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가나 오십음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olbgcolor=#eee,#2d2f34> | あ단 | い단 | う단 | え단 | お단 | |
あ행 | あ | い | う | え | お | ||
か행 | か | き | く | け | こ | ||
さ행 | さ | し | す | せ | そ | ||
た행 | た | ち | つ | て | と | ||
な행 | な | に | ぬ | ね | の | ||
は행 | は | ひ | ふ | へ | ほ | ||
ま행 | ま | み | む | め | も | ||
や행 | や | ゆ | よ | ||||
ら행 | ら | り | る | れ | ろ | ||
わ행 | わ | ゐ | ゑ | を | |||
ん | ん | ||||||
기타 | 탁점 · 요음 · 촉음 · 々 · ヶ, ヵ | }}} | * 음영 처리: 현대에 잘 쓰이지 않거나 쓰지 않는 가나 * 둘러보기: 틀:히라가나 · 틀:가타카나 |
1. 개요
히라가나 | 가타카나 |
'''は''' | <colbgcolor=white,#1f2023> '''ハ''' |
국립국어원 표기법 | 하 (바/파[1]) |
라틴 문자 표기 | ha |
IPA | [hä][2] |
히라가나 자원 | 波의 초서 |
가타카나 자원 | 八의 변형 |
일본어 통화표 | [ruby(葉書, ruby=はがき)]のハ(하가키노 하) |
유니코드 | U+306(C)F |
일본어 모스 부호 | −・・・ |
2. は행 모두에 해당하는 사항
유일하게 반탁음이라는 게 존재한다. [p] 발음이 나며 は행의 가나들에 탁점( ") 대신 반탁점( °)을 붙여 표기한다. 뒤에 설명할 순음퇴화의 영향으로, 사실 헤이안 시대의 は행의 발음은 반탁음이 붙은 [p]와 더 유사했다.3. あ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중설 평순 저모음(/ä/)으로 중설 평순 근저모음인 한국어 ㅏ(/ɐ/)보다 약간 혀가 더 내려간다. 다만 NHK에서 펴낸 한국어 교재에는 'ㅏ'의 발음이 'あ'와 같은 발음이라고 표기됐다. 사실상 구분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차이라는 것.일본어에는 '어' 계열 발음이 없기 때문에 외래어에서 '어'와 유사한 발음이 나는 발음들은 일본어에 들어올 때 주로 あ단으로 적는다. 그리고 영어의 er, or, ar을 모두 あ단으로 적는다. ex) peanut[ˈpiːnʌt] → ピーナッツ. 다만 한국어를 가나로 표기 할 때에는 ㅓ가 원순모음의 경향이 많기 때문에 お단으로 쓴다. ex) 선 → ソン
4. 모양
가타카나 ハ는 숫자 八의 음에서 따왔다. 이 글자는 지금도 비슷하게 ハ를 넣어서 읽는다. 八은 한국어로도 '팔'이라고 읽고, ハ 역시 탁음/반탁음으로는 '바/파'가 나기 때문에 한국인으로서도 외우기 간편하다.
히라가나 は는 파도 파(波)에서 따왔고 이 역시 지금도 は라고 읽는다. 왼쪽에 세로줄이 있다는 점에서는 ほ, け, に와 공통점이 있다. 그 셋은 각각 保, 計, 仁에서 따왔다. 왼쪽 변에 있는 부수가 선으로 변화한 모양이다.
5. 한자
5.1. 음독
日 | 韓 | 한자 | 韓 | 한자 | 특수 | 日 | 韓 | 한자 | 韓 | 한자 | 특수 | |
ハ | 파 | 把派波破 | 패 | 覇 | バ | 마 | 馬 | 파 | 婆 | |||
매 | 罵 | |||||||||||
ハイ (10) | 배 | 拝輩背俳排 配杯 | 패 | 敗 | バイ (8) | 매 | 売買梅媒 | 배 | 倍培陪賠 | |||
폐 | 肺廃 | |||||||||||
ハク (9) | 박 | 拍泊舶迫剥 薄博[3] | 백 | 白伯 | バク (6) | 막 | 漠幕 | 박 | 縛 | |||
맥 | 麦 | 폭 | 爆暴[4] | |||||||||
ハチ | 발 | 鉢[5] | 팔 | 八 | ||||||||
ハツ | 발 | 髪発[6] | バツ | 벌 | 伐罰閥 | 발 | 抜 | 말(末) | ||||
ハン (25) | 반 | 半伴畔反飯 班斑般搬頒 | 판 | 坂阪板版販 判 | バン (5) | 만 | 晩蛮万 | 반 | 盤 | |||
번 | 煩繁藩 | 범 | 帆汎氾犯範 凡[7] | 번 | 番 |
한국 한자음으로 '파', '패' 에 해당하는 글자들이 주로 は로 읽는다. 앞서 유래가 된 波, 그리고 破, 派, 覇 등등. 반면 한국 한자음으로 '하'인 한자들은 주로 カ로 읽기에 ハ로 읽는 경우는 별로 없다(下, 夏, 河 등등). 음독일 경우 대체로 한자로 쓰고 가나로 쓰는 일은 드물지만 '파충류(爬蟲[8]類)'처럼 해당 글자가(爬) 상용한자에 없는 경우에는 ハ虫類라고 가나로 쓰기도 한다.
