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 | <colbgcolor=#fff> 지역예선 | <colbgcolor=#ffffff,#191919>1차예선 2차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3차예선 (A조 · B조 · C조 · 평가) PO GS (A조 · B조) PO KS 대륙간PO |
| 지역예선 |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PO 대륙간PO | |
| 지역예선 | 1차예선 2차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최종예선 (A조 · B조 · C조) 대륙간PO | |
| 지역예선 | 2023년 · 2024년 · 2025년 대륙간PO | |
| 지역예선 | 1차예선 2차예선 (A조 · B조) 최종예선 대륙간PO | |
| 지역예선 |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 J조 · K조 · L조 PO | |
| 조 추첨 | }}}}}}}}}}}} | ||
1. 개요
| <rowcolor=#fff> 순위 |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 1 | | 이집트 | 10 | 8 | 2 | 0 | 20 | 2 | +18 | 26 |
| 2 | | 부르키나파소 | 10 | 6 | 3 | 1 | 23 | 8 | +15 | 21 |
| 3 | | 시에라리온 | 10 | 4 | 3 | 3 | 12 | 10 | +2 | 15 |
| 4 | | 기니비사우 | 10 | 2 | 4 | 4 | 8 | 10 | -2 | 10 |
| 5 | | 에티오피아 | 10 | 2 | 3 | 5 | 9 | 14 | -5 | 9 |
| 6 | | 지부티 | 10 | 0 | 1 | 9 | 5 | 33 | -28 | 1 |
| <rowcolor=#000,#fff> ■ 본선 진출 | ■ 탈락 | ||||||||||
2026 FIFA 월드컵의 아프리카 지역예선 A조에 대해 정리한 문서.
2. 전력 분석
2강(이집트·부르키나파소)-1중(기니비사우)-3약(시에라리온·에티오피아·지부티)으로 요약할 수 있는 조이다. 이집트가 비록 탑시드이고 본선 진출 가능성은 가장 높으나, 최근 지역 대회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는 부르키나파소와의 전력 격차가 크지 않아 만만찮은 경쟁이 예고된다. 이집트는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모하메드 살라 이후의 스쿼드를 구성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으며, 베르트랑 트라오레, 당고 와타라 등의 부르키나파소의 젊은 공격진들의 도전을 막아내야 할 것이다. 그래도 2023년 상반기까지의 전적은 나쁘지 않았고 벨기에한테도 2:1로 승리를 거뒀던 전적이 있는 만큼 실수를 줄이면 부르키나파소의 추격을 뿌리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이 조에서 기존 월드컵에서 본선에 진출한 적이 있는 팀은 이집트 뿐이다.최근 신예들을 배출하고 있는 복병 부르키나파소는 이집트에게 도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전술한 트라오레와 와타라 외에도 에드몽 탑소바라는 걸출한 수비자원까지 갖추었기에 이집트를 잘 추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니비사우는 이들에 비하면 명백히 약체이지만 나머지 약체들은 확실히 잡을 수 있는 실력을 갖춘 팀이며, 이집트와 부르키나파소를 상대로 좋은 내용을 보인다면 조 2위를 기대할 수 있다.
지난 예선에서는 라이베리아에게 페널티킥 실축 끝에 무너진 시에라리온 역시 꽤 탄탄한 스쿼드가 있으며 주장 스티븐 코커와 QPR의 오스만 카카이, 그리고 토트넘 유스 출신인 칼럼 시세이가 주축이 되어 줄 것으로 보인다.
2014년 최종예선까지 진출한 에티오피아 역시 눈여겨볼 가치가 있는 팀이며 지난 예선에서 역시 가나와 무승부를 거두고 자신들보다 높은 시드를 받은 짐바브웨를 누르고 3위를 차지한 저력이 있기에 방심할 수 없다.
지부티는 피파랭킹 190위권 국가로 특별한 반전을 만들기는 어려워보이며 승점자판기의 역할을 할 공산이 높다.
