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23:39:43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NHI에서 넘어옴
<colcolor=#fff><colbgcolor=#003764>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國家公務員人才開發院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NHI
파일: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_국_상하_1행.svg
설립일 2016년 1월 1일
전신 국립공무원훈련원(1949년 3월 발족)
중앙공무원교육원(1961년 10월 확대개편)
원장 공석
주소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진천캠퍼스)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교학로 30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과천캠퍼스)
경기도 과천시 교육원로 111
상급 기관 인사혁신처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사무3. 역대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장4. 조직5. 여담

1. 개요

공무원 인재개발법 제3조(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① 인사혁신처장 소속으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을 두고, 원장은 정무직(政務職)으로 한다.
③ 인사혁신처장은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장으로 하여금 다른 공무원교육훈련기관 등의 교육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지원하도록 할 수 있다.
④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의 조직, 공무원의 정원,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인사혁신처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16조(직무)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은 「공무원 인재개발법」 제3조제2항에 따른 교육훈련, 연구·개발 및 평가, 교류·협력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파일:중앙공무원교육원 로고.svg
중앙공무원교육원 시절 로고
파일: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MI(2016).svg
대한민국 정부 통합로고를 사용하기 이전의 로고.[1]

인사혁신처 소속의 국가공무원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이다. 주로 국가공무원 신규자 교육 및 재직자 교육, 지방공무원 재직자 교육[2] 등을 담당한다.

다만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등 일부 정부부처는 신규 국가공무원 교육을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 위탁하지 않고 자체 교육을 실시한다. 그 밖에, 지방공무원과 관련하여서는 서울특별시인재개발원 같은 지방자치단체 자체 교육기관이나 행정안전부 소속기관인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이 있다.

중앙공무원교육원의 전신은 1949년 3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에 설립된 국립공무원훈련원이다. 원장은 총무처 장관이 겸임하였고 그 밑에 학감과 교수를 두었다. 1961년 10월 국립공무원훈련원이 중앙공무원교육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74년에 충청남도 대전시 괴정동(현 대전광역시 서구 괴정동 KT대전인재개발원)으로 이전하였다. 1981년 경기도 과천시 정부과천청사로 이전하였다. 2016년 중앙공무원교육원에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본원은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충북혁신도시로 이전하였다. 기존의 과천시 중앙공무원교육원은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과천분원으로 개편되었다.

2. 사무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은 다음 각 호의 사무를 관장한다(공무원 인재개발법 제3조 제2항).
  •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에 대한 교육훈련
    • 5급 이상 공무원 및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공무원
    •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5급공채 신임관리자과정) 또는 경력경쟁채용시험에 합격한 채용후보자
    • 그 밖에 외국공무원 등 인사혁신처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람
  • 다음 각 목의 사항에 대한 연구·개발·평가
    • 공직가치·리더십 등 시대변화에 맞는 국가공무원 인재상 정립
    • 공무원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 공무원의 자기개발 학습을 위한 기반 마련
  • 국내외 공공·민간 교육훈련·연구 기관 등과의 교류·협력

3. 역대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장

파일:정부상징.svg<keepall>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중앙공무원교육원장 (1961~2015)
<nopad> 송요찬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초대
이세규
제2대
정세웅
제3대
서재원
제4대
동흥욱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최규하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5대
김용래
제6대
김형준
제7대
손관호
제8대
손종석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9대
정문화
제10대
황병인
제11대
박해준
제12대
윤한도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13대
윤웅규
제14대
강빈
제15대
박용환
제16대
나승포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제17대
김병호
제18대
김주현
제19대
정채륭
제20대
박명재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21대
이성열
제22대
이승우
제23대
정장식
제24대
윤은기
<nopad> 박근혜 정부
제25대
유영제
제26대
옥동석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장 (2016~현재)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제26대
옥동석
제27대
오동호
제28대
양향자
제29대
박춘란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30대
최창원
제31대
신영숙
제32대
김채환
}}}}}}}}} ||

