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px"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folding [ 시즌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colbgcolor=#000><colcolor=#fff> 드라마 | 오징어 게임 (2021) · 오징어 게임 2 (2024) · 오징어 게임 3 (2025) | ||||||
예능 | 오징어 게임: 더 챌린지 (2023) · 오징어 게임: 더 챌린지 2 (2025)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folding [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 -5px -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시즌 1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참가자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 | | | | ||||
NO.456 성기훈 | NO.218 조상우 | NO.001 오일남 | NO.067 강새벽 | |||||
| | | | |||||
NO.101 장덕수 | NO.212 한미녀 | NO.199 알리 압둘 | NO.240 지영 | |||||
| <nopad> | |||||||
NO.111 병기 | 기타 참가자 | }}} | ||||||
침입자 | 주최 측 | |||||||
| | | | | ||||
경찰 황준호 | 딱지남 | VIPS | ||||||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시즌 2 / 시즌 3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참가자 | ||||||||
| | | | ||||||
NO.456 성기훈 | NO.001 오영일 | NO.333 이명기 | NO.120 조현주 | ||||||
| | | | ||||||
NO.222 김준희 | NO.390 박정배 | NO.007 박용식 | NO.149 장금자 | ||||||
| | | 파일:오징어 게임 2 남규.jpg | ||||||
NO.246 박경석 | NO.388 강대호 | NO.230 타노스 | NO.124 김남규 | ||||||
| | | | ||||||
NO.095 김영미 | NO.044 용궁 선녀 | NO.125 박민수 | NO.380 세미 | ||||||
| <nopad> | ||||||||
NO.100 임정대 | 기타 참가자 | ||||||||
주최 측 | |||||||||
| | | | ||||||
딱지남 | 부대장 | ||||||||
| <nopad> | ||||||||
△.011 강노을 | |||||||||
추적자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 | | | | | ||||
경찰 황준호 | 박영길 | 최우석 | 김정래 | 김 팀장 | }}} | ||||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
- [ 관련 문서 ]
NO.196 강미나 | |
| |
<colcolor=#fff> 본명 | <colbgcolor=#fff,#1c1d1f>강미나 (Kang Mina) |
출생 | 2000년 ~ 2004년 (20대 초반 추정)[1] |
국적 |
|
참가 사유 | 채무 상환 |
채무액 | 4,500만원 |
게임 결과 |
|
배우 | 송지우[3] |
1. 개요
드라마 오징어 게임 시리즈의 등장인물.2. 특징
오징어 게임 2의 첫번째 탈락자로, 전작의 324번, 250번을 계승한 캐릭터이다.딱지치기 영상을 대전 스튜디오큐브[4] 정원에서 찍은 것으로 확인된다. 유성구 주민인지는 정확히 알려진 바 없다.
개인 채무액은 4,500만원으로, 이는 게임 참가자들 중에서는 매우 적은 편에 속하는 액수이다.[5] 이 때문인지 시종일관 가벼운 태도를 보여준다.
3. 작중 행적
<nopad> |
이후 의상에 불만을 품어서인지 상의를 크롭티 형태로 묶어서 입고 다니며, 이때 드러난 배꼽 부분을 자세히 보면 피어싱[7][8]이 있다.
입장 전 사진을 찍을 때 타노스의 같이 사진 찍자는 플러팅에 한심하다는 표정으로 응수하고 가버리지만,[9] 게임 시작 직전 타노스가 또 다가와 이번엔 랩으로 플러팅을 하자 처음과는 달리 긴장이 어느 정도 풀렸는지 영희 로봇을 가리키며 저건 뭐냐는 등 말을 주고 받기 시작한다.
<nopad> |
4. 어록
"알아야 돼?"
"지금 작업 거는 거야?"
"지금 작업 거는 거야?"
(타노스: 네가 꽃인 거 아나 봐. 너한테 벌이 앉았어!) "벌?! 꺄아아악!!! 헐, 나 움직였어."
