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체스 선수 순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em" | 순위 | 이름 | 레이팅 |
| 1위 | | 2839 | |
| 2위 | | 2816 | |
| 3위 | | 2789 | |
| 4위 | | 2773 | |
| 5위 | | 2771 | |
| 6위 | | 2762 | |
| 7위 | | 2759 | |
| 8위 | | 2756 | |
| 9위 | | 2755 | |
| 10위 | | 2754 | |
| 11위 | | 2752 | |
| 12위 | | 2750 | |
| 13위 | | 2743 | |
| 14위 | | 2742 | |
| 15위 | | 2738 | |
| | 2738 | ||
| 17위 | | 2737 | |
| 18위 | | 2734 | |
| 19위 | | 2732 | |
| 20위 | | 2729 | |
| | 2729 | ||
| 22위 | | 2724 | |
| 23위 | | 2722 | |
| 24위 | | 2721 | |
| 25위 | | 2720 | |
| | 2720 | ||
| 27위 | | 2717 | |
| 28위 | | 2716 | |
| 29위 | | 2711 | |
| 30위 | | 2710 | |
| | 2710 | ||
| 32위 | | 2700 | |
| 33위 | | 2698 | |
| 34위 | | 2697 | |
| | 2697 | ||
| | 2697 | ||
| 37위 | | 2693 | |
| 38위 | | 2692 | |
| 39위 | | 2691 | |
| 40위 | | 2689 | |
| 41위 | | 2687 | |
| 42위 | | 2684 | |
| 43위 | | 2682 | |
| 44위 | | 2681 | |
| 45위 | | 2679 | |
| 46위 | | 2672 | |
| 47위 | | 2671 | |
| 48위 | | 2669 | |
| 49위 | | 2668 | |
| 50위 | | 2667 | |
| 2025년 10월 기준. 비활성화된 선수 제외.[A] | |||
| [A]: 비활성화된 선수를 포함하면 가리 카스파로프가 2812점으로 2위다. | |||
| | |
| <colbgcolor=#041536><colcolor=#eee> Team Liquid Fabiano Caruana | |
| 파비아노 루이지 카루아나 (Fabiano Luigi Caruana) | |
| 출생 | 1992년 7월 30일 ([age(1992-07-30)]세) |
|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 |
| 국적 | [1] |
| 신체 | 169cm[2] |
| 타이틀 | GM (2007) |
| Elo 레이팅 | 2795 (2025년 11월 기준) 2844 (최대 레이팅) |
| 최고 랭킹 | 2위 |
| 소속 | Team Liquid (2025.02.13 ~ )[3] |
| 링크 | |
1. 개요
파비아노 카루아나는 이탈리아계 미국인 체스 선수이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는 이탈리아 연맹 소속이었지만, 이후로는 미국 체스 연맹으로 소속을 옮겼다.망누스 칼센, 가리 카스파로프에 이어 역대 3번째로 높은 스탠다드 레이팅을 보유한 선수 타이틀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2. 선수 경력
2.1. 유소년기
2007년 생후 14세 11개월 20일에 GM 타이틀을 취득하여 당시 기준 미국과 이탈리아 체스 역사상 최연소 그랜드 마스터가 되었다.2.2. 2014~2015년
카루아나의 주목할만한 기록은 2014년 싱큐필드 컵 우승이다. 이 대회는 참가자 6인의 평균 레이팅이 2801점으로 역사상 가장 강력한 토너먼트로 기록되었는데[4], 여기에서 카루아나는 7라운드까지 7연승을 거두며 시작했고, 나머지 세 경기는 비기며 최종 8.5점의 점수로 우승했다.[5] 이때 기록된 카루아나의 대회 퍼포먼스 레이팅은 3080점으로 이는 체스 역사상 가장 높은 퍼포먼스 레이팅이다 [6]. 바비 피셔의 71년 20연승과도 비견되는 역대 최고 기록이었다.2.3. 2016년 도전자 결정전
2016년에는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다. 비스와나탄 아난드, 세르게이 카리야킨, 히카루 나카무라, 베셀린 토팔로프, 아니쉬 기리 등 쟁쟁한 라인업에도 카리야킨과 함께 공동 1등을 유지했다. 14라운드 카리야킨과의 대국에서는 타이브레이크 승수에 밀려 무조건 이겨야 했으나, 흑을 잡고 무승부를 해 우승에는 실패했다.2.4. 2018 세계체스연맹 월드 챔피언십
2018년 세계 체스 챔피언십에 도전하여 챔피언 망누스 칼센과 타이틀전을 벌였다. 12경기의 스탠다드 체스에서 모두 무승부를 기록하고 래피드 경기로 넘어갔으나, 래피드에서 3경기 모두 패배하여 챔피언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2.5. 2020-2021년 도전자 결정전
2020-2021 도전자 결정전에서 7.5/14의 성적을 내어 공동 3위를 하였다.2.6. 2021년~2023년
2021년 FIDE 그랜드 스위스에서 준우승해서 2022 도전자 토너먼트에도 진출했다. 초반 7경기에서는 3승 4무로 이안 네폼니아치와 쌍두마차 경쟁 구도를 형성하나 싶었지만 8라운드 히카루 나카무라에게 패배를 당한 것을 필두로 후반 7경기에서 3무 4패로 와르르 무너지면서 부진했다. 결국 토너먼트를 8명 중 5위로 마쳤다. 이 때문에 컨디션에 난조가 생긴 것인지 이후 2022 체스 올림피아드나 체스닷컴 글로벌 챔피언십 등에서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2023년 피데 체스 월드컵에서는 준결승에서 인도의 프라그나난다에게 타이브레이크에서 패한 뒤 3-4위 결정전에서 니잣 아바소브를 상대로 승리, 동메달을 받았다. 이 대회로 2024년 도전자 결정전에 참가할 권리를 얻었고, 레이팅 역시 세계 2위로 다시 상승하였다.
