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01:38:15

콜 오브 듀티: 모바일/장비류/주 무기


파일:icon-codm.png 콜 오브 듀티: 모바일 관련 문서
<colbgcolor=#feec1c><colcolor=#000> 멀티 플레이 장비류 · 주 무기 · 보조 무기 · 총기 개조
스코어스트릭 · Perk & 와일드카드
오퍼레이터 스킬 ·
배틀로얄 배틀로얄 · · 클래스
좀비 모드 좀비 클래식 · 좀비
언데드 포위 · 포탑 · 좀비 · 퍼카콜라 · 특성
기타 메달 · 게임 플레이 팁 · 문제점 · 사건사고 · 콜라보


1. 개요

콜 오브 듀티: 모바일에 등장하는 주 무기에 관해 서술한 문서이다.

총기와 파츠 스탯에 관한 세부 수치는 이 문서에서 맹신하지 않는 것이 좋다. 매 시즌마다 밸런스 조정을 이유로 조금씩 바뀌기 때문.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착 위치 부착물 명칭
<rowcolor=black> 장점 1
장점 2
단점 1
장점 2
부착물 설명

}}}||

각 무기에 이 틀을 넣어주십시오.

※ 만일 해당 부착물이 특정 무기 한두 개에만 부착된다면, 그 파츠가 장착되는 무기의 이름을 넣어주십시오. 무기마다 부착물의 효능이 다른 경우가 많으니 자세한 수치는 표기하지 말아주세요. 같은 효과를 주는데 이름이 다르거나, 같은 이름의 부착물도 총기에 따라 다른 효과가 적용되니 게임 내에서 잘 확인해 주세요.

※ ★이 붙어 있는 무기들은 신화 위장이, [P] 각주가 붙어 있는 무기들은 프레스티지 위장이 존재하는 무기입니다.

2. 돌격소총

언제 어디서나 무난한 성능을 보이며, 게임 특성상 근중거리 교전이 많기에 두루두루 자주 쓰인다.[2] 다만 총기 특성상 한쪽으로 스텟이 치우친 돌격소총도 몇 정 있으니 너무 맹신하진 말 것.

2.1. M4

M4
파일:CODM M4 v2.png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사거리는 보통이며 명중률이 높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기본 무기 25 68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9 81 58 54

초보자들의 국민 소총이다. 여타 FPS 게임들에 등장하는 M4와 마찬가지로 반동 패턴이 단순해 제어가 쉽다. 하지만 장점이 반동 말고는 없는 게 문제. 연사력, 대미지, 탄퍼짐 모두 평범해 실전에서는 애매한 성능을 보여준다. 현재는 게임에서 수많은 총들이 출시가 되어 선택지가 매우 많아졌기 때문에 초보자들도 굳이 M4를 고집할 필요가 없어졌다.

배틀로얄에서도 다른 돌격소총들에 비해 장거리 교전력이 딸리기 때문에 다른 총을 얻기 전 잠깐 들려서 사용할 순 있어도, 커스텀 로드아웃으로 만들고 다니면서 주력으로 쓰는 유저들은 거의 없다.

실제 모델은 콜트 사의 여러 개조품들을 장착했는데 생김새가 마치 LVOA-C가 연상된다.[3]

다른 콜 오브 듀티 시리즈에 등장하진 않았지만, 파일 상의 이름은 콜 오브 듀티: 온라인에 나온 M4A1 Tech이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하부 총열(Underbarrel) 하부 총열 발사기(Underbarrel Launcher)
<rowcolor=black> 하부 총열 유탄발사기 사용 가능[MP]
장착 시 총열 아래에 작은 유탄발사기가 장착된다. 인게임 매치 시작 시 빠른 근접 공격 버튼 자리에 유탄 발사 버튼이 생기게 되며, 이 버튼을 누르게 되면 그 즉시 유탄을 발사한다.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블랙골드
CQB 시즌 2 배틀 패스 보상
마그마 벌집 시즌 5 배틀 패스 보상
백 스크래쳐 시즌 7 배틀 패스 보상
스마트 소총 M4-스마트 소총 무기 상자 구성품
매혹적인 카빈
6피트
야생 스토커 2020 시즌10 이벤트 보상
박차
추방자의 복수
궁정 광대


}}}||

2.2. AK-47[P]

AK-47
파일:CODM AK-47 v3.png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대미지가 높고, 반동도 높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18레벨 33 55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7 74 58 44

근거리에서 상체 3발컷을 낼 수 있는 높은 대미지를 자랑하며, 반동이 약간 불규칙적이지만 잦은 패치로 나름 제어가 가능해졌다. 다만 낮은 연사력으로 멀티에서는 애매한 성능을 보여준다.

2025년 은닉처 트래커 이벤트로 파편을 다 모으면 공짜로 전설 등급 위장을 줬다. 덕분에 꽤 자주 보이기 시작했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탄약(Ammunition) 5.45구경 탄약(5.45 Caliber Ammo)
<rowcolor=black> 연사력 22.7% 증가
탄 용량 10 증가
수직 반동 5% 감소
신체 비례 피해량 감소
사거리 15% 감소
AK-47에만 부착되는 파츠. AK47 장거리 50킬으로 해금할 수 있다. 연사력을 뻥튀기시켜주고 반동이 줄어드는 대신 부위별 피해량과 사거리가 감소한다.
총열(Barrel) 손잡이 그립(handle grip)
<rowcolor=black> 조준 사격 탄퍼짐 40% 감소
사거리 20% 증가
수직 반동 25% 감소
수평 반동 10% 감소
소음 억제
이동 속도 5% 감소
조준 속도 35% 감소
조준 중 걷기 속도 20% 감소
총구, 하부총열 장착 불가
루마니아제 전방 손잡이와 총구 소음기가 장착되는 연장 총열이다. 안정성이 대폭 증가하지만, 그만큼 큰 디버프 또한 가지고 있는 부착물. 멀티플레이보다는 배틀로얄에서 중장거리 교전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다.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레드 액션 시즌 1 배틀 패스 보상
스틸 블루 시즌 5 배틀 패스 보상
삼림지대 갈등
시행착오
데몰리션
악의 정보
잉어 연못
탱크 2020 랭크 매치 시즌 3 멀티 플레이 마스터 2 달성 보상
프로스트 브랜드 2020 배틀 패스 시즌 12 때 출시된 랜덤박스에서 얻을 수 있었던 보상. 도트 사이트에 가까운 시야를 지닌 아이언사이트 때문에 해외 배틀로얄 스크림에서는 사용 금지 스킨이라고 한다.
펌킨헤드
흑막
광휘

}}}||

2.3. M16

M16
파일:CODM M16 v3.png
반자동이며, 3점사입니다. 중장거리에서 효과적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46레벨 30 48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81 83 62 68

시리즈 전통의 3점사 돌격소총. 타 돌격소총 대비 기본 사거리가 길고 정확도가 높은 편이며, 점사 속도가 꽤 빠르고, 없다시피 한 반동과 중거리까지 상체 3발컷이 나는 높은 대미지를 보여준다. 단점은 기본 아이언사이트의 가시성이 좋지 않다.

