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olas Joseph Marie Wilhelm
니콜라 조제프 마리 빌렘
한국명 : 홍석구
1860년 1월 24일 ~ 1938년 5월 16일
1. 개요
▲ 영상 대표이미지는 1910년 3월 뤼순 감옥에서 안중근이 유언하는 사진. 안정근, 안공근과 같은 쪽에 앉은 뒷모습 사람이 빌렘 신부이다.
프랑스인 천주교 신부이자 선교사. 1860년 프랑스의 로렌 스피슈른·슈피헤른(프랑스어: Spicheren, 독일어: Spichern)에서 태어났다.[1] 안중근 토마스 의사와 친밀한 관계를 맺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안중근이 순국할 때 고해성사를 집전해 주었던 신부이기도 하다. 한국식 이름은 홍석구(洪錫九).
2. 생애
1881년 파리외방전교회 신학교를 졸업하고 1883년 사제서품을 받았다. 1888년 선교사로 파견을 받고 조선에 입국했다. 그가 조선으로 파견되기 2년 전인 1886년에 조불수호통상조약이 맺어져, 한국에서도 드디어 가톨릭 신앙의 자유가 허용되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었다. 또한 그가 입국하던 1888년에는 한국 천주교 최초의 수도회인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가 한국에 진출하기도 했다.이듬해 제물포성당[2] 주임을 지냈고 1890년에는 용산예수성심신학교 교수가 되었으나, 고향인 모젤이 독일 영토에 편입되자 국적 문제로 프랑스로 귀국하였다.[3] 1891년 조선으로 재입국하여 갓등이 본당[4]의 임시 주임신부가 되었다.
1896년 황해도 담당으로 파견되면서 안중근 토마스의 아버지이자 천주교 신자인 안태훈 베드로를 만나게 되었고, 안중근의 가문과 친해지게 되었다. 안중근과도 만나는 등 여러차례 친분 관계를 맺어왔다. 본래 친일 성향인 귀스타브샤를마리 뮈텔[5] 주교와 동급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번은 조선인 신자들을 무시하고 억압적으로 대하는 모습에 대해 안중근이 부당하다고 지적하자, 화가 나서 안중근을 구타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안중근이 물러서지 않고 사례를 제시하며 반박하자, 화를 풀고 자신의 행동을 사과한 적도 있었다.[출처] 안중근을 만난 뒤 점차 조선의 독립운동을 지원하게 되었다. 1909년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고 이듬해 사형이 확정되면서 신부의 자격으로 고해성사도 집전해 주는 등, 안중근과 인연을 맺어왔다.
그 이후, 빌렘 신부는 안중근의 일을 놓고 친일 성향인 뮈텔 주교와 갈등하였다. 안중근 문서에도 나와 있듯 안 의사는 사형 집행 전 성사를 하고자 신부를 보내줄 것을 요청했으나 뮈텔 주교는 이를 거부했다. 그러나 빌렘 신부는 뮈텔 주교의 요청 반려를 거스르고 안 의사를 찾아갔고, 안 의사는 무사히 고해성사와 병자성사를 마칠 수 있었다. 그러나 뮈텔 주교는 빌렘 신부의 행동에 불만을 품었으며, 빌렘 신부에게 성무(聖務) 자격 정지[7]라는 정직 처분을 내렸다. 빌렘 신부 역시 친일 성향인 뮈텔 주교를 불신하는 등, 안중근 사건을 계기로 두 사제는 갈등을 빚게 되었다. 여기에 1911년 천주교 신자인 안명근 야고보의 데라우치 암살 미수 사건까지 겹치고, 뮈텔 주교는 직접 조선총독부로 찾아가 사건을 밀고했다.
뮈텔 주교와 빌렘 신부 사이에는 불화와 갈등이 이어지게 되었고, 결국 빌렘 신부는 1914년 고향인 독일 치하 알자스 로렌으로 낙향하여 사목하였고, 곧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 프랑스와의 연락과 교통이 두절되었다. 독일 항복 직후 다시 일제 치하의 조선으로 돌아가서 사목하고자 탄원을 제출하였으나 서울대목구에서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뮈텔 주교의 일기에 따르면, 1919년 신한청년단 대표 자격으로 파리 강화 회의에 참석코자 했던 김규식을 빌렘 신부가 도와줬다고 한다.
