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창원 나들목 東昌原 나들목 East Changwon Interchange | ||
동창원 요금소 East Changwon Tollgate | ||
순천 방면 창원JC ← 5.1 km | 남해선34 | 부산 방면 진영JC 2.3 km → |
주소 |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의창대로 1082-52 (송정리) | ||
관리기관 | ||
남해선 |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 창원지사 | |
개통 | ||
1973년 11월 14일 | ||
접속도로 | ||
의창대로[1] |
[clearfix]
1. 개요
남해고속도로 34번.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송정리에 위치한 남해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창원시(동읍)에서 유래했다.2. 특징
개통 당시에는 진영IC라는 간판을 달고 있었지만 2001년 마산외곽고속도로 개통과 더불어 남해고속도로 마산-냉정 구간이 왕복 8차로로 확장되면서 나들목을 통째로 뜯어고치고 이름을 동창원IC로 변경하였다. 예나 지금이나 나들목 소재지는 창원시 동읍이니 명분은 그럴듯하지만 정작 옛날보다 지금 위치가 진영읍에 더 가깝다.[2] 여튼 이러한 과거가 있어서 현지인 사이에서는 아직도 간간히 진영 나들목이라고 불리곤 한다. 후일 2018년에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위치는 다르지만 진영IC가 부활했다.나들목 소재지인 동읍은 창원에서도 북쪽에 치우친 위치인데다, 창원시내에서 접근성이 좋은 편도 아니다. 따라서 동읍, 진영읍[3] 주민이 아니면 딱히 이용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창원 관내에 있는 나들목 중에서는 이용률이 낮은 편에 속한다.
창원시내에서 여기로 통하는 길목인 의창대로가 일부 입체화되고 아예 시내를 피해 동읍까지 직결하는 25번 국도 대체도로가 개통되면서 의창구 지역에서의 접근성이 좋아지긴 했지만 남해고속도로와 교차하기만 할 뿐 직결되지는 않아서 크게 변한 게 없다. 밀양에서 서부 경남과 전남 지방을 오갈 때 이용하기도 했지만 창원시 북면과 밀양시 하남읍을 잇는 60번 지방도가 구불구불한 시골길에서 왕복 4차로 입체도로로 바뀌면서 이마저도 북창원IC에 밀리기 됐다.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개통된 뒤에도 마찬가지인데, 기장과 정관신도시에서 가장 빠르게 들어갈 수 있는 나들목이지만 통행량은 별로 없고, 기장정류소 혹은 좌천정류소를 경유한 뒤 창원으로 가는 버스조차도 없다. 기장 혹은 좌천에 정차할 경우 부산외곽선을 타고 이 나들목을 통해서 진출한 뒤 해원로를 타고 터미널로 가야하기 때문에 남산정류소 정차는 불가능하기 때문. 그래서인지 해운대 ~ 창원 노선이 부산외곽선 개통 후에도 적은 횟수로의 기장/좌천 경유 등의 계통분리 없이 모두 동래경유로 유지되고 있다.
정작 동창원 요금소 크기는 상당히 크다. 남해고속도로 전체로 봐도 이보다 큰 나들목 요금소는 손에 꼽을 정도지만 상기한 이유로 이용하는 차량이 많지 않아서 절반은 막아놓고 시설의 반만 가동 중이다. 나들목 요금소 옆에는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 및 창원지사가 있다.
구 진영 나들목 시절은 서마산 나들목처럼 반평면형이었다. 차이점이라면 이쪽은 진출입로가 윗단(육교)에 있고 본선이 아래쪽을 지나가는 것 정도.
3. 구조
남해고속도로에서 동창원 나들목으로 빠지면 나오는 의창대로는 한때 14번 국도와 25번 국도가 중첩되는 구간이었지만 지금은 옆에 해원로가 개통되며 그쪽이 국도 역할을 떠맡고 여기는 지방도로 격하되었다.동창원IC를 빠져나올 때 요금소를 지나자마자 자여마을, 사산마을 방향으로 나갈 수 있는 샛길이 있다. 다만 하이패스 이용자는 차선 급변경이 필수적이라 이용하기 어렵다.
3.1. 부산 방향(상행선)
3.2. 순천 방향(하행선)
4. 톨게이트 구조
4.1. 진입 방향
- 하이패스전용 진입 차로: 2차로, 4차로
- 일반 진입 차로: 1차로, 3차로, 5차로
4.2. 진출 차로
- 하이패스전용 진출 차로: 3차로
- 일반 진출 차로: 1~2차로, 4~9차로
5. 특징
- 90년대까지는 고속도로에서 매우 흔하던 반평면 다이아몬드형 교차로였다. 지금도 서마산IC나 다부IC 등에서 볼 수 있는 그 형태. 다만 특이하게도 접속도로가 고속도로 위로 나 있었다.
- 남해고속도로는 고속도로 이정표에 표시된 순천, 진주, 창원, 부산 4가지 주요도시들이 표시가 된다. 순천 방향 창원의 기준점이 바로 이 나들목이다.[4] 부산 방향으로는 산인 분기점부터 부산을 표시한다. 다만 지선은 내서 나들목에서는 창원을 표시하다가, 서마산 나들목부터 다시 부산을 표시한다. 순천방향으로는 진례 나들목 부터 진주를 표시한다. 웃기게도 진영 분기점에서 단독으로 창원만 표시하다가, 동창원 나들목에서 진주/창원 병기하고, 창원 분기점부터 다시 진주 표시로 돌아온다.
6.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영암 ~ 순천 구간 | 서영암IC - 서호학산IC - 서영암TG - 영암SA - 강진무위사IC - 장흥IC - 장흥정남진SA - 보성IC - 보성녹차SA - 벌교IC - 고흥IC - 남순천TG - 순천만IC - 도롱IC - 해룡IC | |
순천 ~ 부산 구간 | 서순천IC() - 순천IC - 순천JC() - 광양IC - 동광양IC - 옥곡IC - 진월IC - 섬진강SA - 하동IC - 진교IC - 곤양IC - 사천SA - 축동IC - 사천IC - 진주JC() - 진주SA/진주IC - 문산SA - 문산IC - 진성IC - 지수IC - 군북IC - 함안SA/장지IC - 함안IC - 산인JC() - 칠원JC() - 북창원IC - 창원JC() - 동창원IC - 진영SA/진영JC() - 진례IC - 진례JC() - 냉정JC() - 서김해IC - 동김해IC - 김해JC() - 북부산TG - 대저JC() - 덕천IC | }}}}}}}}} |
[1] 접속부가 창원-김해시계에 거의 붙어있어서 사실상 김해대로와도 접속한다.[2] 진영 나들목일 때는 자여마을로 들어가는 입구 옆에 있었지만 현 동창원 나들목은 진영읍과 동읍의 경계지역에 위치하고 있다.[3] 그나마도 진영은 진례 나들목이라는 대체재가 있다. 부산 방면은 진례 나들목, 창원 방면은 동창원 나들목을 이용하는 식. 이후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해 진례IC는 서부산 방면에서나 이용하게 되고 동부산 방면은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해야 한다.[4] 부산 방향은 1지선 내서JC가 기준이다. 정작 내서JC는 남해1지선인데, 옛 본선인 점을 감안한 듯하다. 허나 저 거리는 중앙분리대 표지판 기준이고 이정표지에서 창원의 기준점은 희한하게도 본선의 북창원 나들목이 기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