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8-10 18:24:36

메기(2004년 태풍)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메기(태풍)
,
,
,
,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2. 피해
2.1. 인명 피해
3. 기록

1. 개요

2004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수달 니다 오마이스 콘손 찬투
디앤무* 민들레* 팅팅 곤파스 남테우른*
말로우 머란티 라나님 말라카스 메기*
차바* 에어리 송다* 사리카 하이마
메아리* 망온 도카게 녹텐 무이파
므르복 난마돌 탈라스 노루
← 2003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05년 태풍 →}}}}}}}}}
2004년 태풍
제14호 말라카스제15호 메기 → 제16호 차바
2004년 제15호 태풍 메기
위성사진 파일:0415.jpg
진로도 파일:0415track.png
활동 기간 2004년 8월 16일 15시 ~ 2004년 8월 20일 18시
영향 지역 , 일본, 중국 저장 성, 대한민국
태풍 등급 1등급[JTWC]
10분 등급 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 중형(직경 950 km)
최저 기압 970 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33 m/s
10분 평균 33 m/s

2004년 8월 16일 오후에 발생하여 8월 19일 부산 일대에 상륙하여 울산 근처로 진출하며 한반도에 내습한 태풍으로, 2508억원의 피해액을 내었다. 전형적인 비태풍으로 특히 전남 지방에 400mm에 달하는 폭우를 내렸으며 전남의 기상관측소는 연간 강우량을 경신하는 위업을 이루었다. 엄청난 비로 광주와 전남은 물바다가 되어서 쑥대밭이 되었다. 영산강이 침범하고 총 7명의 인명피해가 났으며 태풍에 대한 대비를 하지 못해 전남 지역의 인적, 물적 피해가 매우 막심했다. 당시 광주광역시의 강수량은 322.5mm라는 비가 내렸으며, 전남 각 지역에도 200mm~400mm가 되는 비가 집중적으로 쏟아졌다. 이 때문에 홍수피해를 입었다는 것은 당시 뿌린 비의 양이 얼마나 많았는지 보여주는 것이다.

이례적으로 대한민국 부근까지 북상하면서 세력이 약화되지 않고 커져 대형급까지 발달했었고, 그리고 이 태풍으로 인해 폭염이 완전히 끝나게 되었다. 300mm넘는 비가 잔뜩 내려서 물에 휩쓸리게 된 광주광역시의 경우에는 비가 단시간에 워낙 많이 오다보니 일반적으론 생각할 수 없는 피해도 많았는데 건물이나 다리는 물론이고 도로의 아스팔트가 벗겨져 쓸려가기도 했다. 그리고 이때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입은 전남 지역은 태풍으로 인한 농작물 흉작까지 겹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농산물 가격도 같이 올라가게 되었다. 다만 2005년에 온 태풍 나비와 함께 존재감이 약한데 전전년의 루사와 전년의 매미가 압도적으로 너무 강한데다가[3]피해도 훨씬 더 많고 대한민국을 직접 관통해서 그런 것이지 메기와 나비도 약한 태풍은 절대 아니었다.

2. 피해

전국에서 주택 102채가 파손되고 1464세대가 물에 잠겼으며, 6840㎗의 농경지가 침수됐다. 이에 따라 1264세대 2674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또한 320억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

2.1. 인명 피해

7명이 사망하고 4명이 실종되었다.
  • 임실군 강진면 문방리 이희수(70)씨가 18일 오전 집을 나간 뒤 연락이 끊겼다가 다음날 사망한 채 발견되었다.
  • 오후 3시 30분께에는 전남 화순군 한천면에서는 석산개발 근로자 정차일씨(41)가 급류에 휩쓸려 실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 오후 4시께 화순군 화순읍 화순천에서 귀가중이던 임옥택(47)씨가 급류에 휩 쓸려 실종된 뒤 19일 오전 6시께 사고현장에서 300여m 떨어진 하천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 오후 6시 30분께 전남 나주시 영산강변 논에서 양수호스를 철거중이던 임채오씨(74)가 불어난 강물에 휩 쓸려 실종됐다.
  • 오후 10시 쯤 경남 거창군 한 사찰 내에서 산사태가 발생해 이모(여.70)씨가 크게 다쳤다. #
  • 19일 새벽 1시 20분께 남원시 산내면 부은리 지리산 뱀사골계곡에서 박모씨(38)가 물에 빠져 실종됐다.
  • 1시 30분, 전남 장흥군 부안면 내안리 내동마을 김모(76)씨도 실종돼 경찰이 수색작업을 펴고 있다.
  • 오전 7시께 순창군 구림면 금창리 과천마을의 이순례씨(65.여)가 마을 앞 하천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 오전 8시 30분쯤에는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산성우리 인근 우리농장 입구 도로에서 현대 쏘나타를 몰고 가던 송모(55)씨가 정동천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다. #
  • 오전 8시 40분쯤 전북 진안군 부귀면 신정리 가정마을 앞 전주∼진안 도로에서 이모(29)씨의 현대 아반떼 승용차가 진안 방향으로 가다 빗길에 미끄러지면서 가드레일을 들이받아 그 자리에서 숨졌다.
  • 오전 9시께 경북 포항시 북구 신광면 죽성천에서 교량에 걸려 물흐름을 방해하는 나무 뭉치를 꺼내려던 동네 주민 강모(65)씨가 급류에 휩쓸려 숨졌다. #1

3. 기록

공식 순간최대풍속(m/s)
제주 고산 28.8
경상 울릉도 46.1 울진 33.8 울산 29.1 창원 25.5 부산 23.0 영주 18.0 문경 16.7
전라 여수 29.5
충청 충주 18.6
강원 동해 26.2
비공식 순간풍속 기록(AWS)
경상 부산 46.1 독도 45.4 가덕도 42.1 간절곶 39.0 죽변 37.9

[JTWC] [JMA] [3] 지금까지도 매미보다 강한 태풍은 오지 않았으며 태풍 피해도 루사 때 가장 컸고 이 기록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