거친 사격이라는 고유 퍽이 있는데, M16을 연사로 사격할 수 있게 되었다. 단, 신체 피해량 배수가 너프된다.

실제 모델은 FN 사의 M16A4, 그중에서도 FPS에서 흔히 보이는 RIS 옵션이 장착된 R0945 모델이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퍽(Perk) 거친 사격(Wild Fire)
사격 모드를 전자동으로 전환 <rowcolor=black> 사격 속도
부위별 대미지 계수 감소
피격 시 화면 흔들림 15% 증가
이 부착물을 장착하면 3점사였던 M16을 전자동으로 사격할 수 있게 된다. 그 대가로 발사 간격이 97.1ms로 증가하고, 흉부와 상완의 피해 계수가 줄어들며, 피격 반동 역시 커지게 된다.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2.4. AK117

AK117
파일:CODM AK117 v3.png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사격 속도가 높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8레벨 25 77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2 75 47 46

돌격소총 중 비교적 높은 연사 속도와 적당한 대미지를 가진 밸런스형 무기로, 흉부 대미지가 증가하는 상향과 함께 사거리도 늘어나 어떤 상황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다. 다만 약하지만 어디로 튈지 모르는 랜덤 수평 반동이 옥의 티.

게임 초창기부터 뛰어난 중장거리 성능으로 1티어 자리에 굳건히 서있었지만, 여러 너프를 먹는 와중에 더욱 강력한 총기들이 많이 등장해 과거보다 위상은 떨어졌다. 그래도 2025년 은닉처 트래커 이벤트로 파편을 다 모으면 무려 신화 등급 AK117을 줘서 아직까지 많은 유저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 총기이다.

배틀로얄에서는 멀티플레이와 달리 부동의 1티어를 유지중이다. 빠른 연사력, 좋은 중장거리 교전력, 그리고 넉넉한 장탄량이 배틀로얄 환경에서 매우 유리하기 때문.

실제 모델은 이즈마쉬(칼라시니코프)사(社)의 AK-107으로 추정되지만 총열과 가스피스톤이 107보다 더 짧은 것으로 보아 AK-105에다 각종 개조부속들을 장착한 것일 수도 있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손잡이(Underbarrel) 전술 전방 손잡이 B(Tactical Foregrip B)
조준 사격 집탄율 5.2% 증가
수평 반동 13.2% 완화
조준 속도 8% 감소
조준 사격 시 이동 속도 6% 감소
현재는 AK117에만 달리는 손잡이. 건스미스 업데이트 이후로 생긴 AK117의 심각한 조준점 흔들림을 거의 패치 전과 동급으로 보정해주는 유일한 파츠였다. 현재는 랜덤 수평 반동이 많이 완화되어 집탄율 증가에 가끔 쓰인다.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키트 가방
홀리데이 매년 크리스마스마다 복각하는 홀리데이 복권에서 얻을 수 있다.
멜트다운
에시르
}}}||

2.5. LK24

LK24
파일:CODM LK24 v2.png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사격 속도가 높고 중거리에서 효율적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37레벨 28 63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1 78 54 51

AR류 중 가장 적은 피격 시 화면 흔들림과 매우 착한 반동으로 중장거리까지 안정적인 딜링이 가능하게 해 준다. 여러모로 KN44와 비슷한 느낌을 주는 총기. 다만 기동성은 그다지 좋지 않다.

아이언사이트에 대해 호불호가 갈린다. LK24 아이언사이트의 가늠자는 옆을 상당히 많이 가리고 가늠쇠가 있는 중간만 사각형 모양으로 덩그러니 비어 있기 때문에 상대가 좌우로 움직이기라도 하면 가늠자에 가려 트래킹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사살 후 옆에 다른 적이 있을 경우 바로 사격하기가 상당히 어려워진다. 시야 확보를 위해 도트 사이트를 장착하는 것 보단 다른 부분에 투자하는 게 낫고, 그렇다고 시야를 포기하면 되도록 근접전에서 써야 하니 이 총 고유의 능력을 제대로 발현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이 문단에 어떻게 써 놓든, 어떤 방식으로 운영할지는 플레이어 본인의 몫이다.[6]

실제 모델은 불명이며, 맥풀 사의 ACR 아랫총몸에 H&K 사의 G36K 윗총몸과 개조형 피카티니 레일, 그 외의 여러 개조품들을 장착해 둔 모습이다. 혹은 폴란드의 돌격소총인 MSBS가 모델링일수도 있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도안명 획득처 }}}

2.6. Type 25

Type 25
파일:CODM Type 25 v6.png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사격 속도가 높고 반동은 보통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25레벨 25 86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4 83 47 46

실제 모델은 존재하지 않으며, 노린코 사의 QBZ-95-1을 기반으로 재구성한 모델이다.[7]

빠른 연사력을 가졌지만 그만큼 발당 대미지가 낮다. 게다가 이리저리 튀는 S자형 반동과 별로 깔끔하지 못한 기본 아이언사이트 등 평가를 깎아먹는 요소가 많다.

유저들은 25형이라고 부르는데, 그것은 과거에 발번역 되었을 때의 명칭. 중국제나 일본제 총의 이름에 사용되는 TYPE는 식(式)으로 번역되므로 25식 소총 정도가 적당한 번역이다. 하지만 유저들은 25형이란 이름에 익숙해져 있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도안명 획득처 }}}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착 위치 부착물 명칭
장점 1
장점 2
단점 1
장점 2
부착물 설명

}}}||

2.7. BK57

BK57
파일:CODM BK57 v2.png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평균적인 대미지의 중거리 무기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34레벨 31 66 35/14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7 83 49 69

탄창이 넉넉하고 집탄율이 우수해 원거리 교전에 특화되어 있는 돌격소총. 다만 초탄부터 오른쪽으로 휘는 수평반동이 꽤 심하며 대미지는 평범한 수준이라 근거리 싸움은 여러 총들에게 많이 밀린다.

