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6 11:20:34

동광양IC

동광양 나들목
東光陽 나들목
East Gwangyang Interchange
동광양 요금소
East Gwangyang Tollgate
순천 방면
광양IC
← 5.1 km
파일:Expressway_kor_10.svg 부산 방면
옥곡IC
6.4 km →
주소
전라남도 광양시 중군동
관리기관
남해선 한국도로공사 광주전남본부 순천지사
개통
1973년 11월 14일
접속도로
[[2번 국도|
2
]] (백운로)

1. 개요2. 구조
2.1. 부산 방향(상행선)2.2. 순천 방향(하행선)
3. 특징4. 둘러보기 틀

1. 개요

남해고속도로 14번. 전라남도 광양시 중군동과 광양읍에 걸쳐 있는 남해고속도로나들목. 동광양이란 이름은 광양제철소 배후 단지를 시로 분리승격시킬 때 광양읍보다 동쪽에 있다고 해서 '동광양시'라고 한 것에서 유래했다.

개통 당시에는 골약IC였으며 그 이후 반입체화되면서 광양제철IC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호암 나들목으로도 명칭이 되어있었다.

표지판에는 2번 국도가 표기되어 있으나 2번 국도는 간접 분기하며, 실제로 동광양IC와 분기하는 도로는 58번 국가지원지방도이다. 58번 국지도는 구 남해고속도로의 일부를 재활용한 도로이다.

2. 구조

특이하게도 순천 쪽 진출입로와 부산 쪽 진출입로가 광양터널을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분리되어 있는 형태인데, 영동고속도로 마성IC와 비슷하게 나들목 진출입로 쪽이 옛 2차로 시절 고속도로 구간이었다. 광양터널을 뚫어 확장 및 선형개량을 하면서, 옛 고속도로 구간을 나들목 진출입로로 전환(일부 부지는 2번 국도58번 지방도로도 전환)한 것. 덤으로 옛 경전선 구간도 이 옛 고속도로 구간을 따라 있었고, 동광양IC 요금소에 골약역이 있었다.

2.1. 부산 방향(상행선)

  • 진출 가능: 백운로 광양시청 방향, 광양항전용2로 광양항 방향
  • 진입 가능: 백운로 양방향, 광양항전용2로 광양읍 방향

2.2. 순천 방향(하행선)

  • 진출 가능: 백운로 광양시청 방향, 광양항전용2로 광양항 방향
  • 진입 가능: 백운로 양방향, 광양항전용2로 광양읍 방향

3. 특징

광양의 신 시가지인 동광양 일대로 갈 수 있으며, 광양시청과 포스코 광양제철소도 동광양에 있다. 다만 이 나들목이 동광양 시가지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부산 쪽에서 동광양으로 진입하려면 여기보다는 옥곡 나들목을 이용하는 편이 낫다. 아예 하동IC에서 빠져서 59번 국도로 광양제철소를 거친 이후 광양시내로 들어올 수 있다. 실제로 광양시청을 간다고 내비게이션을 찍으면 하동IC에서 빠지라고 한다.

부산 방향에서 포스코 광양제철소로 가는 차량은 하동IC에서 빠져서 59번 국도를 타거나, 진월IC에서 빠져서 861번 지방도를 타면 광양제철소로 바로 갈 수 있다. 국도로 돼 있는 하동IC가 훨씬 낫다.

4.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3f3f7f><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파일:Expressway_kor_10.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영암 ~ 순천 구간 - - - - - - - - - - - - - - -
순천 ~ 부산 구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