==# 각 팀간 전적 #==
- 부르키나파소 vs 기니비사우
- 역대 전적: 2전 2승 부르키나파소 우세
- 최근 맞대결: 2018년 3월 22일 친선경기 2:0 부르키나파소 승 (프랑스, 리메일-브레반)
- 이집트 vs 지부티
- 역대 전적: 2전 2승 이집트 우세
- 최근 맞대결: 2008년 10월 12일 FIFA 월드컵 아프리카지역 2차예선 12조 6차전 2경기 4:0 이집트 승 (이집트, 카이로)
- 에티오피아 vs 시에라리온
- 전적 없음
- 지부티 vs 기니비사우
- 전적 없음
- 시에라리온 vs 이집트
- 역대 전적: 2전 1승 1무 시에라리온 우세
- 최근 맞대결: 2011년 9월 3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G조 5차전 1경기 2:1 시에라리온 승 (시에라리온, 프리타운)
- 에티오피아 vs 부르키나파소
- 역대 전적: 4전 2승 1무 1패 부르키나파소 우세
- 최근 맞대결: 2022년 1월 17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A조 5-1경기 1:1 무승부 (카메룬, 바푸삼)
- 시에라리온 vs 지부티
- 전적 없음
- 기니비사우 vs 에티오피아
- 전적 없음
- 이집트 vs 부르키나파소
- 역대 전적: 7전 5승 2무 이집트 우세
- 최근 맞대결: 2017년 2월 1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4강 1경기 1:1 무승부, 승부차기 3:4 이집트 승 (가봉, 리브르빌)
- 부르키나파소 vs 시에라리온
- 역대 전적: 1전 1승 시에라리온 우세
- 최근 맞대결: 1996년 1월 15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B조 1차전 2경기 2:1 시에라리온 승 (남아프리카 공화국, 블룸폰테인)
- 기니비사우 vs 이집트
- 역대 전적: 1전 1승 이집트 우세
- 최근 맞대결: 2022년 1월 15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D조 4경기 1:0 이집트 승 (카메룬, 가루아)
- 지부티 vs 에티오피아
- 역대 전적: 16전 15승 1무 에티오피아 우세
- 최근 맞대결: 2019년 8월 4일 아프리칸 네이션스 챔피언십 중동지역 1차예선 2차전 3경기 1:0 에티오피아 승 (지부티, 지부티시티)
- 부르키나파소 vs 지부티
- 역대 전적: 2전 2승 부르키나파소 우세
- 최근 맞대결: 2021년 10월 11일 FIFA 월드컵 아프리카지역 2차예선 A조 4차전 2경기 2:0 부르키나파소 승 (모로코, 마라케시)
- 시에라리온 vs 기니비사우
- 역대 전적: 14전 7승 6무 1패 시에라리온 우세
- 최근 맞대결: 2023년 9월 11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A조 6차전 2경기 2:1 기니비사우 승 (기니비사우, 비사우)
- 에티오피아 vs 이집트
- 역대 전적: 18전 12승 3무 3패 이집트 우세
- 최근 맞대결: 2023년 9월 8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D조 6차전 1경기 1:0 이집트 승 (이집트, 카이로)
3. 경기 기록
3.1. 1차전
|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경기장 |
| 2023. 11. 16.(목) 04:00 | 에티오피아 | 0 : 0 | 시에라리온 | 스타드 벤 음하메드 엘 아브디 (모로코, 엘자디다) |
| 2023. 11. 17.(금) 01:00 | 이집트 | 6 : 0 | 지부티 | 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이집트, 카이로) |
| 2023. 11. 18.(토) 04:00 | 부르키나파소 | 1 : 1 | 기니비사우 | 스타드 드 마라케시 (모로코, 마라케시) |
3.1.1. 1경기 부르키나파소 1 : 1 기니비사우
| 스타드 드 마라케시 (모로코, 마라케시) | ||
| 주심: 알하디 알라우 마하마트 (차드) | ||
| 관중: 405명 | ||
| | 1 : 1 | |
| | | |
| <rowcolor=#373a3c,#dddddd> 62' 베르트랑 트라오레 | | 20' 마누엘 발데 (A. 알파 세메두)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 국내 중계 | ||
| | FIFA 영어 해설 | |
3.1.2. 2경기 이집트 6 : 0 지부티
| 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이집트, 카이로) | ||
| 주심: 젤리 차바니 (남아프리카 공화국) | ||
| 관중: 6,000명 | ||
| | 6 : 0 | |
| | | |
| <rowcolor=#373a3c,#dddddd> 18', 22' (PK), 48', 70' 모하메드 살라 (A. 18' 모스타파 모하메드, 48', 70' 아흐메드 파토흐) 74' 모스타파 모하메드 89' 마흐무드 하산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모하메드 살라 (이집트) | ||
| 국내 중계 | ||
| | FIFA 영어 해설 | |
이집트는 자국 축구스타 모하메드 살라의 4골 포함, 총 6골을 넣고 대승을 하여 상당히 기분 좋은 출발을 하게 됨은 물론, 넉넉한 골득실도 확보하였다.