콜옵 온라인에 'AKBP'라는 이름으로 나왔던 총.[8] 설정상 AK-47불펍으로 개조한 모델이라고 한다. 실제로 잘 보면 AK47의 총몸과 총열을 그대로 둔 채 레이아웃만 불펍 형태로 재구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우크라이나의 볘프르 소총이나 IPI 말류크을 베이스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탄약(Ammunition) 7.62mm 40발 탄창(7.62 40 round mag)
장탄량 5 증가
신체 부위별 대미지 계수 증가
이동 속도 3% 감소
조준 중 걷기 속도 5% 감소
정조준 시간 4% 증가
기본 대미지가 29로 증가하고 헤드샷 대미지가 증가한다. 또한 대미지 구간이 31 - 27 - 22 - 19에서 33 - 29 - 24 - 19로 변경되며, 배틀로얄에서 아쉬웠던 대미지가 증가해 근거리 BTK가 1발 줄어들고, 중거리 대미지도 높아진다. 그러나 멀티플레이 BTK는 그대로라 대미지 변동에 민감한 배틀로얄에서 빛을 발하는 부착물.
손잡이(Underbarrel) 정예 전방 손잡이(Elite Foregrip)
수평 반동 11.4% 완화
수직 반동 5% 감소
이동 속도 3% 감소
시즌 8 랭크 매치 패치로 추가된 BK57 전용 부착물. 수평 반동을 대폭 보정해 주고 수직 반동도 조금 줄여준다. RTC 경량 소염기에 탄퍼짐 증가 페널티가 없어지고 하부 총열로 왔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우주 레이스
급속 냉동

}}}||

2.8. ASM10

ASM10
파일:CODM ASM10 v2.png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첫 세 발은 더 높은 명중률로 사격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29레벨 34 55 25/10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72 68 48 52

블랙 옵스 2에서 등장한 소총. 반동이 안정적이고 근거리에서는 3발컷을 낼 수 있는 높은 대미지를 가졌지만, 거리별 대미지 감소가 심해 중장거리 이상으로 가면 무색무취해진다. 2020년 시즌 10 당시 메타를 주도하는 1티어 총기였지만 이후 큰 너프를 먹어 현재는 별로 보이지 않는다.

실제 모델은 이즈마쉬(칼라시니코프) 사의 AN-94이며, 피카티니 레일이 곳곳에 장착되어 있다. 모델링의 경우 블랙 옵스 2 버전이 아닌 콜 오브 듀티: 온라인에서 가져온 듯 하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도안명 획득처 }}}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배럴(Barrel) 브랜슨(Branson)
수평 반동 12.7% 감소
수직 반동 14% 감소
첫 탄환 두 발을 더 빠른 속도로 사격
이동 속도 4% 감소
조준 중 걷기 속도 10% 감소
조준 속도 8% 감소
신체 부위별 대미지 계수 감소
ASM10의 원본 총기인 AN-94의 하이퍼버스트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파츠. 첫 2발은 매우 빠른 2점사로 고정되며, 초탄을 맞히는 데 성공할 경우 TTK가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진다. 그러나 하체 대미지가 감소하고 유효 사거리 증가가 삭제되어, 이전과 달리 필수로 채용하는 일은 적어졌다.

}}}||

2.9. ICR-1

ICR-1
파일:CODM ICR-1 v2.png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대미지는 보통이며 반동이 매우 적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4레벨 30 60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9 82 54 61

시즌 2 업데이트로 추가된 총기. M27 IAR을 계승한 돌격소총으로 블랙 옵스 3에서 등장했다.

무기 설명 그대로 반동이 매우 적고, 피해량 역시 준수하다. 거기다 4레벨에 열리기 때문에 초보자들에게 많이 선호되는 무기 중 하나. 다만 연사력이 딸리기 때문에 M4와 마찬가지로 근거리 공격와 선제공격에 매우 취약하다. 더 좋은 성능을 내는 총들이 넘쳐나기 때문에 현재 숙련자들은 거의 쓰지 않는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총구(Muzzle) 파쇄 장치(Breacher Device)
빠른 근접 속도 조준 속도 3% 감소
현재는 ICR-1에만 달리는 장비로, 모던 워페어의 근접전 돌파 장비가 모티브. 근거리에서 적을 만나면 근접 공격 버튼이 활성화되는데, 이 버튼을 눌렀을 때 근접 공격을 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준다. 누르자마자 근접 공격이 들어가는 정도라고 생각하자.
탄약(Ammunition) MacroMag IFS
사거리 10% 증가
장탄량 35발 증가
탄약 저지력 향상
관통력 향상
수평 반동 20% 완화
조준 속도 40% 감소
조준 사격 시 이동 속도 8% 감소
이동 속도 6% 감소
매우 넉넉한 장탄량과 안정성을 제공해주지만, 조준 속도가 심각하게 감소하는 중장거리 특화 탄약.

}}}||

2.10. Man-O-War[P]

Man-O-War
파일:CODM Man-O-War v2.png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사격 속도가 낮지만, 대미지가 높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52레벨 37 50 25/10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9 69 56 53

블랙옵스 3의 윈슬로 협정 측 제식소총이며 2049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는 설정이 있다. 아이언사이트의 모양이나 장전손잡이가 왼쪽에 있는 것을 봐서 L1A1 SLR이 모티브이거나 미래화 버전일듯.

중거리까지 몸 3방에 킬이 뜨는 강한 대미지를 자랑한다. 그러나 블랙 옵스 3 설정상 7.5Kg라는 무게를 반영하듯 AR 중 최하위권의 기동성과 조준속도를 가지고 있고 탄창도 적은편이라 난전에서는 조금 불리하다. 장거리 세팅을 하면 거의 경기관총 수준의 기동성 수치가 나온다.

