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동해선
1. 본선
| <rowcolor=#fff> 일러두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여객, 화물 취급 | |||
| K | KTX 필수정차 | k | KTX 선택정차 | |
| R | SRT 필수정차 | r | SRT 선택정차 | |
| C | ITX-청춘 필수정차 | c | ITX-청춘 선택정차 | |
| X | ITX-마음 필수정차 | x | ITX-마음 선택정차 | |
| I | ITX-새마을 필수정차 | i | ITX-새마을 선택정차 | |
| S | 새마을호 필수정차 | s | 새마을호 선택정차 | |
| M | 무궁화호 필수정차 | m | 무궁화호 선택정차 | |
| N | 누리로 필수정차 | n | 누리로 선택정차 | |
| E | 동해산타열차 정차 | V | 백두대간협곡열차 정차 | |
| T | 남도해양열차 정차 | G | 서해금빛열차 정차 | |
| A | 정선아리랑열차 정차 | 광역철도는 노선별 표기법 상이 | ||
| H | 화물취급 | ─ | 여객/화물 미취급 | |
| <rowcolor=#fff> 역 등급 | ||||
| ⊙ | 관리역 | |||
| ○ | 보통역 | ◐ | 운전간이역 | |
| ● | 배치간이역 | ◑ | 무배치간이역 | |
| ◎ | 임시승강장 | ◇ | 을종위탁발매소 | |
| ‡ | 신호장 | † | 신호소 | }}}}}}}}} |
※ 관할 본부
¶ 부산경남본부 : 부산진↔모화
¶ 대구본부 : 입실↔포항
|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 0.0 | 부산진 | 釜山鎭 | ─ | B | ⊙ | 경부선 우암선 | 부산 동구 |
| 2.1 | 범 일 | 凡 一 | ─ | ─ | ◑ | 가야선 | 부산 부산진구 |
| 4.6 | 부 전 | 釜 田 | M | ─ | ⊙ | 부전선 | |
| 7.8 | 거 제 | 巨 堤 | ─ | ─ | ◑ | 부산 연제구 | |
| 9.1 | 남문구 | 南問口 | ─ | ─ | ◎ | ||
| 10.6 | 동 래 | 東 萊 | m | ─ | ○ | 부산 동래구 | |
| 11.9 | 안 락 | 安 樂 | ─ | ─ | ◎ | ||
| 13.6 | 재 송 | 裁 松 | ─ | ─ | ◎ | 부산 해운대구 | |
| 14.9 | 수 영 | 水 營 | ─ | ─ | ◑ | ||
| 20.8 | 해운대 | 海雲臺 | M | ─ | ○ | ||
| 23.7 | 송 정 | 松 亭 | m | ─ | ○ | ||
| 30.3 | 기 장 | 機 張 | M | ─ | ○ | 부산 기장군 | |
| 33.3 | 일 광 | 日 光 | ─ | ─ | ◑ | ||
| 38.6 | 좌 천 | 佐 川 | m | ─ | ○ | ||
| 42.0 | 월 내 | 月 內 | m | ─ | ◇ | ||
| 44.9 | 서 생 | 西 生 | ─ | ─ | ◑ | 울산 울주군 | |
| 53.4 | 남 창 | 南 倉 | m | ─ | ○ | 온산선 | |
| 55.0 | 외고산 | 外高山 | ─ | ─ | ◎ | ||
| 62.7 | 덕 하 | 德 下 | m | ─ | ● | ||
| 65.2 | 선 암 | 仙 岩 | ─ | ─ | † | 울산 남구 | |
| 70.0 | 태화강 | 太和江 | M | ─ | ⊙ | 울산항선 장생포선 | |
| 73.4 | 효 문 | 孝 門 | ─ | ─ | ◑ | 울산 북구 | |
| 79.6 | 호 계 | 虎 溪 | M | ─ | ○ | ||
| 86.8 | 모 화 | 毛 火 | ─ | ─ | ◑ | 경북 경주시 | |
| 90.7 | 입 실 | 入 室 | ─ | ─ | ◑ | ||
| 94.6 | 죽 동 | 竹 洞 | ─ | ─ | ◑ | ||
| 98.7 | 불국사 | 佛國寺 | m | ─ | ○ | ||
| 103.2 | 동 방 | 東 方 | ─ | ─ | ‡ | ||
