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6 10:00:21

고흥군/교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흥군
고흥군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도로 고속도로 남해
국도 15번 국도, 27번 국도, 77번 국도
지방도 830번 지방도, 843번 지방도, 851번 지방도, 855번 지방도
버스 시내버스 고흥여객 대흥여객
버스 터미널 고흥공용정류장 과역버스터미널 녹동버스공용정류장 나로도공용터미널
도화공용터미널 }}}}}}}}}
전라남도의 교통


1. 철도 불모지2. 도로
2.1. 고속도로2.2. 국도2.3. 지방도
3. 버스
3.1. 농어촌버스3.2. 시외버스
4. 해상교통과 항구

1. 철도 불모지

철도없다. 고흥군에서 그나마 접근이 편한 철도역은 경전선 벌교역이나 조성역이 있지만 배차간격과 선형이 안 좋기로 악명이 높은 서부경전선이라... KTX를 이용하려면 순천역으로 가야한다.

2005년에 벌교~녹동 철도건설을 추진했던 적이 있었으나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진종근 고흥군수의 재선 연임 실패 이후 수면 아래로 가라앉아서 가능성은 극히 낮다. 여담으로 보성군벌교읍 주민들도 아예 관심을 갖거나 공론화 시도를 하지 않았다.

그러나 민선 8기 이후, 공영민 집행부가 들어서면서부터 KTX고흥역과 녹동역 건설의 타당성 조사를 위해 고흥군은 본예산에 4억 8천 만 원의 용역비 반영을 통해 벌교~고흥(도양) 간 철도 건설 시도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기에 다시 불씨를 피우기 시작했다.

2024년 1월, 고흥군에서는 우주발사체 산업클러스터와 국가산업단지가 성공적으로 조성차원에서 3월에 군민 토론회, 5월 여수에서 열리는 철도학회 학술대회에서 타당성과 논리를 공고히 한 다음, 올 상반기 안에 전남도를 거쳐 고흥우주선(가칭)이라는 명칭으로 국토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2. 도로

2.1. 고속도로

반도 지형이라서 그동안 줄곧 고속도로가 지나지 않는 도시에 이름을 올렸었고 그나마 남해고속도로(영암 - 순천)고흥군 땅을 살짝 지나가는 상태로 개통한 뒤에도 군내에 나들목(IC)이 없었으며, 고흥군에서 자기 지역을 지나간다는 이유로 도로공사고흥 나들목을 설치를 요구했으며, 결국 2013년 2월 고흥 나들목이 개통이 되었지만 부산, 순천 방면에서 밖에 진출입 할 수가 없고 광주, 목포 방면에서 고흥으로 접근하려면 벌교 나들목으로 진출 해야한다.[1]

2011년 3월 순천완주고속도로 서남원 나들목 - 동순천 나들목 구간의 개통으로 인해 고흥에서 수도권으로 향하는 교통편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녹동 - 고흥 - 서울 고속버스 노선도 소요시간이 6시간 30분에서 5시간으로 대폭 줄어들었다. 그 전까지는 고흥에서 수도권으로 가려면 보성군 벌교읍을 지나 구불구불한 산길인 15번 국도, 27번 국도를 타고 주암 나들목 통해서 호남고속도로를 이용했었다.[2]

남북축 방향으로는 한때 광주 - 고흥 고속도로 건설이 추진되었다가 27번 국도를 4차선 고속화도로로 개량하면서 사실상 물거품이 되었지만, 최근 민선7기에 들어서면서 광주~고흥 우주센터간 고속도로 사업을 재추진에 들어가기 시작하여 민선 8기 공영민 군정이 출범되어서야 본격적인 추진에 들어가고 있다.