2.7. 2024 세계체스연맹 월드 챔피언십
하지만 2024 도전자 결정전에서도 중반까지 제대로 승리를 따내지 못하다가 후반부에 좋은 폼을 보여 13라운드까지 네폼니아치와 공동 2위였다. 마지막 네폼니아치와의 대국에서 양쪽 모두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 상황에서 14경기에서 승리 기회가 왔으나 그것은 해설진들조차 정확한 승리 수순을 찾지 못할 정도로 매우 어려운 수순이었고, 결국 네폼니아치의 끈질긴 방어에 무승부를 거두어 양쪽 모두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하였다.2.8. 2024년~2025년
이후 여러 그랜드 체스 투어, 싱큐필드 컵, US 마스터즈 등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2024 Fide circuit 1위가 확정되었고, 2026년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한 첫 번째 선수가 되었다.[7]2025년 타타 스틸 토너먼트에서 좀처럼 승리를 거두지 못하고 후반에 크게 무너지면서 레이팅을 순식간에 20점을 잃게 되었다. 한동안 2800점대를 잘 유지해와서 더욱 아쉬운 부분.
2025년 2월 20일 Esports World Cup 체스 부문 참가를 위해 Team Liquid와 이스포츠 에이전시 전속 계약을 맺으며 망누스 칼센과 같은 소속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2025년 3월에는 아메리칸 컵에 출전했는데, 레본 아로니안 등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으나 히카루에게 패배하며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5월에 참여한 루마니아 그랜드 체스 투어에서는 알리레자 피로우자에게서 거둔 승리를 제외하면 모두 무승부를 하며, 안정적안 상금과 레이팅을 획득하였다.
이후 노르웨이 체스 2025에서는 히카루에게 패배를 당하며 대회를 시작하며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으나, 아르준 에리가이시, 구케시와의 대국에서 1승 1패씩을 기록하고, 웨이이에게는 두 경기를 모두 따내며 결국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2025년 싱큐필드에서 웨슬리 소, 프라그나난다를 이어 3위를 차지했다.
2025년 루마니아 그랜드 체스 투어, 싱큐필드 컵에서 우승하지 못했음에도 탁월한 퍼포먼스로 전체 투어 2위의 성적을 기록했다. 그 결과로 상파울루에서의 GCT 파이널[8]에 레본 아로니안, 막심 바시에-라그라브, 프라그나난다와 진출하게 되었다. 4강에서 레본 아로니안을 상대로 클래시컬, 래피드에서 모두 무승부를 거두고, 블리츠에서 내리 승리를 따내며 결승에 진출하였다. 결승에서는 프라그를 꺾고 올라온 막심을 상대하게 되었는데, 클래시컬 1경기에서는 복잡한 퀸엔딩에서 결국 위닝을 찾지 못하고 무승부로 끝난 데 이어, 래피드 1경기에서 패배하며 궁지에 몰렸다. 그런데 블리츠에서 3.5-0.5라는 엄청난 스코어로 그 MVL을 꺾으며 우승을 차지했다. 이어 상금 15만 달러를 따냈다.
10월에 열린 클러치 챔피언스 쇼다운이라는 래피드 대회에서 망누스 칼센을 이어 준우승을 차지했다.
