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4 19:35:50

꼰선(태풍)

1. 개요2. 2004년 제4호 태풍3. 2010년 제2호 태풍
3.1. 2010년 제2호 태풍 꼰선 진로 경과
4. 2016년 제6호 태풍5. 2021년 제13호 태풍
5.1. 발생 이전
5.1.1. 95W 열대요란 → 18W TD
5.2. 발생 이후
5.2.1. 9월 6일5.2.2. 9월 7일5.2.3. 9월 8일5.2.4. 9월 9일5.2.5. 9월 10일5.2.6. 9월 11일5.2.7. 9월 12일5.2.8. 9월 13일
5.3. 제명
6. 여담

1. 개요

Conson
'꼰선'은 베트남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성채를 뜻한다. 2004년까지는 '콘손'으로 쓰였으나, 국립국어원에 의해 2010년부터는 '꼰선'으로 정정되었다.

2023년 3월, 뒤늦게 제명이 이루어졌고 이후 태풍 이름은 룩빈으로 대체되었다.
역대 "꼰선" 태풍들의 최전성기 세력
연도/번호 중심기압(hPa) 1분풍속(㎧) 10분풍속(㎧) 최대직경(㎞)
2004년 제4호 960 51 41 420
2010년 제2호 970 41 36 610
2016년 제6호 985 28 23 950
2021년 제13호 992 33 26 560

2. 2004년 제4호 태풍

2004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수달 니다 콘손 찬투
디앤무* 민들레* 팅팅 곤파스
말로우 머란티 라나님 메기*
차바* 에어리 송다* 사리카 하이마
메아리* 망온 도카게 녹텐 무이파
므르복 난마돌 탈라스 노루
← 2003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05년 태풍 →}}}}}}}}}
2004년 태풍
제3호 오마이스제4호 콘손 → 제5호 찬투
2004년 제4호 태풍 콘손
위성사진 파일:Conson_2004-06-09.jpg
진로도 파일:Conson_2004_track.png
활동 기간 2004년 6월 7일 3시 ~ 2004년 6월 11일 18시
영향 지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필리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필리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루손섬, 바타네스 제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전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난세이 제도, 본토[1]
태풍 등급 3등급[JTWC]
10분 등급 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 소형(직경 420㎞)
최저 기압 96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51㎧
10분 평균 41㎧
피해 사망자 2명
피해총액 1,490만 달러[4]

3. 2010년 제2호 태풍

2010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꼰선 찬투 뎬무* 민들레
곤파스* 남테운 말로* 므란티*
파나피 메기 차바
← 2009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11년 태풍 →
}}}}}}}}} ||
2010년 태풍
제1호 오마이스제2호 꼰선 → 제3호 찬투
2010년 제2호 태풍 꼰선
위성사진 파일:Conson_(07-13-2010).jpg
진로도 파일:Conson_2010_track.png
활동 기간 2010년 7월 12일 9시 ~ 2010년 7월 18일 9시
영향 지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필리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필리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비사야 제도, 루손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하이난성, 광시 좡족 자치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베트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베트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북부 지역[5]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라오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라오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북동부
태풍 등급 1등급[JTWC]
10분 등급 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 중형(직경 610㎞)
최저 기압 97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41㎧
10분 평균 36㎧
피해 사망자 106명
실종자 73명
피해총액 8,200만 달러[8]

3.1. 2010년 제2호 태풍 꼰선 진로 경과

발표 시각 1분풍속 10분풍속 SSHS 등급 JMA 등급
7월 12일 15시 60kn 40kn 열대폭풍
7월 12일 21시 60kn 55kn
7월 13일 3시 65kn 60kn 1등급
7월 13일 9시 70kn 60kn
7월 13일 15시 65kn 60kn
7월 13일 21시 60kn 55kn 열대폭풍
7월 14일 3시 50kn 50kn
7월 14일 9시 55kn 50kn
7월 14일 15시 50kn 45kn
7월 14일 21시 50kn 45kn
7월 15일 3시 50kn 45kn
7월 15일 9시 50kn 50kn
7월 15일 15시 50kn 55kn
7월 15일 21시 60kn 60kn
7월 16일 3시 70kn 60kn 1등급
7월 16일 9시 75kn 60kn
7월 16일 15시 75kn 65kn
7월 16일 21시 70kn 70kn
7월 17일 3시 60kn 70kn 열대폭풍
7월 17일 9시 55kn 60kn
7월 17일 15시 50kn 50kn
7월 17일 21시 45kn 45kn
7월 18일 3시 30kn 40kn 열대저기압
7월 18일 9시 소멸 및 감시 종료

