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3 13:15:34

트랜스포머 애니메이티드/등장인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트랜스포머 애니메이티드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2. 특징3. 오토봇
3.1. 레귤러
3.1.1. 옵티머스 프라임(Optimus Prime) 3.1.2. 벌크헤드(Bulkhead)3.1.3. 프라울(Prowl)3.1.4. 범블비(Bumblebee)3.1.5. 라쳇(Ratchet)
3.2. 다이노봇(Dinobot)3.3. 사이버트론 엘리트 가드(Cybertron Elite Guard)3.4. 팀 아테니아(Team Athenia)
3.4.1. 로디머스 프라임 (Rodimus Prime)3.4.2. 브런(Brawn)3.4.3. 핫 샷(Hot Shot)3.4.4. 아이언하이드(Ironhide)3.4.5. 레드 얼럿(Red Alert)
3.5. 사이버트론 정보부(Cybertron Intelligence)
3.5.1. 롱암 프라임(Longarm Prime)3.5.2. 하이브로우(Highbrow)3.5.3. 알시(Arcee)3.5.4. 클리프점퍼(Cliffjumper)3.5.5. 블러(Blurr)3.5.6. 메탈호크(Metalhawk)
3.6. 과학부(Ministry of Science)
3.6.1. 메인프레임(Mainframe)3.6.2. 퍼셉터(Perceptor)3.6.3. 휠잭(Wheeljack)
3.7. 오메가 프로젝트(Omega project)
3.7.1. 오메가 센티널(Omega Sentinel)3.7.2. 교관(Mentors)
3.8. 사이버 닌자 군단(Cyber-Ninja Corps)3.9. 사이버트론 경찰 방어 사령부(Cybertron Police Defense Command)3.10. 미니콘(Minicon)3.11. 그외
3.11.1. 알파 트라이온(Alpha Trion)3.11.2. 엘리타 원(Elita-One)3.11.3. 와스프(Wasp)3.11.4. 렉가(Wreck-Gar)/쓰봇3.11.5. 애프터번(Afterburn)3.11.6. 세이렌(Siren)3.11.7. 호스헤드(Hosehead)3.11.8. 나이트비트(Nightbeat)3.11.9. 아이언피스트(Ironfist)3.11.10. 미네르바(Minerva)3.11.11. 잭팟(Jackpot)3.11.12. 허브캡(Hubcap)3.11.13. 래틀트랩(Rattletrap)3.11.14. 코스모스(Cosmos)3.11.15. 더그 베이스(Dug Base)3.11.16. 비치콤버(Beachcomber)3.11.17. 로잔나(Rosanna)
3.11.17.1. 램혼(Ramhorn)3.11.17.2. 자우르(Zaur)3.11.17.3. 스틸조(Steeljaw)3.11.17.4. 눅(Nook)3.11.17.5. 나이트 워치(Night Watch)
3.11.18. 랜드샤크(Landshark)3.11.19. 슬램댄스(Slamdance)3.11.20. 파이어 프라임(Fire Prime)3.11.21. 파워글라이드(Powerglide)3.11.22. 머드플랩(Mudflap)3.11.23. 스키즈(Skids)3.11.24. 스탬피(Stampy)3.11.25. 랜섹(Ransack)3.11.26. 크럼플존(Crumplezone)3.11.27. 범퍼(Bumper)3.11.28. 에어 레이드(Air Raid)3.11.29. 크로미아(Chromia)3.11.30. 스트롱암(Strongarm)3.11.31. 스트롱암(Strongarm)3.11.32. 플래시포인트(Flashpoint)3.11.33. 엑셀리온(Excellion)3.11.34. 오토봇 노동자(Autobot workers)3.11.35. 롱랙(Longrack)3.11.36. 트랙스(Tracks)3.11.37. 로드 레이지(Road Rage)3.11.38. 휠리(Wheelie)3.11.39. 프리웨이(Freeway)3.11.40. 서치라이트(Searchlight)3.11.41. 체이스(Chase)3.11.42. 플레어업(Flareup)3.11.43. 허퍼(Huffer)3.11.44. 파이프스(Pipes)3.11.45. 미라지(Mirage)3.11.46. 세단(Sedan)3.11.47. 스크런지(Scrounge)3.11.48. 시스프레이(Seaspray)3.11.49. 오토봇 X(Autobot X)3.11.50. 파르마(Pharma)3.11.51. 보태니카(Botanica)3.11.52. 퍼스트에이드(First Aid)3.11.53. 카레라(Carrera)3.11.54. 하운드(Hound)3.11.55. 스코치(Scorch)3.11.56. 보스(Boss)3.11.57. 스워브(Swerve)3.11.58. 백스트릿(Backstreet)3.11.59. 슬랩대쉬(Slapdash)3.11.60. 거즐(Guzzle)3.11.61. 복스(Volks)3.11.62. 모스카르도(Moscardo)3.11.63. 글리프(Glyph)3.11.64. 리퀴티 스플릿(Lickety-Split)3.11.65. 라이트브라이트(Lightbright)3.11.66. 호이스트(Hoist)
4. 디셉티콘
4.1. 레귤러
4.1.1. 메가트론(Megatron)4.1.2. 스타스크림(Starscream)4.1.3. 블랙아라크니아(Blackarachnia)4.1.4. 블리츠윙(Blitzwing)4.1.5. 러그너트(Lugnut)
4.2. 스타스크림의 클론들(Starscream Clones)4.3. 컨스트럭티콘(Constructicon)4.4. 팀 차르(Team Chaar)4.5. 디셉티콘 중무장 여단(Decepticon Heavy Brigade)
4.5.1. 블랙아웃(Blackout)4.5.2. 그라인더(Grinder)4.5.3. 버글리(Bugly)4.5.4. 베놈(Venom)
4.6. 오토봇 복제 프로젝트
4.6.1. 매그니피커스(Magnificus)4.6.2. 톡시트론(Toxitron)4.6.3. 네메시스 프라임(Nemesis Prime)
4.7. 팀 스턴티콘(Team Stunticon)
4.7.1. 더 모터 마스터(The Motor Master)4.7.2. 브레이크다운(Breakdown)4.7.3. 데드 엔드(Dead End)4.7.4. 드래그 스트립(Drag Strip)4.7.5. 와일드라이더(Wildrider)
4.8. 그 외
4.8.1. 락다운(Lockdown)4.8.2. 사운드웨이브(Soundwave)
4.8.2.1. 레이저비크(Laserbeak)4.8.2.2. 랫뱃(Ratbat)4.8.2.3. 버즈쏘우(Buzzsaw)4.8.2.4. 선더(Sunder)4.8.2.5. 가보일(Garboil)4.8.2.6. 윙씽(Wingthing)
4.8.3. 스윈들(Swindle)4.8.4. 쇼크웨이브(Shockwave)4.8.5. 와스피네이토(Waspinator)4.8.6. 러그너트 슈프림(Lugnut Supreme)4.8.7. 사이드웨이즈(Sideways)4.8.8. 스트랙서스(Straxus)4.8.9. 리플렉터(Reflector)4.8.10. 스크래시(Scrash)4.8.11. 슬래퍼(Slapper)4.8.12. 스트레치(Stretch)4.8.13. 다크 로디머스(Dark Rodimus)4.8.14. 타란튤라스(Tarantulas)4.8.15. 스냅드래곤(Snapdragon)4.8.16. 스콜포녹(Scorponok)4.8.17. 크림직(Kremzeek)4.8.18. 플립 사이즈(Flip Sides)4.8.19. 라이잭(Lyzack)4.8.20. 아스트로트레인(Astrotrain)4.8.21. 러너먹(Runamuck)4.8.22. 러너바웃(runabout)4.8.23. 타이달 웨이브(Tidal wave)4.8.24. 녹 아웃(Knock Out)4.8.25. 드릴혼(Drilhorn)4.8.26. 바리케이드(Barricade)4.8.27. 프렌지(Frenzy)4.8.28. 오버로드(Overlord)4.8.29. 카잡(Carzap)4.8.30. 봄셸(Bombshell)4.8.31. 사이-킬(Cy-Kill)4.8.32. 헬뱃(Hellbat)4.8.33. 메가데스(Megadeath)4.8.34. 옥터스(Octus)4.8.35. 기가트론(Gigatron)4.8.36. 데스자라스(Deathsaurus)4.8.37. 마스터 메가트론(Master Megatron)4.8.38. 센티널 슈프림
5. 프레데콘
5.1. 블랙아라크니아5.2. 인페르노(Inferno)5.3. 앤트애고니(Antagony)
6. 인간
6.1. 사리 숨닥(Sari Sumdac)6.2. 아이작 숨닥(Isaac Sumdac)6.3. 카마인 팬존(Captain Fanzone)6.4. 멜트다운(Meltdown)6.5. 콜로서스 로즈(Colossus Rhodes)6.6. 포터 C 파웰(Porter C. Powell)6.7. 헤드마스터(The Headmaster)6.8. 앵그리 아처(Angry Archer)6.9. 프로페서 프린세스(Professor Princess)6.10. 나노세크(Nanosec)6.11. 슬로모(Slo-Mo)6.12. 마스터 디제스터(Master Disaster)6.13. 윗위키 부부6.14. 나타샤 피라니악6.15. 빌 포스터6.16. 짐 소렌슨
7. 기타
7.1. 가디언7.2. 프로텍토봇7.3. 데스트론7.4. 쿠인테슨7.5. 에르조니아7.6. 네뷸론 공화국
7.6.1. 소속 행성
7.7. 보크7.8. 베스티알 제국7.9. 타이레시안 연합
7.9.1. 소속 행성 목록

1. 개요

트랜스포머 애니메이티드의 등장인물을 정리한 문서.

2. 특징

전체적으로 여러 트랜스포머 시리즈속 캐릭터들을 기반으로 디자인과 설정들을 애니메이티드 스럽게 디자인한것이 주요 특징이다.

초기 애니메이션 방영 당시에는 트랜스포머 캐릭터수가 그렇게 까지 많지 않았으나 회차가 지날수록 여러 신규 캐릭터가 추가되고 거기에 더해서 각종 코믹스나 기타 설정집을 통해서 캐릭터가 추가가 된 결과, 상당한 방대한 양의 캐릭터들이 나왔다. 특히나 그중에서 오토봇이 그 수가 가장많다.

3. 오토봇

파일:tfa_Milky Way.jpg
애니메이티드 세계관의 은하수 지도.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오토봇연방의 영토이다.
오토봇은 약 7억 5천만 년 전 제3차 사이버트론 전쟁의 여파로 통치하던 프로텍트봇의 하위 세력으로 처음 등장했다.

오토봇은 이전 세대들을 압도하며 팽창의 시대를 주장했고, 헤이든 시스템을 넘어 사이버트론의 영향력을 확장하여 더 큰 은하를 식민지화하고 오토봇 연방을 설립했다. 공화국 건설이 쿠인테슨 범은하 공동번영권과 국경 충돌을 일으킬 때, 오토봇들은 데스트론의 보호를 받으며 사이버트론 과학부 역할을 하였다. 사이버트로니안들은 쿠인테슨 간의 갈등에서 승리했지만, 데스트론들은 오토봇들이 그들의 희생으로 부자가 되는동안 자신들은 너무 적은 보상을 받고 너무 많은 일을 했다고 느끼면서 오토봇과 데스트론과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데스트론은 결국 디셉티콘으로 진화하여 오토봇과 대전쟁을 일으켰다. 이후 오토봇이 승리해 디셉티콘들을 추방한다.

이 세계관에선 오토봇이 승리 했기에 이들이 사이버트론에서 살고 있다. 징병제를 시행하는지 군인이 될 생각도 없는 벌크헤드가 입대하고 프로토폼에서 태어날 때 이름을 가지고 있지 않고 훈련소에서 이름을 갖는다.[1]

이전 트랜스포머 시리즈의 오토봇들과 다르게 알트 모드에 비해 크기가 매우 작다.[2] 대부분은 자동차를 스캔해 다니며 비행형은 존재하지 않는다. 전쟁 당시 비행형으로 변신하는 오토봇들이 있었다고 하지만 숫자도 훨신 적고 전쟁 때 전부 사망했다고 한다. 다른 행성의 생명체를 굉장히 혐오하며 무서워한다.

다른 세계관들과 달리 프라임이 최고 사령관의 계급이 아니며 매그너스가 최고 계급이다. 순서대로 마이너 → 메이저 → 프라임 → 매그너스.

3.1. 레귤러

파일:lF2sNrZ.jpg
옵티머스 부대
파일:feb2JjF.jpg
시즌 3 8화 Human Error Part1에서 등장한 인간 모습

스페이스 브릿지를 수리하던 오토봇 기술부대. 부대에 정확한 명칭은 없다. 지구에 불착시하고 디트로이트시 바다에 빠져 50년동안 휴면상태로 유지하고 있었다. 우연히 사리 숨닥이라는 인간 소녀를 구해주고 그 뒤로 사고가 날때마다 인간들을 도와준다.

3.1.1. 옵티머스 프라임(Optimus Prim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옵티머스 프라임(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옵티머스 프라임(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옵티머스 프라임(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벌크헤드(Bulkhea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벌크헤드(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벌크헤드(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벌크헤드(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 프라울(Prowl)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라울(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라울(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라울(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4. 범블비(Bumblebe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범블비(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범블비(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범블비(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5. 라쳇(Ratche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쳇(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쳇(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쳇(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다이노봇(Dinobo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이노봇(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이노봇(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이노봇(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사이버트론 엘리트 가드(Cybertron Elite Guar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이버트론 엘리트 가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이버트론 엘리트 가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이버트론 엘리트 가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팀 아테니아(Team Athenia)

파일:tw7uDzZ.jpg
더 쿨 만화 시리즈에서 등장한 팀 아테니아

로디머스 프라임이 이끄는 스페이스 브릿지 방어팀. 이름의 어원은 G1 당시 등장했던 행성 아테니아의 이름에서 따왔다.

3.4.1. 로디머스 프라임 (Rodimus Prim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디머스 프라임(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로디머스 프라임(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로디머스 프라임(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2. 브런(Brawn)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파일:tfa_Brawn.jpg
브런
Brawn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오프로드 트럭
소속 오토봇
팀 아테니아
성우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 버튼[3]
파일:일본 국기.svg 나가사코 타카시.[4]

파일:UyTPBow.jpg

스페이스 브릿지의 방어 팀 아테니아의 일원. 부대에서 덩치가 제일 작지만 땅을 잡아 뜯어내 바위로 만들어 던저 버릴 정도의 괴력을 소유하고 있다. 코믹스에서는 워패스처럼 크게 나온다.

3.4.3. 핫 샷(Hot Sho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핫 샷(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핫 샷(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핫 샷(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4. 아이언하이드(Ironhid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이언하이드(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이언하이드(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이언하이드(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5. 레드 얼럿(Red Aler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드 얼럿(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드 얼럿(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드 얼럿(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사이버트론 정보부(Cybertron Intelligence)

파일:external/41.media.tumblr.com/tumblr_nhu3ftvJfm1sj0xwao1_1280.png
본부 메트로플렉스
파일:external/36.media.tumblr.com/tumblr_nhu3t7PEOE1sj0xwao1_1280.png
입구

오토봇의 모든 정보와 사이버트론의 스페이스 브릿지를 관리한다.