3. 고해성사 누설 루머
한편 1911년의 안명근 야고보 고발 당시 빌렘 신부가 고해성사를 누설했다는 루머가 있으나, 이는 1차 사료에서 확인되지 않는 낭설이다. 뮈텔 주교 일기에서 안명근 야고보 고발과 관련된 문장을 모두 발췌하면 다음과 같다.1월 11일 남방 포교지의 새 대목구[8]의 명칭에 관해 투표를 요구하는 포교성성의 서한을 통고하는 파리 참사회의 서한이 왔다.
빌렘 신부가 총독부에 대한 조선인들의 음모가 있었는데 거기서 안 야고보[9]가 적극적으로 관여했을 것이라는 사실을 편지로 알렸다. 빌렘 신부의 요청에 따라 나는 그 사실을 아카시(明石元二郞) 장군에게 알리고자 눈이 아주 많이 내리는데도 그를 찾아갔다.
이 기회를 이용해 진고개로 가는 우리의 세 통로가 막힌 사실을 알리며 중간 통로에 대한 재판이 두 번 각하되었고, 그것이 복구될 희망은 없지만 우리의 권리를 되찾기 위해 모든 방법을 동원하게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상고하기에 이르렀다고 말하였다.[10] 그리고 일본 법정의 판결이 너무 대단해 보여 이 사실을 동경의 프랑스 대사에게 알리지 않을 수 없었다고도 말하였다. 아카시 장군은 즉시 헌병대의 중위를 불러 즉석에서 다른 두 통로, 즉 양로원 길과 수녀원 정문 길을 열어 놓도록 그에게 명하였다. 장군은 나의 통고에 진심으로 감사해 하였다.
1월 13일 몹시 춥다. 영하 21도.
아침에 경찰관 오노(小野) 씨의 한 사무원이 내가 집에 있으면 아카시 장군이 방문 올 것임을 알리러 왔다.
경찰에서 두 직원이 조선 가톨릭의 교계 통계표를 구하러 왔다. 그들이 아직 떠나지 않고 있을 때 아카시 장군이 도착했다. 그는 자신의 이름과 총독 데라우치 장군의 이름으로 다시 감사하러 왔다고 하였다. 이야기 도중 그는 안 야고보가 현재 청계동에 있는 것을 이미 알고 있다고 말하였다.
1월 21일 아카시 장군은 안 야고보가 빌렘 신부에게 말했다고 하는 자백(Aveu)이 사실인지 여부를 빌렘 신부에게 물어 보아도 실례가 안되느냐고 편지로 물어 왔다. 빌렘 신부에게 그의 부탁을 전하였다.
《뮈텔 주교 일기 5》
빌렘 신부가 총독부에 대한 조선인들의 음모가 있었는데 거기서 안 야고보[9]가 적극적으로 관여했을 것이라는 사실을 편지로 알렸다. 빌렘 신부의 요청에 따라 나는 그 사실을 아카시(明石元二郞) 장군에게 알리고자 눈이 아주 많이 내리는데도 그를 찾아갔다.
이 기회를 이용해 진고개로 가는 우리의 세 통로가 막힌 사실을 알리며 중간 통로에 대한 재판이 두 번 각하되었고, 그것이 복구될 희망은 없지만 우리의 권리를 되찾기 위해 모든 방법을 동원하게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상고하기에 이르렀다고 말하였다.[10] 그리고 일본 법정의 판결이 너무 대단해 보여 이 사실을 동경의 프랑스 대사에게 알리지 않을 수 없었다고도 말하였다. 아카시 장군은 즉시 헌병대의 중위를 불러 즉석에서 다른 두 통로, 즉 양로원 길과 수녀원 정문 길을 열어 놓도록 그에게 명하였다. 장군은 나의 통고에 진심으로 감사해 하였다.
