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경남과학고등학교 | ▣ 경남예술고등학교 | ◈ 경남자동차고등학교 | ◈ 경남정보고등학교 | ||
▣ 경남체육고등학교 | 경상국립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 ◈ 경진고등학교 | |||
경해여자고등학교 | ▣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 대곡고등학교 | 대아고등학교 | ||
명신고등학교 | 삼현여자고등학교 | <colbgcolor=#ffcbcb,#340000> ◈ 선명여자고등학교 | 진서고등학교 | ||
진양고등학교 | 진주고등학교 | ◈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 진주동명고등학교 | ||
진주여자고등학교 | 진주외국어고등학교 | 진주제일여자고등학교 | 진주중앙고등학교 |
어린이집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학교법인 오민학원 | |
고등학교 | <colbgcolor=#d6f0ff,#002033> 대아고등학교 |
중학교 | 대아중학교 |
대아고등학교 大亞高等學校 Daea High School | |
| |
<colbgcolor=#0057ec> 교훈 | 성실(誠實) 봉사(奉仕) 애국(愛國) |
교화 | 무궁화 |
교목 | 느티나무 |
교수 | 호랑이 |
개교 | 1966년 3월 8일 |
유형 | 사립고등학교 |
성별 | 남자고등학교 |
계열 | 일반계 고등학교 |
주소 | 경상남도 진주시 서장대로 185번길 14 (이현동) |
학교법인 | 오민학원 |
교장 | 정규석 |
{{{#fafeff 관할청}}} | 경상남도교육청 |
{{{#fafeff 홈페이지}}} | |
1. 개요
|
학교 전경 |
대아고등학교는 경상남도 진주시에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이다. 대아중학교와 같은 건물을 사용한다.
1943년 항일 학생운동 단체인 반진단(般震團)에서 아시아의 자립과 민주 독립을 위한 교육기관의 설립을 발의하고, 1954년 2월 23일 하천학원의 설립 인가가 났다. 초대 이사장에는 반진단 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아인 박종한 선생이 28세의 나이로 취임하였다.
현재 학교 교사면적은 9,755평이며, 각 학년 학급수는 10학급 [1],전체 학생수는 722명이고 전체 교원수는 59명이다. (2025년 기준)
2. 학교 연혁
1943.04.08 | 항일학생운동 단체인 '반진단'에서 아시아의 자립과 민주 독립을 위한 교육기관 설립을 발의 |
1954.02.23 | 학교법인하천학원 설립 인가 / 초대 이사장에 박종한 선생 취임 |
1966.01.22 | 대아고등학교설립 인가 (인가학급 3학급)[2] |
1966.03.08 | 대아고등학교 1학년 60명(1학급) 입학 및 초대 교장 박종한 선생취임 |
1969.02.28 | 제1회 60명 졸업 |
1973.12.29 | 대아고등학교 30학급 증설 인가 |
1980.03.04 | 진주시이현동 숙호산에 학교 신축 이전 |
1981.04.16 | '학교법인 하천학원'을 '학교 법인 오민학원'으로 명칭 변경 |
1984.09.25 | 제6대 이사장 김경석 선생 취임 |
1986.02.10 | 제2대 교장 심성재 선생 취임 |
1993.03.01 | 제3대 교장 강영규 선생 취임 |
1999.03.01 | 제4대 교장 강축렬 선생 취임 |
2000.03.01 | 제5대 교장 김동명 선생 취임 |
2007.09.01 | 제6대 교장 오종출 선생 취임 |
2009.09.01 | 제7대 교장 최진권 선생 취임 |
2010.09.01 | 제8대 교장 김진홍 선생 취임 |
2015.03.01 | 제9대 교장 정병호 선생 취임 |
2015.02.12 | 제47회 426명 졸업 (총 23,053명) |
2018.05.16 | 제7대 이사장 김영란 선생 취임 |
2019.02.14 | 제51회 365명 졸업 (총 24,550명) |
2019.03.01 | 제10대 교장 전병철 선생 취임 |
2021.02.09 | 제53회 267명 졸업(총25,135명) |
2023.02.09 | 제55회 262명 졸업(총25,654명) |
2023.09.01 | 제11대 교장 정규석 선생 취임 |
3. 교훈 및 상징
3.1. 교화
무궁화
나무 전체로 끊임없이 피고지는 무궁한 영화의 나무로서 나라의 꽃으로 삼은 한국인의 종교적 심성이 깃들어져 있다. 대표품종인 백단심(白丹心)은 꽃이 백색이어서 무구청정(無垢淸淨)을 나타내고 진홍빛 화심은 겨레의 얼을 상징한다. 또한 옛 당나라의 어느 여왕이 꿈에서 동지섣달에 꽃이 피라고 기원하여 다른 꽃은 피었는데 무궁화만은 피지 않았다고 한다. 이는 한국 민족이 당에 굴복하지 않았음을 의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우리 겨레의 삶 속에서 얼을 키워온 무궁화이기에 본교를 거쳐 가는 모든 학생들이 겨레의 숨결을 느끼고 드넓은 세상에 그 정신을 간직하고 꽃 피워내길 기원하는 의미에서 교화로 지정한 것이다.
