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가나 오십음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olbgcolor=#eee,#2d2f34> | あ단 | い단 | う단 | え단 | お단 | |
あ행 | あ | い | う | え | お | ||
か행 | か | き | く | け | こ | ||
さ행 | さ | し | す | せ | そ | ||
た행 | た | ち | つ | て | と | ||
な행 | な | に | ぬ | ね | の | ||
は행 | は | ひ | ふ | へ | ほ | ||
ま행 | ま | み | む | め | も | ||
や행 | や | ゆ | よ | ||||
ら행 | ら | り | る | れ | ろ | ||
わ행 | わ | ゐ | ゑ | を | |||
ん | ん | ||||||
기타 | 탁점 · 요음 · 촉음 · ヴ · ヶ, ヵ | }}} | * 음영 처리: 현대에 잘 쓰이지 않거나 쓰지 않는 가나 * 둘러보기: 틀:히라가나 · 틀:가타카나 |
1. 개요
히라가나 | 가타카나 |
'''も''' | <colbgcolor=white,#1f2023> '''モ''' |
국립국어원 표기법 | 모 |
라틴 문자 표기 | mo |
IPA | [mo̞][1] |
히라가나 자원 | 毛의 초서 |
가타카나 자원 | 毛의 약자 |
일본어 통화표 | もみじのモ(모미지노 모) |
유니코드 | U+308(E)2 |
일본어 모스 부호 | -・・-・ |
2. ま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양순 비음으로, 비음의 특성상 거의 유성음이며 탁음은 없다. 양순음이라는 점에서는 ば/ぱ행과 유사하다.일본 한자음 중 오음으로 ま행인 게 한음으로는 ば행인 것들이 있다. 이런 한자들은 한국 한자음에서는 대체로 오음과 같이 ㅁ으로 읽는 글자들이 많다. 전반적으로 한음 ば행이 우세하지만, 늘 그렇지는 않다.
3. お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후설 원순 중모음(/o̞/)으로 ㅗ(/o/)와 비슷하다.お단은 장음을 -お와 -う 두 가지 방법으로 적을 수 있다. 이 문서 も의 경우 もお로 적는 일은 그다지 없고 주로 もう로만 적는다.
4. 모양
둘 다 毛의 음에서 왔다. 현재는 장음이 되어서 もう라고 읽는다.
가타카나와 히라가나의 모양이 꽤 닮은 편이다. 조금 직선화한 느낌. 하지만 구분이 안 될 정도까지는 아니다.
히라가나 ま에서 꼬리를 바꾼 듯한 모양이기도 하다. ま의 유래가 된 末과도 아주 다르게 생기지는 않은 편. 원래 글자인 毛가 끝에 갈고리(적;翟)가 있는 글자인 만큼 꼬리가 달려있다. 이는 む(武) 역시 마찬가지. 가타카나는 한자 乇(부탁할 탁)과 닮았다.
헤노헤노모헤지에서는 코 역할을 하고 있다.
5. 발음
'모'라고 읽는다.우리나라에선 '음메'라고 적는 소 우는 소리를 일본어로는 も라고 적기도 하는 듯.
6. 쓰임
6.1. ~도
'~역시 그렇다' 라는 뜻으로 も를 쓴다. '그래도' 같은 표현에서도 똑같이 적용돼서, でも라고 쓴다. '~도~도' + (주로 부정형)의 표현이 일본어에는 꽤 많다. ねてもさめても(자나깨나), よるもひるも(밤낮으로), みもよもない(체면이고 뭐고 없다) もともこもない(원금도 이자도 없다;깡그리 잃었다) 등. 한국어로 치면 '이도저도', '오도가도' 같은 식의 표현이다.6.2. ~이나
예상한 것보다 많을 때 쓰는 '~이나' 역시 일본어로는 も라고 쓴다. ex) 세 번이나 - 三度も6.3. もう
'이제', '정말', '조금' 등등 다양한 뜻[2]을 나타내는 부사. 줄여서 も라고 쓰기도 한다. 本当(ほんとう)를 ホント라고 줄여서 쓰는 것과 비슷하다. 한국어에는 이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단어가 없다 보니 오역되는 경우가 많다[3].위에 적었듯이 소 우는 소리를 も라고 적기 때문에 엮어서 놀리는 농담도 있다.