3.1.3. 3경기 에티오피아 0 : 0 시에라리온
| 스타드 벤 음하메드 엘 압디 (모로코, 엘자디다) | ||
| 주심: 셀수 알바상 (모잠비크) | ||
| 관중: 50명 | ||
| | 0 : 0 | |
| <rowcolor=#373a3c,#dddddd>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 국내 중계 | ||
| | FIFA 영어 해설 | |
3.2. 2차전
|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경기장 |
| 2023. 11. 20.(월) 01:00 | 시에라리온 | 0 : 2 | 이집트 | 새뮤얼 케니언 도 스포츠 컴플렉스 (라이베리아, 페인스빌) |
| 2023. 11. 20.(월) 22:00 | 지부티 | 0 : 1 | 기니비사우 | 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이집트, 카이로) |
| 2023. 11. 21.(수) 22:00 | 에티오피아 | 0 : 3 | 부르키나파소 | 스타드 벤 음하메드 엘 아브디 (모로코, 엘자디다) |
3.2.1. 1경기 지부티 0 : 1 기니비사우
| 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이집트, 카이로) | ||
| 주심: 모하메드 아투마니 (코모로) | ||
| 관중: 35명 | ||
| | 0 : 1 | |
| | | |
| <rowcolor=#373a3c,#dddddd> - | | 39' 마우루 호드리게스 |
| <rowcolor=#373a3c,#000> - | | 82' 우불랑 멘데스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 국내 중계 | ||
| | FIFA 영어 해설 | |
3.2.2. 2경기 시에라리온 0 : 2 이집트
| 새뮤얼 케니언 도 스포츠 컴플렉스 (라이베리아, 페인스빌) | ||
| 주심: 장 자크 은달라 은감보 (콩고 공화국) | ||
| 관중: 8,916명 | ||
| | 0 : 2 | |
| | | |
| <rowcolor=#373a3c,#dddddd> - | | 18', 62' 마흐무드 하산 (A. 18' 모스타파 모하메드, 62' 모하메드 살라) |
| <rowcolor=#373a3c,#000> 39' 타이리스 포나 90+9' 압둘 카비아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 국내 중계 | ||
| | FIFA 영어 해설 | |
3.2.3. 3경기 에티오피아 0 : 3 부르키나파소
| 스타드 벤 음하메드 엘 아브디 (모로코, 엘자디다) | ||
| 주심: 라민 N 자메 (감비아) | ||
| 관중: 385명 | ||
| | 0 : 3 | |
| | ||
| <rowcolor=#373a3c,#dddddd> - | | 69' 블라티 투레 (A. 베르트랑 트라오레) 78' (PK) 베르트랑 트라오레 90' 당고 와타라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 국내 중계 | ||
| | FIFA 영어 해설 | |
3.3. 3차전
|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경기장 |
| 2024. 06. 06.(목) 01:00 | 시에라리온 | 2 : 1 | 지부티 | 스타드 벤 음하메드 엘 아브디 (모로코, 엘자디다) |
| 2024. 06. 07.(금) 01:00 | 기니비사우 | 0 : 0 | 에티오피아 | 9월 24일 경기장 (기니비사우, 비사우) |
| 2024. 06. 07.(금) 04:00 | 이집트 | 2 : 1 | 부르키나파소 | 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이집트, 카이로) |
3.3.1. 1경기 시에라리온 2 : 1 지부티
| 스타드 벤 음하메드 엘 아브디 (모로코, 엘자디다) | ||
| 주심: 고드프리 은카칸앙가 (말라위) | ||
| 관중: 250명 | ||
| | 2 : 1 | |
| | | |
| <rowcolor=#373a3c,#dddddd> 12' 커티스 데이비스 (A. 임마누엘 사마디아) 51' 어거스터스 카그보 (A. 오스만 카카이) | | 35' (PK) 가브리엘 대지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 국내 중계 | ||
| | FIFA 영어 해설 | |
아프리카의 승점자판기 팀인 지부티를 만난 시에라리온은 승리를 통해 추격을 노린다. 하지만 지부티가 지난 2차전 기니비사우를 상대로 1점차 석패를 기록한만큼 방심할 경우 발목을 잡힐 수도 있다.
이번 경기에서도 지부티가 1점차 석패를 했다.
3.3.2. 2경기 기니비사우 0 : 0 에티오피아
| 9월 24일 경기장 (기니비사우, 비사우) | ||
| 주심: 진도 루이스 (베냉) | ||
| 관중: -명 | ||
| | 0 : 0 | |
| | | |
| <rowcolor=#373a3c,#dddddd>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 국내 중계 | ||
| | FIFA 영어 해설 | |
지난 2차전에서 지부티를 상대로 간신히 승리를 기록한 기니비사우가 더 까다로운 상대인 에티오피아를 상대하게 되었다. 기니비사우는 이 경기에서 승리할 경우 경기 결과에 따라서 1위를 차지할 수 있다. 반대로 에티오피아는 이 경기에서 승리 시 A조는 경기 결과에 따라 승점 4점인 팀이 4팀이 될 가능성도 있다.
다만 득점 없이 비긴다.
3.3.3. 3경기 이집트 2 : 1 부르키나파소
| 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이집트, 카이로) | ||
| 주심: 피터 와웨루 (케냐) | ||
| 관중: 65,000명 | ||
| | 2 : 1 | |
| | | |
| <rowcolor=#373a3c,#dddddd> 3', 7' 마흐무드 하산 (A. 3' 모하메드 살라) | | 56' 라시나 트라오레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 국내 중계 | ||
| | FIFA 영어 해설 | |
이집트는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의 부진을 이유로 후이 비토리아 감독을 경질하여, 신임 감독 체제로 이 경기를 진행할 예정이다.
