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b5e2 22px, transparent 22px), linear-gradient(315deg, #fff 68.5px, transparent 68.5px); color: #fff; min-height: calc(1.5em + 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5px -1px -11px;" | <colcolor=#e61e2b,#e61e2b> 최고의결기관 · 수임기구 (전당대회 · 전국위원회) | |||
전국위원회 의장 | <colbgcolor=#fff,#1c1d1f> 이헌승 | <colcolor=#e61e2b,#e61e2b> 전국위원회 부의장 | <colbgcolor=#fff,#1c1d1f> 박형수 | |
당무심의 · 의결기구 (최고위원회) | ||||
당대표 | 장동혁 | |||
비상대책위원장 | 공석 | |||
원내대표 | 송언석 | 정책위원회 의장 | 김도읍 | |
최고위원 | 신동욱 (수석) · 김민수 · 양향자 · 김재원 · 우재준 (청년) | |||
당무집행기구 (중앙사무처 · 당대표 자문보좌기관) | ||||
사무총장 | 정희용 | |||
전략기획부총장 | 서천호 | 조직부총장 | 강명구 | |
홍보본부장 | 이상휘 | 당대표 비서실장 | 박준태 | |
대변인 | 박성훈 (수석) · 최보윤 (수석) · 김효은 · 손범규 · 이충형 · 조용술 | |||
미디어대변인 | 김기흥 · 박민영 · 손수조 · 이재능 · 이준우 | |||
독립기구 | ||||
중앙윤리위원장 | 여상원 | 당무감사위원장 | 이호선 | |
중앙연수원장 | 이달희 | 여의도연구원장 | ||
상설위원회 | ||||
국책자문위원장 | 이주영 | 중앙위원회 의장 | 박덕흠 | |
국가안보위원장 | 한기호 | 인권위원장 | 이수정 | |
북한인권 및 탈·납북자위원장 | 최기식 | 재정위원장 | 우신구 | |
법률자문위원장 | 곽규택 | 인재영입위원장 | 윤한홍 | |
실버세대위원장 | 이춘식 | 중앙여성위원장 | 서명옥 | |
중앙청년위원장 | 우재준 | 중앙대학생위원장 | 김채수 | |
디지털정당위원장 | 이재영 | 중앙장애인위원장 | 최보윤 | |
홍보위원장 | 이상휘 | 지방자치위원장 | 서승우 | |
대외협력위원장 | 재외동포위원장 | 김석기 | ||
국제위원장 | 김건 | 노동위원장 | 김위상 | |
통일위원장 | 김기웅 | 재해대책위원장 | 임종득 | |
중소기업위원장 | 소상공인위원장 | 김형식 | ||
중산층·서민경제위원장 | 국회보좌진위원장 | 황규환 | ||
국민통합위원장 | 김화진 | 약자동행위원장 | ||
특별기구 (특별위원회) | ||||
외교안보특위 | 한기호 | 격차해소특위 | 조경태 | |
저출생대책특위 | 미래산업일자리특위 | 조명희 | ||
연금개혁특위 | 박수영 | 디지털자산특위 | ||
정국안정화TF | 이양수 | 미디어특위 | 이상휘 | |
호남동행특위 | 조배숙 | 수도권비전특위 | 오신환 | |
<rowcolor=#fff> | ||||
원내대표 | 송언석 | |||
원내운영수석부대표 | 유상범 | 원내정책수석부대표 | 김은혜 | |
원내부대표 | 강선영 · 박상웅 · 박충권 · 서명옥 · 조승환 · 조지연 | |||
원내대표 비서실장 | 박수민 | 원내수석대변인 | 곽규택 · 최수진 · 최은석 | |
정책위원회 의장 | 김도읍 |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 | 박수영 | |
제1정조위원장 (정무·기재·예결) | 박수영 | 제2정조위원장 (농해수·산중·국토) | 권영진 | |
제3정조위원장 (운영·법사·행안) | 유상범 | 제4정조위원장 (외통·국방·법사) | 강대식 | |
제5정조위원장 (복지·환노·여가) | 김미애 | 제6정조위원장 (교육·과방·문체) | 최형두 | |
역대 당대표 · 역대 사무총장 · 시도당위원장 · 상임고문 | }}}}}}}}} |
