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111정거장 | ||
| ||
110정거장 ← 1.5 ㎞ | 동탄인덕원선 건설 중 | 영 통[1] 3.5 ㎞ → |
103정거장 | ||
| ||
104정거장 ← 1.3 ㎞ | 용인 에버라인 계획 중 | 102정거장 1.6 ㎞ → |
주소 |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1142 | ||
관리역 등급 | ||
미정 | ||
운영 기관 | ||
동탄인덕원선 | 미정 | |
용인 에버라인 | 미정 | |
개업일 | ||
동탄인덕원선 | 2029년 | |
용인 에버라인 | 미정 | |
역사 구조 | ||
지하 n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 ||
열차거리표 | ||
110정거장 ← 1.5 ㎞ | 111정거장 (미개통) | 영 통 3.5 ㎞ → |
[clearfix]
1. 개요
2. 역 정보
용인 경전철 기준 2홈 2선식 승강장에 지하 역이고, 외부 출입구는 4개이며, 승강장과 특별 피난 계단을 설치할 예정이다. 인근에 이마트 흥덕점과 아파트 단지 등이 있다.현재 폐선된 수려선의 옛 덕곡역의 위치와 400m가량 떨어져 있다.
승강장은 지하 4층에 들어올 예정이다.
3. 논란
동탄인덕원선이 이 역을 억지로 경유하여 논란이 거세게 일었다. 설계도 상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개태사 드리프트 수준의 심각한 굴곡 선형이 생기므로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되었으나, 결국 2018년 4월 30일 자로 결정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별도 문서에서 다룬다.
4. 승강장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02정거장 - 103정거장 - 104정거장 - 105정거장 - 106정거장 - 109정거장 - 110정거장 - 113정거장 - 114정거장 - 115정거장 - 116정거장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강남대 - 지석 - 어정 - 동백 - 초당 - 삼가 - 시청·용인대 - 명지대 - 김량장 - 용인중앙시장 - 고진 - 보평 - 둔전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수원시가 영통입구 사거리에 영통입구역(가칭) 설치를 추진 중이었지만, 국토부는 영통입구역에 대해 경제성이 없어 신설역은 추가할 수 없다고 고시했다. #[A] 국토교통부고시 제2023-830호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건설사업 실시계획 변경 승인, 국토교통부, 2023-12-29[3] 국가철도공단에서 보도자료로 빨라도 2030년 개통을 전망한 바가 있어 2029년은 조속한 개통 의지를 보여주기 위한 일정이고 사실상 2030년이라고 봐야 한다.[A] [5] 경기도 도시철도망구축계획 승인고시(2019.5.15) 및 요약보고서, 경기도, 2019-05-25[6] 우연의 일치로 오송역도 청주시 흥덕구에 있다.[7] 무안공항역 경유안으로 호남고속선 2단계 구간이 확정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