3.2. 교목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규목(槻木)이라고도 한다. 수명이 길어서 오래 살 뿐만 아니라, 줄기가 곱게 자라면서 가지가 사방으로 뻗어 생김새도 좋고, 목재로도 우수하며 모든 면에서 으뜸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영목, 귀목, 신목으로 받들어 봄에 트는 싹의 모양을 보고 길흉을 점치기도 할 정도로 우리의 문화와 관계가 밀접한 나무이다. 이런 정기를 이어받아 대아인이 곧고 바르게 자라서 그 기상이 전 세계에 뻗치고 다양한 재목으로 거듭나 어디사나 으뜸으로 되는 사람이 되기를 기원하는 의미를 지닌다.[3]
3.3. 교수
호랑이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서 등장하는 호랑이는 사납고 험상궂은 모습이 아닌 위엄이 있으면서도 늠름한 자태를 통해 우리에게 다정하고 친숙한 모습으로 다가온다. 도한 사람에게 해를 가져오는 화재, 수재, 풍재를 막아주고, 병난, 질병, 기근의 세 가지 고통에서 지켜주는 신비로운 힘이 있는 수호신으로 믿어 벽사의 의미로 많이 그려지기도 하였다. 숙호산의 정기를 몸으로 느끼고, 호랑이의 영엄함과 용맹스럽고 위엄있는 모습을 본받아 대아인이 활기차고 진취적인 기상을 기르고, 나아가 존경받고 위세있는 인물이 되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학교의 교수로 정하였다.
3.4. 교훈
성실(誠實) 봉사(奉仕) 애국(愛國)
빛나는 민족의 전통을 되살리고 창의와 개척으로 조국번영에 봉사하는 성실한 사람이 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5]
3.5. 교가
동트는 아시아의 보랏빛 하늘 동반도 반만년의 찬란한 아침 정열은 남바다를 밀물치는데 높푸른 천왕봉의 우람찬 포부 남가람 푸른 충혼 아로새기며 한겨레 슬기로움 옥으로 닦는 새 나라의 새 기둥 대아는 큰다 아시아의 새 기수 대아는 큰다 |
교가가 대아중학교와 동일하다.
4. 학교 특징
항일운동 단체였던 반진단을 이끈 차문화의 대가 초대교장 아인 박종한 선생의 영향을 많이 받아, 민족과 애국 교육과 같은 특성화 교육이 활발하다.5. 학교 시설
일자로 쭉 10학급이 나열되고(5층 1학년은 9학급), 각 학년의 1,5,9반 앞에 계단이 있다. 화장실은 복도 맨 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여교사용 화장실은 정면을 기준으로 하여 2층 왼쪽에 위치해 있으며, 남교사용 화장실은 1층 왼쪽에 위치해 있다.각 학급에는 운동장 방향으로 베란다가 있다. 교실 간 경계 부분도 벽 없이 개방되어 있으며 과거에는 제2의 복도로 활용되어 쉬는 시간에 학생들이 바람을 쐬러 나가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학교에서 안전 차원으로 각 학년의 5반을 제외한 각반의 베란다로 통하는 문을 공사해 없애 버려 예전과 같은 모습은 볼수없게 되었다.
각 층 사이에는 두 개의 계단이 있으며 그 사이에 학년실이 있다.
5.1. 오민관
강당이 존재하며 강당 뒤로 급식실이 있다.[6] 오민관 이라고도 하며 학생위원 임명식이나 개학식때 전교생이 모인다.5.2. 급식실
급식실이 2층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1층은 1학년과 3학년 전반이 사용하고 2층은 2학년과 3학년 후반이 사용한다.5.3. 기타 시설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도부터 이용이 제한된 상태이며 학생들의 매점 오픈 요청이 상당하다.오민실 근처에 샤워실이 있었다고 전해지는데, 학생들의 비위생적인 사용때문에 현재는 폐쇄했다고 한다.
학교 정문에서 나오면 큰 정자인 오민대가 있다. 체육대회 개회식 등에 사용되며 교장 선생님의 훈화 말씀을 들을수 있다. 운동장 바로 앞에 위치해 있다보니 공에 맞아 부서지는 경우가 허다하다.[7]
급식실에서 계단을 더 내려가면 지금은 폐지된 유도부가 쓰던 유도관이 있는데, 지금은 사용하지 않고 방치되어있다.[8]
6. 주요 행사
6.1. 창렬사 충의교육
• 삼장사와 논개, 진주성 백성들을 기리는 교육이다.• 학기당 한번, 재학생이라면 총 6번을 교육을 받는다.
• 진주성 안에 위치한 창렬사에서 진행되며, 토요일 아침8시에 시작한다.
• 대아고 삼대 특색교육 중 하나이다.