여담으로 트랜스포머 공식 QNA인 Ask Vector Prime에서 센티널 마이너가 벡터 프라임 대신 질문을 받을 당시 한 팬이 애니메이티드의 메트로플렉스, 포트릭스 맥시무스, 트립티콘 감옥이 지각이 있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A: 지각이 있냐고? 왜 우리 건물을 지각이 있게 만들까? 그러면 말이 되지. "아, 나는 알파 트라이온이야. 나는 금속보다 나이가 많고 길드 도메스틱스를 이끌고 있는데 나는 화석이라 군사비 지출을 줄여야 할 것 같아. 벽아, 어떻게 생각해?" "좋은 생각이야, 알파 트라이온." "고마워, 벽아!" Pffff... 지각 있는 건물들이라니.

3.5.1. 롱암 프라임(Longarm Prim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롱암 프라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롱암 프라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롱암 프라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이버트론의 정보부 총지휘관. 하지만...

3.5.2. 하이브로우(Highbrow)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파일:tfa_Highbrow.jpg
하이브로우
Highbrow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궤도 차량[이미지]
소속 오토봇
사이버트론 정보부
정보 길드
성우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케이
파일:일본 국기.svg 이마루오카 아츠시

대전쟁 당시 정보부 총지휘관이였던 오토봇. 오메가 프로젝트에도 참여하였고 라쳇을 오메가 슈프림에게 안내해줬다. 또한 그는 메가트론과 디셉티콘 공군 장군인 스크래시간의 대화 코드를 해독하는데 성공하였다. 이 정보는 대전쟁에서 오토봇들이 가장 크게 승리한 전투인 플로론 III 매복 작전으로 이어졌다.

대전쟁이 끝난 후, 갑자기 실종됐다. 그 뒤 롱암이 정보부 총지휘관으로 취임됐다.

두상이 굉장히 길다. 후임인 롱암은 프라임인데 하이브로우는 직급이 프라임이 아니다.

3.5.3. 알시(Arce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알시(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알시(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알시(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4. 클리프점퍼(Cliffjump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클리프점퍼(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클리프점퍼(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클리프점퍼(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5. 블러(Blur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러(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러(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러(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6. 메탈호크(Metalhawk)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이버트론 엘리트 가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이버트론 엘리트 가드#s-3.8|3.8]]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이버트론 엘리트 가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과학부(Ministry of Science)

3.6.1. 메인프레임(Mainframe)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파일:tfa_Mainframe.jpg
메인프레임
Mainframe
알트 모드 컴퓨터 메인프레임
소속 오토봇
오토봇 과학부
과학 길드

라쳇의 회상에서 등장한 오토봇. 과학자이며 컴퓨터 프로그래밍 전문가다. 대전쟁 당시 소프트웨어 전쟁에서 큰 활약을 했으며, 오메가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설정과 무색하게 실상은 배경. 외형은 윈드차저와 판박이면서 왜...대사 한마디도 안하고 움직이지도 않는데 심지어 몸체 색도 어두운 배경에 맞춰 보이지도 않는 칙칙한 색으로 나온다. 사실상 그냥 기믹 캐릭터.

원래는 하이브로우 포지션으로 나올 예정이었다. 목숨과 바꾼 비중

원본은 “액션 마스터즈(Action Masters)”[6] 라인에 동봉된 캐릭터이며, 만화에서의 출연은 이 시리즈가 유일하다.

대릭 와이엇의 블로그에 따르면 초기엔 원본처럼 변신이 불가능하다는 설정이었으나 이후 올스파크 매니악 II를 통해 컴퓨터 메인프레임으로 변신하는것으로 바뀌었다.

3.6.2. 퍼셉터(Perceptor)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파일:tfa_Perceptor.jpg
퍼셉터
Perceptor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트럭, 간이 연구소[7]
소속 오토봇
오토봇 과학부
과학 길드
성우 파일:미국 국기.svg PlainTalk
파일:external/tfwiki.net/WhyIHateMachines-Perceptor.jpg

오토봇 과학부의 장관이며 평의회 멤버 중 한 명. 오메가 슈프림 개발 책임자이다. 노란색의 안경을 쓰는건 G1 오리지널 구형완구의 오마주.

말투가 딱딱하고 억양이 없는데 음성 합성 소프트웨어로 더빙했기 때문이다. 기종은 애플 매킨토시의 PlainTalk.[8] 퍼셉터의 하드 디스크는 텅 비어있다는 설정으로 과학적 지식을 더 많이 받아들이기 위해 감정과 개성을 삭제했다고 한다.

키가 라쳇보다 작게 묘사 된다. 팬들 사이에선 범블비와 비슷할 거라 추측되고 있다.

쇼크웨이브는 퍼셉터를 매우 싫어한다. 얼마나 싫어하냐면 퍼셉터의 목을 비틀어버리고 싶어할 정도(...). 그만큼 퍼셉터가 오토봇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게 보인다. 메가트론이 중심인 '작전:도플갱어'으로 퍼셉터의 클론인 메그니피커스가 있다. 퍼셉터와 동일한 지능을 가지고 있지만 정치에 관심이 많아 그쪽으로 지위를 맡게 되었다.

애니메이티드 코믹스 The arrival 이슈6에서 오토봇에게 디셉티콘의 능력[9]을 주입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는데,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실험체가 없어 진행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죽어가던 제트파이어, 제트스톰 쌍둥이가 구조되자 개조해 주며 프로젝트가 진행 된다. 후반에 다시 등장하며, 가상 전투에서 쌍둥이들에게 위험이 발생하자,[10] 이를 막으려 하지만 잘 되지 않아 곤란해한다.

시즌 3 이후를 다룬 코믹스[11]에서는 퍼셉터와 휠잭이 센티널의 파워마스터 아머를 제작하는 장면으로 처음 등장한다. 후반부에 다시 등장하는데, 디셉티콘이 습격하자 센티널이 퍼셉터에게 아머가 준비 되었는지 물어보고 퍼셉터가 준비 되었다 대답한다. 하지만 그때, 스켈펄이 센티널을 공격하고 센티널이 움직일 수 없게되자, 당황한다.
시즌4 스크립트 리딩[12]에선 옵티머스 프라임, 알파 트라이온과 함께 울트라 매그너스의 죽음을 지켜본다. 이후 휠잭, 라쳇, 레드얼럿등과 함께 파워마스터 아머를 제작하라는 센티널의 명령을 듣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코믹스에서 행적을 보면 감정이 있다가 없다가 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감정을 되돌렸다는 떡밥일 수도 있으나, 퍼셉터의 설정을 무시하고 등장 시킨 것이라고 보는 게 가장 정확하다.

2차 창작에선 IDW G1 코믹스 설정을 채용해서 기관총을 들고 있거나 드리프트와 자주 엮인다. 설정과 디자인이 매우 수려해서 팬층이 천천히 쌓이는 중.

3.6.3. 휠잭(Wheeljack)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파일:tfa_Wheeljack.jpg
휠잭
Wheeljack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스포츠카
소속 오토봇
오토봇 과학부
과학 길드

파일:external/tfwiki.net/TFA_TransWarped_Wheeljack_Perceptor.jpg

과학자이며 오메가 프로젝트 당시 퍼셉터를 보좌하고 있었다. 현재까지도 몇몇 프로젝트를 진행(제트윈즈, 파워마스터아머 등)할 때마다 퍼셉터와 함께 활동한다.[13] 올스파크 매니악2의 퍼셉터의 설명에 의하면 과학을 위해서라면 자기자신이 다쳐도 상관없을 정도로 의욕적인 성격으로 몸을 아끼지 않아 몸에 수많은 상해가 있다. 그래서 겹겹으로 강화된 두툼한 장갑으로 두르고 있는데 얼굴의 철판도 그 장갑 중에 하나다. 개조를 많이하여 휠잭의 원래 모습은 얼마 없다고 한다.

The arrival 이슈6에선 퍼셉터, 레드얼럿과 함께 제트파이어, 제트스톰을 고쳤다.
시즌 3 이후를 다룬 만화에서 퍼셉터와 함께 센티널의 주도하에 이루어지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오리지널 휠잭처럼 얼굴 옆에 달린 장치에서 빛이 나오는데 말을 안해도 빛이 난다.

알마낙 2에서 휠잭의 알트모드[14]가 기재되어 있는데, 원래는 알트모드가 나올예정이였다고 추측 가능하다.

섀글의 휠잭은 설정상 섀글 락다운과 접전이 있는 모양.

2차 창작에선 g1휠잭의 성격을 기반으로 해석되고 있는 모양. 매드사이언티스트로 주로 해석 되며 퍼셉터와 커플링으로 잘 엮인다.

3.7. 오메가 프로젝트(Omega projec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메가 프로젝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메가 프로젝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메가 프로젝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1. 오메가 센티널(Omega Sentinel)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메가 프로젝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메가 프로젝트#s-4.1|4.1]]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메가 프로젝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2. 교관(Mentor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메가 프로젝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메가 프로젝트#s-4.2|4.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메가 프로젝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8. 사이버 닌자 군단(Cyber-Ninja Corp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이버 닌자 군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이버 닌자 군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이버 닌자 군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9. 사이버트론 경찰 방어 사령부(Cybertron Police Defense Comman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이버트론 경찰 방어 사령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이버트론 경찰 방어 사령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이버트론 경찰 방어 사령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0. 미니콘(Minico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니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니콘#s-3.2|3.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니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 그외

3.11.1. 알파 트라이온(Alpha Trio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알파 트라이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알파 트라이온#s-5|5]]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알파 트라이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2. 엘리타 원(Elita-One)

스포일러 주의.

3.11.3. 와스프(Was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와스프(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와스프(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와스프(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4. 렉가(Wreck-Gar)/쓰봇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렉가(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렉가(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렉가(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5. 애프터번(Afterbur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애프터번(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프터번(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프터번(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6. 세이렌(Sire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이렌(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이렌(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이렌(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7. 호스헤드(Hosehea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스헤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호스헤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호스헤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8. 나이트비트(Nightbea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이트비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이트비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이트비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9. 아이언피스트(Ironfis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이언피스트(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이언피스트(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이언피스트(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10. 미네르바(Minerv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네르바(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네르바(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네르바(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11. 잭팟(Jackpo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잭팟(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잭팟(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잭팟(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12. 허브캡(Hubca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허브캡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허브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허브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13. 래틀트랩(Rattletrap)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파일:tfa_Rattletrap.jpg
래틀트랩
Rattletrap / ラトルトラップ
알트 모드 불명[15]
소속 오토봇
성우 파일:미국 국기.svg 톰 케니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구치 캇페이
파일:external/36.media.tumblr.com/tumblr_nm0amoLLqY1sj0xwao3_1280.png

라쳇과 팬존 경감이 사이버트론에 갔을 때 만난 오토봇 중 한명. 지하에서 살며 정보가게를 운영하고 있다. 디셉티콘 스파이인 쇼크웨이브를 숨겨주고 라쳇과 팬존 경감에게 사기를 치지만 팬존 경감이 가래침(...)으로 협박해서 쇼크웨이브의 위치를 알아낸다.

모티브는 비스트 워즈래트랩. 그중에서 봇콘 한정으로 출시한 완구를 기반으로 하였다. 이름같은 경우 래트랩의 일본명인 '래틀'까지 합처서 지은 듯 하다.

래트랩을 오마주한 캐릭터답게 일본판은 성우도 같다. 야마구치 캇페이는 거의 15년 전에 연기한 래트랩을 그대로 선보였다. 트포 일어 더빙이 성우에 얼마나 신경쓰고 있는지 알려주는 부분.

트랜스포머 알마낙2에선 비스트 워즈의 오마주로 보타니카와 사귀고 있다고 한다.

데릭 J. 와이엇에 의하면 랜색, 스탬피와 같은 바디 타입을 공유한다고 한다. #

3.11.14. 코스모스(Cosmos)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파일:tfa_Cosmos.jpg
코스모스
Cosmos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이동식 천문대 버기카
소속 오토봇
과학 길드
젊고 재능이 뛰어나고 많은 이들한테 존경받는 천문학자로 우주와 외계 행성에 대해 꽤 많이 알고 있다고 한다. 다만 안타깝게도 일을 시작한 이후로는 외출한 적이 거의 없으며, 사회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그가 어떤 트랜스포머인지 정확히 알기가 매우 어렵다고 한다.

별을 여행하며 탐험하는 래드를 부러워 한다고 한다.

3.11.15. 더그 베이스(Dug Base)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파일:tfa_Dug Base.jpg
더그 베이스
Dug Base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항공모함
소속 오토봇
그랜더스와 거의 비슷하게 생긴 거대한 오토봇. 생긴건 그랜더스와 비교해서 색상과 머리 디자인이 조금 다르다. 애니메이션은 항공모함 형태로 2번, 로봇모드는 딱 1번만 나왔다.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용자지령 다그온에 등장하는 다그 베이스를 오마주한 캐릭터이다. 뜬금없이 웬 용자 시리즈냐고 할 수 있는데, 다그 베이스가 그랜더스 완구를 기반으로 금형을 수정해서 만든 것이기 때문이다.

3.11.16. 비치콤버(Beachcomber)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파일:tfa_Beachcomber.jpg
비치콤버
Beachcomber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쿨한 성격을 가진 오토봇으로 친절하며, 모두와 친구가 되고 싶어한다고 한다. 그런데 이러한 성격과는 다르게 사이크, 시뮬트로닉스, 앤골모이스, 크리스매그 같은 을 하고다닌다(...).


시즌 3에서 롱암 프라임의 정체를 알아버려 쇼크웨이브에게 사망하는 장면으로 등장할 예정이었으나 해당 장면은 삭제된다. 해당 장면이 삭제된 이후 군중들 사이에 끼어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목숨과 바꾼 비중 2

3.11.17. 로잔나(Rosanna)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Rosanna.jpg
로잔나
Rosanna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엔터테인먼트 길드
많은 팬층을 보유한 인기 가수이다. 반려동물도 기르는데 꽤 많다. 설정상 바디타입은 09262-8765-001 바디 타입이라고 한다.

애니메이션에선 센티넬 매그너스가 사이버트론으로 돌아오는 것을 환호하는 군중의 일원으로 등장한다.

한 번은 프랙털 원형극장에서 연주한 적이 있다고 한다. 안두리아 합창단이 그녀를 위해 문을 열었다고.

그랜더스가 그녀의 열렬한 팬이라고 한다. 그녀의 오일 타입(20W-30), 좋아하는 색(분홍색), 취미(이색 동물 수집) 등 그녀에 대한 모든 tmi들을 알고 있다고. 로잔나는 그런 그를 위해 그에 대한 노래인 "철의 남작"을 작곡했다.