테르밋 탄창을 부착 가능한데, 단 두 발을 맞아도 킬이 난다. 다만 테르밋 탄창은 즉발 대미지가 낮은 대신 지속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TTK는 테르밋 탄창을 달지 않았을 때보다 오히려 약간 높다. 테르밋 탄창의 진정한 의의는 스코어스트릭 상대로 주는 엄청난 피해. FHJ-18 2발을 맞아도, 데스 머신으로 한참을 긁어도 안 터질 정도로 단단한 스텔스 헬기조차 테르밋 탄창을 단 맨오워로 두들기면 한 탄창 내로 터져나간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도안명 획득처 }}}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총구(Muzzle) 거상 소음기(Colossus Suppressor)
소음 억제
사거리 40% 증가
조준 속도 16% 감소
조준 중 걷기 속도 10% 감소
Man-O-War와 Oden에만 부착되는 대형 소음기. 사거리를 무지막지하게 연장시켜주지만, 조준 속도와 조준 사격 시 이동 속도가 심각하게 감소한다는 점이 흠이다.

}}}||

2.11. HBRa3

HBRa3
파일:CODM HBRa3 v2.png
고속으로 사격할 수 있는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반동이 심하지만, 제어할 수 있습니다. 적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헤드샷 대미지가 증가합니다.[10]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48레벨 26 70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5 80 48 52

어드밴스드 워페어에서 가져온 무기. 2020년 시즌 3 첫 등장 당시 없다시피 한 반동과 사기적인 명중률로 메타 탑티어에 등극하였으나, 건스미스 업데이트 전이라 유료 뽑기로만 얻을 수 있어 논란이 있었다. 건스미스 업데이트 이후로 메타 탑티어 반열에서 퇴장했다.

현재는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반동이 비교적 적고 좀 더 근거리에 특화된 M4 포지션인지라 개인차가 갈리는 무기이다. 기본 아이언사이트가 다이아몬드 모양의 괴상한 형태라 가시성이 조금 떨어진다.

이상하게 비조준 사격 성능이 매우 좋은 돌격소총이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도안명 획득처 }}}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개머리판(Stock) 썬더볼트 슬링(Thunderbolt sling)
정조준 시간 6% 감소
피격 반응 10% 감소
수직 반동 10% 감소
수평 반동 5% 감소
지향 사격 탄퍼짐 15% 감소
질주 후 사격 전환 시간 25% 감소
조준 중 걷기 속도 5% 감소
총기에 매단 어깨끈을 교체한다. 어떻게 만든 끈인지 모르겠지만 비조준 사격 정확도를 늘려 주고 조준 속도와 안정성 모두 올려주는 만능 부착물. 효과에 비해 페널티도 매우 적어 사기적인 부착물 같지만, 개머리판 자리에 장착하다 보니 조준 속도를 대폭 늘려 주는 개머리판 제거를 장착할 수 없어 취향을 타는 부착물이다.

}}}||

2.12. KN-44

KN-44
파일:CODM KN-44 v2.png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사격 속도가 높고 반동은 보통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23레벨 29 63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5 80 51 58

블랙 옵스 3에서 윈슬로 협정의 적인 CDP의 제식소총으로 등장한 그 총이며, 사격속도, 반동, 대미지 모두 안정적인 밸런스형 총기. 여러모로 M4보단 LK24과 비슷한 느낌을 준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도안명 획득처 }}}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착 위치 부착물 명칭
장점 1
장점 2
단점 1
장점 2
부착물 설명

}}}||

2.13. HVK-30

HVK-30
파일:CODM HVK-30 v2.png
전자동 돌격소총으로, 사격 속도가 매우 빠르고 비조준 사격 명중률이 정확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14레벨 24 71 35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5 76 51 58

블랙 옵스 3에서 나온 돌격소총. 연사력이 좋으나 좌우 반동이 꽤 튄다. 이 총을 쓰는 이유는 고유 부착물인 근거리 상체 3발컷을 가능하게 해주는 대구경 탄창. 다만 장탄량이 꽤나 줄어들기 때문에 탄 관리가 어려워진다. 과거엔 멀티플레이 랭크전 메타에서 종종 1티어를 차지하기도 했지만 요즘은 그닥 자주 보이진 않는 편.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도안명 획득처 }}}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탄약(Ammunition) 대구경 탄약(Large Caliber Ammo)
부위별 피해량 증가
재장전 속도 18% 증가
탄약 저지력 10% 증가
조준 속도 4% 감소
수직 반동 10% 증가
장탄량 7 감소
연사력 8% 감소
신체 부위별 피해량을 매우 크게 올려주는 탄약으로, 특히 헤드샷 피해량이 최대 50까지 증가한다. 대신 장탄량이 적어지고 반동이 조금 커진다는 단점이 있지만 장점이 단점을 상쇄할 정도로 좋기 때문에 HVK 유저들이 거의 무조건 채용하는 파츠.

}}}||

2.14. DR-H

DR-H
파일:CODM DR-H v2.png
대구경 전자동 돌격소총. 장거리 전투에서 적군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킬 32 57 20/8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3 79 54 57

총기의 원형은 Mk.17 SCAR-H. 연사속도가 AK47과 비슷하다.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리부트 시즌 1의 배틀패스 무료보상이던 FN SCAR 17 S의 배신자 스킨을 그대로 가져와서, 잘 보면 FSS 각인이 박혀있는것을 알 수 있다. 대신 원판이 FORGE TAC제였는데 여기선 Tempus제로 나온다.

기본 장탄량이 단 20발인 대신[11] 복부와 다리를 제외하면 3발컷이 나는 강력한 대미지를 가지고 있고, 고유 파츠인 OTM 탄창은 흉부와 어깨의 대미지 배수를 늘려준다.[12] 그러나 조준 사격 시 탄퍼짐이 돌격소총 중 가장 심각하므로, 파츠를 짤 땐 조준 사격 집탄율에 초점을 두고 구성해주도록 하자.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도안명 획득처 }}}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탄약(Ammunition) 25발 OTM(25 round OTM)
부위별 대미지 계수 증가
장탄량 5발 증가
탄약 저지력 20% 증가
조준 속도 6% 감소
수직 반동 9.6% 증가
-
탄약(Ammunition) 30발 OTM(30 round OTM)
부위별 대미지 계수 증가
장탄량 10발 증가
탄약 저지력 20% 증가
조준 속도 8% 감소
이동 속도 2% 감소
조준 시 이동 속도 5% 감소
-

}}}||

2.15. Peacekeeper MK2

Peacekeeper MK2
파일:CODM Peacekeeper MK2 v2.png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조작성과 사격 속도가 뛰어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킬 26 65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8 82 50 54

배틀패스 시즌 13에 추가된 블랙 옵스 2 DLC에서 Peacekeeper MK1, 블랙 옵스 3/4에서 Peacekeeper MK2라는 이름으로 등장했던 무기.