<rowcolor=#fff>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송요찬 내각 초대 이세규 (李世圭) 1961년 10월 6일 ~ 1964년 1월 17일
박정희 정부 2대 정세웅 (鄭世雄) 1964년 1월 18일 ~ 1972년 9월 25일
3대 서재원 (徐載元) 1972년 10월 5일 ~ 1974년 4월 29일
4대 동홍욱 (董弘旭) 1974년 4월 30일 ~ 1975년 8월 17일
5대 김용래 (金庸來) 1975년 8월 18일 ~ 1980년 6월 8일
최규하 정부 6대 김형준 (金瀅駿) 1980년 6월 9일 ~ 1982년 12월 21일
전두환 정부 7대 손관호 (孫瓘鎬) 1982년 12월 27일 ~ 1987년 7월 1일
8대 손종석 (孫鐘奭) 1987년 8월 10일 ~ 1988년 12월 12일
9대 정문화 (鄭文和) 1988년 12월 13일 ~ 1990년 9월 26일
노태우 정부 10대 황병인 (黃秉印) 1990년 9월 27일 ~ 1993년 3월 3일
문민정부 11대 박해준 (朴海俊) 1993년 3월 4일 ~ 1993년 12월 27일
12대 윤한도 (尹漢道) 1993년 12월 28일 ~ 1994년 12월 25일
13대 윤웅규 (尹雄圭) 1994년 12월 26일 ~ 1995년 12월 25일
14대 강빈 (姜彬) 1996년 1월 4일 ~ 1998년 3월 8일
국민의 정부 15대 박용환 (朴容丸) 1998년 3월 9일 ~ 2000년 1월 26일
16대 나승포 (羅承布) 2000년 1월 27일 ~ 2001년 3월 26일
17대 김병호 (金炳浩) 2001년 4월 2일 ~ 2002년 7월 18일
18대 김주현 (金住炫) 2002년 7월 19일 ~ 2003년 3월 2일
참여정부 19대 정채륭 (丁采隆) 2003년 3월 3일 ~ 2003년 8월 11일
20대 박명재 (朴明在) 2003년 8월 12일 ~ 2006년 3월 31일
21대 이성열 (李星烈) 2006년 4월 7일 ~ 2007년 8월 23일
22대 이승우 (李升雨) 2007년 8월 31일 ~ 2008년 1월 7일
이명박 정부 23대 정장식 (鄭章植) 2008년 3월 8일 ~ 2010년 2월 7일
24대 윤은기 (尹恩基) 2010년 5월 13일 ~ 2013년 4월 18일
박근혜 정부 25대 유영제 (劉永濟) 2013년 4월 18일 ~ 2015년 2월 26일
26대 옥동석 (玉東錫) 2015년 5월 12일 ~ 2017년 7월 18일
문재인 정부 27대 오동호 (吳東浩) 2017년 7월 18일 ~ 2018년 8월 31일
28대 양향자 (梁香子) 2018년 8월 31일 ~ 2019년 8월 1일
29대 박춘란 (朴春蘭) 2019년 10월 2일 ~ 2021년 6월 9일
30대 최창원 (崔彰沅) 2021년 6월 10일 ~ 2022년 6월 21일
윤석열 정부 31대 신영숙 (申英淑) 2022년 6월 23일 ~ 2023년 7월 2일
32대 김채환 (金彩煥) 2023년 7월 3일 ~ 2024년 12월 26일

4. 조직

보통 차관급 기관은 고공단 가급 부서가 있는데 여긴 하나도 없다.

5. 여담

  • 이후, 2020년 2월 15일 1차 전세기로 입국해 2주간의 임시 격리 생활을 했던 우한 교민 173명이 격리해제되어 퇴소했다.
  • 대한민국 정부의 공무원 교육 통합 플랫폼인 나라배움터를 운영하고 있다.

[1] 2016년에 명칭을 변경한 직후부터 사용했지만 바로 그 해에 정부상징으로 통합되었다.(...)[2] 신규 지방공무원의 교육은 지자체 관할이다.[차관급] [나급] [4급] [3~4급] [나급] [3~4급] [4급] [4급] [나급] [3~4급] [나급] [4급] [전문임기제] 가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