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조선인민군 해군 함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잠수함/정 | <colbgcolor=#fefefe,#2d2f34>P-4급, 상어급, 연어급, 유고급, 033형급, 위스키급U, 8.24 영웅함(신포급), 김군옥영웅함(신포C급) | |||
어뢰정 | 셰르셴급U, P-6급, 신남급, 신흥급, 구성급, 청진급 공습 어뢰정 | ||||
경비정 | T급, 마양급, 대청-(I · II)급, 하이난급, 초도급, 청주급, S·O-1급 초계정, 상하이-II급, 신포급, K-48급, 청진/차호급, P-6급, 샨토우급 | ||||
고속정 | 소흥급, 오사-I급, 소주급, 황봉급, 용도급 연안 고속정, 농어급, 해삼급, 신형 대잠 고속정, 신형 미사일 고속정, 신형 VSV 스텔스 고속정 | ||||
초계함 | 사리원급, 트랄급U | ||||
호위함 | 서호급R, 크리박급U, 압록급, 두만급 | ||||
구축함 | 나진급, {북한 신형 방공구축함} | ||||
상륙정 | LCM/LCU | 흥남급 LCU, 한태급 LCM, 한촌급 LCM | |||
LCVP | 남포급 LCVP | ||||
LCPA | 공방-(I · II · III)급, 남포급(A/B) | ||||
소해함 | 프로젝트 53급U, 육도급 | ||||
구조함 | 고원급 | ||||
기타 | 대동-B급 반잠수정, 인간어뢰 | ||||
※ 윗첨자U: 상태 불명 ※ 윗첨자R: 퇴역 함정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북한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신포 앞바다의 8.24 영웅함과 승조원들 | |
38노스의 렌더링 이미지 | |
<colbgcolor=#0A2267> 북한 명칭 | 8.24 영웅함 |
군 당국 표기 | 고래급 |
민간 연구가 표기 | 신포급, Sinpo Class |
[상세 제원 보기] |
[clearfix]
1. 개요
신포급 잠수함은 조선인민군 해군이 운용중인 SLBM 탑재 재래식 잠수함(SSB)이다. 자신들의 첫번째 SLBM인 북극성(KN-11)의 수중 발사를 자축하기 위해, 공식 함명을 성공일인 8월 24일에서 따온 '8.24 영웅함'으로 지정했다.[1]한국과 미국 당국에서 부르는 정식 명칭은 고래급이다. 민간 연구가들과 언론 사이에서 통용되는 신포급이라는 이름은 이 잠수함의 존재를 처음 공개한 민간 연구원 조셉 버뮤데즈가 발견지역인 신포시를 따서 붙인 가칭이다.[2] 미국 연구가들 사이에서는 건조중인 신포-C급과 비교하기 위해, 고래급을 신포-B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급(class)'이라고 지칭되지만 사실 신포급에 해당하는 잠수함은 한 척 뿐이다.
2. 제원
8·24 영웅함 제원 | |
함명 | 8.24 영웅함 |
수상 배수량 | 1,800톤(추정) |
수중 배수량 | 2,200톤(추정) |
승조원 | 50 ~ 55명(추정) |
전장 | 67m |
전폭 | 약 7m |
흘수 | 미상 |
무장 | 어뢰 발사관 수 문 |
북극성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발사관 1문 | |
수상속도 | 미상 |
수중속도 | 미상 |
추진체계 | 디젤 2기(추정) |
3. 상세
3.1. 초기 개발 단계
선체 규모로 추정컨대 동급인 로미오급의 후계형으로 여겨지며, 침투용인 유고/상어/연어급과는 달리 연안에서의 대함, 대잠 임무를 주로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해당 기사의 저자이기도 한 북한 군사 전문기자 조셉 버뮤데즈는 위성사진이 포착된 북한의 지명을 따 '신포급'이라고 명명했다. #배수량이나 선체 디자인으로 보아 대한민국 해군에 큰 위협이 되리라는 우려가 높다.