6.2. 충무공 탄신 기념 행군
• 상당히 오래전 부터 실시한 행사로써 행사 초기엔 학생회가 충무공의 고향인 충남 아산까지 행군하는 대장정을 펼쳤으나, 변형되어 충무공이 백의종군때 걸었다고 전해지는 남강변을 따라 약 20km의 행군을 한다.• 1년에 한번 행해지는 행사이다.
• 전국 일반고등학교 중에서 유일하게 행군을 한다.
• 대아고 삼대 특색교육 중 하나이다.
6.3. 기타 행사
- 대동제[9]
- 오민 학예제
- 모현단 교육 [12]
7. 출신 인물
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 강남일
前 대검찰청 차장검사, 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 - 김권수
前 경상남도의회 의원 - 김두수[13]
- 김봉균
前 사천시의회 의원 - 김상권
前 경상남도교육청 교육국장 - 김태현
現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예금보험공사 사장,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 마사토끼
웹툰 작가 - 문준홍
- 문형배 (15회 졸업)
前 부산가정법원장, 헌법재판소 재판관,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 박명균
現 경상남도 행정부지사 - 박재억
現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장 - 박종현
- 성태
포스트맨 소속 가수 - 양문석
現 국회의원 (경기 안산시 갑) - 얼돼
- 액시스마이콜[14]
인터넷 방송인 - 오경환
前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 유계현
現 경상남도의회 의원 - 유병호
現 감사원 감사위원, 前 감사원 사무총장 - 유연석[15]
- 이경민
유튜브 로이어프렌즈 운영 중인 변호사. - 임철규
- 전병욱
前 진주시의회 의원 - 정경두
前 공군참모총장, 합동참모의장, 국방부장관. - 정두근
前 제32보병사단장, 육군훈련소장,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최종계급 중장) - 정상원
- 정영훈
- 정재욱
現 경상남도의회 의원, 前 진주시의회 의원 - 조규일
- 現 진주시장
- 최을석
- 최인석
- 강태영[16]
8. 사건 사고
2012년 모 학생에게 교사 2명이 시험지를 유출한 사건이 있었다.졸업생의 증언 당시 문제를 유출한 교사 중 1명은 해임되었고 다른 1명은 2025년 기준 재직 중이다.9. 기타
- 2019년 4월 24일에 디시인사이드 진주대아고 마이너 갤러리가 개설되었다.
- 숙호산을 등지고 있는 학교이기 때문에 계단과 오르막길이 상당히 많다. 버스 정류장에서 내려 걸어가도 긴 시간이 걸린다.[17]
[1] 1학년은 9학급[2] 지금은 해당 부지에 이마트 진주점이 있다.[3] 운동장 바로 옆에 서 있으며, 체육시간이나 저녁 시간에마다 느티나무 앞 벤치에서 쉬는 학생들을 자주 볼 수 있다.[4] 그림은 작호도(영모도)이며 소나무 가지에 앉아 있는 까치와 그 밑에서 이를 바라보며 웃는 듯이 앉아 있는 호랑이를 소재로 한 그림이다. 수호신적인 역할을 했던 사신도(四神圖)의 한변형으로 보이며, 까치의 경우 주작(朱雀)의 변용으로 풀이된다. 작호도는 잡귀의 침범이나 액을 막는 일종의 벽사용으로 그려졌다고 볼 수 있다.[5] 교훈의 역사 또한 학교의 긴 역사에 걸맞게 파란만장하다. 처음에는 굉장히 긴 구절이었으나 학생들이 잘 외우지를 못해 대학 면접때 교훈이 뭐냐는 교수의 질문에 대답을 하지 못하는 일 등 불편한 일들이 계속 발생하자 점차 교훈의 길이를 조금씩 줄여나갔고 수많은 개정 끝에 지금과 같은 평범한 형태의 교훈이 되었다.[6] 강당이 매우 낡았는데, 천장을 보면 세월의 흔적이 느껴진다[7] 이러한 이유로 운동장 일부에 녹색 철망을 24년도에 공사를 통하여 설치했다.[8] 학생들도 별 관심이 없다..[9] 대아고와 동명고가 함께 개최했으며, 2019년에 제 1회를 시작했다.[10] 종목은 축구, 농구, 줄다리기, 피구, 씨름이다.[11] 축구는 운동장에서, 농구는 농구장, 피구는 체육관, 줄다리기는 체육관 앞에서 진행하며 씨름은 철봉옆 모래밭에서 열린다.[12] 대아고 삼대 특색교육 중 하나이다.[13] 김두관의 동생이자, 유튜버 새덕후의 아버지이다.[14] 성태와 동기이다[15] 2000년에 입학하여 1학년을 마치고 2001년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경기고등학교로 전학을 갔다. 연기자의 꿈을 꾼 건 경기고 전학 이후다.[16] 들어가보면 독립운동가 강태영이 나온다[17] 아침마다 하체 운동을 하는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