7. 한자
7.1. 음독
お단이 가끔 그렇듯이 단음 モ와 장음 モウ가 따로 있다. 한국 한자음에서 늘 'ㅁ'에 대응되며 대개 '모/무' 꼴이다.日 | 韓 | 한자 | 특수 |
モ | 모 | 模 | 무(茂) |
モウ | 망 맹[4] | 網妄望亡[5] 盲猛 | |
모 | 毛耗 | ||
モク | 목 | 目木 | 묵(黙) |
モツ | 물 | 物 | |
モン | 문 | 文紋門問聞 |
7.1.1. も vs. ぼ
ま행답게 ば행으로도 읽는 글자들이 몇 있다. 주로 も/ぼ가 대립하지만, ぶ로 읽을 때도 있다. 한국 한자음에서는 대체로 ㅁ으로 읽는다.- 模(もぼ):規模(きぼ) 模様(もよう)
- 物(もつぶつ): 貨物(かもつ) 万物(ばんぶつ)
- 文(もんぶん) 縄文(じょうもん) 古文(こぶん)
- 聞(もんぶん): 風聞(ふうもん) 新聞(しんぶん)
- 亡(もうぼう): 亡者(もうじゃ) 亡命(ぼうめい)
- 望(もうぼう): 大望(たいもう) (たいぼう도 됨)
- 母(もぼ): 雲母(うんも)
7.2. 훈독
그렇게 많지 않다. 인터넷 은어로는 喪(상복 상)의 훈 も가 자주 쓰이는데, 뜻은 상관 없고 보통 モテない男/女의 줄임으로 喪男(모오)/喪女(모조)라는 표현을 쓴다. モテる는 아마 持つ에서 온 것 같으니 어원적으로는 持를 써야겠지만...•喪:も
•萌:も-える(싹튼다.'🌱')
•申:もう-し(여보세요.;hello)
•盛:も-り
•望,餅:もち(떡)
•元,本:もと(으뜸,밑)
•物:もの(물건)
•紅葉:もみじ(단풍;maples)
•百,桃:もも(100,복숭아🍑;peach)
•森,守:もり(빽빽한,지킬)
•諸:もろ(여럿이;blocks)
8. 기타
스모모모모모모 ~지상 최강의 신부~(すもももももも ~地上最強のヨメ~ )라고 제목에 も가 엄청 많이 들어가는 만화책이 있다. すもも(자두)나 もも(복숭아)나 둘 다 も가 두 개씩 들어가는 데다가 '~도'라는 뜻의 も가 들어가면 スモモもモモも(자두도 복숭아도) 라는 식으로 も를 여섯 번이나 연달아서 쓸 수 있는 것. 일본어에서는 조사에서 억양이 꺾이기 때문에 이를 통해 조사인지 아닌지를 들어서 파악할 수 있다.[1] 유성 양순 비음 + 후설 원순 중모음인데 정확히는 ɤ̞와 o̞의 중간이다.[2] 굳이 그 어감을 한국어로 더 세밀하게 표현하면, '지금 시점에서는', '이제는', '여기서 더' 등에 가깝다. 이런 점에서 특이하게도 영어의 yet이나 already와 거의 뜻과 용법이 겹친다.[3] もう起きた?(이제 일어났니?)를 '벌써 일어났니?'나 '이미 일어났니?' 등으로 일괄적으로 번역한다든지.[4] 이 탭에 있는 글자들은 대개 본래 역사적으로 マウ였다가 후행 음절에 동화되어 モウ가 된 것이다.[5] '亡者'(망자;もうじゃ)만 モウ로 읽고 그 외에는 ボウ로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