2014년 7월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의 북한정보 사이트 38노스에서 북한의 신형 잠수함으로 추정되는 위성사진을 공개했다. 배수량은 1200~1,500톤 이내로 추정되며, 구 유고슬라비아 해군의 헤로제(Heroj)급 또는 사바(Sava)급과 유사해 보인다는 설명을 추가했다.
사바급 잠수함 |
2개월 여 후인 10월 28일 역시 '38노스'에서 조셉 버뮤데즈가 북한의 신포항 인근에 수직발사장치 형태로 보이는 미사일 발사 시험시설의 위성 사진을 공개, 분석했다. # 높이는 12미터로 스커드, 무수단 정도의 미사일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 이로써 북한이 해군 함정을 통해 발사될 수 있는 탄도 미사일의 개발을 추구하고 있음이 더욱 분명해졌다.[3]
2015년 1월 6일 발표된 <국방백서 2014>의 북한 군사 관련 설명에서 "탄도미사일 탑재가 가능한 신형 잠수함 등 새로운 형태의 잠수함정을 지속 건조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내용을 포함시켰다.
이틀 후인 1월 8일에는 38노스에서 신포급 잠수함 '신천호' 에 1~2개의 탄도 미사일 발사용으로 추정되는 수직발사관의 존재 가능성을 제기하는 위성사진 분석이 게재되었다. 저자는 이번에도 조셉 버뮤데즈. 버뮤데즈는 해당 기고에서 북한 SLBM 잠수함의 개발, 배치가 한국, 미국 등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임을 지적하면서도 이제 겨우 기술적 실험을 시작하는 단계일 뿐이며, 과거 북한이 개발 및 건조했던 어떠한 잠수함보다도 어려움이 크고 성공 여부도 불확실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의 보수성향 매체인 워싱턴프리비컨이 2015년 1월 23일 신포급 잠수함에서 탄도 미사일의 수중 발사 실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했고, 이후 국내 언론에도 보도되었다. # 해당 보도 직후, 국방당국은 "실제 미사일이 아닌 사출장치를 대상으로 한 시험이며, 발사관에서 튀어나온 물체는 수십m 전방에 떨어지는 행태를 반복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북한의 SLBM 개발이 단순한 관심, 의지를 넘어 본격적으로 기술적인 성과를 진행시키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요컨대 북한의 SLBM은 아직 '현재형'이 아닌, '미래형' 위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한국과 미국의 군 당국이 앞으로 북한 SLBM의 존재를 전제로 향후 대응수단을 수립, 발전시켜야 할 과제를 안게 되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게 되었다.
3.2. 본격 위협으로의 발전
2015년 5월 9일, 김정은이 참관하는 가운데 신포급 잠수함 '신천호' 에서 북극성으로 명명된 SLBM을 수중 사출, 수면에서 로켓 점화까지 성공한 것을 북한 당국이 보도했다. 더이상 미래형 위협이 아닌 현재형 위협이 된 것이다. 이 사진에 대해 포토샵 조작이라는 설이 많았으나, 5월 11일 대한민국 국방부 브리핑에 따르면 조작이 아니라고 한다.기사 6월 4일 북한 방송을 통해 발사 장면의 뉴스 영상이 공개되어 조작이 아님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2016년 3월 16일과 4월 5일 다시 북극성 미사일의 발사 시험을 했다. 단 이 발사 시험들은 바지선에서 했을 가능성이 있었다.
2016년 4월 23일 신포급 잠수함에서 발사 시험을 했음이 북한 언론을 통해 공개되었으며, 한-미 정보당국도 이를 확인했다.
2016년 8월 24일, 신포급 잠수함에서 다시 북극성 1호 미사일의 발사 시험을 했으며, 이날 발사에서는 발사체의 단 분리 및 비행, 대기권 재돌입 등 SLBM의 모든 비행 시퀀스가 성공하였다. 북한이 SLBM 실용화에 성공함으로써 대한민국 안보에 한 단계 올라간 위기가 찾아온 셈이다. 단 발사 플랫폼의 한계는 여전하다. 북한에서도 신포급 잠수함을 바탕으로 다량의 SLBM을 탑재 가능한 디젤 전략잠수함을 건조할 것이란 말이 있다.