램혼과 자우르와 산책하던 로잔나는 안타깝게도 치토, 크럼플존, 랜색의 경찰 추격전 근처에 있었다. 흥분한 로잔나의 반려동물들은 추격전을 하는 경찰들을 따라 뛰어갔고, 로잔나는 그들에게 끌려갔다.

케이온에서 열린 스턴트 콘보이 쇼의 관객석에 있는 모습으로도 등장하였다.

여담으로 누군가가 그녀를 디셉티콘 스파이인 플립 사이즈라고 강하게 믿고 있다고 하는데... 그 정체는 바로 블러. 플립 사이즈와 같은 바디 타입인 09262-8765-001을 착용한것이 그 증거 중 하나라고.
3.11.17.1. 램혼(Ramhorn)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파일:tfa_Ramhorn.jpg
램혼
Ramhorn
종족 노소론
소속 오토봇
로잔나의 반려동물들중 하나로, 노소론이다.
3.11.17.2. 자우르(Zaur)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파일:tfa_Zaur.jpg
자우르
Zaur
종족 브론토봇
소속 오토봇
로잔나의 반려동물들중 하나로, 브론토봇이다.
3.11.17.3. 스틸조(Steeljaw)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Steeljaw.jpg
스틸조
Steeljaw
종족 사이버캣
소속 오토봇
로잔나의 반려동물들중 하나로, 사이버캣이다.
3.11.17.4. 눅(Nook)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파일:tfa_Nook.jpg

Nook
종족 덱시-스쿼럴
소속 오토봇
로잔나의 반려동물들중 하나로, 덱시-스쿼럴이다.
3.11.17.5. 나이트 워치(Night Watch)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파일:tfa_Nightwatch.jpg
나이트 워치
Night Watch
종족 덱시-스쿼럴
소속 오토봇
로잔나의 반려동물들중 하나로, 덱시-스쿼럴이다.

3.11.18. 랜드샤크(Landshark)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랜드샤크 애니메이티드.png
랜드샤크
Land shark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맥카담의 올드 오일 하우스 메뉴에 그의 얼굴 초상화가 그려저 있는데, 정황상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던 모양이다.

3.11.19. 슬램댄스(Slamdance)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슬램댄스 애니메이티드.png
슬램댄스
Slamdance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하이드랙스 고원의 전투에서 타란튤라스에게 반갈죽 당해 죽었는데, 이는 원본이 상하체로 나뉘어 지는 컴바이너인것에 대한 패러디이다.

3.11.20. 파이어 프라임(Fire Prime)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파이어 프라임 애니메이티드.png
파이어 프라임
Fire Prime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하이드랙스 고원에서 오일 슬릭의 코즈믹 러스트에 사망하였다. 모티브는 누가봐도 파이어 콘보이.

3.11.21. 파워글라이드(Powerglide)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파일:tfa_Powerglide.jpg
파워글라이드
Powerglide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궤도 트럭
소속 오토봇

궤도 트럭으로 변신하지만, 항공기 조종에 있어서는 자신의 이름에 걸맞는 삶을 살고 있다.

대전쟁 당시 오토봇 중 최고의 전투기 조종사 중 한 명이었다. 다만 제대로 싸우지 않고 자신의 실력을 과시하는 안좋은 습관이 있었다. 이후 그는 하이드랙스 고원에서의 전투에 참전했었으며, 다행이 코스믹 러스트로부터 살아남았다.

대전쟁이 끝난 이후 그는 민간 조종사로써 여전히 이름값을 하고 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센티널 매그너스가 디셉티콘들을 잡아오며 행진을 벌였을때와 카마인 팬존이 사이버트론에 오게 되었을때, 옵티머스 프라임과 동료들이 승리하며 사이버트론에 오게 되었을때 관중들 사이에서 등장한다.

이후 다른 오토봇들과 같이 스턴트 콘보이 쇼를 관람한다.

변신시 그의 어깨가 트럭의 궤도 부분으로 변신한다고 한다.[16]

3.11.22. 머드플랩(Mudflap)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nimated_Mudflap.jpg
머드플랩
Mudflap
다른 이름 소우투스 / Sawtooth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소우투스라는 가명을 쓰며 오토봇 범죄자이다. 폭행, 오버클럭, 동시전자 소지 혐의로 현재 수배 중에 있다.

트리플 M과 관련이 있다고 하며 스키즈와 공범이다.

치토가 트랜스테크에서 아이콘 센트럴로 강등될 당시, 뎁스 차지의 사무실 밖에 있는 수배 포스터로 등장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사이드스와이프가 아이언피스트의 실험실에서 무기를 도난한 용의자들을 조사하던 중 머드플랩의 머그샷을 꺼낸다.

모티브는 트랜스포머 사이버트론의 머드플랩. 공범인 스키즈는 트랜스포머 실사영화 시리즈에서의 머드플랩의 쌍둥이인 스키즈의 오마주이다. 그의 가명인 소우투스는 2007년 영화 완구 제품중 원래는 소우투스로 나오려 했으나 머드플랩으로 이름이 바뀌어 나온 캐릭터의 오마주이다.

3.11.23. 스키즈(Skids)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Skids.jpg
스키즈
Skids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대전쟁중, 스키즈는 타임루프에 빠져 림보 기생충들에게 감염되었다고 한다.

이후 머드플랩과 공범이 된다.

디자인 모티브는 트랜스포머 실사영화 시리즈스키즈. 그의 타임루프에 빠지는 설정은 트랜스포머 제너레이션 1스키즈의 오마주이다.

3.11.24. 스탬피(Stampy)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347px-StampyAnimated-model.jpg
스탬피
Stampy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모터사이클
소속 오토봇
스탬피는 대전쟁 이후 태어났다고 한다. 본인은 겁쟁이가 아니라며, 나중에 쓰기 위해 용기를 아껴두고 있는거라고. 생김새에 걸맞게 높은 점프가 가능하며, 그의 발차기는 갑옷을 부술정도로 강력하다고 한다.

모티브는 비스트 워즈 네오의 스탬피.

3.11.25. 랜섹(Ransack)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362px-Animated_Ransack.jpg
랜색
Ransack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바이크
소속 오토봇

크럼플존과는 절친이다. 안타깝게도 랜섹 덕분에 항상 두 트랜스포머는 문제에 부딪힌다. 크럼플존은 남들의 말에 쉽게 휘둘리는 팔랑귀인데, 랜섹은 그런 그에게 안좋은 영향을 미친다. 사소한 범죄기록에도 불구하고 그리 못되먹지는 않았다.

작중에서 치토에게 억울하게 추격당한다.

모티브는 트랜스포머 사이버트론의 랜섹.

3.11.26. 크럼플존(Crumplezone)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509px-Animated_Crumplezone.jpg
크럼플존
Crumplezone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삼륜 스포츠카
소속 오토봇
랜섹과는 절친사이이다. 생긴것과는 다르게 본심은 선한 트랜스포머이다. 만일 그가 랜섹과 어울리지 않았다면 아마 건설직에서 종사 할 수 있었을 것이다. 현재는 인상적인 큰 '봇'으로써 랜색의 사소한 범죄에 동조하며 작은 친구의 근육 역할을 하고 있다.

알트모드는 터보 부스터를 장착한 삼륜 사이버트론 경주용 자동차로 변신한다.

작중 랜색과 함께 치토에게 억울하게 쫒기게 된다.

모티브는 트랜스포머 사이버트론의 크럼플존인데, 정확히는 해당 완구의 리데코 완구인 다크 크럼플존 완구다.

3.11.27. 범퍼(Bumper)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범퍼340px-Animated_bumper.jpg
범퍼
Bumper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스포츠카
소속 오토봇
오토봇 공화국의 국경을 넘어 탐사하는 과학 탐험대의 일원이었으며, 원주민 "프리덤 파이터즈"들에 의해 불(Bhul) 행성 상공에서 격추되었다. 생존자들을 숨긴 후, 범퍼는 남은 기름들을 모아오기 위해 배의 잔해로 돌아왔지만 원주민들에게 붙잡혔다. 여러 주기 동안 끔찍한 고문을 당했음에도 불구하고 범퍼는 동료 오토봇들의 위치를 발설하지 않았다. 서치라이트는 이 점에 대해 그를 깊이 존경한다고.

애니메이션에선 센티널 매그너스가 디셉티콘들을 잡아오며 행진을 벌였을때 관중들속에서 등장하며 카마인 팬존이 사이버트론에 떨어졌을때 글립과 대화하는걸로 등장한다.

이후 다른 오토봇들과 함께 스턴트 콘보이 쇼를 관람한다.

범블비, 클리프점퍼와 같이 65356-9292-346 바디 타입을 착용한다.

모티브는 G1의 범퍼

3.11.28. 에어 레이드(Air Raid)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Air Raid.jpg
에어 레이드
Air Raid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궤도 트럭
소속 오토봇
대전쟁에 참전했었다고 한다.

치토가 랜섹과 크럼플존을 추격하는것을 구경한다.

3.11.29. 크로미아(Chromia)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Chromia.jpg
크로미아
Chromia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치토가 크럼플존과 랜색과의 추격전을 벌이던중 크로미아와 스트롱암이 옮기던 물건들을 파손한다.

크로미아는 공식 디자인이 총 3개나 있다.
파일:tfa_Chromia2.jpg 파일:tfa_Chromia3.jpg
크로미아의 첫번째 디자인 크로미아의 두번째 디자인
크로미아는 올스파크 알마낙 II에서 얼굴 디자인이 처음 공개되었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동시간대에 일본에선 트랜스포머 카드를 만들고 있었고, 그렇게 일본의 알시를 재탕한 디자인인 두번째 디자인이 공개되었다. 이후 컴플리트 올스파크 알마낙에서 그녀의 디자인을 업데이트하며 현재 프로필에 있는 디자인이 공개되었다.

3.11.30. 스트롱암(Strongarm)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Strongarm.jpg
스트롱암
Strongarm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오프로드 트럭
소속 오토봇
치토가 크럼플존과 랜색과의 추격전을 벌이던중 스트롱암과 크로미아가 옮기던 물건들을 파손한다.

모티브는 트랜스포머 에너존의 스트롱암. 브런과 같은 바디 타입을 공유하는것도 에너존 스트롱암 완구가 브런의 리툴인것의 오마주이다.

3.11.31. 스트롱암(Strongarm)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Female Strongarm.jpg
스트롱암
Strongarm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맥카담의 올드 오일 하우스 메뉴에 그녀의 얼굴 초상화가 그려져 있다. 인기가 많았었는듯.

모티브는 RID 2015스트롱암.

3.11.32. 플래시포인트(Flashpoint)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311px-Animated_Flashpoint.jpg
플래시포인트
Flashpoint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구급차
소속 오토봇
레스큐 페트롤
플래시포인트는 레스큐 페트롤 소속의 수색 구조 오토봇이다.레스큐 페트롤의 일원으로써 구조 임무 뿐만 아니라 미네르바 같은 트랜스포머들을 가르치는 강사가 되기도 한다.

작중에선 치토의 추격전이 끝난 후 랜섹과 크럼플존을 치료하려 등장한다.

모티브는 트랜스포머 실사영화 시리즈의 인페르노. 해당 인페르노 완구는 트랜스포머 아마다 레드 얼럿의 리데코 완구인데, 애니메이티드 레드 얼럿의 디자인을 재사용해 이를 오마주하였다.

3.11.33. 엑셀리온(Excellion)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384px-Animated_Excellion.jpg
엑셀리온
Excellion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스포츠카
소속 오토봇
술을 마시는걸 좋아한다고 한다. 로드 레이저와 글리프와 친구라고. 사리 숨닥이 사이버트론에 처음 갔을때 만났으며, 사리는 그에게서부터 매우 경쟁력 있는 봇이란 느낌을 받았다고 한다.

3.11.34. 오토봇 노동자(Autobot workers)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오토봇 노동자 애니메이티드.jpg
오토봇 노동자
Autobot workers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모두 같은 바디타입을 공유하지만 전문 분야에 따라 색깔이 다르다. 빨간색은 기계 전문가, 파란색은 유압 전문가, 노란색은 에너존 라우팅 전문가이다.

3.11.35. 롱랙(Longrack)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롱랙Longrack_by_Derrick.jpg
롱랙
Longrack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감마 슈프림의 교관인 롱랙 메이저와 동명이인이다.

코믹스에서 다른 오토봇들과 스턴트 콘보이 쇼를 관람하는것으로 등장한다.

원래는 롱랙 메이저가 봇콘 코믹스에 등장하려 했으나, 롱랙 메이저의 원래 설정과 어긋나자 그냥 동명이인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센티널 프라임이 오토봇 캠프에서 이름을 붙여줄때 창의성이 다 떨어졌었는듯.

3.11.36. 트랙스(Tracks)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Tracks.jpg
트랙스
Tracks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스포츠카
소속 오토봇
그는 매우 속물적이고 높은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아래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거부한다고 한다. 지금까지 그가 자신보다 낮은 사회 계층의 사람과 접촉한 사람은 비치콤버뿐이었고, 심지어 트랙스의 집 안으로 들어갈 때마다 차고에서 비치콤버를 내보냈다고. 트랙스는 유기체들도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아마도 그들이 그의 페인트나 다른 것을 망칠까 봐 걱정되어서라고.

사이버트론의 패션 트렌드[17]에 집착하고 가능한 한 멋지게 보이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을 업그레이드했음에도 불구하고, 트랙스는 전장에서 완전히 쓸모없는 존재는 아니다. 그는 뛰어난 서보-투-서보 전투 기술을 익혔으며, 어떻게든 상처 하나 없이 항상 싸움에서 빠져나온다고 한다.

그는 또한 가십을 따르는 것을 좋아한다. 워패스플레어업이 사귀고 있다는 사실을 길거리에서 들었다고.

3.11.37. 로드 레이지(Road Rage)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420px-Animated_Road_Rage.jpg
로드 레이지
Road Rage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스포츠카
소속 오토봇
로드 레이지는 현상금 사냥꾼이다. 락다운과 달리 그녀는 돈을 위해 범죄자를 사냥하는 것이 아니라 정의를 위해 범죄자를 사냥한다. 그녀는 삼중항 센서를 사용하여 목표물이 무장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엑셀리온과 글립과 친구라고.

3.11.38. 휠리(Wheelie)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Wheelie.jpg
휠리
Wheelie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마이크로카
소속 오토봇
휠리는 쿠인테슨 팬 갤럭틱 공동 번영권의 행성이었던 지오토피아에서 발견된 어린 고아로, 실버 가디언즈들에게 발견되어 집으로 돌아오게 되었다고 한다. 그는 지오토피아에서 혼자 보내던 시간들 때문에 이젠 말을 할때마다 라임을 맞춰 말한다고 한다. 요즘엔 블러와 더그 베이스와 같이 어울려 다닌다고 한다.

여담으로 그의 TFwiki 문서휠리(G1) 문서와 마찬가지로 모든 내용들이 라임에 맞춰 써져있다.

