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0 23:08:50

리틀 데이비드

제2차 세계 대전의 미군 화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미군화포
보병포 <colbgcolor=#fefefe,#191919>37mm M1916 보병포
곡사포 75mm M1 경곡사포, 105mm M2 곡사포, 105mm M3 경곡사포, 155mm M1918 곡사포, 155mm M1 곡사포, 8인치 M1/M2 곡사포, 240mm M1 곡사포
평사포 M1 4.5인치 평사포, 155mm M1918 평사포, 155mm M1/M2 평사포 'Long Tom', 8인치 M1 평사포
대전차포 37mm M3 대전차포, 57mm M1 대전차포, 75mm M1897/A1/A2/A3/A4 대전차포, 3인치 M5 대전차포, 90mm T8 대전차포, 76mm T124/T124E2 대전차포, 105mm T8 대전차포
전차포 37mm M5/M6, 75mm 전차포 M2–M6, 76mm M1 전차포, 3인치 M7, 90mm M1/M2/M3, 90mm 73구경장 T15/T15E1/T15E2, 105mm M4 곡사포, 105mm 전차포 T5, 120mm 전차포 T53, 155mm 전차포 T7
대공포 37mm M1 대공포, 1.1 인치 75 구경장 대공포 "시카고 오르간", 40mm M1 대공포, 3인치 M1918 대공포, 90mm M1/M2/M3 대공포, 120mm M1 대공포
박격포 4.2인치 박격포, 리틀 데이비드
열차포 8인치 Mk.VI 열차포
다연장로켓포 T34 칼리오페 (M8 로켓)
함포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6인치 47구경장 Mark 16 함포, 6인치 47구경장 DP Mark 16 함포, 12인치 50구경장 Mark 7 함포, 12인치 50구경장 Mark 8 함포, 14인치 45구경장 함포 시리즈, 14인치 50구경장 함포 시리즈, 16인치 45구경장 함포 시리즈, 16인치 50구경장 Mark 2/Mark 3 함포, Mark 7 16인치 50구경장 함포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cannon_icon__.png 화포 }}}
}}}}}}


화포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군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추축군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냉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현대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attachment/LittleDavidCannon.jpg
Little David
1. 개요2. 제원3. 설명4. 말로

1. 개요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만들어진 미국박격포. 구경만 따지면 세계 최대의 곡사포기네스북에 등재된 큼지막한 마차보다 크며 일단 실제로 제작된 포격용 병기중에서는 가장 거대한 구경을 가진 괴물 박격포이다. 영미권 작명센스로 보면 반어법인 듯하며, 사실 영미의 데이비드는 성경의 다윗을 뜻한다는 걸 생각하면 '작은 다윗'은 골리앗 잡는 포탄을 쏜다는 뜻도 된다.

물론 매드 사이언티스트제랄드 불빅 바빌론이라는 1000mm(!)짜리 스페이스 건을 구상하고 설계 및 축소형 실험까지 성공한 후 부품을 조달하다가 암살된 경우가 있지만 본질적으로 스페이스 건은 방어만 가능하면 장거리 공격이 가능한 전략병기가 될 수 있지만[1] 본질적으로 위성궤도에 물자를 쏘아보내는 장치이며 무엇보다 완성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논해봐야 별로 소용없는 이야기일 것이다.

2. 제원

중량 40t
포신 6.7m
포탄 1,656kg
구경 914mm
포구초속 381m/s
최대사거리 9.7km
급탄방식 포구장전식
생산수량 1문 (프로토타입)

3. 설명

일단 구경 1위답게 운반장치를 제외하고 질량 40톤, 길이 6.7미터에 구경 914mm(36인치)라는 정신나간 스펙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이 물건은 말 그대로 공성포라서 현장까지 이동한 후에 토목공사급 공사를 해서 포를 지탱할 기반을 닦고 포가를 설치해야 하므로 야전포처럼 쉽게 방열하고 쏘는 물건이 아니다. 아예 부대편성에 불도저크레인, 굴삭기등의 건설장비가 포함될 정도니 말 다했다. 게다가 박격포답게 사정거리도 10km에 불과해 목표물 바로 코 앞에서 토목공사를 벌여야 하는데 그동안 적이 방해하지 않기를 바라는 것 자체가 무리.

이렇게 위력 하나 빼곤 사용하기 힘든 물건을 만든 이유는 항공폭탄 시험용. 즉 새로 만든 폭탄을 비행기에서 투하해서 시험하기는 좀 위험하니 일단 거대한 대포에 넣고 쏴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실험해본다는 것이 목적이었다. 궁극의 폭탄 T-12 클라우드메이커 폭탄도 이걸로 시험했다고도 한다. 이유는 당대 최대의 폭탄 그랜드슬램보다 두 배나 무거워서.

하지만 2차 대전 종전 무렵에는 전투용으로 개조되었는데 일본의 정신나간 요새를 뚫기 위해서다.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본토와 대한해협을 지키는 쓰시마 섬에 설치된 해안요새는 최대급이 16인치 주포를 가진 전함의 주포 포탑을 강화해서 그대로 요새에 설치한 경우까지 있는 등 일반적인 야포는 물론 전함의 함포사격도 직격탄을 수차례 주지 않으면 이렇다 할 손상을 입지 않는 가공할 방어력을 자랑했다. 그렇기에 일단 일본에 상륙한 후에 해안요새를 파괴하고 (역시 방어력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내륙요새까지 박살내기 위해 똑같이 거포를 만든 셈이다.

일단 타국거포와는 달리 미국은 경제력이 좋아서 이런 거포를 안전하게 태평양 너머 일본으로 운반할 수단이 많았다. 게다가 연화약 부족에 시달리는 독일과 달리 미국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다량의 자원을 쌓아놓았기에 이 포에 사용할 특수용 포탄 또한 충분히 보급할 수 있었다. 포신도 자원부족 따위를 겪지 않고 전문가가 시간을 들여서 만들었기 때문에 예상된 포신수명 내에는 포격 도중에 파열이나 명중률 저하 따위는 없을 것이란 판정도 받았다. 여기에 더해서 구스타프 열차포같이 진지 구축에 3주의 시간이 걸리는 것도 아니라 구경을 생각하면 짧은 시간인 12시간안에 진지를 구축하고 사격이 가능했다. 그래서 일본 본토 상륙작전인 올림픽 작전을 염두에 두고 그때까지 포와 포탄, 관련 장비 및 인력 1세트를 전장에 전개하려고 계획까지 되어있었다.

그런데...

4. 말로

대전 후기에 나온 다른 신무기들과 비슷한 이유로 사장됐다. 쓰려고 하니까 일본이 폭탄 맞고 항복한 것이다. 게다가 구스타프 열차포는 일단 세바스토폴 공방전에서 사용되기라도 했다는 것을 본다면 이건 그냥 돈낭비였다. 그래도 T-12 클라우드메이커 같은 괴물 폭탄의 테스트 때 발사장치로 쓰이기는 했다.


[1] 애초에 개발하던 과학자가 암살당한 것도 무기화 문제 때문이라는게 주류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