순정 상태의 성능은 저열하지만 부착물들의 성능이 매우 좋다. 각 부착물의 성능 상승폭이 기존 타 총기의 동종 부착물과 비교해봐도 말도 안 되게 높은 수치를 가지고 있다. 단점은 반동이 그런 사기적인 부착물로도 구제가 안 될 정도로 심하고, 기본 아이언사이트의 가시성이 좋지 않다. 때문에 성능을 극대화시키려면 아예 SMG처럼 운용하는 방향으로 건스미스를 구성해야 한다. 랭크전 1티어 반열에 든 적이 종종 있었지만 2025년에는 비슷한 컨셉의 XM4에 밀려 별로 보이지 않는다.

사족으로 다른 총기에는 멀쩡히 들어 있는 3번 홀로그램 조준경이 피스키퍼 부착물 목록에는 없다. 버그인지는 불명.

여담으로 부착물들을 대부분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에서 갖고 왔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도안명 획득처 }}}
{{{#white 전용 부속[주의]26개로 매우 많으니, 열람에 주의하여 주십시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총열(Barrel) 속사 배럴(Rapid Fire Barrel)
연사력 12% 증가
대미지 증가
조준 사격 집탄율 20% 감소
사거리 40% 감소
피스키퍼를 SMG로 만들어주는 파츠로 런앤건 유저들에게 추천된다. 사거리와 조준 사격 집탄율을 희생하는 대신 대미지와 연사력을 올려 줘 안 그래도 빠른 근거리 TTK가 더욱 빨라진다. 동에 번쩍 서에 번쩍하며 적을 쓸고 다니는 여포 유저와 궁합이 좋다.
총열(Barrel) 고급 배럴(Well-Forged Barrel)
사거리 50% 증가
장거리 배럴의 하위 호환이지만 대신 페널티가 전혀 없다! 하위호환이라해도 사거리가 무려 50%나 늘어나기 때문에 상당히 사기적인 부착물.
총열(Barrel) 장거리 배럴(Long-Range Barrel)
사거리 100% 증가
수평 반동 20% 완화
이동 속도 5% 감소
조준 속도 35% 감소
사거리를 2배로 뻥튀기시켜주고, 피스키퍼의 약점인 수평 반동까지 꽤 높은 수치로 잡아줘 조준점 흔들림까지 없는 수준으로 만들어버려 거의 모든 사거리에서 안정적으로 4방컷이 나게 한다. 다른 그 어떤 총기의 부착물과도 비교를 불허하는 전무후무한 스탯을 가진 대신 조준속도 감소율이 35%로 꽤 높지만, 애초에 조준속도가 빠른 편이라 크게 체감될 정도로 느려지진 않고 이마저도 각종 파츠의 버프로 상쇄가 된다. 현장 요원 손잡이와 조합시 중장거리 저격수 카운터도 가능할 정도로 반동이 안정된다.
총열(Barrel) 내장형 소음기 배럴(Built-In Silence Barrel)
사거리 25% 증가
소음 억제
타 총기의 모놀리식 소음기(일체식 소음기)의 효과를 페널티만 빼고 그대로 가져온 부착물이다. 다만, 총구 부착물과 중복이 불가능하다.
총열(Barrel) 태스크포스 배럴(Taskforce Barrel)
사거리 50% 증가
연사력 9.1% 증가
수직 반동 20% 증가
수평 반동 15% 증가
사거리와 연사력을 꽤나 증가시켜주는 고성능 파츠이긴 하지만 반동이 다소 증가하는 페널티가 있다. 수평 반동이 더 심해진다는 것은 조준점 흔들림이 커진다는 것이므로 이를 무마해줄 파츠를 달거나 근중거리에서 써야 효율이 제대로 뽑힌다.
손잡이(Underbarrel) 전방 손잡이(Foregrip)
수평 반동 30% 완화
현장 요원 손잡이의 하위호환으로 수평 반동만 잡아준다. 하위호환인데다 평범해보이지만 무려 30%나 되는 높은 반동제어 수치를 가졌음에도 페널티가 전혀 없다! 거기다가 현장 요원 손잡이와는 다르게 비교적 초반에 해금되는 파츠라 초반 총기 레벨업에 도움이 많이 된다.
손잡이(Underbarrel) 빠른 RTC 전방 손잡이(RTC Speed Foregrip)
수평 반동 15% 완화
질주 속도 10% 증가
조준 사격 시 이동 속도 5% 감소
이동 속도 5% 감소
달리는 속도는 빠르게 해 주는데 걷는 속도는 느리게 하는 이상한 손잡이. 그래도 달리기 속도는 무려 10%나 빨라지기 때문에 실질적인 이동속도를 가장 큰 폭으로 올려주는 파츠다.
손잡이(Underbarrel) 침투 전방 손잡이(Infiltrator Foregrip)
이동 속도 3% 증가
조준 사격 시 이동 속도 5% 증가
기동력에 중점을 둔 손잡이로 빠른 이동이 가능하게 해주지만 다른 사기 파츠들에 비하면 특출난 점이 없어서 많이 가려진 파츠다.
손잡이(Underbarrel) 순찰 전방 손잡이(Patrol Foregrip)
달리기 속도 6% 증가
이동 속도는 그대로지만 달리기 속도를 올려주기 때문에 실질적인 이동속도를 크게 올려준다.
손잡이(Underbarrel) 현장 요원 전방 손잡이(Field Agent Foregrip)
수평 반동 40% 완화
수직 반동 10% 감소
조준 사격 시 이동 속도 16% 감소
무려 40%에 달하는 엄청난 수치의 수평반동 보정으로 AK117의 전술 전방 손잡이 B처럼 피스키퍼의 심한 조준점 흔들림을 매우 크게 보정해 줘 더욱 안정적인 사격이 가능케 한다. 장거리 배럴과 조합하면 명중률이 아주 좋아져 장거리 저격 카운터로도 써먹는게 가능할 정도.
탄약(Ammunition) 이중 탄창(Double Stack Mag)
탄창 용량 10 증가
장전 속도 35% 증가
기본 지급 탄약 40발 추가
조준 속도 8% 감소
연사력이 빨라 탄창이 금방 바닥남에도 불구하고 장전속도가 살짝 느린 편인 피스키퍼에 거의 필수적인 파츠로 피스키퍼의 약점인 탄창수와 장전속도 모두 크게 올려줘 전투 유지력을 대폭 끌어올려주는 장비다. 배틀로얄의 에픽등급 연장 변형 모드를 그대로 빼다 박아논 수준. 이걸 껴주면 장전속도 체감이 상당히 크게 된다. 손재주 퍽과 조합시 1초만에 장전이 끝날 정도다.[14] 위아래로 2개의 탄창이 하나로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재장전 할 때는 탄창을 빼서 그대로 돌려 반대쪽에 있는 탄창으로 끼우는데 이 모션이 상당히 멋지다. 다만, 만렙인 53레벨에서야 열리기 때문에 노가다를 좀 해야 쓸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개머리판(Stock) 개머리판 제거(No Stock)