2.2. 국도

15번 국도, 27번 국도, 77번 국도가 있고 무려 3중합체하는 구간도 있다.[3] 국도별 상황은 다음과 같다.
  • 15번 국도: 나로우주센터가 기점이다. 외나로도와 내나로도를 관통하여 고흥반도에 올라간 뒤 포두면, 고흥읍, 두원면, 점암면, 과역면, 남양면, 동강면을 거쳐 보성군 벌교읍으로 넘어간다. 외나로도 구간은 최근에 선형에 개량되었지만 아직 왕복 2차로이고, 고흥읍내에 들어서면서 왕복 4차로로 확장된다.
  • 27번 국도: 금산면 오천몽돌해수욕장이 기점이다. 금산면, 도양읍, 도덕면, 풍양면을 거쳐 고흥읍내에서 15번 국도와 중첩되어 북쪽으로 향한다. 거금도와 소록도를 잇는 거금대교, 소록도와 고흥반도를 잇는 소록대교를 통해 육지와 연결되어 있다. 도양읍내를 우회하여 북쪽을 향하면서 왕복 4차로로 넓어진다. 고흥군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도양읍 - 고흥읍 - 벌교 구간의 명칭은 우주항공로이다. 2021년에는 고흥-완도간 830번 지방도가 27번 국도로 승격되었다.
  • 77번 국도: 잘 알려진 해안도로이다. 팔영대교를 통해 여수 적금도에서 영남면으로 넘어오며, 이후 포두면, 도화면, 풍양면을 거쳐 도양읍내를 관통하여 27번 국도에 합류한다. 고흥읍내부터는 15번 국도도 중첩되어 3중첩구간이 지속되다가 탄포교차로에서 분기, 대서면을 거쳐 보성군 조성면으로 넘어간다.
    77번 국도의 고흥 - 여수 연륙교 구간이 2020년에 개통되어 고흥에서 여수시까지의 소요 시간이 대폭 단축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아직은 고속화된 15번 국도에 비해 왕복 2차로이고 선형이 훨씬 구불구불해서[4] 고흥, 녹동과 고흥군 북부(동강/대서/남양)에서 출발하면 기존처럼 벌교 - 순천 경로로 돌아가는 게 더 빠르다고 안내된다. 반면 점암면 동쪽 지역이나 영남면, 내/외나로도[5] 지역에서는 굳이 벌교로 안 돌아가도 될 정도로 빨라졌다. 여수행 시외버스는 여전히 벌교, 순천을 경유하니 주의.

여담으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지역정치권중심으로 고흥 녹동~장흥수문을 잇는 연륙교도 논의되었지만 국도승격이 막혀 진행속도가 잠잠해져 버렸다.

2.3. 지방도

봉래면 외초리 일원 15번 국가지원지방도와 830번, 843번, 851번, 855번, 최근 고흥-장흥간 연륙교 건설을 위해 승격시킨 845번 등 5개 지방도가 있어 반도에서 가장 많은 일반 지방도노선을 보유한 곳이다.

3. 버스

3.1. 농어촌버스

고흥여객에서 농어촌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금산면 내부에서는 대흥여객의 거금도 순환버스가 다녔으나, 거금대교 완공 이후에는 고흥여객과 공동배차로 녹동터미널-거금도 구간을 운행한다. 녹동-거금도 구간도 그렇고, 고흥군내를 운행하는 군내버스는 같은 목적지라도 시간대마다 경유지가 모두 다르니 승차 전 꼭 확인을 하도록 하자.

농어촌 버스의 요금이 심히 저렴한데 성인은 1000원 어린이, 청소년 요금은 100원이다. 2016년도까지는 시외버스 운임과 맞먹는 운임을 받았지만, 2017년 1월 1일부로 성인기준 전 구간 1000원으로 단일화했고, 청소년은 2019년 1월 1일부로 100원으로 인하했다.

동방고속에서 직행좌석버스를 운행하고 있는데 고흥-나로도간 노선이다. 요금은 2000원이며 시외버스 출신 차량을 차출해서 운행한다.

2021년부터 여수(화양면)에서 고흥(영남면)행 여수 버스 220번 여수시 화정면경유 화양-영남간 도서마을버스가 들어와 운행중에 있다.

3.2. 시외버스

고흥공용정류장이 고흥읍에, 녹동버스공용정류장이 도양읍에 있다. 대부분의 시외버스 노선은 녹동을 출발해 고흥을 거쳐 타지로 향하며 이 와중에 시외버스는 모두 벌교를 경유한다. 벌교를 경유하지 않는 노선은 서울행 고속버스와 안산-인천행 시외버스 뿐.

동방고속의 본사가 고흥공용정류장 내부에 있고 면허가 고흥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번호는 '전남 74바'로 시작된다.[6]

* 녹동 - 고흥 - 광주 노선: 금호고속, 광우고속, 그리고 고흥향토기업동방고속까지 총 3개 회사가 운행한다. 2016년부터 유스퀘어에서 29번 국도 타고 바로 벌교로 향하는 직통 노선이 1일 4회 운행한다. 참고로 직통 노선이 거리가 더 짧아서 600원 더 싸다.(...) 다만 2020년 현재는 동방고속은 직통운행을 폐지하였고, 금호고속과 광우고속에서만 운행한다. 일자 미상으로 금호고속이 철수하였다. 현재 직통 노선도 없어졌다.
* 녹동 - 고흥 - 순천 노선: 동방고속, 금호고속 두 회사가 운행하며, 동방고속은 여수행, 부산사상행으로 운행하고, 금호고속은 부산사상행만 운행한다. 부산사상행은 두 회사 운행코스가 다른데, 금호고속은 광양, 동광양, 섬진강휴게소 경유를 하지만, 동방고속은 순천터미널에서 바로 고속도로 올려 섬진강휴게소만 경유하는 점이 다르다. 그리고 동방고속 한정으로 나로도 - 부산사상 운행차량은 도화, 남성을 추가로 경유한다.