치열한 경기 끝에 이집트가 이기며 승점 3점을 추가했다.
3.4. 4차전
|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경기장 |
| 2024. 06. 10.(월) 01:00 | 지부티 | 1 : 1 | 에티오피아 | 스타드 벤 음하메드 엘 아브디 (모로코, 엘자디다) |
| 2024. 06. 11.(화) 01:00 | 부르키나파소 | 2 : 2 | 시에라리온 | 스타드 두 26 마스 (말리, 바마코) |
| 기니비사우 | 1 : 1 | 이집트 | 9월 24일 경기장 (기니비사우, 비사우) |
3.4.1. 1경기 부르키나파소 2 : 2 시에라리온
| 스타드 두 26 마스 (말리, 바마코) | ||
| 주심: 라흘루 벤브라함 (알제리) | ||
| 관중: -명 | ||
| | 2 : 2 | |
| | ||
| <rowcolor=#373a3c,#dddddd> 41' 당고 와타라 (A. 스테판 아지즈 키) 45+2' 라시나 트라오레 | | 58' 아우구스투스 카르그보 (A. 임마누엘 사마디아) 87' 아마두 바카요코 (A. 로드니 마이클)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 국내 중계 | ||
| | FIFA 영어 해설 | |
부르키나파소가 전반에 2골을 넣어서 승리을 가져가는 듯 싶었으나 시에라이온이 후반 2골을 넣어서 무승부라는 이변을 만들었다. 승점 한 점이 중요한 부르키나파소에게는 뼈아픈 무승부다.
3.4.2. 2경기 기니비사우 1 : 1 이집트
| 9월 24일 경기장 (기니비사우, 비사우) | ||
| 주심: 마흐무드 이스마일 (수단) | ||
| 관중: -명 | ||
| | 1 : 1 | |
| | | |
| <rowcolor=#373a3c,#dddddd> 42' 마마 발데 (A. 오파 상강트) | | 70' 모하메드 살라 (A. 마르완 아티아)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 국내 중계 | ||
| | FIFA 영어 해설 | |
기니비사우가 이집트와 비기는 이변을 일으키며 현재 2위를 차지했다.
3.4.3. 3경기 지부티 1 : 1 에티오피아
| 스타드 벤 음하메드 엘 아브디 (모로코, 엘자디다) | ||
| 주심: 첼랑게트 사빌라 (우간다) | ||
| 관중: 100명 | ||
| | 1 : 1 | |
| | | |
| <rowcolor=#373a3c,#dddddd> 29' 가브리엘 대지 | | 31' 민일루 원디무 (A. 메스핀 타페세)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 국내 중계 | ||
| | FIFA 영어 해설 | |
지부티가 전반 29분 선제골을 넣었지만 불과 2분 뒤 에티오피아가 골을 넣었다. 이후 골을 넣지 못해서 무승부로 종료.
무승부로 끝나면서 양팀 모두 본선 직행은 상당히 힘들어졌다.
3.5. 5차전
|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경기장 |
| 2025. 03. 21.(금) 01:00 | 시에라리온 | 3 : 1 | 기니비사우 | 새뮤얼 케니언 도 스포츠 컴플렉스 (라이베리아, 페인스빌) |
| 2025. 03. 22.(토) 01:00 | 부르키나파소 | 4 : 1 | 지부티 | 스타드 엘 아브디 (모로코, 엘자지다) |
| 2025. 03. 22.(토) 06:00 | 에티오피아 | 0 : 2 | 이집트 | 스타드 라르비 자울리 (모로코, 카사블랑카) |
3.5.1. 1경기 부르키나파소 4 : 1 지부티
| 스타드 엘 아브디 (모로코, 엘자지다) | ||
| 주심: 이름 (국적) | ||
| 관중: -명 | ||
| | 4 : 1 | |
| | | |
| <rowcolor=#373a3c,#dddddd> 29' 조수에 티엥드레베오고 33' 베르트랑 트라오레 (A. 라시나 트라오레) 47' 모하메드 주그라나 (A. 조수에 티엥드레베오고) 67' 라시나 트라오레 (A. 당고 와타라) | | 88' (PK) 사무엘 아킨비누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3.5.2. 2경기 시에라리온 3 : 1 기니비사우
| 새뮤얼 케니언 도 스포츠 컴플렉스 (라이베리아, 페인스빌) | ||
| 주심: 이름 (국적) | ||
| 관중: -명 | ||
| | 3 : 1 | |
| | | |
| <rowcolor=#373a3c,#dddddd> 19' 무스타파 분두 61' 무사 노아 카마라 (A. 케이 카마라) 90+6' 이브라힘 투레이 (A. 모모 카마라) | | 68' 탐블 몬테이루 (A. 알파 세메두)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시에라이온이 이 경기에서 이긴다면 기니비사우를 제칠 수 있다.
