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평택시/정치
경기도 제22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수원 갑 | 수원 을 | 수원 병 | 수원 정 |
김승원 | 백혜련 | 김영진 | 김준혁 | |
수원 무 | ||||
염태영 | 김태년 | 이수진 | 안철수 | |
김은혜 | 박지혜 | 이재강 | 강득구 | |
부천 갑 | 부천 을 | |||
민병덕 | 이재정 | 서영석 | 김기표 | |
부천 병 | 광명 갑 | 광명 을 | 평택 갑 | |
이건태 | 임오경 | 김남희 | 홍기원 | |
평택 을 | 평택 병 | |||
이병진 | 김현정 | 정성호 | 김성원 | |
고양 갑 | ||||
양문석 | 김현 | 박해철 | 김성회 | |
고양 을 | 고양 병 | 고양 정 | ||
한준호 | 이기헌 | 김영환 | 이소영 | |
구리 | ||||
윤호중 | 최민희 | 김병주 | 김용민 | |
오산 | 시흥 갑 | 시흥 을 | 군포 | |
차지호 | 문정복 | 조정식 | 이학영 | |
하남 갑 | 하남 을 | 용인 갑 | 용인 을 | |
추미애 | 김용만 | 이상식 | 손명수 | |
용인 병 | 용인 정 | 파주 갑 | 파주 을 | |
부승찬 | 이언주 | 윤후덕 | 박정 | |
이천 | 안성 | 김포 갑 | 김포 을 | |
송석준 | 윤종군 | 김주영 | 박상혁 | |
화성 갑 | 화성 을 | 화성 병 | 화성 정 | |
송옥주 | 이준석 | 권칠승 | 전용기 | |
광주 갑 | 광주 을 | |||
소병훈 | 안태준 | 김용태 | 김선교 | |
◀ 제21대 | }}}}}}}}} |
대한민국의 국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 평택시 을 팽성읍, 고덕면, 고덕동 등 平澤市 乙 Pyeongtaek B | }}} | |||
<nopad> |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 159,378명 (2024) | |||||
상위 행정구역 | 경기도 | |||||
관할 구역 |
| |||||
신설년도 | 1996년 | |||||
이전 선거구 | 송탄시·평택시, 평택군 | |||||
국회의원 | | 이병진 |
[clearfix]
1. 개요
구(舊) 평택 남부+안중 지역에 해당되는 선거구다. 현재 이곳의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이병진 의원이다.보수 우위의 팽성읍 + 오성면 + 현덕면 vs 진보 우위의 안중읍 + 청북읍 + 포승읍 구도이고, 2010년대 이후론 고덕국제신도시의 개발로 보수세가 강했던 고덕동과 고덕면의 진보세가 강해져 경합지가 되었다. 삼성전자 공장 건설과 신도시개발 등으로 인해 화성시와 함께 현재 국내에서 젊은층들이 가장 빠르게 몰려들고 있는 지역이다.
2. 선거구 조정의 역사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일부 지역이 신설된 평택시 병으로 넘어갔다.