4. 해상교통과 항구

도양읍의 녹동항에서 제주도 제주항으로 갈 수 있는 남해고속의 아리온제주호가 운영 중이다. 녹동항에서 이 여객선을 타면 제주항까지 약 3시간 40분 정도가 걸린다. 나로도항에서는 거문도로 가는 여객선을 탈 수 있다. 그 외 근해 섬들을 잇는 여객선들이 운항 중이다. 또한 제주도 물류 전진기지로 육성을 위해 녹동신항을 무역항으로 승격시키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고흥군지역 어항 보유현황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지정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무역항
속초항, 옥계항, 묵호항, 동해항, 삼척항, 호산항, 포항항, 울산항, 울산신항, 장생포항
인천항, 인천신항, 경인항, 서울항, 평택·당진항, 대산항, 태안항, 보령항, 장항항, 군산항, 목포항
부산항, 부산신항, 진해항, 마산항, 고현항, 옥포항, 장승포항, 통영항, 삼천포항, 하동항, 여수항, 광양항, 완도항
제주항, 서귀포항
연안항
주문진항, 울릉항, 후포항, 강구항, 구룡포항
격렬비열도항, 용기포항, 연평도항, 대천항, 마량진항, 상왕등도항, 송공항, 대흑산도항, 홍도항, 가거향리항
부산남항, 중화항, 국도항, 거문도항, 나로도항, 녹동항, 강진항, 화흥포항, 갈두항, 진도항
추자항, 애월항, 한림항, 화순항, 성산포항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와 동법 시행령 제2조(항만의 명칭 등)에 따른 구분
}}}}}}}}} ||


연안항 - 녹동신항 (1개소)
국가어항 - 녹동항, 발포항, 시산항, 여호항, 풍남항 (5개소)
지방어항 - 구암항, 금사항, 금진항, 남성항, 대영항, 대통항, 덕흥항, 동봉항, 명천항, 봉남항, 연소항, 염포항, 오천항, 용동항, 잠두항, 장수항, 죽도항(17개소)
어촌정주어항 - 없음.
소규모어항 - 가상항, 강동항, 곡강항, 관청항, 교동항, 구룡항, 궁전항, 금장항, 금호신항, 남당항, 남열항, 내로항, 내백항, 내초항, 단장항, 당중항, 대곡항, 대전항, 덕산항, 도야항, 독대항, 동광항, 동래도항, 동정항, 동포항, 매곡항, 매동항, 배천항, 백석항, 봉산항(도양읍), 봉산항(도화면), 분매항, 비치항, 사덕항, 사양항, 상동항, 상초항, 상하촌항, 상화도항, 서촌항, 석교항, 석정항, 선정항, 선창항(도양읍), 선창항(봉래면), 성두도항, 성머리항, 성천항, 성치항, 성황항, 소영항, 송림항, 송정항, 수락항, 신금항(금산면), 신금항(금산면), 신기항, 신양항, 신오항, 신정항, 신초항, 신촌1항, 신촌항(금산면), 신촌항(도화면), 신평항, 신흥항(도양읍), 신흥항(금산면), 신흥항(두원면), 애도항, 양화항(동일면), 양화항(영남면), 연동항, 여의천항, 연홍항, 예내항, 예당항, 예회항, 오도항, 오마항, 옥룡항, 와교항, 왕주항, 외백항, 외초항, 용암항, 우도항, 우두항(금산면), 우두항(영남면), 우암항, 원도동항, 원주항, 월포항, 월하항, 은전항, 익금항(금산면), 익금항(포두면), 일정항, 장계항, 장골항, 장사항, 장선항, 장예항, 주암1항, 주암2항, 죽암항, 중봉항, 중촌항, 지죽1항, 지죽2항, 진기항, 진지항, 창포항, 첨도항, 청석항, 취도항, 풍류항, 하도1항, 하도항, 하반항, 하화도항, 홍연항, 화덕항, 화도2항, 화옥항(124개소)

총 : 147개소 (무역항과 어촌정주어항이 없음.)
[1] 원래는 최초계획은 도로공사에서 벌교 나들목고흥 나들목과 같이 일당백할 계획이었지만 고흥군의 요구에 따라 고흥 나들목을 따로 만들게 되었다.[2] 순천시보성군 경계지점인 석거리재를 넘어야 했으며 겨울철만 되면 빙판길로 인해 사고다발지역으로 유명했다.[3] 호형교차로-탄포교차로 구간[4] 일단 오자마자 팔영산이 떡하고 버티고 있어서 구불구불한 산허리 도로로 돌아가야 하기 때문.[5] 15번 국도를 통해 고흥으로 가는게 팔영대교로 가는 쪽보다 더 멀고, 포두를 거쳐 고흥으로 가는 길목에 U자 드리프트 구간도 하나 있다.[6] 금호고속, 광우고속은 전남 75바 로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