<colbgcolor=#e61e2b><colcolor=#fff> 국민의힘 대변인 김효은 金孝恩 | Kim Hyo Eun | |
| |
출생 | 1983년 9월 16일 ([age(1983-09-16)]세) |
경상북도 영천시 | |
가족 | 배우자, 딸(2020년생) |
예명 | 레이나 (Reina)[1] |
현직 | 국민의힘 대변인 |
학력 | 영남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 /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영어교육 / 석사과정 수료) |
소속 정당 | |
약력 | 컬럼비아 대학교 TESOL과정 수료 대성학원 외국어영역 강사 EBSi 강사 대성마이맥 강사 KBS 2FM 굿모닝팝스 DJ 국민의힘 오산시 당협위원장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정책보좌관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 국민의힘 혁신위원 국민의힘 대변인 |
링크 |
1. 개요
대한민국의 강사 출신 정치인, 前 정부 공무원.2. 생애
2.1. 강사 시절
EBSi 영어 영역 강사 |
|
레이나 (Reina) |
EBSi에서 영어 영역 강사로 활동했다. 아주 간혹 경상도 사투리가 조금 묻어나올 때가 있다.
독해나 문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인기 파트인 듣기 수업을 담당함[2]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몰리는 편. 주의해야 할 영어단어 발음과 연음, 강세, 억양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유형별로 실전적인 풀이 전략을 알려줬다.
강남대성학원에서 밀어준다는 카더라가 있을 정도로 언론에서 부각이 되었다. EBS에서 인기를 끈다는 것만으로 수많은 잡 인터넷 언론사들이 뉴스를 쏟아내 네이버와 다음에서 화제가 되었다. 거기에다가 스타킹, 위대한 탄생에도 나왔다.
2016년부터 수능완성 강의를 시작했고, 2018년부터 수능 영어듣기 해설 강의를, 이후 2019년부터는 수능특강과 전국영어듣기능력평가 해설 강의, 고3 모의고사 영어 듣기 해설 강의를 진행했으며 2020학년에도 수능개념 강의를 진행했다.
여담으로 강남대성학원의 강사인 이명학이 증언하길 강의 찍기 전에 메이크업에 신경을 많이 쓴다고 한다.[3] 대성마이맥에서도 인강을 찍었는데, 이명학 강사의 강의 중 리얼리스닝 with 레이나가 있으며 정확히는 연합촬영이라 할 수 있다.
2020년 1월 인스타그램을 통해 결혼 소식을 알렸고 7월에는 만삭 사진과 함께 딸을 출산했다는 게시물이 올라왔다. 2021학년도 고3 6월 모의평가 해설 강의 당시에는 만삭의 몸으로 강의를 촬영하기도 했다.
2.2. 정계 입문
2024년 2월 7일, 국민의힘에 인재영입으로 합류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 같은 날 열린 인재영입식에서 “경북 영천에서 사교육 없이 EBS로, KBS 라디오를 들으며 독학했고 덕분에 이 자리까지 왔기 때문에 국가에 받은 것을 고스란히 돌려드리고 헌신하고 싶다”는 소감을 밝혔다. # 이후 EBSi에서 강의하던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리스닝 101 영어 듣기 강의가 사라졌다. 그 외에 있던 EBSI의 모든 강좌와 EBS 중학사이트에 있는 강좌도 전부 사라졌으며 공지사항에 선거방송심의에 대한 규정 검토로 인해 강좌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는 게시가 올라왔다. # 기존 강의들은 선거 종료일인 4월 11일부터 재개되며, 2025년 수능특강 영어듣기 강의는 김용지로 대체되었다.2024년 2월 21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당의 험지인[4] 오산시 지역구에 전략공천되었다.
