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스 세계 챔피언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2대 엠마누엘 라스커 | 4대 알렉산더 알레킨 | ||
5대 막스 오이베 | 6대 미하일 보트비닉 | 8대 미하일 탈 | ||
10대 보리스 스파스키 | 11대 바비 피셔 | 12대 아나톨리 카르포프 | ||
13대 가리 카스파로프 | 14대 블라디미르 크램닉 | 15대 비스와나탄 아난드 | 16대 망누스 칼센 | |
17대 딩리런 | 18대 구케시 돔마라주 | }}}}}}}}} |
Max Euwe 막스 오이베 | |
<colbgcolor=#000><colcolor=#fff> 본명 | Machgielis "Max" Euwe 마흐힐리스 "막스" 외버 |
출생 | 1901년 5월 20일 |
사망 | 1981년 11월 26일 (향년 80세) |
학력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 수학 박사[1] |
국적 | |
타이틀 | GM (1950) |
세계 챔피언 | 1935-37 |
Elo 레이팅 | 2530 (최고 레이팅) |
[clearfix]
1. 개요
전략은 생각을 필요로 하고, 전술은 관찰을 필요로 한다.
막스 오이베는 네덜란드 출신 5번째 체스 세계 챔피언이자 수학자, 작가이다. 챔피언 중에서는 가장 약체로 꼽히고, 인기도 낮은 편이지만, FIDE 회장으로 활동하면서 소련의 FIDE 참여를 이끌어내는 등 경기 외적으로 체스계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2. 생애
암스테르담 워터그라프스미어에서 태어났다.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그와 함께 아마추어 체스마스터에 오른다.전임 체스 세게 챔피언이었던 알레킨으로부터 두 번의 도전 끝에 제7대 세계 체스 챔피언에 올랐고, 후에 다시 알레킨에게 체스 챔피언 자리를 내주게 된다.
로테르담에서 처음으로, 나중에는 암스테르담의 여성문화회관에서 수학을 가르쳤다. 직관주의적 관점에서 체스 게임의 수학적 분석에 관한 책을 출판했으며, 여기서 수열을 사용하여 수학적 접근을 시도하였으나, 체스의 무한한 가능성을 제외시키지 못했음을 보여주었다.
1981년 암스테르담에서 사망하였다.
3. 기풍
체스를 수열을 통해 수학적으로 접근하려고 했던 것을 볼 수 있듯이, 계산적이고 차분한 기풍을 보여주었다. 다소 공격적인 플레이를 보였던 미하일 탈과는 대조되는 모습.4. 기타
7대 체스 챔피언 바실리 스미슬로프와 함께 세계 챔피언 중에서 가장 존재감이 없다.이름이 발음하기 어려운 편. 서구권에서도 Euwe의 발음을 묻는 질문이 많으며 사람에 따라서 유웨, 이우베, 외베 등 제멋대로(...) 발음한다. '오이베'는 독일어식 발음이다. 네덜란드에선 [ˈøːʋə]로 발음하며 으우베, 으우웨에 가깝다. 네덜란드어 표기법에 따른 정확한 표기는 "마흐힐리스 외버"이다.
5. 둘러보기
역대 세계 체스 챔피언십 및 참가자 | ||||||
{{{#!folding FIDE 이전 타이틀 (1886~1946)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tablebgcolor=#fff>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1886 | | | 10 | 5 | | |
1889 | | | 10½ | 6½ | | |
1890 | | | 10½ | 8½ | | |
1892 | | | 12½ | 10½ | | |
1894 | | | 7 | 12 | | |
1896 | | | 12½ | 4½ | | |
1907 | | | 10½ | 5½ | | |
1908 | 뮌헨 | | 10½ | 5½ | | |
1910 | | | 9½ | 1½ | | |
1921 | | | 5 | 9 | | |
1927 | | | 3 | 6 | | |
1929 | | | 15½ | 10½ | | |
1934 | | | 15½ | 10½ | | |
1935 | | | 14½ | 15½ | | |
1937 | | | 9½ | 15½ | |
{{{#!folding FIDE 타이틀 (1948~1993)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1948* | | 14 | | |||
1951 | | | 12 | 12 | | |
1954 | | | 12 | 12 | | |
1957 | | | 9½ | 12½ | | |
1958 | | | 10½ | 12½ | | |
1960 | | | 8½ | 12½ | | |
1961 | | | 8 | 13 | | |
1963 | | | 9½ | 12½ | | |
1966 | | | 12½ | 11½ | | |
1969 | | | 10½ | 12½ | | |
1972 | | | 8½ | 12½ | | |
| - | | | |||
1978 | | | 6 | 5 | | |
1981 | | | 6 | 2 | | |
1984*** | | | 5 | 3 | | |
1985 | | | 11 | 13 | | |
1986 | | | 12½ | 11½ | | |
1987 | | | 12 | 12 | | |
1990 | | | 12½ | 11½ | | |
*: 챔피언의 사망으로 챔피언 vs 도전자 1:1 대전이 아닌 5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치러졌다. **: 타이틀 방어 포기 ***: 중단 |
{{{#!folding PCA 타이틀 (1993~2006)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1993 | | | 12½ | 7½ | | |
1995 | | | 10½ | 7½ | | |
2000 | | | 6½ | 8½ | | |
2004 | | | 7 | 7 | |
{{{#!folding 통합 타이틀 (2006~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2006 | | | 6 [2½] | 6 [1½] | (FIDE 챔피언) | |
2007* | | | 8 | 9 | | |
2008 | | | 6½ | 4½ | | |
2010 | | | 6½ | 5½ | | |
2012 | | | 6 [2½] | 6 [1½] | | |
2013 | | | 3½ | 6½ | | |
2014 | | | 6½ | 4½ | | |
2016 | | | 6 [3] | 6 [1] | | |
2018 | | | 6 [3] | 6 [0] | | |
2021 | | | 7½ | 3½ | | |
2023** | | | 7 [1½] | 7 [2½] | | |
2024 | | | 6½ | 7½ | | |
2026 | ||||||
*: 챔피언 vs 도전자 1:1 대전이 아닌 8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개최했다. **: 챔피언의 타이틀 방어 포기로 도전자 결정전 1, 2위가 대결 |
[1] 1926년 취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