평택시 을(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평택시 을(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
<nopad> | <nopad> |
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제15대 | 허남훈 | [[자유민주연합|]]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제16대 | 정장선 | [[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제17대 | [[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 [[통합민주당(2008년)|]]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 이재영 | [[새누리당|]] | 2012년 5월 30일 ~ 2014년 1월 16일 |
유의동 | 2014년 7월 31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 |
제22대 | 이병진 | | 2024년 5월 30일 ~ |
3.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평택시 을 팽성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포승면, 현덕면, 안중면,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자헌(李慈憲) | 19,408 | 3위 |
[[신한국당|]] | 24.28% | 낙선 | |
2 | 서화택(徐華澤) | 19,757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24.72% | 낙선 | |
3 | 장기천(張基天) | 10,221 | 4위 |
| 12.79% | 낙선 | |
4 | 허남훈(許南薰) | 30,523 | 1위 |
[[자유민주연합|]] | 38.19%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23,381 | 투표율 66.32% |
투표 수 | 81,831 | ||
무효표 수 | 1,922 |
3.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평택시 을 팽성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포승면, 현덕면, 안중면,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자헌(李慈憲) | 25,699 | 2위 |
| 33.67% | 낙선 | |
2 | 정장선(鄭長善) | 27,364 | 1위 |
[[새천년민주당|]] | 35.85% | 당선 | |
3 | 허남훈(許南薰) | 18,937 | 3위 |
[[자유민주연합|]] | 24.81% | 낙선 | |
4 | 조성용(趙成勇) | 4,318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6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30,812 | 투표율 59.09% |
투표 수 | 77,298 | ||
무효표 수 | 980 |
3.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평택시 을 팽성읍, 안중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포승면, 현덕면,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홍규(金弘奎) | 25,801 | 2위 |
| 32.40% | 낙선 | |
2 | 이병진(李炳鎭) | 4,291 | 4위 |
[[새천년민주당|]] | 5.38% | 낙선 | |
3 | 정장선(鄭長善) | 39,270 | 1위 |
[[열린우리당|]] | 49.32% | 당선 | |
4 | 박준호(朴俊浩) | 808 | 5위 |
[[자유민주연합|]] | 1.01% | 낙선 | |
5 | 김용한(金容漢) | 9,446 | 3위 |
[[민주노동당|]] | 11.8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1,825 | 투표율 56.73% |
투표 수 | 80,463 | ||
무효표 수 | 847 |
3.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평택시 을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현덕면,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장선(鄭長善) | 34,619 | 1위 |
[[통합민주당(2008년)|]] | 48.14% | 당선 | |
2 | 박상길(朴相吉) | 30,238 | 2위 |
| 42.05% | 낙선 | |
4 | 이현주(李賢珠) | 5,865 | 3위 |
[[민주노동당|]] | 8.15% | 낙선 | |
6 | 전주원(全胄沅) | 1,183 | 4위 |
[[평화통일가정당|]] | 1.6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4,456 | 투표율 44.16% |
투표 수 | 72,618 | ||
무효표 수 | 713 |
3.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평택시 을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현덕면,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재영(李在暎) | 40,036 | 1위 |
[[새누리당|]] | 44.94% | 당선 | |
2 | 오세호(吳世鎬) | 37,993 | 2위 |
[[민주통합당|]] | 42.65% | 낙선 | |
6 | 김연식(金年式) | 2,074 | 5위 |
| 2.32% | 낙선 | |
7 | 이세종(李世宗) | 5,287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93% | 낙선 | |
8 | 이인숙(李仁淑) | 3,689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1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86,095 | 투표율 48.47% |
투표 수 | 90,204 | ||
무효표 수 | 1,125 |
평택시 을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이재영 | 오세호 | 격차 |
전체 | 46.0% | 44.0% | 2.0%p경합 |
3.6.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평택시 을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현덕면,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유의동(兪義東) | 31,230 | 1위 |
[[새누리당|]] | 52.05% | 당선 | |
2 | 정장선(鄭長善) | 25,377 | 2위 |
[[새정치민주연합|]] | 42.30% | 낙선 | |
5 | 김득중(金得中) | 3,382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6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01,765 | 투표율 29.84% |
투표 수 | 60,203 | ||
무효표 수 | 214 |
또한 평택역 근처인 신평동, 원평동에선 각각 699표, 386표 차이로 이기고 공단 지역인 포승읍에선 754표로 승리를 거두었다.
그렇기에 정장선 후보는 시내인 비전1동, 2동과 소형 아파트가 많아 젊은 층이 많이 거주하는 안중읍이나 신도시 지역인 청북면에서 열세를 메꿔야 했지만 안중읍에서 155표 차이, 청북면에서 150표 차이, 비전1동과 비전2동에서도 각각 207표, 156표 차이로 패하면서 열세를 메꾸는 데 실패하였다.