| 109.7 | 경 주 | 慶 州 | M | ─ | ⊙ | 중앙선 | |
| 114.8 | 나 원 | 羅 原 | ─ | ─ | ○ | 금장삼각선 | |
| 118.5 | 청 령 | 靑 令 | ─ | ─ | ◑ | ||
| 121.2 | 사 방 | 仕 方 | ─ | ─ | ◑ | ||
| 127.0 | 안 강 | 安 康 | M | ─ | ○ | ||
| 129.9 | 양자동 | 良子洞 | ─ | ─ | ◑ | ||
| 132.8 | 부 조 | 扶 助 | ─ | ─ | ◑ | ||
| 139.2 | 효 자 | 孝 子 | m | ─ | ○ | 괴동선 | 경북 포항시 |
| 142.0 | 양학동 | 良鶴洞 | ◎ | ||||
| 143.2 | 포 항 | 浦 項 | M | ─ | ⊙ | ||
- 양학동역 : 포항 통근열차가 개통하면서 같이 개설된 임시승강장. 양학로 32길에 위치한 건널목이 역 위치로, 아직도 승강장이 그대로 남아있다.
1.1. 폐지된 구간
- 병영역 : 1992년에 동해선 울산 구간이 이설되면서 폐역된 역. 병영역의 기능은 효문역이 대신하고 있다.
- 달리역 : 1992년에 동해선 울산 구간이 이설되면서 폐역된 역. 달리역의 기능은 선암역이 대신하고 있다.
2. 지선
2.1. 우암선
|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 0.0 | 부산진 | 釜山鎭 | ─ | B | ⊙ | 동해선 경부선 | 부산 동구 |
| 2.4 | 우 암 | 牛 岩 | ─ | B | ◑ | 부산 남구 | |
| 6.1 | 신선대 | 神仙臺 | ─ | B | ◑ | ||
2.2. 부전선
|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 0.0 | 가 야 | 伽 倻 | - | ○ | 가야선 | 부산 부산진구 | |
| 1.9 | 부 전 | 釜 田 | M | B | ○ | 동해선 | |
2.3. 온산선
|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 0.0 | 남 창 | 南 倉 | m | ─ | ○ | 동해선 | 울산 울주군 |
| 8.6 | 온 산 | 溫 山 | ─ | B | ○ | ||
2.4. 장생포선
|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 0.0 | 태화강 | 太和江 | M | ─ | ⊙ | 동해선 울산항선 | 울산 남구 |
| 3.6 | 장생포 | 長生浦 | ─ | B | ○ | ||
2.5. 울산항선
|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 0.0 | 태화강 | 太和江 | M | ─ | ⊙ | 동해선 장생포선 | 울산 남구 |
| 4.6 | 울산항 | 蔚山港 | ─ | B | ◑ | ||
2.6. 괴동선
|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 0.0 | 효 자 | 孝 子 | m | ─ | ○ | 동해선 | 경북 포항시 |
| 5.6 | 괴 동 | 槐 洞 | ─ | B | ○ | ||
| 6.8 | 제 철 | 製 鐵 | |||||
- 제철역 : 제철역은 1975년, POSCO(당시는 포항제철) 직원들의 출퇴근 전용으로 개설된 역으로, 포항제철 내에 있었다. 90년대 이후로는 포항 스틸러스의 구장인 스틸야드가 가깝다는 이유로 일반승객을 받기도 했었다. 이후 2005년에 여객취급을 중지하였다.
2.7. 울산선
|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 0.0 | 달 리 | 達 里 | ─ | ─ | ‡ | 동해남부선 | 울산 남구 | |
| ? | 야 음 | 也 音 | ─ | H | ○ | 울산항선 장생포선 | ||
- 울산선 구간은 1992년 8월 20일에 울산 구간이 이설되면서 노선 자체가 폐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