모하메드 칼론 감독이 첫 경기를 승리로 챙기면서 2위 경쟁에서 앞서나가게 되었다.
3.5.3. 3경기 에티오피아 0 : 2 이집트
| 스타드 라르비 자울리 (모로코, 카사블랑카) | ||
| 주심: 이름 (국적) | ||
| 관중: -명 | ||
| | 0 : 2 | |
| | ||
| <rowcolor=#373a3c,#dddddd> - | | 31' 모하메드 살라 (A. 함디 파트히) 40' 아흐메드 사이드 (A. 모하메드 살라)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이집트가 전반에 2골을 넣으면서 승점 3점을 흭득했다.
3.6. 반환점
예상대로 이집트가 다른 팀들에게 승점을 흘리지 않고 2위와 승점 5점차로 여유있게 조 선두를 유지하면서 전반기를 끝냈다.2위 경쟁에서는 부르키나파소가 시에라리온에게 득실차로 근소하게 앞서고 있으나 향후 충분히 변동될 가능성이 높다.
- 이집트 (승점 13점 / 1위) : 기니비사우를 제외한 모든 팀에게 승리하면서 4승 1무 승점 13점으로 여유있게 조 선두를 유지하였다. 2위와의 차이도 승점 5점으로 하위 팀에게 한번 발목을 잡힌다고 해도 1위를 유지할 수 있으며 골 득실도 +11로 순위 경쟁에서 여유로운 상황. 현재로서는 무난히 본선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다.
- 부르키나파소 (승점 8점 / 2위) : 2위 경쟁팀인 시에라리온, 기니비사우에 승리를 거두지 못하면서 득실차이로 불안한 2위 자리를 유지하게 되었다. 거기에 승점이 8점으로 현재로선 플레이오프 진출이 불가능한 상황. 후반기에는 시에라리온, 기니비사우 경기에 필사적으로 임하여 승점 3점을 따내야 2위 수성 및 플레이오프 진출 가능성을 열 수 있을 것이다.
- 시에라리온 (승점 8점 / 3위) : 4시드 팀이었던 시에라리온은 부르키나파소와의 무승부, 기니비사우에 승리를 거둬 득실차로 근소하게 뒤진 3위로 전반기를 마쳤다. 상태가 별로 좋지 않은 에티오피아와 무승부를 거두고 지부티를 2:1이라는 스코어로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얻은 것이 흠이었지만 경쟁 팀에게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었다. 새롭게 선임된 자국 레전드 모하메드 칼론 감독이 후반부에 개선된 경기력을 보여준다면 아직 본선 및 플레이오프 진출에 희망은 있다.
- 기니비사우 (승점 6점 / 4위) : 시에라리온에 패배하며 4위로 쳐진 기니비사우이지만 이집트를 상대로 유일하게 승점을 따내기도 했기 때문에 아직 2위 경쟁에서의 기회는 충분하다. 다만 시에라리온과 마찬가지로 하위팀에게 확실하게 우위를 점하지 못했다는 점을 향후 레이스에서 보강해야 할 것이다.
- 에티오피아 (승점 3점 / 5위) : 아프리카 예선 전체 팀 중 각 조 최하위 팀을 제외하면 유일하게 1득점만을 올리며 매우 빈곤한 득점력을 보였다. 그 1득점도 승점자판기 지부티를 상대로 겨우 득점한 것이었으며 지부티에 승리하지도 못했다. 득점력을 회복하지 못한다면 조기 탈락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
- 지부티 (승점 1점 / 6위) : 지난 대회 예선과는 달리 다른 팀에게 선전하며 마냥 대량실점으로 패배하는 팀에서 변모한 모습을 보여줬으나 거기까지였다.
3.7. 6차전
|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경기장 |
| 2025. 03. 25.(화) 01:00 | 기니비사우 | 1 : 2 | 부르키나파소 | 9월 24일 경기장 (기니비사우, 비사우) |
| 2025. 03. 25.(화) 06:00 | 에티오피아 | 6 : 1 | 지부티 | 스타드 엘 아브디 (모로코, 엘자지다) |
| 2025. 03. 26.(수) 04:00 | 이집트 | 1 : 0 | 시에라리온 | 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이집트, 카이로) |
3.7.1. 1경기 기니비사우 1 : 2 부르키나파소
| 9월 24일 경기장 (기니비사우, 비사우) | ||
| 주심: 이름 (국적) | ||
| 관중: -명 | ||
| | 1 : 2 | |
| | | |
| <rowcolor=#373a3c,#dddddd> 36' 지단 반자키 (A. 알파 세메두) | | 6', 73' 라시나 트라오레 (A. 6' 당고 와타라, 73' 아다모 나갈로)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기니비사우는 이 경기를 이기면 부르키나파소을 제칠 수 있었으나, 부르키나파소가 승리를 거두며 기니비사우는 2위권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부르키나파소는 경쟁상대인 기니비사우를 잡고 경쟁에서 앞서나가게 되었다.