3.11.39. 프리웨이(Freeway)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398px-Animated_freeway.jpg
프리웨이
Freeway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스포츠카
소속 오토봇
프리웨이는 가장 평범한 유머의 열렬한 팬이다. 그는 끊임없이 조잡한 농담을 하고 있으며, 코미디를 이유로 동료들의 말을 찢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끊임없이 허점을 찌르며 악의적으로 비꼬는 발언을 한다. 그는 정말로 악의적인 뜻이 없으며, 그저 자신이 재미있다고 생각할 뿐이다. 안타깝게도, 그의 동료 오토봇들(특히 세단)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65356-9292-346 바디 타입을 착용한다.

모티브는 G1의 쓰로틀봇중 프리웨이.

3.11.40. 서치라이트(Searchlight)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Searchlight.jpg
서치라이트
Searchlight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스포츠카
소속 오토봇
서치라이트는 사이버트론에서 범죄와의 일인 로봇 전쟁을 벌이며 어둠 속에서 범죄자들을 뿌리 뽑기 위해 노력한다. 그는 발사체 무기를 싫어하며, 대신 뛰어난 육탄전 능력과 추리 실력으로 악당들과 싸운다. 일반적인 오토봇들은 그의 업적을 대규모 자경단들의 소행이라고 믿지만, 범죄자들에게 그의 행동은 사이버트론 지하를 휩쓸고 다니는 영혼과 괴물에 대한 이야기를 불러일으켰다.

서치라이트는 대전쟁중 작전: 불타는 하늘[18]로 범죄자들을 소탕하였다.

그는 65356-9292-346 바디 타입을 착용한다.

디자인 모티브는 G1의 쓰로틀봇중 서치라이트. 그의 캐릭터성의 모티브는 프랭크 밀러배트맨이다. 작전: 불타는 하늘은 영국 G1 코믹스의 제목중 하나인 Burning Sky의 오마주이다.

3.11.41. 체이스(Chase)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Chase.jpg
체이스
Chase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스포츠카
소속 오토봇
체이스는 이야기꾼이다. 누구처럼 옛날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 아닌, 체이스의 이야기는 경이로움과 환상적인 이야기로, 미묘한 주제와 잘 발달된 캐릭터를 교묘하게 서사시로 만들어 오래 지속될 것이다.. 물론 그한테 물어본다면 말이다. 물론 좋은 이야기지만 솔직히 말해서 체이스는 그냥 허풍쟁이이다.

체이스가 잘하는 것은 이야기뿐만이 아니다. 체이스의 레이더는 가장 먼 거리에서도 가장 작은 디테일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그는 꽤 빠르고 뛰어난 용기를 가지고 있다. 물론 이 덕분에 체이스는 얘기할 거리가 더 많아졌다.

체이스는 65356-9292-346 바디 타입을 착용한다.

모티브는 G1의 쓰로틀봇중 체이스.

3.11.42. 플레어업(Flareup)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Animated_flareup_character_model.jpg
플레어업
Flareup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성우 파일:미국 국기.svg 수잔 블루
플레어업은 오토봇 부트캠프에서 오토산린의 침대를 폭파시켰다. 그녀는 벌로 수색 및 구조 임무를 맡게 되었다.

이후 플레어업은 다이아블록 록에서 디셉티콘 선전을 방송하던 위성 접시를 끌어 내렸다. 그곳에서 그녀는 백업으로 파견된 워패스를 만나고 사랑에 빠졌다.

애니메이션에선 센티널 프라임을 환영하는 군중속에서 등장하며, 이후 카마인 팬존이 사이버트론으로 텔레포트 했을때 그랜더스에게 저 역겨운 유기체를 밟으라고 말했다. 다행히 라쳇이 와서 카마인 팬존을 도와줬다.

이후 워패스, 리퀴티 스플릿과 함께 스턴트 콘보이쇼에 참석한다. 이때 그랜더스에게 밀려 음료를 엎지른다.

모티브는 G1의 플레어업. 그녀의 머리는 G1 플레어업의 모티브인 파이어스타의 머리의 오마주이다.

플레어업의 다리는 플레어 바지와 비슷하다.

라틴 아메리카의 더빙에서는 남성으로 더빙되었다.

3.11.43. 허퍼(Huffer)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Huffer.jpg
허퍼
Huffer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세미 궤도 트럭
소속 오토봇
파이프스와는 형제사이이며, 허퍼가 형이다. 배관공이다. 겉으로는 투덜거리지만, 실제론 일이 적성에 맞는듯하며, 배관공 이라는 것에 나름대로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듯 하다.

모티브는 마리오 시리즈마리오라고 한다.

3.11.44. 파이프스(Pipes)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Pipes.jpg
파이프스
Pipes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세미 궤도 트럭
소속 오토봇
허퍼와는 형제 사이이며, 파이프스가 동생이다. 형과 같이 베관공이다. 형인 허퍼가 배관공 일로 온갖 주목을 받는 것과 달리, 파이프스는 좀처럼 눈에 띄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게으르다는 건 아니다. 실제론 거의 일 중독자 수준으로 자신의 일에 진심을 다한다. 그런 동생을 보는 허퍼는 가끔은 동생이 하루정도 쉬거나, 취미생활이라도 좀 가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편. 여담으로 파이프스의 집에는 별다른거 없이 그냥 텅 빈 공간인데, 이유는 그가 퇴근한것 자체가 별로 없기 때문이라고(...).-제발 집가서 쉬어라.-

모티브는 마리오 시리즈루이지이다.

3.11.45. 미라지(Mirage)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미라지800px-MirageAnimated.jpg
미라지
Mirage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F1 레이스카
소속 오토봇
미라지는 매그너스의 재임 중 그와 친구가 된 적이 없다. 그는 수백만 년 전 울트라 매그너스가 디셉티콘 등록법을 처음 제안했을 때 반대했으며, 센티넬 프라임의 현재 수사와도 맞지 않다. 그는 투명화 능력이 있으며 시민의 자유를 옹호하는데, 클리프점퍼는 그런 그를 믿지 않는다.

미라지의 애니메이션용 캐릭터 모델은 만들어졌으나 애니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클리프점퍼가 그를 믿지 않는것은 G1에서 클리프점퍼가 미라지를 디셉티콘 스파이로 의심하는 에피소드의 오마주이다.

3.11.46. 세단(Sedan)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세단SedanAnimated.jpg
세단
Sedan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스포츠카
소속 오토봇
세단은 속물이 아니다. 물론 그는 "손을 더럽히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지만, 그는 사상가이자 전사도 아니고 사교계 인사도 아니기 때문. 그는 오토봇이 가진 최고의 전술가 중 한 명이다. 그는 조용할 수도 있지만, 그를 알게 되면 마음을 열 수도 있다.

그는 65356-9292-346 바디 타입을 착용한다.

모티브는 G1의 브라질 한정 완구였던 범퍼의 리데코 완구인 세단.

3.11.47. 스크런지(Scrounge)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애니멧 스크라운지.jpg
스크런지
Scrounge
알트 모드 바퀴
소속 오토봇
스크런지는 사건이 터지면 상자 뒤로 숨는다고 한다. 바퀴로 변신한다고. 그는 팔로 멋진 트릭을 할 수 있지만 자신감이 부족하다고 한다.

대전쟁중 스트랙서스가 그를 용해시켰다고 한다. 다행히 그는 생존했다.

치토가 랜색과 크럼플존을 추격할때 상자 뒤에 숨는다. 이후 사이드스와이프가 아이언피스트의 실험실에서 무기를 도난한 용의자들을 조사하던 중 스크런지의 머그샷을 꺼낸다.

모티브는 G1 마블 코믹스의 스크런지.

3.11.48. 시스프레이(Seaspray)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SeasprayAnimated-model.jpg
시스프레이
Seaspray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호버크래프트
소속 오토봇
시스프레이는 사이버트론에서 수로 경비원으로 일하며, 다른 어떤 오토봇보다 자신의 일을 진정으로 사랑한다. 그는 호버크래프트 모드로 행성을 둘러싸고 있는 광대한 지하 터널을 순찰할 때 물이 튀는 스릴을 느끼지만, 건조한 땅에 다시 발을 디딜 때는 항상 약간 짜증이 난다고. 그 이유는 파도 위에 있을때 보다 훨씬 느리기 때문.

시스프레이는 대전쟁 중 안틸라에서 벌어진 전쟁인 파도의 전쟁(War of thr Waves)에서 여러 앨리콘과 싸웠다고 주장한다. 센티널 프라임은 그의 주장을 믿지 않지만, 센티널은 누구의 말도 믿지 않으니 뭐..

3.11.49. 오토봇 X(Autobot X)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AutobotXAnimated.jpg
오토봇 X
Autobot X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맥카담의 올드 오일 하우스 메뉴에 그의 얼굴 초상화가 그려져 있었다. 인기가 많았었는듯.

이름의 모티브는 G1 애니메이션에서 스파이크 윗위키가 부상을 당해 치료 중 그의 의식이 잠시 이식되었던 로봇 '오토봇 X'.

3.11.50. 파르마(Pharma)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PharmaAnimated-CAA.jpg
파르마
Pharma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파르마는 퍼스트에이드와 픽싯을 가르쳤다고 한다.

맥카담의 올드 오일 하우스 메뉴에 그의 얼굴 초상화가 그려져 있다. 인기가 많았었는듯.

3.11.51. 보태니카(Botanica)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Botanica.jpg
보태니카
Botanica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쿠페
소속 오토봇
보태니카는 베테랑 식물학자이자 오토봇 고위 평의회 의원이다. 과거 사이버트론 사회에서 활발하게 활동했으나 트랙스에 따르면 래틀트랩 과 함께 포착된 이후 사회적 지위가 급격히 하락(…)했다고 한다.[19] 대포딜 II 에서 모포봇의 습격을 물리친 것으로도 유명하다고. 다른 고위 평의회 구성원들과 함께 스턴트 콘보이 쇼에 참석했다.

3.11.52. 퍼스트에이드(First Aid)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FirstAidAnimated-CAA.jpg
퍼스트 에이드
First Aid
알트 모드 소형 구급순살차
소속 오토봇
울트라 매그너스가 쇼크웨이브에게 입은 부상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한 의무관으로 평화주의자라고 한다. 픽싯과 함께 파르마의 제자이며 센티넬 프라임이 신설한 뉴 프로텍토봇에 채용되었다고 한다. 65356-9292-346 바디 타입을 착용한다.

3.11.53. 카레라(Carrera)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Animated_carrera_character_model.jpg
카레라
Carrera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스포츠카
소속 오토봇

카레라는 스포츠를 가장 사랑한다고 한다. 일상적인 대화에도 스포츠 용어가 가득하며 언젠가 사이버트론에서 열리는 최고의 스포츠 이벤트이며 그가 가장 좋아하는 아이아콘 5000의 아나운서가 되는 것이 그의 꿈이다.
불행히도 그의 발음 문제 때문에 아무도 그를 믿어주지 않는다고. 하지만 그에게 그것을 말하는것은 아무도 원하지 않다고 한다. 그가 정말로 좋은 술친구이기 때문. 하루 종일 에너존을 들이켜도, 살이 전혀 안찐다고 한다.

동명의 G1 완구가 모티브이다.

3.11.54. 하운드(Hound)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Hound.jpg
하운드
Hound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대전쟁때 적의 주의를 돌리는 홀로그램을 만들었다고 한다.

3.11.55. 스코치(Scorch)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스코치 애니메이티드1.png
스코치
Scorch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하이드랙스 고원에 참전한 오토봇중 하나로, 오일슬릭의 코스믹 러스트에 의해 사망하였다.

3.11.56. 보스(Boss)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BotsofScience-Boss.jpg
보스
Boss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하이드랙스 고원에 참전한 오토봇중 하나로, 오일슬릭의 코스믹 러스트에 의해 사망하였다.

3.11.57. 스워브(Swerve)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스워브 애니메이티드.png
스워브
Swerve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콧수염이 없던 시절, 그는 맥카담의 올드 오일 하우스에서 바텐더로 일했었다. 콧수염이 자란 후 어느 시점에 그는 하이드랙스 고원에 참전했고 오일 슬릭의 코스믹 러스트에 의해 사망하였다.

3.11.58. 백스트릿(Backstreet)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Animated_Backstreet.jpg
백스트릿
Backstreet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스포츠카
소속 오토봇
하이드랙스 고원에 참전한 오토봇중 하나로, 오일슬릭의 코스믹 러스트에 의해 사망하였다. 작중에서 비클모드만 등장하고 로봇모드는 등장하지 않았다.

3.11.59. 슬랩대쉬(Slapdash)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BotsofScience-Slapdash.jpg
슬랩대쉬
Slapdash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하이드랙스 고원에 참전한 오토봇중 하나로, 오일슬릭의 코스믹 러스트에 의해 사망하였다.

3.11.60. 거즐(Guzzle)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Guzzle.jpg
거즐
Guzzle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하이드랙스 고원의 전투에 참전한 오토봇으로, 오일슬릭의 코스믹 러스트에 의해 사망했다.

3.11.61. 복스(Volks)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300px-VolksAnimated.jpg
복스
Volks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스포츠카
소속 오토봇

3.11.62. 모스카르도(Moscardo)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402px-Animated_Moscardo.jpg
모스카르도
Moscardo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스포츠카
소속 오토봇

3.11.63. 글리프(Glyph)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Glyph.jpg
글리프
Glyph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스포츠카
소속 오토봇

3.11.64. 리퀴티 스플릿(Lickety-Split)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Lickety-Split.jpg
리퀴티 스플릿
Lickety-Split
알트 모드
소속 오토봇

3.11.65. 라이트브라이트(Lightbright)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tfa_Lightbright.jpg
라이트브라이트
Lightbright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다목적 호버크래프트
소속 오토봇

3.11.66. 호이스트(Hoist)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nopad> 파일:애니멧 호이스트.png
호이스트
Hoist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
파일:센티넬의 선전광고.png
오토봇 배우로 센티넬 프라임의 선전 광고에서 디셉티콘 역할을 맡았다. 이 캐릭터의 이름과 설정은 G1 애니메이션에서 호이스트가 할리우드 배우로 데뷔한 에피소드에서 따온것인데 캐릭터 자체의 모티브가 G1 호이스트가 맞는지는 불명이다.

4. 디셉티콘

파일:tfa_Milky Way.jpg
애니메이티드 세계관의 은하수 지도. 보라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디셉티콘 제국의 영토이다.
약 10억 년 전, 데스트론은 프로텍토봇이 지배하는 사이버트론에서 새로운 세력으로 등장했다. 데브론이 이끄는 제3차 사이버트론 전쟁은 데스트론과 프로텍토봇[20] 사이에서 벌어졌다. 데스트론이 승리했지만, 대숙청으로 인해 많은 사이버트론 기록이 영원히 사라졌다. 디셉티콘은 약 7천만 년 전 데스트론의 하위 세력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들은 올스파크를 사용하여 사이버트론에 생명을 불어넣고, 이를 통해 트랜스포머가 약 7억 년 전에 누렸던 다른 세계로의 확장과 식민지 개척 시대로 돌아갈 수 있도록 우주의 거대한 동력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디셉티콘의 수장 메가자락이 메가트론이라는 카리스마 넘치는 수사학자에게 축출되자, 마침내 긴장이 폭발했고, 오토봇과 디셉티콘은 올스파크를 차지하기 위해 전쟁을 벌였다.
디셉티콘 제국은 대전쟁 초기에 오토봇 연방 에 속한 수많은 식민지 행성들을 정복하면서 빠르게 성장했으나 전쟁이 끝날 무렵에 오토봇은 모든 행성을 탈환하거나 파괴 했고 패배하여 사이버트론에서 추방되었다.

