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1. 개요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레이팅=HarderFeatured, 이름=dorabae-basic12, 유저명양식=by DORABAE, 유튜브=9OeiBR_djLQ, 설명=DORABAE-BASIC12,
ID=12640404, 비밀번호=121214, 길이=1분 8초, 오브젝트수=17\,130, 버전=2.0,
별=6, 코인=3,
사운드트랙1=NightKilla - Sine Wavs,
연작이름=dorabaebasic 시리즈, 연작문서명=Geometry Dash/온라인 레벨/시리즈, 연작문서문단=4.2,
이전문서명=Geometry Dash/온라인 레벨/시리즈,이전문서문단=4.2,이전번호=11,이전맵이름=dorabaebasic11,
현재번호=12,현재맵이름=dorabae-basic12,
)]ID=12640404, 비밀번호=121214, 길이=1분 8초, 오브젝트수=17\,130, 버전=2.0,
별=6, 코인=3,
사운드트랙1=NightKilla - Sine Wavs,
연작이름=dorabaebasic 시리즈, 연작문서명=Geometry Dash/온라인 레벨/시리즈, 연작문서문단=4.2,
이전문서명=Geometry Dash/온라인 레벨/시리즈,이전문서문단=4.2,이전번호=11,이전맵이름=dorabaebasic11,
현재번호=12,현재맵이름=dorabae-basic12,
한국인 크리에이터 DORABAE의 첫 2.0 레벨이자 dorabaebasic 시리즈의 마지막 레벨.[1] 표기는 6성이라고 되어있지만[2] 무브 트리거와 알파 트리거 남용 때문에 암기 구간이 많아 실제로는 7~8성의 난이도다. 그래도 일단 암기만 하면 수월하게 할 수 있을 정도로 쉬워지고, 겜플도 상당히 재밌어질 것이다. 당시 레벨치고는 이펙팅에 상당히 신경쓴 흔적이 보인다.[3]
일반적으로 dorabaebasic 시리즈 중에서 가장 어렵다고 평가받는다.
2. 구간
1. 시작 큐브 구간(0~18%) |
시작부터 쉽지 않은 큐브 타이밍 구간으로 출발한다. 특히 10% 부터 나오는 초록 공점들 타이밍은 최대한 늦게 눌러야 한다. 게다가 안 보이는 가시밭들이 있다.
2. 드롭 전 비행 구간(18~28%) |
움직이는 장애물들만 피하면 돼서 이 레벨에서는 할 만한 편이다. 이 곳에 첫 번째 코인이 있다.
3. 드롭 전 볼 구간(28~37%) |
이 부분도 암기만 하면 쉬운 구간이다. 다만 30% 정도에 있는 후광은 전부 가시밭이니 피할 것. 그리고 공점 갑툭튀도 있어서 조심해야한다.
4. 드롭 직전 곡의 분위기가 달아오르는 큐브 구간(37~45%) |
눈에 보이는 대로 공점만 누르고 가시 한 개만 피하면 되는 이 레벨에서 제일 쉬운 구간. 이 곳에 두 번째 코인이 있다.
5. 드롭 로봇 구간(45~68%) |
로봇 구간인데, 눌렀다 떼는 것을 잘 해야 한다. 게다가 51%에 순간이동 포탈 갑툭튀도 있어서 조심해야 한다. 그 뒤에 나오는 미니 로봇은 앞에 나온 로봇보단 쉬운 편이다.
6. 웨이브 구간(69~80%) |
무브 트리거가 설정되어있는 장애물만 외우면 쉬운 편이다. 왜냐하면 간격이 널널하기 때문이다.
7. 문제의 UFO 구간(80~90%) |
이 레벨의 하디스트 구간이다. 안 그래도 무브 트리거로 떡칠되어 있어 외우기가 어려운데, 83~85%의 경사면 구간은 안 보이는 히트박스로 되어있는 데다가 움직이기까지 한다.
8. 엔딩 큐브 구간(90~100%) |
저속 큐브 구간이다. 순간이동 포탈의 위치만 외우면 어렵지 않다. 이 곳에 세 번째 코인이 있다.
3. 유저 코인
4. 여담
- 53%, 64~65%, 76~77% 구간에 배경이 하얀 색과 검은 색으로 반짝이니 광과민성 발작에 주의.
- dorabaebasic 시리즈 중에서 유일하게 -(하이픈)이 존재하는 레벨이다.[6] 그래서 제목으로 검색이 불가능하고 레벨 ID로 검색해야한다.
[1] DORABAE의 마지막 레벨은 아니다. DORABAE의 마지막 레벨은 2-Player Mode를 활용한 퀴즈 레벨인 dorabae-quiz. 물론 랜덤 트리거 없던 시절이라 답을 걍 외우면 된다[2] 제작자는 5성을 요청했다.(...)[3] 2.1에 등장한 Rotate 트리거 등도 구현되었으며 로봇 구간은 입이 떡 벌어질 정도로 뛰어난 이펙팅을 보여준다.[4] 타이밍들을 다 외웠다면:
[5] 타이밍들을 다 외웠다면:
[6] 원래 초창기에 나온 dorabaebasic 시리즈들은 다 필터링을 이용한 하이픈이 존재했다. 이후 필터링으로 하이픈이 아닌 그냥 공백을 출력하게 바뀌면서 다른 dorabaebasic 시리즈에서는 하이픈이 다 사라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