3.7.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평택시 을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현덕면,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유의동(兪義東) | 45,365 | 1위 |
[[새누리당|]] | 40.54% | 당선 | |
2 | 김선기(金善基) | 37,495 | 2위 |
| 33.51% | 낙선 | |
3 | 이계안(李啓安) | 26,420 | 3위 |
[[국민의당(2016년)|]] | 23.61% | 낙선 | |
5 | 김현래(金鉉來) | 2,609 | 4위 |
[[민중연합당|]] | 2.3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18,106 | 투표율 51.87% |
투표 수 | 113,141 | ||
무효표 수 | 1,252 |
평택시 을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유의동 | 김선기 | 격차 |
전체 | 38.4% | 35.7% | 2.7%p경합 |
개표 결과 새누리당 유의동 의원이 7% 차로 김선기 전 시장을 꺾고 당선되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유의동 후보는 거소투표와 안중읍을 제외한 나머지 동에서 이겼다. 민주당 입장에선 국민의당으로의 표 분산과 해당 후보의 잦은 철새 행보가 패배의 원인이 되었다.
3.8.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평택시 을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청북읍, 고덕면, 오성면, 현덕면, 신평동, 원평동, 비전2동, 용이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현정(金鉉正) | 57,540 | 2위 |
| 46.11% | 낙선 | |
2 | 유의동(兪義東) | 59,491 | 1위 |
[[미래통합당|]] | 47.67% | 당선 | |
7 | 김양현(金良玹) | 1,862 | 4위 |
[[민중당(2017년)|]] | 1.49% | 낙선 | |
8 | 장재혁(張宰赫) | 914 | 6위 |
[[국가혁명배당금당|]] | 0.73% | 낙선 | |
9 | 허승녕(許昇寧) | 1,443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15% | 낙선 | |
10 | 이인숙(李仁淑) | 3,536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8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14,797 | 투표율 58.83% |
투표 수 | 126,373 | ||
무효표 수 | 1,587 |
||<-8><tablealign=center><bgcolor=#ef426f><tablebordercolor=#ef426f><tablebgcolor=#fff,#191919> 21대 총선 경기 평택시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김현정 | 유의동 | ||
득표수 (득표율) | 57,540 (46.11%) | 59,491 (47.67%) | -1,951 (▼1.56) | 126,373 (58.83%) |
신평동[A] | 39.80% | 53.35% | ▼13.54 | 53.22 |
원평동[B] | 40.84% | 52.03% | ▼11.20 | 58.08 |
비전2동[C] | 45.98% | 47.83% | ▼1.85 | 60.44 |
용이동[D] | 52.81% | 41.44% | △11.36 | 61.54 |
팽성읍[E] | 36.27% | 59.07% | ▼22.81 | 52.21 |
안중읍 | 50.39% | 43.04% | △7.35 | 56.06 |
포승읍[F] | 48.68% | 44.77% | △3.91 | 50.45 |
청북읍 | 52.54% | 41.12% | △11.42 | 55.00 |
고덕면 | 44.11% | 49.86% | ▼5.74 | 53.78 |
오성면 | 34.77% | 59.30% | ▼24.54 | 59.46 |
현덕면 | 35.56% | 60.34% | ▼24.79 | 63.80 |
후보 | 김현정 | 유의동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6.19% | 36.24% | △9.96 | |
관외사전투표 | 51.28% | 42.35% | △8.93 | |
재외투표 | 68.22% | 25.23% | △42.99 |
평택시 을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김현정 | 유의동 | 격차 |
전체 | 46.9% | 47.5% | 0.6%p경합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파일:민중당 김양현 제21대 총선 선거벽보.png | ||
}}}}}}}}} |
여당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김기성, 오세호, 유병만, 이인숙, 오중근 예비후보가 공천 신청을 하였으나, 김현정 전 전국사무금융노동조합연맹 위원장이 전략공천되었다. 이에 이인숙 후보가 민주당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
민중당에서는 김양현이 예비후보 등록을 하였다.