디셉티콘은 은하계 외곽으로 추방되어 천천히 제국을 재건하기 시작해 약 200만 스텔라사이클이 흐른 후, 디셉티콘 제국은 다음과 같은 세력으로 성장했다.
  • 수도 행성 뉴 카온
  • 세티 알파 7세
  • 차르
  • 카론 과 그 위성 스틱스
  • 다이노소어 (파괴됨)
  • 이주른
  • 카른 (파괴됨)
  • 크룰 (파괴됨)
  • 루시퍼
  • 호저
  • 스룰 (파괴됨)

센티넬 프라임은 "디셉티콘 스타 제국"이 스스로를 제국이라 부를 만큼 충분한 행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며 산업 규모는 오토봇 연방 보다 다섯 배나 적고 군사력은 10분의 1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미래 계획에 대해 질문받았을 때, 그의 계획 대부분은 디셉티콘 제국을 공격하는 것이었다. 그는 이 전쟁이 쉬운 전쟁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대부분 비행기 같은 비행형으로 변신한다. 오토봇들과 달리 매우 크다.[21] 대 전쟁에 살아남은 군인들인 만큼 오토봇들이 한꺼번에 덤벼도 디셉티콘 한 명이 역으로 압도해버릴만큼 전투력이 상당하다.

4.1. 레귤러

파일:4lQ8UIM.jpg
50년전 네메시스

네메시스에 타고 있던 다섯 명의 디셉티콘들. 스타스크림이 몰래 설치한 폭탄이 터져 메가트론과 네메시스가 반쯤 날아가고 나머지도 그냥 도망첬다. 그 뒤론 본편에서 이 다섯 명이 모이는 장면은 나오지 않는다.

4.1.1. 메가트론(Megatro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가트론(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가트론(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가트론(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2. 스타스크림(Starscream)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스크림(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타스크림(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타스크림(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3. 블랙아라크니아(Blackarachni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랙아라크니아(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랙아라크니아(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랙아라크니아(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4. 블리츠윙(Blitzwi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리츠윙(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리츠윙(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리츠윙(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5. 러그너트(Lugnu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러그너트(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러그너트(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러그너트(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스타스크림의 클론들(Starscream Clone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스크림의 클론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타스크림의 클론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타스크림의 클론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컨스트럭티콘(Constructico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컨스트럭티콘(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컨스트럭티콘(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컨스트럭티콘(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팀 차르(Team Chaa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팀 차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팀 차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팀 차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디셉티콘 중무장 여단(Decepticon Heavy Brigade)

대전쟁 당시, 레커즈 때문에 골치를 썩이던 메가트론이 조직하였다. 여단원들의 어깨에 있는 문양은 이 부대의 문양이라고 한다. 이 중무단 여단 멤버들은 전부 블랙아웃과 색만 다르고 똑같이 생겼다. 해당 부대는 블랙아웃과 그라인더[22], 버글리, 베놈[23]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레커즈와의 전투에서 블랙아웃을 빼고 양측 모두 전멸했다.

4.5.1. 블랙아웃(Blackou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랙아웃(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랙아웃(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랙아웃(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2. 그라인더(Grinder)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550px-AnimatedGrinderModel.jpg
그라인더
Grinder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헬리콥터
소속 디셉티콘, 디셉티콘 중무장 여단
블랙아웃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색놀이니까 블랙아웃의 압도적인 능력을 모두 갖추고 있지 않았고 오일슬릭과 잘 어울려 파트너 관계였다고 한다.

4.5.3. 버글리(Bugly)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AnimatedBuglyModel.jpg
버글리
Bugly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헬리콥터
소속 디셉티콘, 디셉티콘 중무장 여단
무술에 놀라울 정도로 능숙하며 서킷-수의 달인이었다. 오래전 락다운을 고용한 적이 있는데 락다운은 그가 불친절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버글리의 제한적인 프로세싱 능력 덕분에 한마디로 멍청해서 원래 합의했던 금액의 두 배를 챙길 수 있었기 때문에 함께 일하는 데 아무런 불만이 없었다고 한다.

4.5.4. 베놈(Venom)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552px-VenomAnimated-model.jpg
베놈
Venom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헬리콥터
소속 디셉티콘, 디셉티콘 중무장 여단
심리전을 연구를 한다는데 그다지 능숙하지 않았다. 동료 디셉티콘들을 기피해서 유일하게 허용하는 디셉티콘은 오일슬릭이었다. 최신 독극물을 얻을수있었기 때문이라나.

4.6. 오토봇 복제 프로젝트

스칼펠의 퍼셉터를 복제하려는 오퍼레이션: 도플갱어(Operation: Doppelgänger)를 시작으로 스칼펠과 오일슬릭이 진행한 오토봇 복제 프로젝트. 네메시스 프라임을 제외하고 전부 실패한것으로 알려졌으며, 네메시스 프라임의 행방도 알 수 없어졌다. 이후 사이버트론 침투 부대인 팀 스턴티콘에게 적용된 오토봇 외형 복제 프로젝트로 이어졌다.

4.6.1. 매그니피커스(Magnificus)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tfa_Magnificus.jpg
매그니피커스
Magnificus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트럭, 간이 연구소
소속 디셉티콘
오토봇에서 가장 뛰어난 두뇌를 가진 퍼셉터를 복제하여 만든 오퍼레이션: 도플갱어의 결과물. 다만 실패작이다. 퍼셉터의 뛰어난 두뇌가 그대로 복제되긴 했는데, 문제는 정작 매그니피커스는 과학분야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으며 오히려 정치쪽에만 관심이 있었다. 이후 그의 뛰어난 정치적 행보들로 인해 그는 디셉티콘의 노예들을 다루는 직업을 부여받게 된다.

4.6.2. 톡시트론(Toxitro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톡시트론(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톡시트론(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톡시트론(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3. 네메시스 프라임(Nemesis Prim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네메시스 프라임(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네메시스 프라임(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네메시스 프라임(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7. 팀 스턴티콘(Team Stunticon)

파일:스턴티콘 애니메이티드.jpg파일:애니메이티드 팀 스턴티콘 휘장.jpg
코믹스 이미지 팀 스턴티콘의 휘장
코믹스 한정으로 등장하는 디셉티콘 하휘 팀으로 모티브는 컴바이너팀 스턴티콘. 다만 이 세계관에서는 합체기술이 구현된 사례나, 컴바이너팀이 등장한 사례가 없기 때문에 이 세계관의 스턴티콘들은 메나졸로 합체 못하는 듯 하다.[24] 스칼펠과 오일슬릭이 실패한 오토봇 복제 프로젝트를 활용하여 그들을 사이버트론에 침투할 수 있게 오토봇들의 외형으로 개조한다.

트립티콘 감옥에 갇힌 메가트론을 탈옥시키기 위해 사이버트론에 침투하지만 사이드스와이프와 치토에 의해 저지되면서 다같이 사이좋게 트립티콘 감옥에 갇힌다.

4.7.1. 더 모터 마스터(The Motor Master)

파일:tfa_Team Stunticon Logo.png
파일:모터마스터 애니메이티드.jpg
더 모터 마스터
The Motor Master
알트 모드 트럭
소속 디셉티콘, 스턴티콘
스턴티콘의 리더로 이명은 "시끄럽고 화려한 리더". 디자인은 옵티머스 프라임을 재탕했다.

4.7.2. 브레이크다운(Breakdown)

파일:tfa_Team Stunticon Logo.png
파일:브레이크다운 애니메이티드.jpg
브레이크다운
Breakdown
알트 모드 스포츠카
소속 디셉티콘, 스턴티콘
스턴티콘의 맴버로 이명은 "걸어다니는 고장난 고철덩어리". 디자인은 로디머스 프라임을 재탕했다.

4.7.3. 데드 엔드(Dead End)

파일:tfa_Team Stunticon Logo.png
파일:데드엔드 애니메이티드.jpg
데드엔드
Dead End
알트 모드 스포츠카
소속 디셉티콘, 스턴티콘
스턴티콘의 맴버로 이명은 "우울하고 우울한 고스(Goth) 봇". 디자인은 재즈를 재탕했다.

4.7.4. 드래그 스트립(Drag Strip)

파일:tfa_Team Stunticon Logo.png
파일:드래그스트립 애니메이티드.jpg
드래그 스트립
Drag Strip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스포츠카
소속 디셉티콘, 스턴티콘
스턴티콘의 맴버로 이명은 "분노의 시한폭탄". 디자인은 알시를 재탕했다. 그래서 그런지 맴버들중 유일한 홍일점이다.

4.7.5. 와일드라이더(Wildrider)

파일:tfa_Team Stunticon Logo.png
파일:와일드라이더 애니메이티드.jpg
와일드라이더
Wildrider
알트 모드 머슬카
소속 디셉티콘, 스턴티콘
스턴티콘의 맴버로 이명은 "폭발적인 감독"어?. 디자인은 락다운을 재탕했다. 팀원들중 유일하게 원본과 소속이 같은 디셉티콘이다.

4.8. 그 외

4.8.1. 락다운(Lockdow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락다운(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락다운(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락다운(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8.2. 사운드웨이브(Soundwav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운드웨이브(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운드웨이브(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운드웨이브(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8.2.1. 레이저비크(Laserbeak)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이저비크(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이저비크(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이저비크(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8.2.2. 랫뱃(Ratbat)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tfa_Ratbat.jpg
랫뱃
Ratbat / ラットバット
알트 모드 키타
소속 디셉티콘
사운드웨이브가 올스파크 조각으로 만든 부하. 박쥐와 키타로 변신한다. 사운드웨이브가 키보드로 치면 기계를 조작하는 세뇌파를 발생시킨다.

옵티머스가 레이저비크를 뺏어 기타로 변신시켜 연주하자 사운드웨이브는 레벳을 키타로 변신시켜 연주대결을 펼첬다. 그러다가 옵티머스가 레이저비크를 냅다 사운드웨이브와 레벳에게 내리찍는다. 그렇게 사운드웨이브와 레벳은 산산조각이 나버린다.
4.8.2.3. 버즈쏘우(Buzzsaw)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tfa_Buzzsaw.jpg
버즈쏘우
Buzzsaw
알트 모드 일렉트릭 기타
소속 디셉티콘
사운드웨이브가 레이저비크와 랫뱃을 만들기 이전에 숨닥 시스템에서 추출한 기술들로 프로토타입들인 머더들을 제작했는데, 버즈쏘우가 그 프로토타입 중 하나이다. 본인과 동료 프로토타입들은 성공적인 기계 생명체는 아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운드웨이브는 이들을 디트로이트에 풀어 혼란을 일으켰다.

버즈쏘우의 눈에는 무엇이든 뚫을 수 있는 세이저 빔[25]을 방출한다. 프로토타입들의 리더이지만, 사운드웨이브의 선택된 자신의 부하들인 레이저비크와 랫뱃을 원망한다고. 선더는 항상 버즈쏘우의 리더 자리를 뺏으려 하였으며, 가르보일은 그를 협박하는것을 좋아한다고 한다. 그의 길을 막지 않는 유일한 머더 멤버는 끊임없이 비명을 지르는 윙씽뿐이다.
4.8.2.4. 선더(Sunder)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tfa_Sunder.jpg
선더
Sunder
알트 모드 일렉트릭 기타
소속 디셉티콘
선더는 사운드웨이브가 레이저비크와 랫뱃을 만들기전 만든 프로토타입들인 머더중 하나로, 빠른 속도로 날개를 퍼덕여 적들의 센서를 파괴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머더들의 리더인 버즈쏘우의 자리를 노리고 있다고 한다.

모티브는 트랜스포머 키스프레에 등장하는 선더(Sundor).
4.8.2.5. 가보일(Garboil)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tfa_Garboil.jpg
가보일
Garboil
알트 모드 일렉트릭 기타
소속 디셉티콘
선더는 사운드웨이브가 레이저비크와 랫뱃을 만들기전 만든 프로토타입들인 머더중 하나로, 사운드웨이브는 디트로이트시에 혼란을 일으키기 위해 머더들을 풀었다.

"단어집"라는 별명을 가진 가르보일은 친구와 적들의 매 순간을 보고 기록한 후 협박을 보낸다. 또한 멜리에스파 발생기로 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의 별명인 "항상 존재하는 단어집"은 노턴 저스터의 소설의 오마주로, 그의 소설중 하나인 '팬텀 톨부스'에 나오는 새의 이름이다.

멜리에스파 발생기는 프랑스 영화감독 조르주 멜리에스의 이름을 따서 붙였다.
4.8.2.6. 윙씽(Wingthing)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tfa_Wingthing.jpg
윙씽
Wingthing
알트 모드 키타
소속 디셉티콘
윙씽은 사운드웨이브가 레이저비크와 랫뱃을 만들기전 만든 프로토타입들인 머더중 하나로, 머더들중에서는 유일한 암컷이다. 역시나 사운드웨이브는 디트로이트시에 혼란을 일으키기 위해 윙씽을 풀었다.

거의 맨날 소리를 지르고 다닌다. 근데 하필이면 이놈이 소리를 지르지 못하게 막는것조차 불가능하다(...).-그래도 어쨌든 '로봇'이니 성대결절은 안오지 싶다.-

4.8.3. 스윈들(Swindl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윈들(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윈들(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윈들(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8.4. 쇼크웨이브(Shockwav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쇼크웨이브(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쇼크웨이브(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쇼크웨이브(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8.5. 와스피네이토(Waspinato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와스피네이토(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와스피네이토(애니메이티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와스피네이토(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8.6. 러그너트 슈프림(Lugnut Suprem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러그너트 슈프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러그너트 슈프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러그너트 슈프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8.7. 사이드웨이즈(Sideway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이드웨이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이드웨이즈#s-4|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이드웨이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8.8. 스트랙서스(Straxus)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tfa_Straxus.jpg
스트랙서스
Straxus / ストラクサス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디셉티콘 식민지 행성 루시퍼의 총독으로서, 자신의 지위, 육중한 체구, 그리고 풍부한 무기를 이용해 시민들의 삶을 말 그대로 생지옥[26]으로 만들어 버렸으며, 오토봇 스크런지를 용해해버린다.

대전쟁의 마지막 전투에 참전하여 메가트론의 군대 중 일부를 이끌었으나 패배하였다. 그러나 나중에 부활한 디셉티콘 제국의 먼 식민지 중 하나의 통치권을 얻게 된 것을 보면 누구 처럼 무능하진 않았던것으로 추정된다.