달리기 도중 사격 전환 시간 30% 감소 지향 사격 집탄율 15% 감소
달리는 도중 총을 사격하기까지의 간격을 줄여준다. 민첩 개머리판의 하위 호환이지만 대신 그만큼 페널티도 적다. 다른 총기에 있는 파츠지만 여기서는 특성이 다르다는게 특징.[15]
개머리판(Stock) 경량 개머리판(Light Weight Stock)
조준 사격 시 이동 속도 20% 증가
다른 총기에 있는 경량 개머리판에서 조준 사격 시 집탄율 감소 페널티만 뺀 파츠다. 성능 상승치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페널티만 쏙 뺀 고성능 파츠.
개머리판(Stock) 질주 개머리판(Marathon Stock)
달리기 도중 사격 전환 시간 15% 감소
개머리판 제거와 민첩 개머리판의 하위호환이지만 대신 이쪽은 페널티가 전혀없다. 덕분에 부담스럽지 않게 쓸 수 있는게 장점.
개머리판(Stock) 민첩 개머리판(Agile Stock)
달리는 도중 사격 전환 시간 30% 감소
조준 사격 시 이동 속도 20% 증가
지향 사격 집탄율 30% 감소
달리는 도중 사격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30%나 줄여 주고, 조준 사격 시 이동 속도를 스컬커 퍽을 꼈을 때보다 더 크게 증가시켜 준다. 다만 지향사격 명중률이 크게 감소하는 페널티가 있어서 금작할때 지향사격 처치를 달성하기 힘들어지니 주의하자. 물론 조준사격 위주로 플레이 한다면 거의 의미없는 페널티라서 사실상 페널티가 없는거나 마찬가지라 사기적이다.
후면 손잡이(Rear Grip) 헐렁한 그립 테이프(Rustle Grip Tape)
조준 속도 15% 증가
다른 총기에 있는 점 그립 테이프에서 달리기 도중 사격 전환 속도 증가 버프와 조준 사격 시 집탄율 감소 페널티를 없애고 조준 속도 증가만 남겨놓은 파츠로 아무런 페널티도 없이 조준속도를 15%나 올려주기 때문에 사기적인 파츠이다.
후면 손잡이(Rear Grip) 튼튼한 그립 테이프(Sturdy Grip Tape)
피격 시 화면 흔들림 70% 감소
피격 시 화면 흔들림을 강인함 퍽(60%)을 꼈을 때보다 더 크게 완화해준다.[16] 이런 사기적인 스탯을 가졌지만 아무런 페널티도 없어서 여러모로 정신나간 성능의 파츠다.
후면 손잡이(Rear Grip) 단단한 그립 테이프(Firm Grip Tape)
조준 속도 25% 증가
피격 시 화면 흔들림 30% 감소
달리기 도중 사격 전환 속도 15% 감소
가뜩이나 고성능인 상기한 두 그립을 절충한 파츠로 조준 속도 증가율이 25%나 돼서 장거리 배럴과 함께 조합해서 페널티를 상쇄시키는 식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조준 속도 증가만 봐도 다른 총기의 여타 파츠들보다 비교가 안될 정도로 더 많이 증가시켜주는데 여기에 약간의 피격 시 화면 흔들림 감소율까지 덤으로 얹어준다.[17] 이런 사기적인 효과에 비해 페널티는 고작 달리기 도중 사격까지 걸리는 시간이 15% 늘어나는 게 끝이라 있으나마나한 페널티인지라 부담없이 기용할 수 있다는게 끝판왕 파츠라봐도 손색없을 정도.
총구(Muzzle) 정부 기관 소음기(Agency Suppressor)
소음 억제
수직 반동 10% 감소
소음 효과를 챙기고 수직 반동을 잡아주지만 사거리 30% 감소가 생각보다 큰 페널티인데다 이 총은 수직반동보다 수평반동이 더 강한지라 인기가 없었지만, 이후 패치로 사거리 감소 디버프가 30% > 10% > 0% 순으로 줄어들어 기용률이 높아졌다. 사실상 총구 중 최고의 파츠이다.
총구(Muzzle) 인팬트리 보정기(Infantry Compensator)
수직 반동 25% 감소 수평 반동 10% 증가
여러 전용 파츠들 중 가장 의미없는 파츠다. 피스키퍼는 수직 반동보다 수평 반동이 더 심해서 수평 반동 잡는게 관건인데 이건 정반대의 효과를 가지고 있어 오히려 체감반동이 더늘어나는 역효과가 발생한다(...). 보정기라면서 이름값을 못 하는 파츠.
총구(Muzzle) MIP 소염기(MIP Flashguard)
총구 화염 은폐
소염 효과만 주는 파츠다. 이름값은 제대로 한다
총구(Muzzle) OWC 제거기(OWC Eliminator)
총구 화염 은폐
수직 반동 10% 감소
수평 반동 5% 증가
바로 위의 소염기보단 훨씬 쓸모있는 파츠지만 이쪽도 인팬트리 보정기랑 마찬가지로 역효과가 나는 파츠라 권장되지 않는다.
총구(Muzzle) RTC 보정기(RTC Muzzle Brake)
수직 반동 10% 감소
분명히 누가 봐도 수평 반동을 잡아주는 형태의 보정기인데 이상하게 수직 반동만 잡아 준다(...). 그래도 페널티가 없어서 위의 쓰레기 3인방보단 훨씬 나은 편. 다만 에이전시 소음기가 정확히 RTC 보정기 효과에 소음이 플러스 된 거라 쓸모가 없다.
레이저(Laser) 1㎽ 지속 조준 레이저(1㎽ Steady Aim Laser)
지향 사격 집탄율 20% 증가
여타 총기의 1mW 레이저와 모델링은 같지만 효과는 훨씬 더 크다.
레이저(Laser) 5㎽ 전투 레이저(5㎽ Combat Laser)
지향 사격 집탄율 40% 증가 레이저 보임
조준 속도 8% 감소
여타 총기의 5mW 레이저와 모델링은 같은데 달리기 도중 사격 전환 속도 증가 버프를 없애고 지향 사격 정확도를 더 올린 뒤 조준 속도 감소 페널티를 붙인 파츠. 지향사격 집탄율을 매우 큰 폭으로 올려주기 때문에 금장작 하는 유저들에겐 필수파츠이기도 하다.
레이저(Laser) 조준 보정 레이저(Aim Assist Laser)
조준 사격 집탄율 20% 증가 레이저 보임
여타 총기의 전술 레이저와 모델링은 같은데 조준 속도 증가 버프를 없애고 대신 조준 사격 정확도를 더 올린 파츠.