5.2. 훈독
대략 60개 정도의 형태소가 표 내에 배당되어있다.5.2.1. 명사
- は(葉): 잎
- は(刃): 칼날
- は(歯): 이빨
- は/はし/はた(端): 끄트머리
- はい(灰): 재
- はか(墓): 묘
- はがね(鋼): 강철
- はこ(箱): 상자
- はし(橋): 다리
- はし(箸): 젓가락
- はしら(柱): 기둥
- はた(旗): 깃발
- はた(機): 베틀
- はだ(肌): 피부
- はた/はたけ(畑): 밭
- はだか(裸): 나체
- はち(蜜): 벌(곤충)
- はな(鼻): 코
- はな(花): 꽃
- はね/は(羽): 날개
- はは(母): 엄마
- はば(幅): 폭
- はま(浜): 해변
- はやし(林): 숲
- はら(腹): 배(신체)
- はら(原): 들판
- はり(針): 바늘
- はる(春): 봄
5.2.2. 동사
- はいる(入る): 들어가다
- は-える(映える/栄える): 빛나다
- はえる/はやす(生やす): 기르다
- はがす/はぐ/はがれる/はげる(剥がす): (표면을) 벗기다
- はか-る/はか-らう(計る/図る/測る/謀る/量る/諮る): 재다, 논의하다
- はく(履く): 밟다
- はく(掃く): 쓸다
- はく(吐く): 토하다
- はぐく-む(育む): 기르다
- はげむ/はげます(励む): 격려하다
- はこ-ぶ(運ぶ): 옮기다
- はさ-む/はさ-まる(挟む): 끼우다
- はじめ/はつ/はじめる/はじまる(初め/始める): 시작하다
- はしる(走る): 달리다
- はず-す/はず-れる(外す): 빠지다
- はずむ(弾む): 튀다
- は-たす/は-てる/はて(果たす): 끝나다
- はたらく(働く): 일하다
- はなす(話す): 말하다
- はなす/はなつ/はなれる(離す/放す/放つ): 내치다
- はねる(跳ねる): 도약하다
- はばむ(阻む): 막다
- はぶく(省く): 덜다
- はらう(払う): (돈을) 내다
- はる(張る): 뻗다
- はる(貼る): 붙이다
- はれる/はらす(腫らす): 붓다
- はれる/はらす(晴らす): 맑다
5.2.3. 형용사/부사 등
- はげ-しい(激しい): 격하다
- はじ/はじる/はじらう/はずかしい/はずかしめる(恥ずかしい/辱める): 부끄럽다
- はなはだ/はなはだしい(甚だ): 매우
- はなやかだ(華やかだ): 화려하다
- はやい/はやまる/はやめる(早い/速い): (속도나 시간이) 빠르다
6. 한글 표기
무난하게 '하'로 쓰인다. 반탁음은 외래어 표기법에서도 청음인 か, た와 달리 격음 'ㅍ'으로 표기하도록 규정되어 있다.단, 조사의 경우 (は로 쓰고 /wa/로 읽는 경우)에는 따로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원칙 상 조사일 경우에도 무조건 '하'로 적어야 한다. 표음주의를 우선시하는 외래어 표기법에 정면으로 충돌하는 부분. 일본어에 대해서는 장음과 같은 경우를 제외하고는[9] 현대 가나 표기법(現代仮名遣い)이 표음적이리라고 믿고 특별히 발음을 고려하지 않은 채 글자 대 글자의 대응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역사적으로 '쓰긴 이렇게 쓰되 다르게 읽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이나 조사에서의 예외 등은 반영되지 않은 상태이다.
실제로는 こんにちは 등, は가 조사로 쓰인 대부분의 경우에서는 '곤니치하'가 아닌 '곤니치와'라고 적는 등 조사인 경우에 한해서 '와'로 적는 것이 절대다수이다. 그런데 반대로 다른 경우에 대해서는 일본어 표기법이 대체로 글자 대 글자의 대응을 보이므로 여기서 쓰인 '와'가 조사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들은 이를 다시 일본어로 적을 때 こんにちわ 등으로 오기할 수 있다는 역효과가 있다.
