | 44⅓ | 3.45 | 47 | 5 | 3 | 3 | 50 | 1.128 | 124 | 0.9 | 0.2 | |
MLB 통산 (9시즌) | 369 | 16 | 18 | 14 | 106 | 346⅔ | 3.38 | 347 | 36 | 45 | 12 | 357 | 1.131 | 134 | 6.8 | 7.8 |
6. 여담
- 훗날 오타니 쇼헤이의 통역사로 활동하는 미즈하라 잇페이가 닛폰햄 시절 통역을 맡았다.
- 던질 때 입을 벌리는 습관이 있다.
7. 둘러보기
크리스 마틴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2016[3] |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
2021 |
크리스 마틴의 이전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콜로라도 로키스 등번호 47번 | ||||
라파엘 오르테가 (2012) | → | <colcolor=#fff> 크리스 마틴 (2014) | → | 하이로 디아즈 (2015~2017) | |
뉴욕 양키스 등번호 57번 | |||||
리치 힐 (2014) | → | 크리스 마틴 (2015) | → | 브랜든 핀더 (2015~2016) | |
뉴욕 양키스 등번호 33번 | |||||
개럿 존스 (2015) | → | 크리스 마틴 (2015) | → | 그렉 버드 (2017~2019) |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등번호 55번 | |||||
결번 | → | 크리스 마틴 (2016~2017) | → | 난바 유헤이 (2018~) | |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31번 | |||||
제라드 호잉 (2016~2017) | → | 크리스 마틴 (2018~2019) | → | 이안 케네디 (2021) |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51번 | |||||
셰인 칼 (2018~2019) | → | <colbgcolor=#CE1141> 크리스 마틴 (2019) | → | 윌 스미스 (2020~2022) |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55번 | |||||
존 라이언 머피 (2019) | → | 크리스 마틴 (2020~2021) | → | 브라이스 엘더 (2022~) | |
시카고 컵스 등번호 58번 | |||||
마이크 보젤로 (2013~2020) | → | 크리스 마틴 (2022) | → | 니콜라스 파디야 (2022)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58번 | |||||
지미 셔피 (2021) | → | 크리스 마틴 (2022) | → | 타이슨 밀러 (2023) | |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55번 | |||||
맷 스트람 (2022) | → | 크리스 마틴 (2023~2024) | → | 결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