}}}||

2.16. FR .556

FR .556
파일:CODM FR. 556 v2.png
사격 속도가 높은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중거리에서 효율적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킬 27 67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86 68 50 45

2021 배틀 패스 시즌 1 시작과 함께 추가된 무기다. 모던 워페어의 FR 5.56을 강하게 참고한 듯한 외형을 하고있지만 정작 사격모드는 전자동이다.

반동이 안정적이고 발당 대미지는 평범하지만 대미지가 첫번째로 줄어드는 제1사거리가 돌격소총 중에서는 독보적으로 긴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근거리보단 중거리 교전에서 강하다. 하지만 기동성이 그다지 좋지 않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도안명 획득처 }}}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착 위치 부착물 명칭
장점 1
장점 2
단점 1
장점 2
부착물 설명

}}}||

2.17. AS VAL

AS VAL
파일:CODM AS VAL v2.png
사격 속도가 높은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중거리에서 효율적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킬 28 80 25/14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4 83 50 47

시즌 15(2021 시즌 2)에 출시된 돌격소총이다.

연사력이 돌격소총 중에서는 상위권이며 대미지도 중거리까지 4발컷을 보장한다. 다만 수평 반동이 좀 있으며 기본 장탄량이 적은 것이 단점.

소음기가 총기 자체에 기본 장착되어 있어서 어떤 파츠를 장착하던간에 상관없이 격발음이 매우 작다. 그리고 이 때문에 총구에 파츠를 아예 장착할 수 없고 배럴은 전용 배럴들만 쓸 수 있다. 근데 문제는 모든 부착물들 중 수평반동을 줄여주는 파츠는 오직 레인저 전방손잡이와 OWC 레인저 개머리판, MIP 타격 개머리판 3개 뿐인데다가 두개는 같은 개머리판이라 동시에 장착가능한건 둘 뿐이라서 수평 반동을 완전히 잡을 수가 없으며, 그저 파츠 조합을 통해 더 이상의 반동을 늘리지 않는 선까지만 개조가 가능하다.

배틀로얄이 아닌 일반 매칭에서 탄속이 적용되는 첫 번째 주무기이며, 이 무기가 출시된 이후 멀티플레이에서 다른 무기들에도 탄속이 적용되기 시작했다.

전용 부착물로 FMJ 탄창이 있다. 사거리와 대미지, 관통력을 비약적으로 늘려주지만 장탄량이 줄어들고 조준시간이 늘어나며 자동 사격이 불가능해진다. 한마디로 AS VAL을 지정사수소총으로 변신시켜주는 파츠.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도안명 획득처 }}}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착 위치 부착물 명칭
장점 1
장점 2
단점 1
장점 2
부착물 설명

}}}||

2.18. CR-56 AMAX

CR-56 AMAX
파일:CODM CR-56 AMAX v2.png
사격 속도가 높은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중거리에서 효율적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킬 25 71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0 76 51 51
2021 배틀 패스 시즌 5 21티어 달성으로 얻을 수 있는 신규 돌격소총. 모던워페어 2019의 동명의 주무기에서 외형과 모션을 거의 그대로 가져왔다.

반동과 피격 반동이 적어 반격할 기회를 쉽게 잡을 수 있다. 대신 DR-H를 제외한 다른 AR들보다는 탄퍼짐이 약간 심하고, 조준경 떨림이 꽤 있으니 주의할 것.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탄약(Ammunition) M67 탄약(M67 Ammo)
사거리 150% 증가
피해량 증가
탄약 관통력 강화
조준 사격 시 탄퍼짐 40% 감소
탄약 저지력 50% 강화
조준 속도 35% 감소
장탄량 10 감소
연사력 감소[18]
반자동 사격 고정
수직 반동 250% 증가
DMR로 만들어주는 파츠. AS VAL의 15발 FMJ와 다른 점이 있다면 별도로 FMJ를 장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파츠와 FMJ를 같이 장착할 시 벽을 관통했을 때의 대미지 감소가 완전히 사라진다.
하부 총열(Underbarrel) GRD-11
무기에 장착된 방패가 대미지 방어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블랙비어드마냥 총열 앞부분에 작고 투명한 방패가 장착된다. 이 방패는 일정 피해를 방어할 수 있으며, 내구도가 떨어지면 파괴된다.

}}}||

2.19. M13

M13
파일:CODM M13.png
사격 속도가 매우 높고 헤드샷 계수가 좋은 돌격소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킬 24 88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6 72 53 43
2021 배틀 패스 시즌 6에 추가된 모던 워페어에서 넘어온 돌격소총.[19] 엄청난 연사력, 그리고 준수한 사거리와 반동을 가지고 있다.

연사력이 엄청난데 피해량도 AR 특성상 무시 못 하다 보니 근거리에선 현 메타를 주름잡고 있는 고연사력 무기들과 맞붙었을 때도 비빌 수 있는 성능을 자랑한다. 또한 사거리도 준수해 선제공격을 한다면 어떤 거리에서든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다. 게다가 확장 탄창의 조준 속도 페널티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덕분에 필수 부착물로 취급받는 대용량 탄창 장착을 망설이지 않아도 된다.

다만 기계식 조준기의 형태가 그렇게 좋지 않고, 사격 속도를 얻은 대신 대미지가 낮아 아쉽게 적을 죽이지 못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해 호불호가 갈라진다.

여담으로 출시 초기에는 블랙아웃 탄창의 소음 억제 효과가 탄속 20% 증가였다. 이후 패치로 줌속이 5% 오르면서 같이 바뀐 것.