5. 기타
- 시즌 2에서 처음으로 탈락한 참가자이기에 비중이 적고, 유일하게 접점이 있는 주연급 참가자는 같이 이야기를 나눴던 타노스 뿐이다.
- 분홍색 네일아트를 하고 있고, 딱지치기 영상 속에서 분홍색 계열의 옷을 많이 입고 있었던 점, 옷 불평을 할 때도 분홍색인 진행요원들의 옷으로 바꿔입으면 안 되냐고 물어본 점을 보아 분홍색을 좋아하는 듯하다.
- 사망 장면은 본편이 공개되기도 전에 예고편에서부터 먼저 드러났다. 국내 장면에서는 유언 직후 부분이 심의 문제로 잘렸지만 해외 예고편을 보면 "헐, 나 움직였어."라고 말한 뒤 헤드샷을 맞는 장면까지 나온다.
- 엔딩 크레딧에서의 이름은 '패션녀'. 시즌 2에서 실명이 공개된 캐릭터들 중에서는 임정대와 더불어 유이하게 엔딩 크레딧의 이름이 실명이 아니다.
- 꿀벌 때문에 사망하였기에 시청자들 사이에서 '꿀벌녀', '꿀벌 누나' 등으로 불린다. 영미권에서도 마찬가지로 'Bee Girl'로 불린다. 또한 작중 크롭티를 입는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크롭티녀'라는 별명도 있다.
- 해외에서도 캐릭터의 미모에 끌린 많은 사람들이 196번의 배우가 누구냐는 반응을 보였으며, 강미나가 나오는 장면만 모은 영상도 있다. #
- 시즌 1에서는 김동현 배우가 연기한 꼰대남이 이 번호로 참가했으며 4번째 게임에서 탈락했다. 공교롭게도 두 캐릭터의 이미지를 비교해 보면 여러 기본적인 요소들이 대립을 이루는 편이다.[14] 그리고 이 캐릭터의 개별 문서가 분리되면서 오징어 게임의 196번은 001번에 이어 2번째로 2020년과 2024년 버전이 모두 개별 문서와 서로 다른 인물로 다루어지게 되었다.
- 우연히도 전작의 2020년의 오징어 게임과 이번 오징어 게임 모두 제일 처음으로 죽는 사람의 번호가 제곱수이다.[15]
- 만약 1단계에서 생존했다면 첫 투표에서 바로 X 진영으로 갔을 확률이 높은 인물이다. 4,000만원이 목숨을 건 게임에 참가할 정도로 큰 금액의 빚은 아니기 때문이다.[16] 하지만, 이 경우 게임을 지속하고 싶어하는 타노스, 김남규와 갈등을 빚었을 것이고 심지어는 세미처럼 살해당했을 가능성도 있다. 다만, 타노스에게 호감이 생겼다면 타노스를 따라 O 진영으로 갔을 수도 있다. 만약 1단계에서 생존해서 타노스 팀에 합류했다면, 성격상 세미와는 대립했을 것으로 보인다.
- 가벼운 언행이나 행적을 보면 그냥 돈을 흥청망청 써버린 탓에 빚이 쌓여서 참가한 듯하다. 물론 양복을 입은 신원불명의 영업사원이 "이런 게임 몇 번 하시면 큰 돈을 벌 수 있습니다"라고 하면 아무래도 수상하므로 절박한 상황이 아니고서야 가지 않겠지만, 딱지치기 상금도 약속대로 줬고 큰 돈을 벌 수 있다고도 했으니 일확천금을 노리고 별 의심 없이 참가한 경우일 수도 있다.
- 가볍고 실없는 모습 때문에 간과하기 쉽지만 따지고 보면 이쪽도 박경석, 장금자, 김영미, 김준희, 지영, 알리 압둘, 강새벽처럼 꽤나 억울한 피해자라고 할 수 있다. 비교적 적은 채무액이기에 이런 위험한 데스 게임이 아니고도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은 많았을 것이므로 한참 잘못된 장소에 끌려온 것이다. 위험성을 전혀 몰랐기에 벌어진 참극. 그녀보다 훨씬 더 궁핍한 상황에 빠진 채무자들을 모집할 수도 있었는데, 이런 한참 가벼운 상황에 처한 사람도 무작정 게임에 참가시킨 주최 측의 악랄함을 보여주는 셈.