선거 결과 현역인 미래통합당 유의동 의원이 불과 약 1.6%차로 승리하며 3선에 성공하였다. 세부 결과를 분석해보면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후보는 안중읍, 포승읍, 청북읍, 용이동과 관외사전투표에서 승리하였으며, 미래통합당 유의동 후보는 팽성읍, 고덕면, 오성면, 현덕면, 신평동, 원평동, 비전2동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유의동 후보 입장에선 연고지인 팽성읍에서 압승한 것이 승리에 꽤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김현정 후보 입장에선 무소속 이인숙 후보와의 단일화가 끝내 불발된 것이 가장 뼈아픈 실책이었다.[8] 이후 이인숙 전 후보는 국민의힘에 합류해 평택시장 출마에 도전하였으나# 최호 후보와의 경선에서 패하였다. 공천배제에 반발하여 무소속 출마를 강행한 후보를 결국 설득하여 민주당 홍기원 후보가 당선된 옆 지역구와 대비되는 부분이다.[9]
그리고 이 때 낙선한 김현정 전 위원장은 4년 뒤 신설 선거구인 평택시 병에서 유의동과 다시 리턴매치를 벌여서 복수에 성공했다.
3.9.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평택시 을 고덕동,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청북읍, 고덕면, 오성면, 현덕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병진(李炳鎭) | 49,998 | 1위 |
| 54.23% | 당선 | |
2 | 정우성(鄭宇成) | 42,197 | 2위 |
| 45.7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9,378 | 투표율 58.61% |
투표 수 | 93,414 | ||
무효표 수 | 1,219 |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fff,#191919><bgcolor=#152484> 22대 총선 경기 평택시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이병진 | 정우성 | ||
득표수 (득표율) | 49,998 (54.23%) | 42,197 (45.76%) | +7,801 (△8.47) | 93,414 (58.61%) |
고덕동[G] | 52.62% | 47.37% | △5.25 | 52.08 |
팽성읍[11] | 45.44% | 54.55% | ▼9.11 | 53.56 |
안중읍 | 59.06% | 40.93% | △18.13 | 55.62 |
포승읍[F] | 56.12% | 43.87% | △12.25 | 51.67 |
청북읍 | 60.19% | 39.80% | △20.39 | 56.50 |
고덕면 | 51.23% | 48.76% | △2.47 | 56.86 |
오성면 | 46.67% | 53.32% | ▼6.65 | 62.28 |
현덕면 | 48.01% | 51.98% | ▼3.97 | 67.10 |
후보 | 이병진 | 정우성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53.17% | 46.82% | △6.35 | |
관외사전투표 | 56.61% | 43.38% | △13.23 | |
재외투표 | 73.19% | 26.80% | △46.39 |
평택시 을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이병진 | 정우성 | 격차 |
전체 | 50.8% | 49.2% | 1.6%p경합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국민의힘 현역 유의동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지역위원장은 신설된 평택시 병 선거구로 옮겨 출마한다.
더불어민주당은 2024년 3월 2일, 20년 전에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나왔다 낙선한 이병진 전 평택대 교수를 전략공천했다.
국민의힘은 2024년 3월 5일, 정우성 포항공과대학교 교수를 전략공천했다. 이 때문에 해당 지역구 출마를 노리고 있었던 공재광 전 시장이 강력히 반발하였다. # 이후 공재광 전 시장은 국민의힘을 탈당하여 민주당에 입당했다.[13]
출구조사에서는 그나마 유일하게 접전으로 나왔으나, 개표 결과 더불어민주당 이병진 후보가 무난히 당선되었다. 양당 모두 두 후보를 전략공천으로 내세워[14] 사실상의 정당 투표가 이루어진 만큼 정권 심판론을 비롯한 이슈로 판세가 더불어민주당에 유리했던 것과 보수 정당이 넉넉히 앞서던 팽성읍에서 표차가 크게 줄어든데다가[15] 오성, 현덕에서도 표차를 거의 내지 못 했고[16] 서부권(안중, 포승, 청북) 도시지역의 꾸준한 더불어민주당 지지세 및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고덕신도시에서 승리한 것이 결정적이었다.