3.7.2. 2경기 이집트 1 : 0 시에라리온
| 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이집트, 카이로) | ||
| 주심: 이름 (국적) | ||
| 관중: -명 | ||
| | 1 : 0 | |
| | ||
| <rowcolor=#373a3c,#dddddd> 45+2' 아흐메드 사이드 (A. 마흐무드 하산)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경기 결과 이집트가 1대0 신승을 거뒀다.
3.7.3. 3경기 에티오피아 6 : 1 지부티
| 스타드 엘 아브디 (모로코, 엘자지다) | ||
| 주심: 이름 (국적) | ||
| 관중: -명 | ||
| | 6 : 1 | |
| | ||
| <rowcolor=#373a3c,#dddddd> 19', 52', 70' (PK) 베레케트 데스타 (A. 52' 압둘카림 워르쿠) 34', 37', 58' (PK) 아부베케르 나시르 (A. 34' 베레케트 데스타, 37' 압둘카림 워르쿠) | | 51' 사무엘 아킨비누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에티오피아가 그간의 빈곤한 득점력을 털어내듯이 지부티에 6:1 대승을 거두며 4위에 올라섰다.
3.8. 7차전
|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경기장 |
| 2025. 09. 05.(금) 01:00 | 기니비사우 | 1 : 1 | 시에라리온 | 9월 24일 경기장 (기니비사우, 비사우) |
| 2025. 09. 06.(토) 01:00 | 지부티 | 0 : 6 | 부르키나파소 | 9월 24일 경기장 (기니비사우, 비사우) |
| 2025. 09. 06.(토) 04:00 | 이집트 | 2 : 0 | 에티오피아 | 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이집트, 카이로) |
3.8.1. 1경기 기니비사우 1 : 1 시에라리온
| 9월 24일 경기장 (기니비사우, 비사우) | ||
| 주심: 클레망 크판 (코트디부아르) | ||
| 관중: -명 | ||
| | 1 : 1 | |
| | | |
| <rowcolor=#373a3c,#dddddd> 74' 마마 발데 (A. 카를루스 마네) | | 45+1' 케이 카마라 (A. 살리우 타라왈리) |
| <rowcolor=#373a3c,#000>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1:1 무승부가 나오며 두 팀 모두 예선 레이스에서의 반전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3.8.2. 2경기 지부티 0 : 6 부르키나파소
| 9월 24일 경기장 (기니비사우, 비사우) | ||
| 주심: 유누사 카마라 (기니) | ||
| 관중: -명 | ||
| 0 : 6 | ||
| | | |
| <rowcolor=#373a3c,#dddddd> - | | 16' 시리아크 이리에 (A. 에드몽 탑소바) 25' 조쥐에 티엔드레베오고 (A. 압둘라시드 아인데) 36', 42' 에드몽 탑소바 (A. 36' 모하메드 코나테, 42' 시리아크 이리에) 59', 86' (PK) 당고 와타라 |
| <rowcolor=#373a3c,#000> 10' 야베 시아드 이스만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최약체답게 부르키나파소가 6 : 0으로 대승을 거뒀다. 이 중 2명의 선수가 사이좋게 멀티골을 성공시키는 등 매우 순조롭게 지부티를 으깨놓는 데에 성공했다.
지부티는 이 경기에서 참패하면서 남은 3경기를 모두 승리로 장식한다 해도 조 2위(14점)의 승점을 절대 넘을 수 없게 되었기에 예선 탈락이 확정되었다.
3.8.3. 3경기 이집트 2 : 0 에티오피아
| 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이집트, 카이로) | ||
| 주심: 아봉길레 톰 (남아프리카 공화국) | ||
| 관중: -명 | ||
| | 2 : 0 | |
| | | |
| <rowcolor=#373a3c,#dddddd> 41' 모하메드 살라 (PK) 45+2' 오마르 마르무시 (PK) | | - |
| <rowcolor=#373a3c,#000>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에티오피아를 상대로 2 : 0 클린시트로 깔끔하게 찍어누르면서 최소 플레이오프를 확정지었다. 다만 부르키나파소가 지부티를 상대로 6:0 대승을 거두면서 승점차가 벌어지지는 않았다.