[1] 사실 강미나의 나이가 밝혀질 수 있는 기회는 두 번 있었다. 첫째는 진행 요원이 자신을 얘기할 때 (이명기는 나이, 행적, 전과를 다 말했다.), 둘째는 타노스가 물어 봤을 때다.[2] 최종 456위.[3] 더 글로리에서 청소년기 최혜정을 맡았다.[4] 대전신세계 뒤에 있는 영화 세트장 단지이다. 본 드라마 세트를 여기에 지은 후 촬영했다.[5] 당장 전작만 해도 브로커 섭외 비용 4,000만원이 필요했던 강새벽, 삶의 의지를 아예 놓은 지영 정도를 제외하면 1억 미만의 채무를 진 이들은 없다시피 했다. 본 게임에서도 강미나보다 채무액이 적은 인물은 3,000만원의 채무액이 있는 김준희와 아예 채무액이 없는 장금자, 박경석 정도 뿐이다.[6] 이게 의도치 않은 복선이 되었는데 강미나 본인은 그런 거 꿈도 못 꾸고 첫 탈락으로 머리에 바람 구멍이 뚫리는 결말을 맞았지만 정작 후에 그 의상을 입게 된 참가자 입장에선 발각되는 순간 죽음을 맞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황준호 만큼 전투력이 능한 상황도 아니었던지라 도리어 가시방석이나 다름없는 지옥이었다. 진행요원 의상을 결코 가볍게 여길 수 없는 부분.[7] ![파일:강미나의상.jpg]()
이를 통해 오징어 게임 진행 측이 참가자들의 소지품 중 무엇을 따로 맡아두고 무엇을 그냥 남겨두는지에 대한 기준을 어느 정도 짐작해볼 수 있다. 바로 의복이 아닌 착용품 중 직접적인 흉기의 용도가 연상되지 않는 것이라면 굳이 빼앗지 않고 그냥 갖고 있도록 허용해주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안경을 압수당했다는 참가자는 작중 한 명도 등장하지 않고, 강미나의 배꼽 피어싱 외에도 타노스 등 여러 인물들이 귀걸이 같은 피어싱이나 목걸이, 반지 등 각종 장신구를 그대로 착용하고 있는 모습들을 볼 수 있다. 안경이나 피어싱, 목걸이나 반지 등은 정 흉기로 쓰려면 못 쓸 것은 없지만, 일반적인 사람이라면 어지간히 위급한 상황이 아니고서는 이런 물건들을 흉기로 사용할 생각을 쉽게 하지 못한다.[8] 또 다른 참가자인 장금자의 경우는 겉보기에는 평범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무려 은장도가 숨겨진 비녀를 계속 착용하고 다닐 수 있었고, 이전 작품에서는 신체 안에 라이터를 숨겨 반입한 참가자까지 있던 것을 보면, 엑스레이 등으로 참가자의 신체 내부나 소지품의 내부 구조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검문 절차조차도 따로 없는 듯 하다. 이로 미루어 볼 때 다른 곳도 아닌 임플란트 속에 넣은 위치추적기로 외부의 조력자들에게 자신이 있는 게임 장소를 찾아오도록 한다는 성기훈의 계획은, 중간에 정보가 새지만 않았더라면 들킬 가능성이 거의 없었던 상당히 성공 확률이 높은 작전이 맞았다. 