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ff863d,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280deg\, #411113\, #a04932\, #ff863d\, #fce170),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a04932,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ff863d,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a04932, 2단계글자색=white,
이름=VSC, 유저명양식=by BoBoBoBoBoBoBo & Woom\, verified by Yossarian, 유튜브=ewlMbTR-c_w, 설명=Verified by Yossarian,
ID=60805571, 비밀번호=없음(복사 가능), 길이=16초, 오브젝트수=24\,637, 버전=2.1,
현상태=베리파이 됨, 예상난이도=Slaughterhouse 이상, 예상난이도주석=베리파이 당시 가장 어려운 레벨이었다.,
사운드트랙1=Waterflame - Stalker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280deg\, #411113\, #a04932\, #ff863d\, #fce170),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a04932,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ff863d,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a04932, 2단계글자색=white,
이름=VSC, 유저명양식=by BoBoBoBoBoBoBo & Woom\, verified by Yossarian, 유튜브=ewlMbTR-c_w, 설명=Verified by Yossarian,
ID=60805571, 비밀번호=없음(복사 가능), 길이=16초, 오브젝트수=24\,637, 버전=2.1,
현상태=베리파이 됨, 예상난이도=Slaughterhouse 이상, 예상난이도주석=베리파이 당시 가장 어려운 레벨이었다.,
사운드트랙1=Waterflame - Stalker
Woom과 Bo가 제작한 챌린지. 레벨의 이름은 Veri Subbo Challenge의 약자이다.
1.1. 상세
가장 유명한 챌린지 맵 중 하나로, 매우 짧은 길이와 암전, 그리고 정신나간 웨이브 간격을 가진 맵이다. 얼마나 극악인 난이도로 만들어졌는지 대략 20초 정도 길이를 가진 맵 안에 60fps 프레임 퍼펙트 61개가 들어있다.[1] 아케론 정도의 오버롤 난이도를 16초 길이 안에 욱여넣었다는 소리. 사실상 대부분의 클릭을 프레임에 맞추어 정확하게 해내야만 클리어 할 수 있다.][2]The Golden의 제작자들이 만든 챌린지로 유명해졌으며, 길이가 짧음에도 단순 난이도로 The Golden을 압도한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때는 아예 Geometry Dash에서 합법적으로 베리파이된 모든 온라인 레벨들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맵이라는 소리를 들었다. 클리어자가 늘어나며 현재는 Slaughterhouse보다 근소하게 어렵다는 게 중론인데, 이 평가가 맞다면 베리파이 당시에는 정말로 서버에서 가장 어려운 맵이 맞았던 것이다.
2. 구간
0~17% |
1단 가속 웨이브로 시작한다. 첫 3번의 클릭과 릴리즈가 모두 프레임 퍼펙트이다. 하지만 그 뒤도 가관이다. 5번 빠르게 연타하여 지나가야 하는데, 처음 4번의 클릭과 릴리즈가 모두 프퍼펙이다. 정말 악랄한 도입부를 가졌다. 다음은 중력 반전 1자 웨이브인데, 정확히 1자가 아니라 조금 기다렸다가 프퍼펙 타이밍으로 떼야 한다. 그 다음 누르고 다시 중력반전, 3번 크게 눌러서 지나갈 수 있다.
17~34% |
다음은 또 악랄한 연타가 나온다. 원래는 4번 연타하여 지나가는 것이 정루트이지만, 60fps 환경에서는 불가능하여 5번 눌러 지나가야 한다.[3] 그 다음 미니 웨이브 크게 4번 클릭, D블럭을 이용해 바닥을 살짝 스치면서 클릭해야 한다. 다음 릴리즈가 프퍼펙인데, 가시가 위아래 크게 떨어져 있어 타이밍을 잡기 힘들다. 다음 톡 누르고 바로 꾹 눌러야 하는데, 둘 다 누르는 타이밍이 프퍼펙이다. 그리고 프퍼펙 타이밍으로 떼주면 넘어갈 수 있다.
34~46% |
감속 웨이브이다. 다시 아까 전과 비슷하게 톡 누르고 바로 꾹 누른 다음 릴리즈 프퍼펙 2연속, 다음 프퍼펙 4개가 섞인 연타를 해주고 바로 또 연타해야 한다. 다음 일정하게 4번 연타[4], 크게 떨어졌다가 중력반전 포탈 위치에 맞춰 미니웨이브 클릭, 그리고 기울어진 연타를 하고 나면 다시 1단 가속 상태로 전환된다.