더불어민주당 입장에선 열세 지역인 팽성읍 출신을 공천 한 것이 신의 한 수였고[17], 국민의힘 입장에선 지난 총선 때 평택시 갑에서 선전했고 안중에 연고가 있는 전직 평택시장 후보인 공재광이나 역시 팽성읍에 연고가 있고 3선까지 한 현역 국민의힘 유의동 의원을 공천하지 않았다.[18] 오성, 현덕에서도 표차를 거의 내지 못 했고[19] 서부권(안중, 포승, 청북) 도시지역의 꾸준한 더불어민주당 지지세 및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고덕신도시에서 승리한 것이 결정적이었다.[20]
더불어민주당 입장에선 열세 지역인 팽성읍 출신을 공천 한 것이 신의 한 수였고[21], 국민의힘 입장에선 지난 총선 때 평택시 갑에서 선전했고 안중에 연고가 있는 전직 평택시장 후보인 공재광이나 역시 팽성읍에 연고가 있고 3선까지 한 현역 국민의힘 유의동 의원을 공천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해당 지역에 연고가 전혀 없는 후보를 꽂은데다가 이후 공천 갈등을 수습하는 운영 능력의 부재가 제일 큰 패인이었다.[22]
[1] 농촌이면서 그나마 여기가 보수 성향이 약한 이유는 알다시피 고덕신도시가 여기에 생기고 있었기에 외지인들이 많이 유입되었기 때문이다.[A] 법정동 평택동(경부선 동쪽) · 합정동 · 유천동[B] 법정동 통복동(경부선 동쪽)[C] 법정동 비전동(남부) · 용이동(서부) · 소사동. 평택시청이 있는 동네.[D] 법정동 용이동(동부). 평택대학교가 있는 동네이자, 용죽지구로 조성된 동네.[E] 평택 미군기지가 있는 동네이자, 유의동 후보의 고향.[F] 평택항만 및 해군기지가 있는 동네.[8] 21대 총선에서 민주당이 공천문제로 날린 두 지역구 중 하나로, 다른 한 곳은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이다.[9] 다만 지역 연고가 있어서 유리했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G] 고덕국제신도시로 이루어진 동네.[11] 이병진 후보의 고향.[F] [13] 거기에 그치지 않고 평택시 갑,을,병 전체 지역의 선대위원장을 맡아 진두지휘 했다.[14] 더불어민주당 이병진 후보는 연고가 있고 지역에서 계속 활동 했었다지만 마지막 출마가 무려 20년 전이었다.[15] 표차가 1,181표로 반토막이 났다. 사실 당연한 게 평택시 을에서 보수정당이 앞선 이유는 팽성읍이 국민의힘 유의동 의원의 연고지였기 때문인데, 국민의힘 유의동 의원이 신설 지역구인 평택시 병으로 가버리고, 반대로 팽성읍이 연고지였던 더불어민주당 이병진 후보가 이 지역구에 공천되었으니 당연할 수밖에 없다.[16] 국민의힘 후보가 승리하기는 하였으나 이 지역들은 애초에 유권자가 적어 대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곳이 아니다.[17] 어찌 보면 지난 선거의 리버스였다고 보면 된다. 그 때는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연고가 없는 후보였고, 미래통합당 후보는 팽성읍에 연고가 있는 후보였기 때문이다.[18] 팽성읍은 안중읍 다음으로 인구가 많으며으니 당연할 수밖에 없다.[19] 국민의힘 후보가 승리하기는 하였으나 이 지역들은 애초에 유권자가 적어 대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곳이 아니다.[20] 사실 팽성읍보다 고덕국제신도시의 젊은 인구가 유입되면서 졀정타를 먹였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21] 어찌 보면 지난 선거의 리버스였다고 보면 된다. 그 때는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연고가 없는 후보였고, 미래통합당 후보는 팽성읍에 연고가 있는 후보였기 때문이다.[22] 더불어민주당은 정확히 똑같은 행위를 인천광역시 서구에서 했다. 직전 총선에 비해 지역구가 더불어민주당에 불리하게 획정된 갑 지역구에 원래 을 지역구를 희망했던 현역 김교흥 의원을 전략공천했고, 을 지역구에는 영입인재이자 연고가 없었던 이용우를 전략공천했다. 여기에서 출마하려고 했던 전직 인천시의원이자 8회 지선에 구청장으로 출마해서 박빙패했던 김종인이 삭발까지 하며 반발해서 탈당 직전까지 갔다. [23] 차라리 공재광 전 시장이나 현역 유의동 의원을 공천했다면 적어도 한 지역구는 건졌을 것이기에 여러모로 국민의힘 입장에선 뼈아픈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