4. 2016년 제6호 태풍

2016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네파탁 루핏 미리내 니다
꼰선 찬투 뎬무 민들레
곤파스 남테운* 말로 므란티* 라이
메기 차바* 에어리 송다
사리카 하이마 메아리 망온 도카게
녹텐
← 2015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17년 태풍 →
}}}}}}}}} ||
2016년 태풍
제5호 오마이스제6호 꼰선 → 제7호 찬투
2016년 제6호 태풍 꼰선
위성사진 파일:Conson_2016-08-14.jpg
진로도 파일:Conson_2016_track.png
활동 기간 2016년 8월 9일 9시 ~ 2016년 8월 15일 9시
영향 지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홋카이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극동 연방관구[9]
태풍 등급 열대폭풍[JTWC]
10분 등급 열대폭풍[JMA]
태풍 크기 중형(직경 950㎞)
최저 기압 98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28㎧
10분 평균 23㎧

5. 2021년 제13호 태풍

제명된 태풍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7
파카H
2001
와메이U
2002
차타안
2002
루사K
2002
봉선화N
2003
야냔U
2003
임부도
2003
매미KN
2004
수달S
2004
팅팅U
2004
라나님
2005
맛사K
2005
나비KSU
2005
룽왕
2006
짠쯔K
2006
빌리스
'''2006
[[사오마이#s-3|{{{#!wiki style="letter-spacing: -1px"]]'''
2006
이오케H
2006
상산
2006
두리안
2009
모라꼿K
2009
켓사나
2009
파마
2010
파나피
2011
와시
2012
비센티U
2012
보파
'''2013
[[소나무(태풍)|{{{#!wiki style="letter-spacing: -1px"]]'''
2013
우토르
2013
피토
2013
하이옌
2014
람마순
'''2015
[[사우델로르#s-4|{{{#!wiki style="letter-spacing: -1px"]]'''
2015
무지개N
2015
곳푸
2015
멜로르
2016
므란티K
2016
사리카
2016
하이마
2016
녹텐
2017
하토
2017
카이탁
2017
덴빈
2018
룸비아K
2018
망쿳
2018
위투
2019
레끼마K
2019
파사이
'''2019
[[하기비스(2019년 태풍)|{{{#!wiki style="letter-spacing: -1px"]]'''
2019
간무리
2019
판폰
2020
봉퐁
2020
린파
2020
몰라베
2020
고니S
2020
밤꼬
2021
꼰선
2021
곤파스
2021
라이
'''2022
[[말라카스(태풍)|{{{#!wiki style="letter-spacing: -1px"]]'''
2022
메기S
2022
망온
2022
힌남노K
2022
노루S
2022
날개N
2023
독수리S
2023
도라H
2023
사올라
'''2023
[[하이쿠이#s-4|{{{#!wiki style="letter-spacing: -1px"]]'''
'''2024
[[에위니아#s-6|{{{#!wiki style="letter-spacing: -1px"]]'''
2024
야기
2024
제비SU
2024
끄라톤
2024
짜미
2024
콩레이K
2024
도라지N
2024
마니
2024
우사기
K: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
H: 허리케인이 날짜변경선을 넘어오면서 태풍으로 편입된 것으로 허리케인 때의 이름이 붙어 있으나 제명이 된 태풍
S: 대한민국에서 제출한 이름
N: 북한에서 제출한 이름
U: 피해가 아닌 다른 이유로 제명된 태풍
}}}}}}}}}
태풍 명칭

2021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두쥐안 수리개 초이완 고구마 참피
인파* 츰파카 네파탁 루핏* 미리내
니다 꼰선 찬투* 뎬무
민들레 곤파스 남테운 말로
냐토 라이
← 2020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22년 태풍 →
}}}}}}}}} ||
2021년 태풍
제12호 오마이스제13호 꼰선 → 제14호 찬투
2021년 제13호 태풍 꼰선
위성사진 파일:Conson20210906.jpg
진로도 파일:Conson_2021_track.png
활동 기간 2021년 9월 6일 15시 ~ 2021년 9월 12일 3시
영향 지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필리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필리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민다나오섬, 비사야 제도, 루손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하이난성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베트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베트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중부 지역[12]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라오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라오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남부
태풍 등급 1등급[JTWC]
10분 등급 강한 열대폭풍[JMA]
태풍 크기 소형(직경 560㎞)
최저 기압 992hPa[KMA]
최대 풍속 1분 평균 33㎧
10분 평균 26㎧
피해 사망자 26명
실종자 25명
피해총액 1억 700만 달러[16]

5.1. 발생 이전

====# 93W 열대요란 → 17W TD #====
9월 1일 9시, 북위 24.6도, 동경 164.1도에서 93W 열대요란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는 93W 열대요란이 중심기압 1012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되었다. 한편, 한국 기상청 태풍영역 일기도에서는 중심기압 1010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되고 있다.