3.9. 8차전
|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경기장 |
| 2025. 09. 09.(화) 01:00 | 기니비사우 | 2 : 0 | 지부티 | 9월 24일 경기장 (기니비사우, 비사우) |
| 2025. 09. 09.(화) 22:00 | 시에라리온 | 2 : 0 | 에티오피아 | 사무엘 칸연 도 스타디움 (라이베리아, 밀스 센터) |
| 2025. 09. 10.(수) 01:00 | 부르키나파소 | 0 : 0 | 이집트 | 8월 4일 경기장 (부르키나파소, 와가두구) |
3.9.1. 1경기 부르키나파소 0 : 0 이집트
| 8월 4일 경기장 (부르키나파소, 와가두구) | ||
| 주심: 메시 은쿤쿠 (콩고 공화국) | ||
| 관중: -명 | ||
| 0 : 0 | | |
| | | |
| <rowcolor=#373a3c,#dddddd> - | | - |
| <rowcolor=#373a3c,#000>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지루한 공방전 끝에 0:0 무승부가 나왔다. 이렇게 양 팀간 승점차가 유지되면서 이집트는 남은 두 경기에서 한 경기만 승리해도 부르키나파소의 경기 결과와 상관없이 본선 진출을 확정짓게 된다. 부르키나파소는 조 1위 가능성이 사실상 소멸되었다.[2]
3.9.2. 2경기 기니비사우 2 : 0 지부티
| 9월 24일 경기장 (기니비사우, 비사우) | ||
| 주심: 아클레소 냐마 (토고) | ||
| 관중: -명 | ||
| | 2 : 0 | |
| | | |
| <rowcolor=#373a3c,#dddddd> 54' 이아누 시망 (A. 마마 발데) 82' 팔리 칸데 (A. 마마디 카마라) | | - |
| <rowcolor=#373a3c,#000>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3.9.3. 3경기 시에라리온 2 : 0 에티오피아
| 사무엘 칸연 도 스타디움 (라이베리아, 페인스빌) | ||
| 주심: 야니크 말랄라 카방가 (콩고민주공화국) | ||
| 관중: -명 | ||
| 2 : 0 | ||
| | | |
| <rowcolor=#373a3c,#dddddd> 37' 모모 카마라 (A. 살리우 타라왈리) 90+6' 알하산 코로마 (A. 주마 바) | | - |
| <rowcolor=#373a3c,#000>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시에라리온의 승리로 끝나면서 에티오피아는 탈락이 확정되었다.
3.10. 9차전
|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경기장 |
| 2025. 10. 08.(수) 22:00 | 에티오피아 | 1 : 0 | 기니비사우 | 아마호로 국립경기장 (르완다, 키갈리) |
| 2025. 10. 09.(목) 01:00 | 지부티 | 0 : 3 | 이집트 | 스타드 라르비 자울리 (모로코, 카사블랑카) |
| 시에라리온 | 0 : 1 | 부르키나파소 | 사무엘 칸연 도 스타디움 (라이베리아, 밀스 센터) |
3.10.1. 1경기 지부티 0 : 3 이집트
| 스타드 라르비 자울리 (모로코, 카사블랑카) | ||
| 주심: 이름 (국적) | ||
| 관중: -명 | ||
| 0 : 3 | | |
| | | |
| <rowcolor=#373a3c,#dddddd> - | | 8' 이브라힘 아델 (A. 아흐메드 사이드) 14', 84' 모하메드 살라 (A. 14' 마흐무드 하산, 84' 마르완 아티아) |
| <rowcolor=#373a3c,#000>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경기는 이집트의 에이스 모하메드 살라의 독무대였으며 살라가 홀로 2골을 넣는 등 활약하며 지부티를 큰 어려움 없이 잡고 이변없이 그대로 이집트가 8년만에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3.10.2. 2경기 시에라리온 0 : 1 부르키나파소
| 사무엘 칸연 도 스타디움 (라이베리아, 페인스빌) | ||
| 주심: 이름 (국적) | ||
| 관중: -명 | ||
| 0 : 1 | ||
| | | |
| <rowcolor=#373a3c,#dddddd> - | | 42' 모하메드 주그라나 (A. 베르트랑 트라오레) |
| <rowcolor=#373a3c,#000>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팽팽한 접전 끝에 부르키나파소가 승리하여 조 2위를 확정지었다.
3.10.3. 3경기 에티오피아 1 : 0 기니비사우
| 아마호로 국립경기장 (르완다, 키갈리) | ||
| 주심: 이름 (국적) | ||
| 관중: -명 | ||
| 1 : 0 | | |
| | | |
| <rowcolor=#373a3c,#dddddd> 27' 람켈 제임스 | | - |
| <rowcolor=#373a3c,#000>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기니비사우가 경기 전까지 단 1승만을 거두었던 에티오피아에게 되려 패배했다. 이집트와 부르키나파소가 승리하여 각각 월드컵 본선 진출과 조 2위를 확정지었고, A조의 나머지 팀들은 전부 탈락했다.