3. 평가
스탠다드 체스에 매우 강하며 속기인 래피드, 블리츠는 비교적 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물론 이건 스탠다드와 비교해서, 또는 속기 스페셜리스트인 망누스 칼센이나 히카루 나카무라와 비교해서 약하다는 것이고, 래피드와 블리츠 레이팅 모두 세계 20위 안에 드는 실력을 가지고 있다.[9] 스탠다드에서의 기력은 역대 최강의 선수인 망누스 칼센과 거의 비등하다고 여겨지며, 실제로 2018년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둘은 스탠다드 12경기를 모두 비겼다![10] 단순히 승점이 같은 게 아니라 12번의 무승부였다. 당시 칼슨과의 레이팅 차는 고작 3이었는데, 이는 칼슨과 무승부를 하여도 레이팅이 떨어지지 않는 경지에 도달했던 것이다. 만약 한 경기라도 이겼다면, 라이브 레이팅에서 칼슨을 역전한 유일한 선수가 될 뻔도 하였다.망누스 칼센의 1위 집권 시기중 2위에 오른 선수[11]중 가장 강하다고 평가되며, 아난드, 크램닉과도 비견되는 실력에 역대 챔피언이 되지 못한 선수들 중에 가장 강하다고 평가된다. 라이브 레이팅 기준 역대 3명밖에 넘긴 적 없는 2850을 넘긴 선수이다.
4. 기풍
1.e4를 주력으로 두며 1.d4에 비해 유의미하게 픽률과 승률이 높다. 현대 그랜드마스터 레벨에서 오프닝 준비가 가장 철저한 사람으로 뽑히며, 이는 큰 대회일수록 두드러진다. 이제껏 연구되지 않은 새로운 수를 들고오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수를 둘 땐 지체 없이 둬서 상대에게 티를 팍팍 내는 편(...) 오프닝 준비뿐 아니라 굉장한 노력가로, 수많은 게임을 분석하고 상대방의 기풍을 파악해서 대비한다고 한다.뛰어난 계산력과 오프닝 이론으로 기계와 같은 체스를 둔다. 별명이 "The Machine"일 정도. 이 뛰어난 계산력으로 어릴 때는 공격적이고 전술적인 체스를 주로 뒀으나, 지금은 다 잘하는 올라운드 플레이어가 됐다는 평. 다만 이 계산력은 슈퍼 GM들과 비교해도 뛰어나서 특이한 포지션에서 수많은 수를 계산한 후에 묘수를 찾아내나, 오히려 단순한 포지션에서는 계산보다는 포지션에 대한 직관이 중요하므로 상대적으로 약해진다. 이 스타일을 이해하면 카루아나가 왜 래피드와 블리츠에서는 스탠다드보다 약한지 이해할 수 있는데, 래피드나 블리츠는 모든 라인을 다 계산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기에 직관에 의존해서 둬야 할 때가 많은데, 이것이 카루아나의 스타일과 반대되기 때문. 다만 시간이 풍부한 스탠다드에서는 언뜻 보면 악수로 보이는 수까지 꼼꼼히 계산을 하고 모든 라인을 찾아보기에 묘수를 찾아내는 것.
5. 상대 전적
2025년 10월 기준 주요 선수들과의 상대 전적- vs 망누스 칼센 6승 40무 15패
- vs 딩리런 3승 12무 6패
- vs 히카루 나카무라 15승 37무 15패
- vs 이안 네폼니아치 2승 16무 1패
- vs 세르게이 카야킨 8승 27무 4패
- vs 알리레자 피로우자 10승 9무 3패
- vs 비스와나탄 아난드 7승 25무 4패
- vs 구케시 디 2승 9무 2패
6. 기타
C-squared라는 체스 팟캐스트를 하는데 여러 사안에 대해 상당히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발언한다. 사실 아주 특출난 것은 아니나 체스 잘 두는 사람들 중 성격이 개차반이거나, 미친 소리를 하거나, 승부욕으로 인해 구설수를 일으키는 사람들이 워낙 많기 때문에 사려 깊고 합리적인 파비의 팟캐스트를 좋아하는 사람이 많다. 체스 전문가로서 발언하기도 하지만 자기가 잘 모르는 분야는 잘 모르겠다고 확실히 인정하고 여러 가능성을 열어 놓기 때문에 체스 팬들은 농담으로 체스 잘 두는 사람들 중에서 가장 정신이 멀쩡한 게 파비아노 아니겠냐고 하기도 한다.7. 둘러보기
| 역대 세계 체스 챔피언십 및 참가자 | ||||||
| {{{#!folding FIDE 이전 타이틀 (1886~1946) {{{#!wiki style="margin: -5px -2px -11px"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 1886 | | | 10 | 5 | | |
| 1889 | | | 10½ | 6½ | | |
| 1890 | | | 10½ | 8½ | | |
| 1892 | | | 12½ | 10½ | | |
| 1894 | | | 7 | 12 | | |
| 1896 | | | 12½ | 4½ | | |
| 1907 | | | 10½ | 5½ | | |
| 1908 | 뮌헨 | | 10½ | 5½ | | |
| 1910 | | | 9½ | 1½ | | |
| 1921 | | | 5 | 9 | | |
| 1927 | | | 3 | 6 | | |