물론 이게 성공해서 조력자들이 게임 장소로 찾아온다고 해도, (고도의 훈련을 받은 전문 용병들이 섞여 있긴 하지만) 겨우 10명 남짓한 조력자들이 황준호를 빼고는 게임장의 내부 구조도 모르는 상태에서 오징어 게임 주최 측의 치밀한 보안 시스템과 수십~수백에 달하는 무장한 병정들을 무찌를 수 있을지는 또 다른 문제였고, 작중에서는 계획이 다 어그러지면서 발악적으로 일어났지만 만에 하나 계획대로 진행되었더라도 결국 성기훈이 자신에게 동조하는 참가자들을 규합해서 적절한 시점에 반란을 일으켜 내부에서 호응하는 과정이 필요했을 거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9] 이때 타노스 옆에 있던 김남규도 한심하다는 표정을 짓고 있다.[10] 사실 이때까지는 아무도 죽지 않았기 때문에 다들 심각성을 모를 수밖에 없었다. 강미나가 저렇게 반응하는 것도 이상한 건 아니라는 것. 한편 타노스는 취한 것 같다는 말엔 자기 꼰대도 집에 들어올 때마다 도청장치 드립 친다고 동의했지만, 마약했냐는 말에는 '마약한 사람들은 저런 반응 안 보인다'고 대답한다.[11] 성기훈이 고래고래 소리 지르며 탈락하면 죽는다고 하긴 했지만 대부분은 마약 중독자나 혼자 상금을 독식하려고 겁 주는 헛소리라 치부하고 무시했다.[12] 전작의 324번, 250번과는 꽤 젊은 나이대의 양아치로서 참가했고, 심각성을 모른 채로 가장 먼저 탈락했다는 점이 똑같다. 다만, 순전히 본인 실수로 죽은 그 둘과 달리 이쪽은 어찌 보면 타노스한테 죽임을 당한 감이 크다. 물론 강미나 본인이 먼저 자신의 목에 뭐가 붙었는지 타노스에게 물어봤고, 참을 수 있던 상황에서 몸을 움직인 것도 오로지 강미나 본인의 선택이었기 때문에 온전히 타노스의 잘못만이라고 따지기엔 애매한 점이며, 결정적으로 이때의 타노스 또한 이후의 행적과는 별개로 그녀를 죽게 만든 것은 결코 본의는 아니었다.[13] 본편에서 조현주를 맡고 있던 배우 박성훈 역시 더 글로리에서 성인역 전재준으로 출연하였다.[14] 시즌 1의 196번은 중년 남성에 매사에 부정적이었다면 강미나는 새파랗게 젊은 여성인 데다 많은 일들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날라리 이미지이다.[15] 전작의 퍼스트 블러드는 324=18²번이고, 이 작품의 퍼스트 블러드는 196=14²번이다.[16] 1단계에서 생존했다면 1단계 종료 후 산정된 1인당 상금이 빚 4,500만원 중 절반 이상을 갚을 수 있는 금액이며, 2,000만원 정도면 일반적인 직장 월급이나 알바비 정도만으로도 몇 년만 고생하면서 돈을 벌고 아낀다면 충분히 갚을 수 있는 돈이다. 만약 부족하다고 생각한다면 1차 투표에서 O를 누르고 2단계에서 생존해 2차 투표에서 X를 투표하는 방법도 있다.