9월 1일 15시, JTWC에서 웨이크섬 북북서쪽 해상에 있는 93W 아열대성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MEDIUM으로 격상하며 JTWC에서 감시를 시작하였다. 그리고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는 93W 열대요란이 중심기압 1010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되었다.

9월 1일 21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 93W 열대요란이 웨이크섬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10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발달했다고 표시되었다.

9월 2일 3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 93W 열대요란이 웨이크섬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8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발달했다고 표시되었다.

9월 2일 5시 30분, JTWC에서 웨이크섬 북서쪽 해상에 있는 93W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HIGH로 격상하였다.

9월 2일 9시, JTWC에서 93W 열대요란을 17W 열대저압부로 지정하였다. 한편, 한국 기상청에서 93W 열대요란의 중심기압을 1006hPa의 열대저압부로 중심기압이 조금 낮아졌다고 발표했다.

9월 3일 9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 17W 열대저압부미나미토리시마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10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중심기압이 조금 상승하면서 약화되었다고 표시되었다.

9월 3일 21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 17W 열대저압부일본 동쪽 해상에서 중심기압 1012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중심기압이 더 상승하면서 약화되었다고 표시되었다.

9월 4일 3시, JTWC에서 17W 열대저압부의 마지막 정보를 발표하였다.

9월 4일 21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 17W 열대저압부가 사라졌다.

====# 94W 열대요란 → 19W TD #====
9월 3일 9시, 남쪽 해상에서 발생한 94W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LOW로 예측하며 JTWC에서 감시를 시작하였다.

9월 6일 3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 94W 열대요란이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되었다.

9월 6일 9시, JTWC에서 서쪽 해상에 있는 94W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HIGH로 격상하였다.

9월 6일 15시를 기해 18W TD가 제13호 태풍 꼰선으로 발달하면서 19W TD는 자동으로 제14호 태풍 찬투의 유력 후보로 넘어가게 되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찬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찬투#s-5|5]]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찬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1. 95W 열대요란 → 18W TD

9월 5일 15시, 필리핀 동남동쪽 해상에서 발생한 95W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LOW로 예측하며 JTWC에서 감시를 시작하였다.

9월 5일 21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는 95W 열대요란이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되었다.

9월 6일 3시 일본 기상청 일기도에서는 95W 열대요란이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되었다.

9월 6일 8시, JTWC에서 필리핀 남동쪽 해상에 있는 95W 열대요란의 열대폭풍 발달 가능성을 HIGH로 격상하였다.

9월 6일 9시, JTWC에서 필리핀 남동쪽 해상에 있는 95W 열대요란을 18W TD로 격상시켰다.

5.2. 발생 이후

5.2.1. 9월 6일

9월 6일 15시를 기해 18W TD가 중심기압 1000hPa, 10분 평균 풍속 35kn(18m/s), 10분 순간풍속 50kn(26m/s), 1분 평균 풍속 50kn(26m/s)[17], 강풍 직경 330km의 세력으로 발달하면서 '''2021년 제13호 태풍 '꼰선'(Conson)"'이라는 이름을 부여받았다. 9월 6일 15시 기준 꼰선의 예상 최전성기 세력은 중심기압 994hPa, 10분 평균 풍속 45kn(23m/s), 1분 평균 풍속 70kn(36m/s)이다.

동일 21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4hPa, 10분 평균 풍속 45kn(23m/s), 10분 순간풍속 65kn(33m/s)로 15시 대비 급격히 발달하였으며, 이로 인해 꼰선의 예상 최전성기 세력이 중심기압 985hPa, 10분 평균 풍속 55kn(28m/s)로 조정되었다.

5.2.2. 9월 7일

9월 7일 0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2hPa, 10분 평균 풍속 50kn(26m/s), 10분 순간풍속 70kn(36m/s)로 발달하였다.

동일 3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6hPa, 10분 평균 풍속 50kn(26m/s), 10분 순간풍속 70kn(36m/s)로 중심기압이 조금 상승했다.

동일 9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8hPa, 10분 평균 풍속 45kn(23m/s), 10분 순간풍속 65kn(33m/s)로 약화되었다. 약화의 주요 원인은 필리핀 열도로 인한 육상 마찰이다.

동일 21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1000hPa, 10분 평균 풍속 40kn(21m/s), 10분 순간풍속 60kn(31m/s)로 약화가 진행 중이나 태풍의 이동 속도가 느려져(고작 15km/h) 대략 36시간 후에나 필리핀에서 빠져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5.2.3. 9월 8일

9월 8일 3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8hPa, 10분 평균 풍속 45kn(23m/s), 10분 순간풍속 65kn(33m/s)로 재발달하였다.

5.2.4. 9월 9일

9월 9일 9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4hPa, 10분 평균 풍속 45kn(23m/s), 10분 순간풍속 65kn(33m/s)로 중심기압이 조금 내려갔다.