현대에 스트랙서스는 오토봇 스페이스 브릿지를 점령하고 이를 이용해 사이버트론을 침공하려는 메가트론의 계획에 참여한 디셉티콘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고, 그의 타격 부대는 오토봇에게 패배했다.

네메시스 프라임을 데려간 장본인이기도 하다. 프로젝트가 완성되자 마자 그를 징집해 갔으며, 이후 아무도 네메시스의 행방을 알지 못했다고 한다.

모티브는 G1 마블 코믹스의 스트랙서스.

TransWarped 에피소드에서 대전쟁 회상씬때 아이아콘의 전투에서 등장할 목적으로 디자인 되었으나 결국 해당 장면은 삭제되었다.

4.8.9. 리플렉터(Reflector)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tfa_Reflector.jpg
리플렉터
Reflector / リフレクター
구성원 뷰파인더, 스펙트로, 스파이글래스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탱크
소속 디셉티콘
첩보 전문가로, 스펙트로, 스파이글래스, 그리고 리더인 뷰파인더로 구성되어있다. 하드 라이트 홀로그램을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실체화된 홀로그램 분신들을 만들 수 있으며 아이아콘에서의 전투에서 싸웠다고 한다.

애니메이션에선 라쳇이 의식을 잃은 리플렉터의 분신들을 지나쳐 오메가 슈프림에게 다가가는 회상씬으로 등장한다.

파일:tfa_Reflector_alt mode.jpg
이들 셋은 사이버트론 탱크로 합체하는데, 해당 모델링은 시즌 3 9화에서 카메오로 등장할 예정으로 만들어졌으나 결국 해당 장면은 삭제되었다.

4.8.10. 스크래시(Scrash)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tfa_Scrash.jpg
스크래시
Scrash / スクラッシュ
알트 모드 사이버트론 전투기
소속 디셉티콘
대전쟁 시기 디셉티콘의 공군 장군이었다. 메가트론과 암호화된 통신을 주고 받았는데, 오토봇 정보부 총지휘관이였던 하이브로우는 해당 메세지를 해독하는데 성공, 플로론 III에 올스파크가 있다는 가짜 메세지를 보내여 플로론III 작전을 실행하게 된다.

모티브는 G1의 스카이퀘이크. 이름은 일본 G1 세계관에서 등장하는 G1 스카이퀘이크의 오마주 캐릭터인 스크랏슈(Scrash)의 오마주이다. 즉 오마주의 오마주 캐릭터.

블리츠윙과 비슷한 형태의 몸을 가지고 있으나 트리플 체인저는 아니다.

4.8.11. 슬래퍼(Slapper)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tfa_Slapper.jpg
슬래퍼
Slapper / スラッパー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스윈들이 슬래퍼에게 브로비안 에너존 방전 파우더를 팔았던 바가 있었으며, 슬래퍼는 그 파우더를 사용해 형제들에게 장난을 치곤 했다고 한다.

모티브는 트랜스포머 카로봇슬래퍼. 형제들에게 장난을 친것은 타카라 토미의 슬래퍼 완구 설명에 가스컹크다크 스크림이 형제로 적혀있는것에 대한 오마주.

4.8.12. 스트레치(Stretch)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tfa_Stretch.jpg
스트레치
Stretch
알트 모드 리무진
소속 디셉티콘 / 레니게이드
포터 C. 파월이 암시장에서 구매한 올스파크 조각으로 탄생한 트랜스포머. 파월이 정확히 무슨 목적으로 암시장에서 올스파크를 구매했는진 알려지지 않았다. 그 이유가 올스파크 조각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그의 차는 앵그리 아처의 공격을 받았고, 그과정에서 조각이 파월의 리무진의 대시보드와 접촉하여 리무진을 스트레치로 트랜스포머화 시켰기 때문. 허영심 많고 지위에 집착하는 디셉티콘은 파월을 거의 파산시킬 뻔했고, 결국 파월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오랜 라이벌인 아이작 숨닥하고 임시동맹 맺었다. 두 사람은 스트레치를 섬닥 타워에 스페이스 브리지로 유인했고, 그결과 그는 순식간에 사라졌다.

숨닥이 밝힌 바에 의하면 현재의 현실에서 17 양자 끈 진동 레벨[27]에 도달했다고 언급했다.

후에 Ask Vector Prime에서 그가 고봇 세계관으로 떨어져 레니게이드가 되었다는게 밝혀졌다.

모티브는 고봇의 턱스[28]. 원래는 머리도 고봇의 턱스 디자인과 동일했으나 이후 데릭 J. 와이엇이 머리를 실크햇을 쓴 신사와 유사한 디자인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차원을 초월하여 추방되는 스트레치의 운명, 특히 차원을 부르는 고봇의 용어인 "레벨"과 고봇 만화에서의 턱스의 이름인 스트레치는 애니메이티드의 스트레치와와 고봇의 스트레치가 실제로 하나의 동일한 캐릭터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 같다. 소렌슨이 작성한 'Ask Vector Prime'은 수백 년 전 고봇이 지구를 기반으로 한 알트 모드를 갖게 된 이유를 설명하면서 이 이론을 확인해 주었다.

4.8.13. 다크 로디머스(Dark Rodimu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크 로디머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크 로디머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크 로디머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8.14. 타란튤라스(Tarantulas)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tfa_Tarantulas.jpg
타란튤라스
Tarantulas
알트 모드 기계 거미
소속 디셉티콘
대전쟁 중 타란툴라스는 하이드랙스 고원에 파견된 디셉티콘 부대의 일원으로 손목에서 거미줄을 발사시킬수있었다. 전투는 치열했는데, 타란툴라스는 오토봇 슬램댄스를 둘로 쪼개어 죽였다. 그러나 전투에 참여한 거의 모든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결국 타란튤라스는 오일 슬릭의 코스믹 러스트의 피해자가 되었다.

파일:tfa_All Spark Almanac II Tarantulas.jpg
올스파크 알마낙 2에 수록된 매카담의 오일 하우스 메뉴에 그려진 타란튤라스의 머리
그의 머리 그림은 수백만 년 후에도 맥카담의 올드 오일 하우스 메뉴에 남아있다.

4.8.15. 스냅드래곤(Snapdragon)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tfa_Snapdragon.jpg
스냅드래곤
Snapdragon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하이드랙스 고원에서 전투에 참전한 디셉티콘중 하나로, 이쪽도 오일슬릭의 코즈믹 러스트에 의해 사망하였다.

4.8.16. 스콜포녹(Scorponok)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tfa_Scorponok.jpg
스콜포녹
Scorponok
알트 모드 기계 전갈
소속 디셉티콘
과거 하이드랙스 고원에서 전투에 참전한 디셉티콘중 하나로, 오일슬릭의 코즈믹 러스트로부터 생존한 몇 안되는 생존자들중 하나이다.

4.8.17. 크림직(Kremzeek)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애니멧 크림직.jpg
크림직
Kremzeek / クレムジーク
소속 디셉티콘
성우 수잔 블루

고대 디셉티콘들이 만든 생물 무기로, 메트로플렉스 깊숙한곳 내에 갇혀 있었으나 사리 숨닥의 실수로 풀려나게 된다. 이후 오토봇 도시를 쑥대밭으로 만들다 사리 숨닥이 크림직을 소다캔에 가둬 잡는다.

애니메이션에선 시즌 1 10화에서 TV의 화면조정시간에 이스터에그로 등장했다.

4.8.18. 플립 사이즈(Flip Sides)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tfa_Flip Sides.jpg
플립 사이즈
Flip Sides / フリップサイズ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블러가 현재 추적하고 있는 디셉티콘 스파이. 현재까지 잡히지 않은 상태며, 정보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디셉티콘 스파이 마스터들이 그녀는 현재 가짜 페르소나를 만들어 본인이 디셉티콘이라는 사실조차 모를 수 있다고 한다. 아직 결정적인 것은 없지만 블러는 그녀가 엔터테인먼트 길드 내에서 높은 위치에 있다고 믿고 있다고.

트랜스포머 알마낙 II에선 그녀가 로잔나라는것을 암시하고 있다.

여담으로 그녀는 바디타입은 09262-8765-001이다.

4.8.19. 라이잭(Lyzack)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라이잭.jpg
라이잭
Lyzack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맥카담스 올드 오일 하우스 메뉴에 그녀의 얼굴 초상화가 그려져 있다. 정황상 남성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던 모양이다.

모티브는 브레스트 포스레오잭의 여동생 라이잭.

4.8.20. 아스트로트레인(Astrotrain)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아스트로트레인(애니메이티드).png
아스트로트레인
Astrotrain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대전쟁 당시 디셉티콘의 병력 수송 인프라를 개선했다고 한다.

4.8.21. 러너먹(Runamuck)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tfa_Runamuck.jpg
러너먹
Runamuck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대전쟁 중 신호를 암호화 하는것을 까먹어 오토봇들이 디셉티콘의 통신을 감청할 수 있었다고 한다.

원본은 트랜스포머 G1에 등장하는 배틀차저의 맴버인 러너먹. 캐릭터성은 비비스와 버트헤드의 비비스가 모티브이다.

4.8.22. 러너바웃(runabout)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tfa_Runabout.jpg
러너바웃
Runabout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대전쟁중 실수로 오토봇 이중 스파이를 쐈다고 한다.

원본은 트랜스포머 G1에 등장하는 배틀차저의 맴버인 러너바웃. 캐릭터성은 비비스와 버트헤드의 버트헤드가 모티브이다.

4.8.23. 타이달 웨이브(Tidal wave)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타이달웨이브 애니메이티드.png
타이달 웨이브
Tidal wave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디셉티콘들 중에서도 타이달 웨이브는 최장신 이였다고 한다. 맥카담의 올드 오일 하우스 메뉴에 라이잭과 같이 그의 얼굴 초상화가 그려저 있는데, 정황상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던 모양이다.

4.8.24. 녹 아웃(Knock Out)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140px-KnockOutAnimated-CAA.jpg
녹 아웃
Knock Out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맥카담의 올드 오일 하우스 메뉴에 그의 얼굴 초상화가 그려저 있는데, 정황상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던 모양이다. 모티브는 당연히트랜스포머 프라임넉 아웃.

4.8.25. 드릴혼(Drilhorn)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드릴혼 애니메이티드.png
드릴혼
Drilhorn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맥카담의 올드 오일 하우스 메뉴에 그의 얼굴 초상화가 그려저 있는데, 정황상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던 모양이다.

4.8.26. 바리케이드(Barricade)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바리케이드 애니메이티드.png
바리케이드
Barricade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맥카담의 올드 오일 하우스 메뉴에 그의 얼굴 초상화가 그려저 있는데, 정황상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던 모양이다.
파일:tfa_Barricade.jpg
올스파크 알마낙 II에 수록된 바리케이드의 얼굴
올스파크 알마낙 II에서는 트랜스포머 실사영화 시리즈바리케이드를 모티브로 한 디자인이 수록되었었는데, 이후 컴플리트 올스파크 알마낙에서 그의 디자인이 트랜스포머 IDW 코믹스바리케이드를 모티브로 한 새로운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4.8.27. 프렌지(Frenzy)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프렌지 애니메이티드.png
프렌지
Frenzy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대전쟁 당시 저항군에 잡입했다. 바리케이드와 어떤 관계인지 추측만 가능하다고 한다. 이 세계관의 사운드웨이브가 일반적인 디셉티콘과는 좀 다른 경로로 탄생한고로 카세트봇이 아닌 실사영화판 버전으로 등장한다.

4.8.28. 오버로드(Overlord)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오버로드 애니메이티드.png
오버로드
Overlord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대전쟁 도중 디셉티콘을 떠났는데, 오토봇들에게는 큰 기쁜 휴식이 되었다고 하는데, 정황상 디셉티콘 전사들 중에서도 가장 강력했던 것으로 보인다.

4.8.29. 카잡(Carzap)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카잡 애니메이티드.png
카잡
Carzap
알트 모드 불명
소속 오토봇(이전)
디셉티콘

변덕스런 성격으로 대전쟁 도중 디셉티콘으로 전향했다.

4.8.30. 봄셸(Bombshell)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tfa_Bombshell.jpg
봄셸
Bombshell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대전쟁 당시 메가트론은 많은 이들을 디셉티콘으로 끌어들인 선언문을 발표하였었는데, 이들중에는 봄셸도 있었다고 한다.

4.8.31. 사이-킬(Cy-Kill)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사이킬 애니메이티드.png
사이-킬
Cy-Kill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맥카담의 올드 오일 하우스 메뉴에 그의 얼굴 초상화가 그려저 있는데, 정황상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던 모양이다.

4.8.32. 헬뱃(Hellbat)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헬뱃 애니메이티드.png
헬뱃
Hellbat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맥카담의 올드 오일 하우스 메뉴에 그의 얼굴 초상화가 그려저 있는데, 정황상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던 모양이다.

4.8.33. 메가데스(Megadeath)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메가데스 애니메이티드.png
메가데스
Megadeath
알트 모드 가이로스 EX-038 돌격기
소속 디셉티콘

인간 빌 포스터의 로봇 버젼으로 트랜스포머 애니메이티드: 올스파크 알마낙II을 작성하기 위해 디셉티콘들과 안전하게 인터뷰하기 위해 메가데스로 위장했다.

모티브는 G1 마블 코믹스의 메가데스 + 비스트 워즈 네오빅 콘보이 혹은 네메시스 프라임.

그의 알트모드인 가이로스 EX-038 돌격기는 조이드에서 등장하는 코끼리 모양 기체 엘레판더의 오마주이다.

4.8.34. 옥터스(Octus)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옥터스 애니메이티드.png
옥터스
Octus
알트 모드 마크 III 트래블 머신
소속 디셉티콘

인간 짐 소렌슨의 로봇 버전으로, 트랜스포머 애니메이션: 올스파크 알마낙 II를 작성하기 위해 디셉티콘에 잠입할 때, 소렌슨은 디셉티콘을 안전하게 인터뷰하기 위해 옥터스로 변장했다. 실제 옥투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마크 III 트래블 머신으로 변신한다.

모티브는 트랜스포머 제너레이션 1 마블 코믹스의 옥터스. 참고로 해당 캐릭터는 닥터후에 등장하는 외계 종족 달렉의 패러디 캐릭터이며, 애니메이티드 옥터스의 디자인은 G1 옥터스보다 달렉의 특징들이 더 잘 드러난다.[29]

4.8.35. 기가트론(Gigatron)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기가트론 애니메이티드.png
기가트론
Gigatron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대전쟁때 포로교환으로 문레이서와 교환 되었다고한다.

모티브는 트랜스포머 카로봇기가트론.

4.8.36. 데스자라스(Deathsaurus)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데스사우루스 애니메이티드.png
데스자라스
Deathsaurus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디셉티콘 돌격 부대의 리더.