|
2021년 10월 19일, 신포에서 발사된 KN-23 개량형 SLBM |
그런데 이 발사 시험 과정에서 손상을 입은 것으로 보인다. # 38노스의 분석에 따르면 수리를 마치고 2022년 1월에 복귀한 것으로 추정된다. #
이후 2023년 3월 12일, 조선인민군 2023년 공개 SLCM 발사 플랫폼으로 사용되었다. 어뢰 발사관을 이용한 것이라는 추측도 제기되었다. #
4. 평가
발사관이 하나 뿐인지라 실질적인 SLBM 발사용 잠수함으로 보기에는 여러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정식 운용 기체라기 보다는 SLBM 시험발사용 테스트를 위한 잠수함에 가까운 것이 사실이다. 물론 앞서 언급한 여러 위험이 한미연합군에 부담이 되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고, 북한은 여기서 쌓은 노하우를 후술할 파생형 기체에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5. 파생형
자세한 내용은 김군옥영웅함 문서 참고하십시오.이른바 신포 C급 잠수함으로 불리는 파생형이 있다. 정식 명칭은 《김군옥영웅》함
6.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북한 | 북한의 핵개발 경과 | |
북미 제네바 합의 | KEDO | 6자회담 | |||
전술핵 《화산-31》 탑재 무기 | 대륙 간 탄도 미사일(ICBM) | ||
근거리형 전술유도탄·KN-25·화살-2 등 8종 | 화성-14 | 화성-15 | 화성-17 | 화성-18 | 화성-19 | 대포동 | 광명성 | ||
수중발사 핵전략무기 | |||
8.24 영웅함(북극성) | 김군옥영웅함(북극성-3, 북극성-4, 화성-11ㅅ) | 원자력 잠수함(북극성-5, 2022년 공개 SLBM) | 해일(수중드론) | |||
핵무력 전략 | |||
핵무력정책에 대하여 | |||
대한민국 | 킬체인(Kill Chain) | ||
고정표적: 현무-IV, 현무-V, KTSSM | 이동표적: F-35, KUS-X, 현무-III, 해성-II, KEPD 350 | 북한 잠수함: 백상어, 홍상어, 범상어, 자항기뢰 | 비물리적 공격: 정전탄, 전자기펄스탄, 한국형 전자전기 | 개발중: KF-21, 천룡 공대지 미사일 | |||
한국형 미사일 방어(KAMD) | |||
고고도 하층: THAAD(주한미군) | 종말단계 상층: L-SAM | 종말단계 하층: SM-6, 천궁-II, 패트리어트 | 장사정포: LAMD | 그외: 한국형 레이저 대공무기 | 개발중: 천궁-III(종말단계 하층), L-SAM 블록2(고고도 하층), 상승단계 요격 미사일(KF-21) | |||
대량응징보복(KMPR) | |||
핵억제: F-35, 도산 안창호급 잠수함 | 타격체계: 현무-II, 현무-III, 현무-IV, 지/함/공대지 고위력 현무, 극초음속 미사일 참수작전: 제13특임여단(C-130, 특수작전용 CH-47), MQ-1C(주한미군) | 개발중: 합동화력함 | |||
감시정찰 | |||
정찰위성:아리랑 위성, 차세대중형위성, 425 위성, 초소형군집위성 | 항공기: RQ-4, KUS-FS, 백두 정찰기, E-737 | 대탄도탄 레이더: 정조대왕급 구축함, 그린파인 레이더, 세종대왕급 구축함 | 대잠: P-8, P-3, MH-60R, AW159, 인천급 호위함, 대구급 호위함, 충남급 호위함, SQR-230K 백룡 ULTASS, 항만감시체계 | |||
기타 억제·대응 전략 | |||
대북제재 | 대재래전력 킬체인 | 원자력 잠수함 보유 | SM-3 도입 | 사드 추가 배치 | 핵우산 북한 유엔 축출 | 대한민국의 핵무장 | 전술핵 재배치 | 워싱턴 선언 | 핵협의그룹 | 가상 시나리오 | |||
둘러보기 무기체계 | 군계급 | 군단 | 사단 | 미사일 | 핵·WMD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