1월 13일 몹시 춥다. 영하 21도.
아침에 경찰관 오노(小野) 씨의 한 사무원이 내가 집에 있으면 아카시 장군이 방문 올 것임을 알리러 왔다.
경찰에서 두 직원이 조선 가톨릭의 교계 통계표를 구하러 왔다. 그들이 아직 떠나지 않고 있을 때 아카시 장군이 도착했다. 그는 자신의 이름과 총독 데라우치 장군의 이름으로 다시 감사하러 왔다고 하였다. 이야기 도중 그는 안 야고보가 현재 청계동에 있는 것을 이미 알고 있다고 말하였다.
1월 21일 아카시 장군은 안 야고보가 빌렘 신부에게 말했다고 하는 자백(Aveu)이 사실인지 여부를 빌렘 신부에게 물어 보아도 실례가 안되느냐고 편지로 물어 왔다. 빌렘 신부에게 그의 부탁을 전하였다.
《뮈텔 주교 일기 5》
즉 뮈텔의 일기엔 안명근의 고해성사를 빌렘 신부가 누설했다는 언급이 없다. 그렇다면 '고해성사 누설설'은 근거가 무엇인가? 고해성사 누설은 1995년 방영된 광복 50주년 기획 드라마 《김구》에 나온 창작 이야기이다. 당시 가톨릭 교회측에선 이 드라마의 누설설을 다음과 같이 항의하였었다:
이번 방영분과 관련, 뮈텔 주교 일기 1911년 1월 11일자 내용을 보면 (교회사연구소 교회 조와 역사 제243호 참조) 「빌렘 신부가 총독부에 대한 조선인들의 음모가 있었는데 거기에 안 야고보(안명근)가 적극적으로 관여했을 것이라는 사실을 편지로 알렸다. 빌렘 신부의 요청에 따라 나는 그 사실을 아카시 군에게 알리고자 눈이 아주 많이 내리는데도 그를 찾아갔다」고 기록돼 있다.
또 1월 21일자 기록을 보면「아카시 장군은 안야고보가 빌렘 신부에게 말했다고 하는 자백(Aveu)이 사실인지 여부를 빌렘 신부에게 물어보아도 실례가 안 되느냐고 편지로 물어왔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이 내용에 대해 한국교회사 연구소장 최석우 신부는 「빌렘 신부의 고해성사 누설과 뮈텔 주교의 고해성사 내용 발설은 성직자로서 있을 수 없는 일이며 추정할 수도 없는 일이다」고 강조하고「뮈텔 주교가 일기에 기록한 자백과 고해(Confession)와는 그 어원부터가 엄연히 구분되는 말로 뮈텔 주교가 고해성사를 누설하는 방송장면은 완전한 허구」라고 반박했다.
(중략)
한편 방송대본을 집필한 작가 정경아씨는「방송내용은 한성대 사학과 윤경노 교수로부터 자문을 받고 윤교수의 학위 논문 「105인 사건을 통해 본 신민회 연구」와 호남 교회사연구소 김진소 신부가 쓴「개화기 일제치하의 한국천주교회와 역사인식」을 근거자료로 구성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두 편의 논문내용에는 안명근이 빌렘 신부에게 고해성사를 받고 빌렘 신부가 뮈텔 주교에게 고해성사 내용을 전했다는 부분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1995-09-03 가톨릭신문 기사
즉 드라마에서 말하는 '고해성사 누설'은 뮈텔의 일기에서도 논문에서도 확인이 안되며, 이 낭설의 출처로는 '고해(Confession)와 자백(Aveu)의 혼동'이 의심된다는 것이다.[11] 물론 이는 '고해성사 누설'이라는 교리적 문제에 관한 것이지, '자신을 신뢰한 사람의 비밀을 누설했다'는 세속윤리적 문제에 관한 것은 아니다. 인간 대 인간으로서, 빌렘이 안명근의 비밀을 누설한 것은 논란의 대상이 될 것이다. 그러나 '고해성사 누설'이라는 교리적 논란은 그 근거가 TV드라마의 고증 오류에 있는 것으로서, 매우 잘못된 지적이다.[12]또 1월 21일자 기록을 보면「아카시 장군은 안야고보가 빌렘 신부에게 말했다고 하는 자백(Aveu)이 사실인지 여부를 빌렘 신부에게 물어보아도 실례가 안 되느냐고 편지로 물어왔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이 내용에 대해 한국교회사 연구소장 최석우 신부는 「빌렘 신부의 고해성사 누설과 뮈텔 주교의 고해성사 내용 발설은 성직자로서 있을 수 없는 일이며 추정할 수도 없는 일이다」고 강조하고「뮈텔 주교가 일기에 기록한 자백과 고해(Confession)와는 그 어원부터가 엄연히 구분되는 말로 뮈텔 주교가 고해성사를 누설하는 방송장면은 완전한 허구」라고 반박했다.
