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세계 체스 챔피언십 및 참가자 | ||||||
{{{#!folding FIDE 이전 타이틀 (1886~1946)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tablebgcolor=#fff>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1886 | | | 10 | 5 | | |
1889 | | | 10½ | 6½ | | |
1890 | | | 10½ | 8½ | | |
1892 | | | 12½ | 10½ | | |
1894 | | | 7 | 12 | | |
1896 | | | 12½ | 4½ | | |
1907 | | | 10½ | 5½ | | |
1908 | 뮌헨 | | 10½ | 5½ | | |
1910 | | | 9½ | 1½ | | |
1921 | | | 5 | 9 | | |
1927 | | | 3 | 6 | | |
1929 | | | 15½ | 10½ | | |
1934 | | | 15½ | 10½ | | |
1935 | | | 14½ | 15½ | | |
1937 | | | 9½ | 15½ | |
{{{#!folding FIDE 타이틀 (1948~1993)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1948* | | 14 | | |||
1951 | | | 12 | 12 | | |
1954 | | | 12 | 12 | | |
1957 | | | 9½ | 12½ | | |
1958 | | | 10½ | 12½ | | |
1960 | | | 8½ | 12½ | | |
1961 | | | 8 | 13 | | |
1963 | | | 9½ | 12½ | | |
1966 | | | 12½ | 11½ | | |
1969 | | | 10½ | 12½ | | |
1972 | | | 8½ | 12½ | | |
| - | | | |||
1978 | | | 6 | 5 | | |
1981 | | | 6 | 2 | | |
1984*** | | | 5 | 3 | | |
1985 | | | 11 | 13 | | |
1986 | | | 12½ | 11½ | | |
1987 | | | 12 | 12 | | |
1990 | | | 12½ | 11½ | | |
*: 챔피언의 사망으로 챔피언 vs 도전자 1:1 대전이 아닌 5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치러졌다. **: 타이틀 방어 포기 ***: 중단 |
{{{#!folding PCA 타이틀 (1993~2006)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1993 | | | 12½ | 7½ | | |
1995 | | | 10½ | 7½ | | |
2000 | | | 6½ | 8½ | | |
2004 | | | 7 | 7 | |
{{{#!folding 통합 타이틀 (2006~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2006 | | | 6 [2½] | 6 [1½] | (FIDE 챔피언) | |
2007* | | | 8 | 9 | | |
2008 | | | 6½ | 4½ | | |
2010 | | | 6½ | 5½ | | |
2012 | | | 6 [2½] | 6 [1½] | | |
2013 | | | 3½ | 6½ | | |
2014 | | | 6½ | 4½ | | |
2016 | | | 6 [3] | 6 [1] | | |
2018 | | | 6 [3] | 6 [0] | | |
2021 | | | 7½ | 3½ | | |
2023** | | | 7 [1½] | 7 [2½] | | |
2024 | | | 6½ | 7½ | | |
2026 | ||||||
*: 챔피언 vs 도전자 1:1 대전이 아닌 8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개최했다. **: 챔피언의 타이틀 방어 포기로 도전자 결정전 1, 2위가 대결 |
2026 세계체스연맹 월드 챔피언십 2026 FIDE World Championship | |||
장소·일시 미정 | |||
체스 세계 챔피언 | 도전자 결정전 우승자 | ||
| 미정 |
승점 |
←2024 | 2028→ |
1. 개요
2026년에 개최되는 세계 체스 챔피언십의 진행에 관한 문서이다. 챔피언십의 승자는 2028년까지 체스 세계 챔피언 타이틀을 가지게 된다.2026년 도전자 결정전의 우승자가 세계 챔피언 구케시 디와 대결을 벌이게 된다.
2. 도전자 결정전
2026년 초에 열릴 예정이다. 현재까지 결정된 참가자는 다음과 같다.<rowcolor=#FFF> 후보자 | 생년월일 | 소속 | 레이팅(순위)[1] | 자격[2] |
파비아노 카루아나 Fabiano Caruana | 1992.07.30. ([age(1992-07-30)]세) | | 2805 (2) | FIDE 서킷 2024 우승 |
체스 월드컵 2025 우승[B] | ||||
체스 월드컵 2025 준우승[B] | ||||
체스 월드컵 2025 3위[B] | ||||
FIDE 그랜드 스위스 토너먼트 2025 우승[C] | ||||
FIDE 그랜드 스위스 토너먼트 2025 준우승[C] | ||||
FIDE 서킷 2025 우승[D] | ||||
6개월[9] 평균 FIDE 레이팅 최고 기록자[E] |
2.1. 특이사항
- 지난 대회와 달리 직전 챔피언십의 패자가 자동으로 참가권을 획득할 수 없게 되었다. 대신 챔피언십 패자는 점수에 따라 FIDE 서킷 2025에서 특별 보너스 점수를 받게 된다. 이 조치에 대해서는 챔피언십 이전 딩 리런의 폼을 고려해서 부득이하게 내린 결정이라는 옹호론도 많지만, 전체적으로 비판적인 의견이 많은 편이다.[11] 결정적으로 직전 챔피언십에서 딩이 예상보다 좋은 모습을 보임에 따라 불필요한 조치를 한 셈이 되었다.
- 저번 대회에서 알리레자 피로우자가 12월에 자국의 2400~2500대 GM들을 상대로 레이팅을 관리한 것이 논란이 되어서인지, 이번 대회에서는 레이팅 평균 산정 기간을 기존 12개월에서 6개월로 축소했다.
[1] 2026년 1월 기준[2] 해당 선수가 2025년 기준 챔피언이거나, 대회에 불참하거나, 이미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다면 각주에 적혀 있는 우선 순위에 따라 후보자가 대체된다.[B] 대체 우선순위: 체스 월드컵 2025 4위, FIDE 서킷 2024 2위, FIDE 서킷 2025 2~3위, FIDE 서킷 2024~2025 순위의 합이 가장 낮은 선수[B] [B] [C] 대체 우선순위: FIDE 그랜드 스위스 토너먼트 2025 3위, FIDE 서킷 2024 2위, FIDE 서킷 2025 2~3위, FIDE 서킷 2024~2025 순위의 합이 가장 낮은 선수[C] [D] 대체 우선순위: FIDE 서킷 2025 2~3위, FIDE 서킷 2024~2025 순위의 합이 가장 낮은 선수[9] 2025년 8월~2026년 1월[E] 대체 우선순위: FIDE 서킷 2025 2~3위, FIDE 서킷 2024~2025 순위의 합이 가장 낮은 선수. 단, 선수가 불참하는 경우에 한해 평균 레이팅 2위에게 참가 자격 부여[11] 기존 챔피언십까지는 직전 챔피언십의 패자가 자동으로 도전자 결정전 참가 자격을 얻었으며, 60여 년 전까지만 해도 기존 챔피언이 패할 경우 다음 챔피언십에서 재탈환할 기회가 제공되었다. 허나 이 조치에 의해 2024 월드 챔피언십의 패자는 도전자 결정전조차 출전하지 못할 수 있게 되니 과도하다는 의견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