메가트론이 사이버트론을 정복하려는 과정에서 은하계 전역의 다양한 오토봇 스페이스 브릿지 시설에 대한 공격을 주도한 고위 디셉티콘 중 한 명으로, 스페이스 브릿지를 이용해 직접 사이버트론으로 병력을 수송할 계획을 세웠다. 그와 그의 팀은 공격하기로 스페이스 브릿지를 방어하던 오토봇들에게 패배하면서 임무에 실패했다.

모티브는 G1의 데스자라스.

4.8.37. 마스터 메가트론(Master Megatron)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파일:800px-Animated_Master_Megatron.jpg
마스터 메가트론[A]
Master Megatron[A]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하이드랙스 고원 전투에 참여해 시즐을 죽였다

4.8.38. 센티널 슈프림

파일:Decepticon_Mark.png
<nopad> width=100%
센티널 슈프림
알트 모드
소속 디셉티콘

5. 프레데콘

메가트론이 붙잡힌 이후, 블랙아라크니아는 자신의 몸의 색을 바꾸고, "프레데콘"으로 리브랜딩 한뒤 사이버트론으로 돌아와 프레데콘 군대를 모으기 시작했다.

5.1. 블랙아라크니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랙아라크니아(애니메이티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랙아라크니아(애니메이티드)#s-2.1.4|2.1.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랙아라크니아(애니메이티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인페르노(Inferno)

파일:external/tfwiki.net/Predacon_symbol.png
파일:tfa_Decepticon Inferno.jpg 파일:tfa_Inferno.jpg
디셉티콘 프레데콘
인페르노
Inferno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이전)
프레데콘
어떤 왕족에게 충성하며 대전쟁 당시 왕족을 보호했다. 왕족이라고 누가 말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이는 아마 메가트론으로 추측된다.

어느 시점에서 블랙아라크니아의 테크노가닉 프레데콘 군단에 합류했다고 한다.

5.3. 앤트애고니(Antagony)

파일:external/tfwiki.net/Predacon_symbol.png
파일:앤트아고니 디셉티콘.png 파일:앤트아고니 프레데콘.png
디셉티콘 프레데콘
앤트애고니
Antagony
알트 모드 불명
소속 디셉티콘 (이전)
프레데콘
맥카담의 올드 오일 하우스 메뉴에 그녀의 초상화가 그려져있는데, 정황상 남성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던 모양.

어느 시점에서 블랙아라크니아의 테크노가닉 프레데콘 군단에 합류했다고 한다.

6. 인간

디트로이트에 사는 시민들. 시 중심에는 숨닥 타워가 있으며 50년전 혁명이 일어나 현재는 자동 기계 중심 도시가 됐다. 사리를 구해주고 폭주한 생체로봇을 막은 옵티머스 일행을 굉장히 환영해줬다. 그동안 시리즈에서 거의 나오지 않았던 개성적인 인간 범죄자의 비중이 높은데[32] 사람들을 도와주는 옵티머스 일행과 대립하거나 디셉티콘에게 휘말리거나 로봇 불신으로 대립한다.

로봇이 생활화가 된 도시인 만큼 시민들이 오토봇들과 디셉티콘들을 전혀 무서워하지 않는다. 가끔 도시가 파괴되는 거 때문에 놀라긴 하는데 그것 외에는 할 말 다 하며 오히러 만만하게 보고 속여서 이용해 먹는 괴한 경우가 더 많다(...).[33][34]

시즌 3에서는 헨리 마스터슨이나 파웰을 제외하면 인간 범죄자들은 아예 등장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해즈브로측에서 제작진들에게 인간 캐릭터는 자제하고 오토봇과 디셉티콘들에게 더 집중하라고 지시했기 때문.

6.1. 사리 숨닥(Sari Sumdac)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리 숨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리 숨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리 숨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아이작 숨닥(Isaac Sumdac)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이작 숨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이작 숨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이작 숨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카마인 팬존(Captain Fanzon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마인 팬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마인 팬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마인 팬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 멜트다운(Meltdown)

파일:qIyjj2u.jpg 파일:dVSdkVn.jpg
멜트다운 프로메테우스 블랙

본명은 프로메테우스 블랙(Prometheus Black). 스스로 개발한 특수 스테로이드를 돈벌이용으로 쓰는 생물학자이며 인체 실험도 마다하지 않는 잔인한 성격이다.

실험 중 발생한 강력한 용해액 증기의 영향으로 액체 인간이 돼 버리고 이후 멜트다운이라고 자칭한다. 몸에서 나오는 액체는 산성 용액으로 멜트다운이 입고 있는 특수 방호복을 제외하면 전부 녹여버릴수 있다. 원래 로봇을 싫어하고 자신의 처지가 숨닥 박사의 탓이라며 원망을 해 숨닥 박사를 노리다가 오토봇의 방해와 라쳇의 활약으로 결국 체포되지만 그의 바이오 기술로 유기체를 분리 해 버리려는 의도를 가진 블랙아라크니아가 다이노봇들을 시켜 탈옥시켜준다. 그러나 멜트다운은 블랙아라크니아를 도와줄 생각 따윈 없었고 유전자 개조 장치로 아예 그녀를 유기체로 만들어 버리려고 했지만 옵티머스가 난입, 옵티머스와 교전 중 기계오작동으로 완전히 액체가 되어 신체가 무너져버렸다. 그래도 이 에피소드 마지막 장면에서 미소를 흘기며 아직 살아 있다는 떡밥을 풀었으나 애니메이티드 시리즈의 조기종영으로 흐지부지가 되어 버렸다.

6.5. 콜로서스 로즈(Colossus Rhodes)

파일:fatwCmC.jpg
멜트다운의 부하. 그에게 인체 개조를 받은 레슬러. 평소에는 작은 말라깽이 노인이지만 특수한 근력 증강제와 어깨의 특수 근력 증강 장치에서 발산되는 전기 신호 반응으로 강인한 육체를 가진 거인으로 변신한다. 경적이나 교회의 종소리 같은 일정한 음파가 약점으로 이런 음파를 받으면 어깨의 장치가 오작동을 일으켜 몸이 원래대로 되돌아가거나 움직일 수 없게 된다.

6.6. 포터 C 파웰(Porter C. Powell)

파일:qb0Oxxp.jpg
숨닥 회사의 직원. 멜트다운의 언급을 보면 머리는 좋지만, 이익을 위해서는 부정한 짓도 아랑곳하지 않고 해버리는 간사한 성격. 숨닥 박사가 실종됐을 때 사장 대리인 사리가 친자식이 아니다라는 이유로 쫓아내고 새 사장으로 취임한다. 해고된 핸리 마스터스도 재고용하고 군사용 로봇 개발을 하려 했지만 숨닥 박사가 복귀했을 때 핸리 마스터슨과 함께 해고된다.

파일:a2YORo0.jpg
그 뒤 자신의 회사를 설립하고 숨닥 회사에서 훔친 기술인 사운드웨이브를 이용해 장난감을 판매했지만 사운드웨이브의 폭주로 회사는 망했다. 게다가 고객들에게 손해배상까지 해줘야되는 건 덤...[37]

6.7. 헤드마스터(The Headmaster)

파일:AfqzLRw.jpg
헤드마스터 유닛을 아이작 숨닥에게 소개하는 헨리 마스터슨

본명은 헨리 마스터슨(Henry Masterson). 원래 숨닥 회사의 직원이였지만 자기 과잉이 심하고 사장에게 버릇없게 구는 개념없는 태도[39]가 문제인 데다가 군사 전투용 로봇을 만들어 해고되고 만다. 그 일로 숨닥 박사를 원망하고 직접 개발한 헤드마스터 유닛를 사용해 벌크헤드와 센티널의 몸을 빼앗았다.[40] 다행이 둘다 머리와 몸을 다시 붙여 원래대로 돌아온다.

시즌2에서 숨닥 박사가 실종되고 회사를 꿀꺽한 파월이 초빙해 회사에 복귀, 군사용 로봇 개발을 준비하지만 시즌3에서 돌아온 숨닥 박사에 의해 다시 해고됐고 분풀이로 헤드마스터 유닛으로 뺏은 스타스크림의 몸을 사용해 숨닥 박사와 사리를 습격했지만 옵티머스의 도발[41] 한번에 어그로가 끌린 나머지 제트기로 변신하려고 하나 스타스크림 헤드 대신 들어선 헤드마스터 유닛과 스타스크림 몸체의 변신시 내부공간의 규격이 맞지 않아 실패하고[42] 경찰에 체포된다.

6.8. 앵그리 아처(Angry Archer)

파일:PRbVJoL.jpg
앵그리 아처와 렉가

본명은 A.A. 아처(A.A. Archer). 로빈 후드 코스튬을 한 은행 강도로 부와 명성을 얻기 위해 강도 짓을 한다. 무기는 활과 화살로 화살촉이 수류탄이나 와이어 달린 흡반 등으로 변하는 화살을 사용한다. 렉가의 이름을 지어준 장본인이다.

모티브는 해즈브로의 개발 감독인 아론 아처(Aaron Archer). 앵그리 아처는 왼손잡이인데 아론 아처 역시 왼손잡이다.

6.9. 프로페서 프린세스(Professor Princess)[44]

파일:YzWimWU.jpg
본명은 페니 프린세스(Penny Princess). 유니콘 파우더 슈가라는 비행 로봇에 타고[45] 폭력적인 완구나 게임을 폭력적인 방법으로 파괴하는 소녀. 오토봇, 디셉티콘 관계 없이 모두 나쁜 로봇이라고 부른다. 자신이 범죄자라는 자각도 없다.

일본판에서 벌크헤드가 "다른 프로그램에 나와야 되는거 아니니?" 라는 개드립을 친다.[46]

프로세서는 교수라는 뜻인데 실제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고 한다. 교도소도 갔다왔다는 언급을 봐선 보기와 다르게 나이가 14세 이상인듯하다. 박사 학위를 취득한 나이대를 먹고도 이런짓 하는게 평범한 완구 컬렉션 마니아들을 비교하는게 실례일 정도로 엄청 유치하다.

6.10. 나노세크(Nanosec)

파일:y3HMO80.jpg파일:O28EYFv.jpg
나노세크 니노 섹스턴

본명은 니노 섹스턴(Nino Sexton). 도둑질이나 하는 청년이다. 민첩하며 몸놀림이 빠르다. 옵티머스 부대가 그를 체포했지만 메가트론에 의해 풀려나고 메가트론에게 숨닥 회사에서 개발 중이던 특수 슈트를 받는다. 특수 슈트를 얻은 뒤론 자신을 나노섹크로 자칭, 굉장히 빠른속도로 달리게 된다. 슈트로 옵티머스 일행을 농락하다가 슈트의 부작용으로 폭삭 늙어버리고 다시 체포된다.

파일:Gv8jzKW.jpg
시즌 2에서 슬로모의 시계 덕분에 원래 젊은 모습으로 되돌아 온다.
파일:TpsaHJR.jpg파일:33TSCGO.jpg
상당히 키가 크다. 4m밖에 안되는 옵티머스의 반 정도 되니 2m는 족히 넘을듯.

6.11. 슬로모(Slo-Mo)

파일:foPYbz5.jpg 파일:VI8Pw0f.jpg

동공에 시계 분침이 새겨저 있고 상복 같은 옷을 입은 여성. 원래는 시계 공장의 직원이였으나 우연히 올스파크가 박힌 시계를 발견하고 범죄를 저지른다.[48]

나노색크, 앵그리 아처, 프로세서 프린세스와 손을 잡고 범죄자 집단 S.U.V.(Society of Ultimate Villainy)을 결성한다. 작 중 스윈들에게 속아 넘어가지만 범블비와의 동맹으로 교란작전을 펼쳐, 도시의 모든 기계를 작동중지 시킬려고 하는 스윈들을 작동중지 시킨다. 그리고 오토봇들이 한 눈을 판 사이 멈춘 스윈들을 타고 도망칠려 했지만 다른 S.U.V. 멤버와 함께 팬존 경감과 경찰에게 체포된다.

모티브는 해즈브로의 남성을 대상으로 한 완구의 마케팅과 디자인을 담당하는 부서의 상무인 서맨사 러모(Samantha Lomow).

6.12. 마스터 디제스터(Master Disaster)

파일:dDf1qdn.jpg
200만명이랑 사리와 벌크헤드가 시청하는[49] 불법 레이스 프로그램 '스트리트 데몬'의 주최자. 시청률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으며 올스파크 조각이 박힌 무선 조종 장치를 이용해 경주의 순위 조작을 하고 빠른 푸른 색 스포츠카로 범블비를 부추겨 불법 레이스 프로그램을 더 위험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범블비와 올스파크 조각을 찾으러 온 블리츠윙의 전투에 휘말리고 팬존 경감에게 체포된다.

레이스에 참가한 푸른 색 스포츠카는 블러였는데 블러와 대화하는 장면은 나오지 않았으나 마스터 디제스터도 역시 블러가 평범하지 않다는 걸 알고 있었다. 블러가 누구인지는 궁금해하지도 않은 듯. 블러를 어떻게 만났고 블러가 왜 그에게 협력했는지 나오지 않았다.

6.13. 윗위키 부부

파일:external/41.media.tumblr.com/tumblr_n9x2ggY3wl1sj0xwao3_1280.png
파일:external/40.media.tumblr.com/tumblr_n9x2ggY3wl1sj0xwao4_500.png

남편의 이름은 스파이크 윗위키, 아내는 칼리 윗위키. 성우는 각각 코리 버튼[50] / 코니시 카츠유키 / 현경수, 타라 스트롱 / 김지혜

세 시즌 마다 잊을만 하면 등장하는 약방의 감초들. 둘 다 숨닥 회사의 직원이다. 덕분에 아들인 다니엘이 친구도 아닌 회사사장의 딸 생일파티에 오기도 했다. 시즌2 4화에서 칼리가 출산에 임박해서 병원에 가려고 구급차를 타는데 그 구급차가 하필 라쳇이어서 죽을 뻔했지만 다행히 잘 출산해 시즌 3에서 딸(다니엘 한테는 여동생), 낸시도 등장했다.

파일:external/tfwiki.net/Spikecarlydanielanimated.jpg
복장이 트랜스포머 더 헤드마스터즈 시절을 그대로 가져온건데, 그때는 배경이 우주라서 크게 튀지는 않았지만 애니메이션은 현대 지구가 배경이라 많이 튄다. 차라리 스파이크와 칼리의 복장을 G1 시즌1~2 당시의 복장(공사인부 복장, 평범한 여성용사복)을 입히고, 다니엘은 새로 입혀주는게 많이 튀지는 않고, 나름대로 오마주를 표현하는데 도움됐을 거다.

6.14. 나타샤 피라니악

Natasha Pyraniac
나타샤 피라니악은 평범한 검은 머리의 여성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403세다. 먼 미래에 지루함을 느낀 그녀는 타임머신을 만들어 22세기로 거슬러 올라가 장난을 치기 시작했다.

디트로이트시에 도착한 그녀는 디셉티콘 블래스트-X와 협력하여 오토봇의 능력과 약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두 사람이 어떤 계획을 세웠는지는 불분명하지만, 피라니악의 타임머신을 이용해 도시 전역에 시간 왜곡을 일으켰다. 오토봇은 결국 라이온스 타워의 꼭대기 층까지 왜곡을 추적했고, 피라니악은 프라울과 벌크헤드와 마주쳤다. 블래스트-X를 미끼로 삼아 피라니악은 타임머신을 타고 떠났다.