| 1929 | | | 15½ | 10½ | | |
| 1934 | | | 15½ | 10½ | | |
| 1935 | | | 14½ | 15½ | | |
| 1937 | | | 9½ | 15½ | | |
| {{{#!folding FIDE 타이틀 (1948~1993)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 1948* | | 14 | | |||
| 1951 | | | 12 | 12 | | |
| 1954 | | | 12 | 12 | | |
| 1957 | | | 9½ | 12½ | | |
| 1958 | | | 10½ | 12½ | | |
| 1960 | | | 8½ | 12½ | | |
| 1961 | | | 8 | 13 | | |
| 1963 | | | 9½ | 12½ | | |
| 1966 | | | 12½ | 11½ | | |
| 1969 | | | 10½ | 12½ | | |
| 1972 | | | 8½ | 12½ | | |
| | - | | | |||
| 1978 | | | 6 | 5 | | |
| 1981 | | | 6 | 2 | | |
| 1984*** | | | 5 | 3 | | |
| 1985 | | | 11 | 13 | | |
| 1986 | | | 12½ | 11½ | | |
| 1987 | | | 12 | 12 | | |
| 1990 | | | 12½ | 11½ | | |
| *: 챔피언의 사망으로 챔피언 vs 도전자 1:1 대전이 아닌 5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치러졌다. **: 타이틀 방어 포기 ***: 장기화로 인한 중단, 무승부 포함 25:23 | ||||||
| {{{#!folding PCA 타이틀 (1993~2006) {{{#!wiki style="margin: -5px -2px -11px"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 1993 | | | 12½ | 7½ | | |
| 1995 | | | 10½ | 7½ | | |
| 2000 | | | 6½ | 8½ | | |
| 2004 | | | 7 | 7 | | |
| {{{#!folding 통합 타이틀 (2006~ ) {{{#!wiki style="margin: -5px -2px -11px"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 2006 | | | 6 [2½] | 6 [1½] | (FIDE 챔피언) | |
| 2007* | | | 8 | 9 | | |
| 2008 | | | 6½ | 4½ | | |
| 2010 | | | 6½ | 5½ | | |
| 2012 | | | 6 [2½] | 6 [1½] | | |
| 2013 | | | 3½ | 6½ | | |
| 2014 | | | 6½ | 4½ | | |
| 2016 | | | 6 [3] | 6 [1] | | |
| 2018 | | | 6 [3] | 6 [0] | | |
| 2021 | | | 7½ | 3½ | | |
| 2023** | | | 7 [1½] | 7 [2½] | | |
| 2024 | | | 6½ | 7½ | | |
| 2026 | ||||||
| *: 챔피언 vs 도전자 1:1 대전이 아닌 8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개최했다. **: 챔피언의 타이틀 방어 포기로 도전자 결정전 1, 2위가 대결 | ||||||
[1] 부모와 조부모 모두 이탈리아인이지만, 정작 본인은 미국에서 나고 자랐고 이탈리아어를 하나도 할 줄 모른다고 한다. 히카루 말로는 자기가 이탈리아어를 더 잘한다고..[2] 5피트 6인치[3] 파트너십 계약[4] 당시 레이팅 기준으로 전세계 1, 2, 3, 5, 8, 9위가 참가했다. 레이팅이 가장 낮은 사람이 2768점(MVL)이었다. 나머지는 세계 챔피언 망누스 칼센, 히카루 나카무라, 레본 아로니안, 베셀린 토팔로프였다.[5] 2위 망누스 칼센보다 무려 3점을 앞섰다.[6] 이전 기록은 망누스 칼센의 2009년 펄 스프링 토너먼트의 3002점이다. 2024년 기준 2위는 구케시 디가 체스 올림피아드 2024에서 기록한 3056점[7] 파비아노는 2026년 도전자 결정전까지 총 6번의 도전자 결정전에 출전하게 되었다. 콩라인[8] 클래시컬, 래피드, 블리츠에서 모두 겨루는 포맷이다.[9] 비슷하게 구케시 디도 속기가 약하다는 평이 있는데, 파비아노는 단지 히카루나 칼슨보다 살짝 약하다는 평인 반면 구케시는 속기 한정으로는 슈퍼GM이 과연 맞냐는 평이 나올 정도다(...)[10] 이것 때문에 FIDE는 이후 챔피언십에서 결승전을 14전제로 늘린다.[11] 딩리런, 아로니안, 웨슬리소, MVL, 마메디야로프, 히카루, 네폼니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