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체스 선수 순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em" | 순위 | 이름 | 레이팅 |
1위 | | 2839 | |
2위 | | 2816 | |
3위 | | 2789 | |
4위 | | 2773 | |
5위 | | 2771 | |
6위 | | 2762 | |
7위 | | 2759 | |
8위 | | 2756 | |
9위 | | 2755 | |
10위 | | 2754 | |
11위 | | 2752 | |
12위 | | 2750 | |
13위 | | 2743 | |
14위 | | 2742 | |
15위 | | 2738 | |
| 2738 | ||
17위 | | 2737 | |
18위 | | 2734 | |
19위 | | 2732 | |
20위 | | 2729 | |
| 2729 | ||
22위 | | 2724 | |
23위 | | 2722 | |
24위 | | 2721 | |
25위 | | 2720 | |
| 2720 | ||
27위 | | 2717 | |
28위 | | 2716 | |
29위 | | 2711 | |
30위 | | 2710 | |
| 2710 | ||
32위 | | 2700 | |
33위 | | 2698 | |
34위 | | 2697 | |
| 2697 | ||
| 2697 | ||
37위 | | 2693 | |
38위 | | 2692 | |
39위 | | 2691 | |
40위 | | 2689 | |
41위 | | 2687 | |
42위 | | 2684 | |
43위 | | 2682 | |
44위 | | 2681 | |
45위 | | 2679 | |
46위 | | 2672 | |
47위 | | 2671 | |
48위 | | 2669 | |
49위 | | 2668 | |
50위 | | 2667 | |
2025년 10월 기준. 비활성화된 선수 제외.[A] | |||
[A]: 비활성화된 선수를 포함하면 가리 카스파로프가 2812점으로 2위다. |
<colbgcolor=#fff><colcolor=#000> 웨슬리 바르보사 소 Wesley Barbossa So | |
| |
출생 | 1993년 10월 9일 ([age(1993-10-09)]세) |
필리핀 바쿠르 시 | |
국적 |
(1993~2021)
(2021~) |
타이틀 | GM (2008) |
Elo 레이팅 | 27482025년 04월 기준 2822최대 레이팅 |
최고 랭킹 | 2위 |
|
1. 개요
웨슬리 소는 필리핀계 미국인 체스 선수이다.2. 생애
필리핀 챔피언에 3번 오르는 등 필리핀을 대표하던 그랜드 마스터였다. 하지만 필리핀 연맹의 부패와 지원 부족을 이유로 2014년 미국 연맹으로 이적했다.2.1. 초기 경력
13세에 IM이 되었으며, 14세엔 GM이 되었다.2007년 세계 유소년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였으며, 이는 역대 최연소 기록이다.
이후 2008년, 당시 기준으론 최연소 2600대 선수가 되었다.
2.2. 2009~2016년
2009년 Corus Chess Tournament C에서 우승하였다.2012년, 연맹을 미국으로 바꿨고, 2014년엔 공식적으로 미국 선수가 되었다.
2015년 Wijk aan Zee에서 우승하였다.
2016년 싱큐필드 컵에서 우승하였다.
2.3. 2017~2019년
2017년 타타스틸에서 우승하였고, 미국 챔피언십에서 우승하기도 하였다.그는 2017년 런던 클래식, GCT에서 우승하기도 하였다.
또한, 동일년도에 레이팅 2800을 넘기면서 레이팅 2800을 넘은 역대 11번째 선수가 되었다.
2017년 2월, 레이팅 2822에 도달하였으며, 이는 역대 5번째로 높은 레이팅에 해당한다.[1] 또한, 3월에는 세계 2위에 올랐다. 이후, 그랑프리에 참가한 선수중 1년간 평균 레이팅이 높은 선수 2위 자격으로 2018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하였다.
그러나, 도전자 결정전에선 6/14의 성적으로 7위를 거두었다.
2019년 피셔랜덤 챔피언십에서 망누스 칼센을 꺾고 우승하면서 인생 첫 챔피언 타이틀을 얻게되었다.
2.4. 2020년 이후
2020년 미국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였다.2021년에 미국 시민권을 획득했다.
2021년 미국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였다. 또한, 싱큐필드 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2022년 체스닷컴 글로벌 챔피언십에서 니할 사린을 꺾고 우승하여 초대 글로벌 챔피언이 되었다.
2025년 싱큐필드에서 8라운드까지 선두보다 0.5점 승점이 적었으나, 9라운드에서 노디르벡 압두사토로프을 잡아내었고, 플레이 오프에서 프라그나난다을 잡아내면서 우승에 성공했다.[2]
3. 기풍
높은 정확도와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 견고한 기풍으로 상대를 천천히 압박하면서도 빈틈을 놓치지 않는 선수.그러나 뛰어난 실력에 비해 커리어와 승리에 관심이 상당히 낮다. 연말에는 가족과 함께 지낸다며 래피드/블리츠 챔피언쉽을 포함한 대회에 불참하기도 한다. 무승부율도 현대 슈퍼GM 중 손꼽힐 정도로 높은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