46~57% |
시작부터 좁은 미니웨이브 프퍼펙 2연타를 해야 한다. 다음 일반 웨이브 3번 클릭하고 중력반전, 릴리즈 프퍼펙 이후 중력 반전 1자 웨이브, 이후 텔레포트 포탈을 타면 된다.
57~77% |
일정하게 4번 연타한 후 부서지는 블럭에 맞춰 2번 클릭, 다음 크게 2번 클릭하고 바로 뗐다가 누르는 게임플레이도 들어있다. 이후 2번 클릭하고 아찔한 간격의 릴리즈 프퍼펙, 부서지는 블럭 3연타, 이후 4번의 클릭과 릴리즈가 전부 프퍼펙인 구간을 지나가면 된다.
77~89% |
꾹 눌렀다 떼야 하는데 클릭과 릴리즈가 모두 프퍼펙인 구간을 지나가야 한다. 다음 또 부서지는 블럭에 맞춰 2번 클릭, 약간 길게 릴리즈했다가 3번 클릭하고 다시 약간 길게 눌렀다가 릴리즈 프퍼펙, 그리고 마지막 웨이브 프퍼펙 클릭을 하면 큐브 모드로 바뀌고 가속하며 레벨이 끝난다.
89~100% |
엔딩 아트이다. 큐브 4단 가속으로 변한 후 위에서 GG 문구가 내려오며 클리어. 마지막 3개의 코인은 모두 공짜이다.
3. 역사
3.1. 베리파이 및 순위 변동
Bo가 베리파이해 1위에 등재되었지만 핵으로 밝혀져 잠시 이 레벨이 챌린지 리스트에서 사라졌었다. 이후 2021년 9월 21일 Yossarian이 베리파이해서 다시 1위에 등재되었다.[5]2022년 4월, The Third Variant가 1위에 등재되면서 2위가 되었으나 9월 17일에 TTV가 핵으로 클리어되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6] 다시 1위 자리에 올라섰다.
2025년 4월 25일, 더 어려운 챌린지인 Illusion of hell이 베리파이되고 1위에 등재되며 무려 3년 7개월만에 Top 1 자리를 내주었다.
3.2. 클리어 기록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클리어 기록,테두리색=#ff863d,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280deg\, #411113\, #a04932\, #ff863d\, #fce170),
상단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ff863d,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a04932, 2단계글자색=white,
이름=VSC,
플레이어V=Yossarian, 날짜V=2021. 9. 21., 어템V=154\,153, 영상V=https://www.youtube.com/watch?v=ewlMbTR-c_w,
플레이어1=Diamond, 날짜1=2022. 6. 23., 어템1=197\,384, 영상1=https://www.youtube.com/watch?v=l8J6e4YW8tU,
플레이어2=Conix, 날짜2= 2022. 7. 15., 어템2=425\,969, 영상2=https://www.youtube.com/watch?v=9M7pOPYWou4,
플레이어3=Nev9, 날짜3=2022. 9. 8., 어템3=457\,380, 영상3=https://www.youtube.com/watch?v=C2VhJPw1IQM,
플레이어4=paqoe, 날짜4=2022. 12. 15., 어템4=73\,328, 영상4=https://www.youtube.com/watch?v=1Z5p1gUhLag,
플레이어5=Denni, 날짜5= 2023. 2. 21., 어템5=약 56\,097, 영상5=https://www.youtube.com/watch?v=fGP2hf_p9FQ,
플레이어6=fluxe, 날짜6=2023. 2. 25., 어템6=110\,321, 영상6=https://www.youtube.com/watch?v=H8UJo5UGyXg,
플레이어7=Cursed, 날짜7=2023. 4. 11., 어템7=150\,000+, 영상7=https://www.youtube.com/watch?v=Bq0g-0-vI7k,
플레이어8=Doggie, 날짜8=2023. 5. 3., 어템8=68\,385, 영상8=https://www.youtube.com/watch?v=YWY4zq2bQD0,
플레이어9=Cat enthusiast, 날짜9=2023. 6. 27., 어템9=175\,206, 영상9=https://www.youtube.com/watch?v=k7Y7prG-qPE,
플레이어10=jacksonamore, 날짜10= 2023. 7. 23., 어템10=1\,096\,583, 영상10=https://www.youtube.com/watch?v=gfjSETXbpmA,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280deg\, #411113\, #a04932\, #ff863d\, #fce170),
