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ccc><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입석 · 간선 | ||
좌석 | |||
지선 | |||
출근 맞춤 | |||
셔틀 버스 |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1E2D5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경산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2px -11px" | <colbgcolor=#0075c8><colcolor=#fff> 간선 | ||
지선 | |||
순환 |
{{{#!wiki style="margin: -4px -8px"
경산버스 차량[1]
1. 개요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 경일대학교(8)에서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구청(4)을 거쳐 중구 동산동 동산의료원(0)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이자 경산시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81.4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노선도 전 구간 주행 영상2. 노선 정보
| |||||
| |||||
| |||||
기점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경일대종점) | 종점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동산의료원)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평일] 05:37 / [토요일, 공휴일] 05:30 |
막차 | [평일] 22:27 / [토요일] 22:25 / [공휴일] 22:26 | 막차 | [평일] 22:28 / [토요일] 22:21 / [공휴일] 22:19 | ||
평일배차 | 10분(일 123회) | 주말배차 | 공휴일: 13분(일 98회) 토요일: 11분(일 112회) | ||
운수사명 | 경산버스, 세진교통, 한일운수 | 인가대수 | 28대[2] | ||
노선 | 경일대 - 하양초교 - 대구대 - 진량우체국 - 영남대 - 경산시장 - 사월역 - 수성알파시티역 - 수성구청 - 반월당역 - 회차구간(청라언덕역[3] → 동산의료원1 → 성명여자중학교) |
3. 역사
- 1998년 개편 이전에 운행했던 좌석버스 371번, 일반버스 71번이 이 노선의 전신이다.
- 2004년 8월 교통카드 마찰로 공배제가 파기되었는데, 경산버스는 공동 배차하던 840번 9대와 890번 3대를 빼내 12대로 840번, 890번과 유사한 800번 노선을 만들었다.[4] 800번은 840번, 890번 노선과 완전히 동일했는데, 일반버스, 좌석버스를 혼합 운행했다. 800번은 500번처럼 배차간격이 심히 들쑥날쑥했다.
- 2005년 11월 7일에 교통카드 분쟁이 타결됨으로써 500번, 800번은 폐선되었다. 같은해 12월 11일부터 509번, 840번, 890번의 공동배차를 재개했다.
- 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890번이 840번에 통합되었다.
4. 특징
- 840번이 좌석버스 노선이면 890번은 입석버스 노선이다.
- 당시 일반버스에 한해 시계외요금이 적용되었다. 대다수의 경산 유출입 노선들은 경산시장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중산삼거리에서 영남대학교 같은 곳으로 이동 시 4km가 넘어 시계외요금이 부과됐다. 그래서 시계외요금을 징수하지 않았던 840번 좌석버스보다 오히려 비싼 요금이 나오는 일반버스였으며, 배차간격도 25~30분으로 상당히 길었다. 중산삼거리(시경계)에서 경일대학교까지 완주했을 때 당시 890번의 시계외요금은 무려 3,500원이었다. 당시 좌석버스 요금이 1,300원이었으니 거의 3배에 가까운 요금이 나오는 셈.
5. 연계 철도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반월당역, 부호역, 하양역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영남대역, 임당역, 사월역, 신매역, 고산역, 수성알파시티역, 연호역, 담티역, 만촌역, 수성구청역, 범어역, 대구은행역, 경대병원역, 반월당역, 서문시장역[5][A]
- 일반 철도역 : 경산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하양역(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