7. 발음
무성 성문 마찰음(/h/)이다. 탁음이 붙으면 유성 양순 파열음(/b/)이 되고 반탁음이 붙으면 무성 양순 파열음(/p/)이 된다. 청음/탁음이 완전히 다른 계열이 되는 글자이다.그러나 로마자로 fa라고 쓰기 때문에 서양 외국인들은 /f/로 착각하여 발음하기도 한다.
ひ는 무성 경구개 마찰음(/ç/), ふ는 양순 마찰음(/ɸ/)으로 다르지만[10] 나머지 へ, ほ와는 자음 발음이 같다. 이는 た행과 유사하다.
그러나 주격 조사로 쓰일 때는 /wä/로 읽는데 이는 순음퇴화 때문이다. 원래 は행 글자들은 /p/ 소리를 내다가 1000년 동안 계속 붕괴되어 어두에서는 /h/나 /ɸ/, 어중에서는 /w/ 소리를 내게 변화하게 됐다. 1946년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는 이 중 /w/로 변한 소리들은 わ행으로 적게 하였다. (をはり → おわり) 이 규칙에 따르면 조사 は는 얄짤없이 わ라고 적게 될 운명이었다. 하지만 조사는 너무 자주 쓰이니 바꾸면 생소할 것 같아 그대로 뒀고, 조사 は만 /w/ 소리를 내는 유일한 は로 남게 되었다. へ가 조사일 때는 /e/인 것도 같은 이유에서이다.
이런 일련의 순음퇴화로 인해서, 역사적 가나 표기법의 ハ행 부분을 써진 것과 다르게 읽는 현상을 일본어 문법 용어로는 'ハ행 전호음(ハ行転呼音)'이라고 한다.
위에서도 잠깐 언급되었지만, 이로 인해 주로 일본어를 처음 막 배운 사람들이 조사 사용시에 わ와 자주 틀리기도 하는 문자이다. 보다 보면 이상하게 문법이나 한자 사용 등은 모두 완벽한데 꼭 조사를 わ로 오기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가나를 로마자 키보드로 입력할 때 조사 여부에 상관 없이 は는 [ha]로 입력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は가 조사에서 [wa]발음이 나므로 생각 없이 무심코 그대로 wa를 입력하여 생기는 실수이다.
순음퇴화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과거의 わ는 わ대로 퇴화해서 /a/ 음이 되어버렸고 이들은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 あ로 변환됐기 때문에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 어중에 わ라고 쓰는 단어들은 과거에 は라고 썼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 탓에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도 は는 わ와 이상한 악연(?)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原는 분명 하라(はら)라고 읽는 거 같은데 藤原는 '후지와라'(ふじわら)라고 읽는다든지, 새를 세는 단위인 羽는 わ라고 읽는데 三羽는 아무리 탁음화가 된다지만 갑자기 さんば가 된다든지, '難波'를 난바(なんば)로도 읽지만 나니와(なにわ)라고도 읽을 수 있다든지 등등... 원래 어중, 어말에 は행은 わ행으로 읽었으나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 발음과 표기를 일치시키면서 생긴일이다.
8. 쓰임
한국어의 은/는과 비슷한, 화제를 나타내는 조사로 쓰인다. 앞서 말했듯이 이때는 /wa/로 읽는다. こんにちは와 같은 인사 역시 今日(오늘) + は(은)의 조합[11]으로 は를 조사로 볼 수 있기 때문에 は여도 /wa/로 읽는다. 저녁인사인 こんばんは도 今晩(오늘 저녁) + は로 마찬가지이다.어이없거나 황당한 것을 봤을 때 쓰기도 한다. 'は?' 이런식으로 쓰이며 한국어론 '뭐?' 아니면 '어째서?' 정도이며 또한 긍정의 의미도 있다. 한국어로 하면 '응...' 정도로 'はい'보다는 격식이 낮으며 친구에게 사용하는 빈도가 높다.
[1] 탁음 ば일경우 바로, 반탁음 ぱ일 경우 파로 표기한다.[2] 무성 성문 마찰음 + 중설 평순 저모음[3] 博労(ばくろう), 博徒(ばくと)에서 탁음이다.[4] 暴露(ばくろ, 폭로)에서만. 보통은 ボウ이다. 한국 한자음에서도 '포/폭' 둘 다 있기는 하나 일본어에서의 ボウ/バク와 똑 대응되지는 않는다.[5] 衣鉢(いはつ)에서는 ハツ이다.[6] ホツ로도 읽는다.[7] 凡例(はんれい, 범례)에서만. 보통은 ボン이다.[8] 신자체로는 虫.[9] とう와 とお의 경우에는 히라가나가 う와 お로 달라지지만 실제 발음이 둘 다 /とː/라는 사실을 감안하여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도'로 동일하게 적는다.[10] 각각 전설 고모음과 원순모음때문에 그렇다.[11] 본래 '오늘은 어떠십니까?'와 같은 식의 인사말이 '오늘은'으로 줄어서 만들어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