상단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ff863d,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a04932, 2단계글자색=white,
이름=VSC,
플레이어V=Yossarian, 날짜V=2021. 9. 21., 어템V=154\,153, 영상V=https://www.youtube.com/watch?v=ewlMbTR-c_w,
플레이어1=Diamond, 날짜1=2022. 6. 23., 어템1=197\,384, 영상1=https://www.youtube.com/watch?v=l8J6e4YW8tU,
플레이어2=Conix, 날짜2= 2022. 7. 15., 어템2=425\,969, 영상2=https://www.youtube.com/watch?v=9M7pOPYWou4,
플레이어3=Nev9, 날짜3=2022. 9. 8., 어템3=457\,380, 영상3=https://www.youtube.com/watch?v=C2VhJPw1IQM,
플레이어4=paqoe, 날짜4=2022. 12. 15., 어템4=73\,328, 영상4=https://www.youtube.com/watch?v=1Z5p1gUhLag,
플레이어5=Denni, 날짜5= 2023. 2. 21., 어템5=약 56\,097, 영상5=https://www.youtube.com/watch?v=fGP2hf_p9FQ,
플레이어6=fluxe, 날짜6=2023. 2. 25., 어템6=110\,321, 영상6=https://www.youtube.com/watch?v=H8UJo5UGyXg,
플레이어7=Cursed, 날짜7=2023. 4. 11., 어템7=150\,000+, 영상7=https://www.youtube.com/watch?v=Bq0g-0-vI7k,
플레이어8=Doggie, 날짜8=2023. 5. 3., 어템8=68\,385, 영상8=https://www.youtube.com/watch?v=YWY4zq2bQD0,
플레이어9=Cat enthusiast, 날짜9=2023. 6. 27., 어템9=175\,206, 영상9=https://www.youtube.com/watch?v=k7Y7prG-qPE,
플레이어10=jacksonamore, 날짜10= 2023. 7. 23., 어템10=1\,096\,583, 영상10=https://www.youtube.com/watch?v=gfjSETXbpmA,
2022년 6월 23일, Diamond가 최초로 클리어했으며, 이 맵이 현존하는 가장 어려운 레벨이라고 평가했다.
2022년 7월 15일, 한때 이 맵에 핵을 사용한 것을 자백했던[7] 유저인 Conix가 두 번째로 클리어했다.
2022년 9월 8일, Nev라는 유저가 세 번째로 클리어했다.
2022년 12월 15일, Silent clubstep의 베리파이어 paqoe가 클리어했다. paqoe의 의견에 따르면 Silent clubstep보다도 어렵다고 한다.
2023년 7월 23일에는 JACKSONAMORE라는 유저가 무려 1,096,583어템이라는 역대급 어템 수로 클리어하였다!
2024년 4월 30일에는 DuckMoment라는 유저가 무려 1,743,812어템으로 클리어하여, 단일 온라인 레벨에 쓰인 어템 수 1위를 기록하였다.
2024년 5월 29일, wPopoff가 20000어템도 쓰지 않고 클리어 하였고 얼마 안 있어 다시 한 번 클리어 하였다.
4. 여담
- 무려 챌린지 리스트 1위에 머문 기간이 약 3년 7개월로, 가장 오랫동안 챌린지 리스트 1위를 지키던 레벨이다.[8]
5. 둘러보기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1] 이게 얼마나 정신나간 수치냐면, 2023년에 레이팅 된 맵 중 제일 어려운 맵으로 평가받은 아케론과 아베르누스의 60fps 프레임 퍼펙트 갯수가 각각 63개, 82개이다. 즉, 단순 프레임 퍼펙트 수치로만 계산하자[2] 120fps 프레임 퍼펙트는 3개로, 다른 챌린지들에 비해서 적은 편이긴 하다.[3] 심지어 이 연타에는 프퍼펙이 7개나 섞여있다.[4] 프퍼펙이 5개 섞여있다.[5] 48% 플루크였다고 한다.[6] 사실 핵을 악용한 것이 아니라 의도치 않은 버그였지만 어쩔 수 없게 되었다(...)[7] 20%, 65~100%를 갔었으나 그 이후와 클리어 때 핵을 썼다는 것을 자백했다. 현재 그 당시 영상들은 삭제되어 확인불가.[8] 이 레벨이 베리파이되었을 당시 Pointercrate 1위는 Tartarus, 2위는 Sonic Wave Infinity였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Geometry Dash/온라인 레벨/Hardest Challenge, version=161, uuid=da05ddc2-f1b4-410b-b785-68978dfe367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