이를 통해 오징어 게임 진행 측이 참가자들의 소지품 중 무엇을 따로 맡아두고 무엇을 그냥 남겨두는지에 대한 기준을 어느 정도 짐작해볼 수 있다. 바로 의복이 아닌 착용품 중 직접적인 흉기의 용도가 연상되지 않는 것이라면 굳이 빼앗지 않고 그냥 갖고 있도록 허용해주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안경을 압수당했다는 참가자는 작중 한 명도 등장하지 않고, 강미나의 배꼽 피어싱 외에도 타노스 등 여러 인물들이 귀걸이 같은 피어싱이나 목걸이, 반지 등 각종 장신구를 그대로 착용하고 있는 모습들을 볼 수 있다. 안경이나 피어싱, 목걸이나 반지 등은 정 흉기로 쓰려면 못 쓸 것은 없지만, 일반적인 사람이라면 어지간히 위급한 상황이 아니고서는 이런 물건들을 흉기로 사용할 생각을 쉽게 하지 못한다.[8] 또 다른 참가자인 장금자의 경우는 겉보기에는 평범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무려 은장도가 숨겨진 비녀를 계속 착용하고 다닐 수 있었고, 이전 작품에서는 신체 안에 라이터를 숨겨 반입한 참가자까지 있던 것을 보면, 엑스레이 등으로 참가자의 신체 내부나 소지품의 내부 구조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검문 절차조차도 따로 없는 듯 하다. 이로 미루어 볼 때 다른 곳도 아닌 임플란트 속에 넣은 위치추적기로 외부의 조력자들에게 자신이 있는 게임 장소를 찾아오도록 한다는 성기훈의 계획은, 중간에 정보가 새지만 않았더라면 들킬 가능성이 거의 없었던 상당히 성공 확률이 높은 작전이 맞았다. 물론 이게 성공해서 조력자들이 게임 장소로 찾아온다고 해도, (고도의 훈련을 받은 전문 용병들이 섞여 있긴 하지만) 겨우 10명 남짓한 조력자들이 황준호를 빼고는 게임장의 내부 구조도 모르는 상태에서 오징어 게임 주최 측의 치밀한 보안 시스템과 수십~수백에 달하는 무장한 병정들을 무찌를 수 있을지는 또 다른 문제였고, 작중에서는 계획이 다 어그러지면서 발악적으로 일어났지만 만에 하나 계획대로 진행되었더라도 결국 성기훈이 자신에게 동조하는 참가자들을 규합해서 적절한 시점에 반란을 일으켜 내부에서 호응하는 과정이 필요했을 거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9] 이때 타노스 옆에 있던 김남규도 한심하다는 표정을 짓고 있다.[10] 사실 이때까지는 아무도 죽지 않았기 때문에 다들 심각성을 모를 수밖에 없었다. 강미나가 저렇게 반응하는 것도 이상한 건 아니라는 것. 한편 타노스는 취한 것 같다는 말엔 자기 꼰대도 집에 들어올 때마다 도청장치 드립 친다고 동의했지만, 마약했냐는 말에는 '마약한 사람들은 저런 반응 안 보인다'고 대답한다.[11] 성기훈이 고래고래 소리 지르며 탈락하면 죽는다고 하긴 했지만 대부분은 마약 중독자나 혼자 상금을 독식하려고 겁 주는 헛소리라 치부하고 무시했다.[12] 전작의 324번, 250번과는 꽤 젊은 나이대의 양아치로서 참가했고, 심각성을 모른 채로 가장 먼저 탈락했다는 점이 똑같다. 다만, 순전히 본인 실수로 죽은 그 둘과 달리 이쪽은 어찌 보면 타노스한테 죽임을 당한 감이 크다. 물론 강미나 본인이 먼저 자신의 목에 뭐가 붙었는지 타노스에게 물어봤고, 참을 수 있던 상황에서 몸을 움직인 것도 오로지 강미나 본인의 선택이었기 때문에 온전히 타노스의 잘못만이라고 따지기엔 애매한 점이며, 결정적으로 이때의 타노스 또한 이후의 행적과는 별개로 그녀를 죽게 만든 것은 결코 본의는 아니었다.[13] 본편에서 조현주를 맡고 있던 배우 박성훈 역시 더 글로리에서 성인역 전재준으로 출연하였다.[14] 시즌 1의 196번은 중년 남성에 매사에 부정적이었다면 강미나는 새파랗게 젊은 여성인 데다 많은 일들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날라리 이미지이다.[15] 전작의 퍼스트 블러드는 324=18²번이고, 이 작품의 퍼스트 블러드는 196=14²번이다.[16] 1단계에서 생존했다면 1단계 종료 후 산정된 1인당 상금이 빚 4,500만원 중 절반 이상을 갚을 수 있는 금액이며, 2,000만원 정도면 일반적인 직장 월급이나 알바비 정도만으로도 몇 년만 고생하면서 돈을 벌고 아낀다면 충분히 갚을 수 있는 돈이다. 만약 부족하다고 생각한다면 1차 투표에서 O를 누르고 2단계에서 생존해 2차 투표에서 X를 투표하는 방법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