3.11. 10차전
|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경기장 |
| 2025. 10. 13.(월) 04:00 | 부르키나파소 | 3 : 1 | 에티오피아 | 8월 4일 경기장 (부르키나파소, 와가두구) |
| 지부티 | 1 : 2 | 시에라리온 | 스타드 라르비 자울리 (모로코, 카사블랑카) | |
| 이집트 | 1 : 0 | 기니비사우 | 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이집트, 카이로) |
3.11.1. 1경기 부르키나파소 3 : 1 에티오피아
| 8월 4일 경기장 (부르키나파소, 와가두구) | ||
| 주심: 이름 (국적) | ||
| 관중: -명 | ||
| 3 : 1 | ||
| | | |
| <rowcolor=#373a3c,#dddddd> 65', 82', 90+6' 피에르 카보레 (A. 65' 스티브 야고) | | 84' 비니암 아이텐 |
| <rowcolor=#373a3c,#000>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결과 3:1로 호성적을 거두며 남은 경쟁팀들의 대결 결과를 지켜보는 일만 남았다. 부르키니파소는 콩고민주공화국이 승리한다고 가정했을 때 우간다가 대량득점으로 득실차를 따라잡지 않고, 나이지리아가 2위일 시 득실차를 따라잡히지 않으면 PO진출이 확정된다. 그러나 나이지리아가 베냉과의 마지막 경기에서 4-0 승리를 기록하면서 극적으로 2위에 올랐고, 각 조 6위 팀간의 경기 결과를 제외한 전적 비교 과정에서 나이지리아에 1골 차로 밀려 탈락했다.
3.11.2. 2경기 지부티 1 : 2 시에라리온
| 스타드 라르비 자울리 (모로코, 카사블랑카) | ||
| 주심: 이름 (국적) | ||
| 관중: -명 | ||
| 1 : 2 | ||
| | | |
| <rowcolor=#373a3c,#dddddd> 29' 압디샤쿠르 이브라힘 파라 (A. 이드리스 후메드 빌라) | | 45+2' 주마 바 (A. 알하산 코로마) 72' 살리우 타라왈리 (A. 사이두 포파나) |
| <rowcolor=#373a3c,#000>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3.11.3. 3경기 이집트 1 : 0 기니비사우
| 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이집트, 카이로) | ||
| 주심: 이름 (국적) | ||
| 관중: -명 | ||
| | 1 : 0 | |
| | | |
| <rowcolor=#373a3c,#dddddd> 45+2' 모하메드 함디 (A. 아메드 나빌 코카) | | - |
| <rowcolor=#373a3c,#000>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 ||
이집트가 최종전에서 기니비사우를 꺾으며 전반기에 거둔 무승부에 설욕하였다.
4. 총평
큰 이변없이 2강인 이집트와 부르키나파소가 1위와 2위 자리를 가져갔다. 그러나 부르키니파소가 PO 경쟁에 밀려 탈락해 웃는 팀은 이집트가 유일하게 되었다.- 이집트: 8년 만에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게다가 무패에다 골득실 18로 예선을 마치는 강력한 모습을 보였다;
- 부르키나파소: 늘어난 티켓 수에 따라 첫 본선 진출을 노려볼 만한 전력의 팀이지만 이집트에 밀려 조 1위는 실패했으며 승점 21점은 각 조 2위팀 중 3위에 해당하는 기록이지만, 하필 E조의 에리트레아가 기권을 해버리는 바람에 조 2위 간 승점 순위에서 각 최하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하고 비교한다는 변수가 발생해버렸다. 일단 같은 승점(15점)을 얻은 E조의 니제르와는 5골 차의 골득실차[3]로 제친 상황이지만 나이지리아가 최종전에서 베냉을 상대로 4골을 몰아넣는 바람에 골득실 단 1개 차이로 플레이오프도 가지 못하고 예선 탈락을 하고 말았다. 실력이 뛰어남에도 한 번도 본선 진출을 못 한 부르키나파소 입장에서는 이집트와 에리트레아가 너무나도 원망스러울 것이다.
[1] 두 팀의 네이션스컵 성적은 객관적인 비교가 어려운데, 이집트는 4무, 부르키나파소는 1승 1무 2패로 모두 승점 4점으로 16강에서 탈락했기 때문이다.[2] 부르키나파소가 뒤집으려면 남은 2경기를 전승함과 동시에 이집트가 2경기를 모두 말아먹어야 한다. 이집트가 1승이라도 할 경우 그대로 이집트 1위가 확정되며, 이집트가 1무 1패를 거둔 상태에서 부르키나파소가 2전 전승을 하면 승점은 동률이 되어 골득실로 순위를 가르게되는데 8차전 종료 시점에서 이집트 +14, 부르키나파소 +12다. 문제는 9차전인데 부르키나파소는 현재 조 3위인 시에라리온 원정을 떠나는 반면, 이집트는 지부티가 상대다. 지부티의 이변을 기대하긴 어렵다.[3] 부르키나파소 +6, 니제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