2024년 2월 29일, 현역 5선 안민석 의원이 컷오프되고 차지호 카이스트 대학원 교수가 전략공천되면서[5] 정치 신인들간의 맞대결이 성사되었다. 이로써 누가 당선되든 교육인 출신[6] 40대 초선 국회의원이 탄생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약 41%를 득표했지만 낙선했다.
낙선 이후에는 국민의힘 총선백서 TF팀에 소속이 되었다. 첫목회에도 가입하고 여러 종편 방송에 패널로 출연하는 등 정치권에 정착한 듯하다.
2024년 7월 22일,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정책보좌관(3급 상당 별정직 공무원)으로 발탁되었다.# 이후 이듬해 5월 22일경에 사임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복당하여 안철수 혁신위원회 혁신위원으로 선임되었지만, 위원회 자체가 하루도 못 가 사실상 종료되었다.
신임 장동혁 지도부 체제에서 공동대변인으로 임명되었다.
3. 논란 및 사건 사고
3.1. 총선 출마로 인한 EBS 강의 영상 중단 사태 자초 논란
국민의힘에 영입인재로 입당하여 총선 출마가 결정되며, EBSi에 올라와 있던 강의들이 '선거방송심의 규정 검토'를 이유로 내려갔다. 강좌를 듣던 수강생들의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다시 올라오는 시기는 총선 이후(2024년 4월 11일 목요일)인데, 이 때문에 수강생들의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미 교재를 구매한 수험생들은 교재비만 허비하고 다른 강의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 #[7]이에 2024년 2월 23일, 강좌 중단에 대해 사전에 이러한 규정을 파악하지 못하고 수강생들에게 피해를 끼쳤다며 사과문을 올리고, 이어 수강생들의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올해 자신이 입당하기 직전까지 촬영했던 수능 개념 강의는 2월 18일부터 유튜브에 업로드를 하면서, 복습 음원 파일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이후 EBS는 수능특강 강좌는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다른 강사가 대체해서 촬영했고, 현재 서비스 이용을 재개해서 정상적으로 수강할 수 있는 상태라고 밝혔다.#
4.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 2024 | 정계 입문 |
| 2024 - 2025 | 탈당[8] |
| 2025 - 현재 | 복당 |
5.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1e2b,#e61e2b><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rowcolor=#fff><rowbgcolor=#e61e2b,#e61e2b>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24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오산 | | 46,955 (40.98%) | 낙선 (2위) |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2대 총선 (경기 오산시) | }}}}}}}}} |
[1] EBSi 영어 강사로 활동했을 때 사용한 이름.[2] EBS에서 영어 듣기가 아닌 강의는 2016년 학평 변형문제 특강과 올림포스 영어독해의 기본 2권 해설 강의가 전부이다. 가장 최근인 2023년에는 2024 수능연계교재의 VOCA 라는 강의를 고연승과 함께 강의를 담당해 오랜만에 듣기가 아닌 강의를 맡게 되었다.[3] 레이나는 이명학과 함께 <Real Listening with 레이나> 강의를 촬영한 바 있다.[4] 선거구가 새로 생긴 17대 총선 이래 민주당 후보가 5전 전승을 거둔 곳으로, 사실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험지라는 표현도 쓰기 힘든 사지 중의 사지이다. 다만 최근에는 국민의힘이 제8회 지방선거에서 이권재 오산시장을 배출하는데 성공하는 등 아예 승산이 없는 지역구는 아니다.[5] 김은경 혁신위 혁신위원 출신[6] 김 후보는 EBSi 영어강사, 차 후보는 카이스트 대학원 교수 출신[7] 차라리 지난 수능이 끝나자마자 정계 입문 선언을 했다면, 예비 고3 내지 수강생들이 미리 다른 강사의 수업을 알아보며 플랜 B 준비라도 할 수 있었을텐데 기껏 2025 수능 커리큘럼에 합류해놓고 사전 통보도 없이 펑크를 내버린 격이 됐다. 누구보다 수능의 무게감을 잘 알고 수험생에게 첫 단추를 끼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걸 모를리가 없는 베테랑 전문 강사가 기본적인 것도 고려하지 않고 정치에 뛰어들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8] 공직 임명으로 인한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