(중략)
한편 방송대본을 집필한 작가 정경아씨는「방송내용은 한성대 사학과 윤경노 교수로부터 자문을 받고 윤교수의 학위 논문 「105인 사건을 통해 본 신민회 연구」와 호남 교회사연구소 김진소 신부가 쓴「개화기 일제치하의 한국천주교회와 역사인식」을 근거자료로 구성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두 편의 논문내용에는 안명근이 빌렘 신부에게 고해성사를 받고 빌렘 신부가 뮈텔 주교에게 고해성사 내용을 전했다는 부분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1995-09-03 가톨릭신문 기사
4. 대중매체에서
- 1959년작 영화 <고종황제와 의사 안중근>에선 배우 김영식이 연기했다.
- 1979년작 KBS-TV 8.15 특집극 <대한국인>에선 배우 이일웅이 연기했다.
- 1996년작 SBS 3.1절 특집드라마 <안중근>에선 독일계 한국인 방송인 이참이 연기했다.
- 1998년작 연극 <대한국인 안중근>에선 프랑스인 마르셀 펠리스(배세영) 신부[13]가 연기했는데, 원래 이 배역은 배우 이낙훈이 맡을 뻔했으나 초연을 앞두고 사망하면서 바뀐 것이다.
- 2004년작 영화 도마 안중근에선 외국인 단역배우 '알렉스'가 연기했다.
[1] 때문에 그의 성씨는 독일어식지만 이름은 프랑스어식이다.[2] 現 천주교 인천교구 주교좌 답동성당.[3] 두산백과의 설명에 따르면 알자스-로렌 병합 당시 프랑스 국적 유지를 위한 절차를 밟지 않아 그때까지 독일 국적을 갖고 있어서, 이를 정정하기 위해 귀국한 것으로 보인다.[4] 現 천주교 수원교구 왕림성당. 한강 이남 최초의 본당이다. 수원가톨릭대학교(신학대학)와 이웃해 있다. '갓등'이라는 이름은 지금도 남아 있는데, 수원가톨릭대학교 음악(생활성가) 동아리의 이름이 '갓등중창단'이다.[5] 천주교 서울대교구 제8대 교구장.[출처] 안중근 평전, 김삼웅 공저[7] 미사와 성사를 집전하는 자격을 정지시킨 것.[8] 발췌자 주석: 대구대목구(현 대구대교구)[9] 발췌자 주석: 안명근[10] 발췌자 주석: 당시 일본인의 성당 부지 침범에 관한 법정 소송을 말함.[11] 프랑스어 Confession과 Aveu는 모두 한국어 '고백'으로 번역이 되지만, 성사로서의 고백(즉 고해성사)는 Aveu가 아니라 Confession이다.[12] 위의 기사에서 드라마의 오류를 비판한 '최석우 신부'(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는 한국 가톨릭 입장에서 불편한 사실이 많이 적힌 《뮈텔 주교 일기》(번역: 한국교회사연구소)의 사료적 가치를 주목하여 번역을 추진한 인물이다. 번역에 참가한 학자로써 그 사료에 실제로 기록되지도 않은 이야기가 세간에 떠도는 것을 묵과할 수 없었던 것이다.[13] 니콜라 빌렘 신부와 마찬가지로 파리외방전교회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