동일 21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0hPa, 10분 평균 풍속 50kn(26m/s), 10분 순간풍속 70kn(36m/s)로 발달하였다.

5.2.5. 9월 10일

9월 10일 12시에 강풍 직경이 330km에서 445km로 커졌다.

동일 15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85hPa, 10분 평균 풍속 55kn(28m/s), 10분 순간풍속 80kn(41m/s)로 발달하였다.

동일 18시에 강풍 직경이 445km에서 560km로 커졌다.

5.2.6. 9월 11일

9월 11일 12시에 강풍 직경이 560km에서 440km로 다시 작아졌다.

동일 15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0hPa, 10분 평균 풍속 50kn(26m/s), 10분 순간풍속 70kn(36m/s)로 약화되었고, 강풍 직경이 440km에서 330km로 더 작아졌다.

동일 18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2hPa, 10분 평균 풍속 45kn(23m/s), 10분 순간풍속 65kn(33m/s)로 약화되었고, 강풍 직경이 330km에서 300km로 더 작아졌다.

동일 21시, 태풍 꼰선의 세력이 중심기압 994hPa, 10분 평균 풍속 40kn(21m/s), 10분 순간풍속 60kn(31m/s)로 약화되었고, 강풍 직경이 330km에서 260km로 더 작아졌다.

5.2.7. 9월 12일

9월 12일 3시에 일본 기상청과 한국 기상청에서 태풍 꼰선이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면서 공식 예보를 종료하였다.

5.2.8. 9월 13일

9월 13일 3시에 JTWC에서 태풍 꼰선의 마지막 정보를 발표하면서 한미일 기상청 모두가 태풍 꼰선의 예보를 종료하였다.

5.3. 제명

2023년 3월 8일 11시 45분부터 15분 동안 최종 논의되어 2022년에 이루어지지 못한 곤파스, 라이의 제명 및 말라카스, 메기, 망온, 힌남노, 노루, 날개와 함께 제명되었다. 이번 제55차 태풍위원회 회의에서 총 9개의 태풍 이름을 제명함으로서 기존 기록인 6개의 태풍 이름을 제명한 것을 훨씬 뛰어넘게 되었다.

필리핀 제명 신청 기준 재산피해가 10억 페소(미화 약 1,700만 달러)를 초과하여 제명되었다. 꼰선에 의한 필리핀의 피해는 사망자 23명, 미화 약 8,830만 달러로 집계되었다.

'곤파스'와 함께 사망자가 50명 아래이기 때문에 제명 신청이 약간 무리수이기도 하다.[18]

2024년 2월 27일 ~ 3월 1일에 진행된 제56차 태풍위원회 회의에서 꼰선의 이름을 대체할 태풍 이름 후보로 호아심(Hoa-sim), 룩빈(Luc-binh), 포랑(Po-lang)이 제출되었다.

이후 2024년 3월 22일, 꼰선이 최종 룩빈으로 대체될 것임이 확정되었다.

6. 여담

2021년 제13호 태풍 꼰선은 일본 기상청의 태풍발생예보 없이 급발생한 태풍이다.

일본 기상청,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 한국 기상청에서는 태풍 발생 예보가 아예 없었으나 오직 JTWC만이 8월 말부터 태풍 발생 예보를 이미 진행하고 있었다.

그리고 2개의 열대저압부가 있었는데 그 중에 19W TD가 먼저 태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예상을 뒤집고 필리핀 동쪽 앞바다에서 활동 중이던 18W TD가 태풍으로 급발달했다. 그리고 19W TD는 제14호 태풍 찬투(CHANTHU)라는 이름을 부여받았다.

오히려 태풍 발생 이전에는 꼰선이 한반도 북상 가능성이 있는 태풍이라고 언급되었으나 이 태풍의 급발달로 다음 태풍에게로 넘어갔다.


[1] 규슈, 시코쿠, 주코쿠, 간사이, 주부(온대), 간토(온대), 도호쿠(온대)[JTWC] [JMA] [4] 2004 USD[5] 북중부, 홍강삼각주, 동북부, 서북부[JTWC] [JMA] [8] 2010 USD[9] 쿠릴 열도, 사할린섬(온대), 하바롭스크(온대)[JTWC] [JMA] [12] 남중부, 서부고원, 북중부[JTWC] [JMA] [KMA] 중심기압 980hPa, 10분 최대 풍속 29㎧[16] 2021 USD[17] JTWC에서 9월 6일 15시 풍속을 수정해서 재차 발표하였다. 수정 전 세력은 1분 평균 풍속 40kn(21m/s)였다.[18] 2021년 태풍은 '라이'를 제외하면 피해가 매우 심한 편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