Ask Vector Prime에서 벡터 프라임의 답변에 따르면 피라니악은 말거스 1207.26 알파에 여러 차례 시간 왜곡을 일으켰고, 나중에 해당 왜곡은 수정되었다고 한다. 사이드스와이프의 역사가 개변되었다고.

트랜스포머 세계관의 멀티버스를 다루는 코믹스인 트랜스포머 트랜스테크 코믹스에서도 등장하는데, 닥터 피라니악은 루크에게 스타워즈 에피소드 LXXIV의 결말을 스포일러한다.

나타샤 피라니악은 닥터후에 등장하는 타임로드인 라니의 패러디 캐릭터이다.

6.15. 빌 포스터

파일:tfa_Bill Forster.jpg
빌은 유니버셜 스트림 쿼드왈[51] -3760.925 세타 출신으로, 짐 소렌슨과 함께 일정 기간 동안 수감되었다가 포터 C. 파월에 의해 올스파크 알마낙을 작성하기 위해 모집되었다. 그는 리버스-프리텐더 기술을 사용하여 트랜스포머로 변장해 디셉티콘들을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인터뷰했다.

이후 빌은 올스파크 알마낙II를 작성하기 위해 메가데스로 변장하고 잠입했다.

6.16. 짐 소렌슨

파일:tfa_Jim Sorenson.png
짐은 유니버셜 스트림 쿼드왈 -3760.925 세타 출신으로, 빌 포스터와 함께 일정 기간 동안 수감되었다가 포터 C. 파월에 의해 올스파크 알마낙을 작성하기 위해 모집되었다. 그는 리버스-프리텐더 기술을 사용하여 트랜스포머로 변장해 디셉티콘들을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인터뷰했다.

이후 짐은 올스파크 알마낙II를 작성하기 위해 옥터스로 변장하고 잠입했다.

7. 기타

7.1. 가디언

40억년전, 가디언들과 말리누스는 제2차 사이버트론 전쟁을 일으켰고, 가디언들이 승리하며 사이버트론의 지배자가 되었다.
* 지몬 매그너스(Zeemon Magnus)
파일:The_Convoy_logo.jpg }}} ||
파일:tfa_Zeemon Magnus.jpg
지몬 매그너스
Zeemon Magnus
알트 모드 불명
소속 가디언
지몬 매그너스는 가디언들의 리더였으나, 그의 사병이었던 프로텍토봇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전복되었다.

가디언은 고봇에서 등장하는 세력인 가디언의 오마주이며, 지몬 매그너스도 고봇에 등장하는 지몬이란 캐릭터의 오마주이다.

7.2. 프로텍토봇

프로텍토봇들은 원래 지몬 매그너스의 사병이었으며, 20억년전, 쿠데타를 일으켜 사이버트론을 지배하게 되었다.

* 노바 매그너스(Nova Magnus)
노바 매그너스는 프로텍토봇의 지도자였다. 그의 지도 아래 프로텍토봇은 사회의 모든 바람직하지 않은 요소와 정보를 제거하려는 대숙청을 시도했다. 그 결과 데브론의 데스트론이 들고 일어났고, 프로텍토봇은 데스트론과 싸우며 제3차 사이버트론 전쟁이 발발했으며, 결국 프로텍토봇은 패배했다.

모티브는 idw 코믹스의 노바 프라임. 애니메이티드는 프라임이 아닌 매그너스가 제일 높은 계급이라 매그너스로 바뀐듯 하다.

7.3. 데스트론

데스트론은 10억년전 제3차 사이버트론 전쟁에 참여한 사이버트론 파벌이었다. 데스트론이라고 알려진 언어[52]를 사용했다. 제 3차 사이버트론 전쟁에서 승리한다.

이후 오토봇이 프로텍토봇을 대체하고, 오토봇 공화국을 세워 헤이든 시스템 너머에 있는 행성들을 식민지화하며 쿠인테슨 팬 갤럭틱 공동 번영권과 국경 충돌을 일으키자 오토봇들을 보호해줬다. 하지만 본인들이 희생하면서까지 오토봇을 보호해주는 동안 오토봇들은 꿀빨기만 하였으며, 자신들은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했다고 생각했고, 이후 디셉티콘으로 이름을 바꾼다.
* 데브론(Devron)
데브론은 데스트론의 리더였으며, 노바 매그너스가 대숙청을 일으키려하자 제 3차 사이버트론 전쟁을 일으켰다.

7.4. 쿠인테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쿠인테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쿠인테슨#s-3.2|3.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쿠인테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5. 에르조니아

뉴 쿠인테사는 원래 에조르니아인들의 행성인 에조르누스(Ejoornus)이었다. 쿠인테슨들은 에조르누스를 쿠인테슨 범은하 공동번영권에 포함시킨뒤 원주민인 에조르니아인들을 쫒아냈다. 쫒겨난 에조르니아 함대는 오토봇 연방과 쿠인테슨 범은하 공동번영권이 국경을 맞대고 있는 은하수의 에헴스 성운(Eshems Nebula)에 정착했다.

7.6. 네뷸론 공화국

파일:tfa_Milky Way.jpg
애니메이티드 세계관의 은하수 지도. 하늘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네뷸론 공화국의 영토이다.
네뷸란인들이 이끄는 네뷸론 공화국은 유기체가 서식하는 행성들 간의 느슨한 동맹이다. 대부분 꽤 괜찮은 사람들이지만 대부분의 오토봇은 유기체에 대해 너무 혐오적이어서 오토봇들과는 친하게 지내지 못한다고. 오토봇 연방쿠인테슨 범은하 공동번영권이 네뷸론 공화국 국경에 접경해있다.

7.6.1. 소속 행성

  • 아브락스
  • 안데게아
  • 안타르
  • 안타레스
    • 안타레스 III
  • 센타릭스 VII
  • 시그너스 VII
  • 담마르
  • 델타 파보니스 IV
  • 유리스마
  • 페미니아
  • G.C.S.S. (우주 정거장)
  • 하이브
  • 일리시오스
  • 클로
  • 날바
  • 네뷸로스 (수도권)
  • 레노시니엄 벨네로 항성계
  • LV-117
  • 낙원
  • 레갈리스 V
  • 산드라
  • 시라
  • 타로스 IV
  • 우르투스크
  • 반다르
  • 베라스 센트럴루스
  • 제그리스

7.7. 보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보크(트랜스포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크(트랜스포머)#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크(트랜스포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8. 베스티알 제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스티알 제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스티알 제국#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스티알 제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9. 타이레시안 연합

파일:tfa_Milky Way.jpg
애니메이티드 세계관의 은하수 지도. 은하수의 오른쪽 끝의 중간에 연두색으로 묶인 부분이 타이레시안 연합의 영토이다.
타이레시안 연합은 애니메이티드 세계관에 속한 정치적 집단이다.

타이레시안 연합은 중립국이며 은하계의 작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타이레시안 연합과 소속 행성들의 이름은 모두 로보텍의 취소된 작품인 센티널의 오마주이다.

7.9.1. 소속 행성 목록

  • 판토마 (수도)
  • 가루다
  • 헤이돈 IV
  • 카르바라
  • 옵테라
  • 프락시스
  • 프테리온
  • 스페리스

[1] 아마도 대전쟁 당시에 디셉티콘들에게 전투력으로 밀려서 모든 오토봇들이 전쟁에 참여했던 것의 영향으로 모인다.[2] 예로 범블비는 기존 트랜스포머 시리즈나 현실의 차량을 고려하면 사운드웨이브나 벌크헤드만해야 한다.[3] 원작인 G1에서도 브런의 성우를 맡았던 바가 있었다.[4] 아이작 숨닥, 스널과 중복. 트랜스포머 프라임에서는 벌크헤드를 맡았다.[이미지] 파일:7d69bc404effc6c916c301255a9badab.jpg[6] 해즈브로에서 자체 제작한 지 아이 조 내지 미크로맨과 유사한 피규어 시리즈로, 웨포나이저를 제외한 나머지는 변신은 못하지만 다양한 포즈를 취할 수 있는 것이 특징. 다만 일본에는 판매되지 못했다.[7] 파일:tfa_Perceptor_altmode.jpg[8] 참고로 음성 합성 소프트웨어는 애니메이션 더빙에 자주 쓰이지는 않는 기술이긴 하지만 그래도 기술이 잘 발달된 것 중 하나이며, 대표적으로는 같은 애플에서 만든 월-EAUTO의 목소리를 녹음한 프로그램인 MacInTalk, OS XVoiceOver가 있다.[9] 정확히는 스타스크림의 프로그램.[10] 스타스크림이 갑작스럽게 등장.[11] tfnation 2017행사에서 발매된 코믹스. 이후 2020년 크리스마스에 공식 트위터 계정에서 다시 공개되었다.[12] tfnation 2019행사에서 한 스크립트 리딩. 성우 분들이 모여 직접 더빙했다.[13] 이는 휠잭이 퍼셉터를 선생님이라고 불렀던 트랜스포머 빅토리의 오마주로 추정된다.[14] 알트모드의 모습을 봐선 스포츠카 정도의 모습.[15] 랜색과 동일한 바디 타입을 가진것으로 보아 사이버트론 오토바이로 변신할것으로 추측된다.[16] 원본인 G1에선 해당 부분이 비행기의 날개로 변신한다.[17] 대부분이 그가 시작한 것이라고 한다[18] Operation: Burning Sky[19] 이는 모티브인 비스트머신즈 보태니카와 래트랩의 관계에서 따온것이다.[20] 새로운 지도자 노바 매그너스가 이끌었었다.[21] 자동차, 오토바이로 변신하는 디셉티콘들도 오토봇 보다 거대하다. 항공모함으로 변신하는 그랜더스 정도가 되어야 디셉티콘과 크기가 비슷해질 정도다.[22] Grinder. 여담으로 애니메이티드 세계관엔 트랜스포머 마이크론 전설에 등장하는 미니콘 그라인더를 오마주한 Grindor라는 캐릭터도 있다.[23] 모티브는 G1의 베놈이다.[24] 물론 오토봇 측에 제트형제가 있긴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2단 합체에 불과하다.[25] SASER beam[26] 어느 정도냐 하면 스트라이카가 스트랙서스를 폭군이라고 표현할 정도다.[27] 17 quantum-string vibrational levels[28] 고봇 만화속 턱스의 다른 이름이 스트레치이다.[29] 달렉의 무기인 데스레이와 뇌파 흡수기가 추가되었다.[A] 팬들이 붙여준 가칭이며 정확한 이름은 불명이다.[A] 팬들이 붙여준 가칭이며 정확한 이름은 불명이다.[32] 현실의 디트로이트는 범죄율이 높은 것으로 악명이 높다.[33] 다른 잔챙이 빌런들은 그렇다 쳐도 멜트다운이나 헨리 마스터슨은 오토봇뿐만 아니라 디셉티콘 입장에서도 만만히 볼 적수가 아니다. 헤드마스터 유닛의 레이져가 디셉티콘인 스타스크림의 장갑을 썰어버릴 정도의 위력이고 멜트다운은 온몸이 오토봇의 장갑도 녹여버리는 용해액으로 이루어져 있는 데다가 그걸 원거리에서 발사까지 한다. 비록 서로 마주친 적은 없지만 메가트론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상대. 그외 마스터 디제스터나 슬로모도 있지만 얘네는 사실상 올스파크 파워 템빨이니...[34] 다만 오토봇들의 무장이 대부분 냉병기나 특수무기라는 것을 감안해본다면 전원이 중화기로 무장한 디셉티콘들에겐 별 위협도 못 될 가능성이 더 높다.[35] 트랜스포머 G1에서 사이클로너스, 실버볼트, 스페즈마를, 트랜스포머 어드벤처에서는 메가트로너스를, 트랜스포머 3에서는 디노를 맡았다.[36] 라쳇과 중복. 트랜스포머 마이크론 전설에서 콘보이, 블랙 콘보이를, 트랜스포머 어드벤처에서는 시마코어를 맡았다.[37] 숨닥 박사 왈, 제일 먼저 나한테 배상해주시지![38] 핫 샷과 중복. 트랜스포머 마이크론 전설에서도 핫 샷을 맡았다.[39] 사교성도 없어서인지 인터넷 은어를 사용하면서 말하는데 숨닥 박사가 어리둥절하면서 어이없어 하는 것도 일품.[40] 목을 레이저로 지져 머리를 잔인하게 빼았고 원래 머리는 처참하게 뚝 떨어져 굴러간다. 로봇이라고 막만든다[41] '집어치우고 한판 제대로 붙어보잔 말이다 로봇!!'/'니가 제트기로 한번 싸워보시지 그러나? 그 몸체는 변신 조작도 되는 몸체인데 말야. 뭐 하긴 꽤 어렵긴 하더라. 특히 너같은 초짜가 조작하긴 힘들지.'[42] 원래 헤드마스터의 개념이 비클모드나 비스트모드로 변신시 로봇 머리는 소형 로봇으로 따로 변신해 몸통의 조종사나 조련사 역할로 정착하게 된다. 그러나 헨리 마스터슨의 유닛의 경우 헤드마스터 유닛이 소형 로봇으로 변하는 것까지는 구현에 성공했으나 그 유닛이 사람이 탑승하는 용도로 만들었기에 보통 사이버트론인의 머리보다 더 커서 망했어요...[43] 스파이크 윗위키와 중복. 트랜스포머 슈퍼 링크에서는 그랜드 콘보이, 오버드라이브를 맡았다.[44] 국내판에서는 엽기공주.[45] 외형이 마치 같은 회사의 작품인 마이 리틀 포니와 닯았다.[46] 국내판에서는 나랑 한판 붙자는거냐?[47] 비스트 워즈에서 콘보이보크를, 트랜스포머 사이버버스에서는 옵티머스 프라임을, 트랜스포머 어드벤처에서는 라쳇을 맡았다.[48] 시계 능력이 정말 비범한데 주변의 시간을 멈추거나 되돌린다. 늙어 버린 나노색크를 원래 젊은 모습으로 돌려 부작용 없이 활동하게 할 수 있었다. 거기다 주변의 기계들에게도 통하고 심지어 사이버트로니안들에게도 통한다.[49] 벌크헤드는 사리가 보길래 같이 봤을 뿐 불법프로인지도 몰랐다. 알고 사리에게 화내고 훈계했다.[50] 트랜스포머 G1에서의 스파이크 윗위키를 맡은 성우이기도 하다.[51]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유니버셜 클러스터다.[52] 스카이개리의 이름은 데스트론어로 항공모함을 뜻한다고 한다. 또다른 데스트론어로는 ebi가 있는데, 새우라는 뜻이라고 한다. 데스트론어는 사실 일본어를 변형한것이며, 이것은 G1에서의 디셉티콘의 일본명이 데스트론인것에 오마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