실제 모델은 SIG MCX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탄약(Ammunition) .300 RTC 30발 탄창(.300 RTC 30-gun magazine)
사거리 20% 증가
소음 효과
조준 속도 3% 감소
사거리를 높여주고 소음기 기능이 있는 탄약이다.
탄약(Ammunition) .300 RTC 이중 40발(.300 RTC double 40 shots)
사거리 20% 증가
소음 효과
장탄수 10 증가
재장전 속도 20% 감소
조준 속도 10% 감소
이동 속도 2% 감소
30발 RTC 탄약의 상위호환격 부착물. }}}

2.20. Swordfish[P]

Swordfish
파일:CODM Swordfish v2.png
사거리가 길고 대미지 감쇠가 낮으며 한 번의 점사로도 뛰어난 살상력을 보이는 4점사 소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킬 24 88 40/16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6 72 56 43

블랙 옵스 4에서 가져온 무기로, 2021 시즌 9에 추가되었다. 돌격소총 무기군에선 2번째, 전체적으론 5번째로 추가된 점사 총기다.

점사 무기 특유의 낮은 반동, 높은 정확도, 그리고 긴 사거리가 조화를 이룬 무기로, 조준 사격 집탄율 위주로 세팅을 맞췄을 때 무려 장거리에서 저격수를 역관광보내는 절륜한 위력을 자랑한다.

특이사항으로 총기에 기본적으로 1.5x 스코프가 장착되어 있다. 물론 건스미스를 통해 레드 도트나 홀로그램도 달 수 있다.

2.21. Kilo 141

Kilo 141
파일:CODM Kilo 141.png
점사 속도가 높고 대미지 감쇠가 낮은 돌격소총입니다. 중거리에서 효율적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킬 29 68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7 79 54 55

모던 워페어에서 이식된 돌격소총으로, 원작의 흉악한 100발 드럼탄창 개조 또한 제공된다. 점점 강해지는 약간의 수직 반동만 잡아주면 매우 출중한 성능을 가진 중장거리 교전 AR이 된다.

실제모델은 H&K HK433이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탄약(Ammunition) 100발 탄창(100 round mag)
<rowcolor=black> 탄창 용량 100발로 확장
총탄 관통력 증가
유효 사거리 10% 증가
수평 반동 30% 감소
탄약 저지력 20% 강화
이동 속도 10% 감소
재장전 시간 50% 증가
정조준 시간 120% 증가
모던 리부트의 그 흉악한 100발 드럼 탄창이지만, 단순 장탄량 증가뿐만 아니라 탄종 개조도 하는 건지 다양한 효과를 덧붙이고 나왔다. 대신 원본이 갖고있던 기동성 패널티가 뻥튀기되어 추가되어 사실상 LMG로 써야하므로 주의.

}}}||

2.22. Oden

Oden
파일:CODM Oden.png
12.7mm 대구경 자동 돌격소총으로, 다양한 특수탄을 사격합니다. 사격 속도가 느리지만 대미지가 뛰어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킬 48 41 25/10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6 69 64 32

모던 워페어에서 넘어온 대구경 돌격소총.

사거리와 피해량은 타 전자동 무기들이 범접 불가능할 만큼 강력하다. 2025년 기준 전 총기 통틀어서 1티어를 유지하는 이유로, 거리 불문 전신 3발컷을 낼 수 있는 강력한 대미지를 자랑한다. 초근거리 흉부 한정 2발컷도 가능하다. 다른 3발컷 돌격소총들이 하나같이 어딘가 나사가 빠져있는 것과 달리,[21] Oden은 반동만 잡으면 안정적이면서 강력한 성능을 낼 수 있기에 주력 메타 총기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다만 그만큼 연사력이 반자동 사격모드를 제외한 모든 돌격소총 중 가장 느리며 기동성 역시 나쁘다. 한 발 한 발이 중요한 만큼 정확한 에임이 필요하고 FMJ를 끼는 것이 좋다. 수직 반동 역시 하늘을 뚫지만 수평 반동이 그나마 미미해 숙련만 되면 반동은 충분히 제어 가능하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탄약(Ammunition) 12.7×55 아음속 중화기 탄약(12.7×55 Subsonic Heavy Ammo)
사거리 20% 증가
소음 억제
관통력 강화
탄약 저지력 50% 강화
탄속 60% 감소
관통력과 저지력이 강화되고 소음이 억제되지만, 그 대가로 탄속이 매우 낮아지는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탄약. 근거리에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탄약(Ammunition) 12.7×55 듀플렉스 탄약(12.5×55 Duplex Ammo)
발당 펠릿 수 1 증가 발당 피해량 감소
조준 사격 집탄율 30% 감소
탄당 탄두가 2개 들어 있는 듀플렉스 탄약. 두 발을 전부 맞출 시 단 한 발로 적을 사살할 수도 있지만, 조준 사격 시 탄퍼짐이 매우 넓어지기에 웬만하면 근거리에서 사용하자.
총구(Muzzle) 거상 소음기(Colossus Suppressor)
소음 억제
사거리 40% 증가
조준 속도 16% 감소
조준 중 걷기 속도 10% 감소
Man-O-War의 대형 소음기와 같은 효과를 지닌 소음기. 사거리를 무지막지하게 연장시켜주지만, 조준 속도와 조준 사격 시 이동 속도가 심각하게 감소한다는 점이 흠이다. }}}

2.23. Krig 6

Krig 6
파일:CODM Krig 6.png
균형이 잘 잡힌 돌격소총입니다. 기동성, 안정성, 내구성 및 헤드샷 계수가 높으며 중거리에서 효율적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킬 30 65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2 79 56 56

매우 정직한 수직에 가까운 우상탄 반동에 뛰어난 부위별 피해량을 가진 무기. 다만, 기본 아이언사이트가 시야를 상당히 제한하기에 중거리 이상에서 운용하는 세팅에는 대부분 도트 또는 홀로그램을 달아 쓰는 편이다. 장단점 모두 콜드 워의 크리그를 그대로 갖고 왔기 때문에 콜드 워에서 크리그를 많이 사용해봤다면 무리없이 쓸 수 있다.

원본은 FN FNC의 스웨덴 라이센스 생산형인 Ak 5. 콜드 워가 출시 되었을 때 국내 유저들이 배럴과 스톡, 총구, 개머리판을 적절히 조합하면 K2 소총처럼 꾸밀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인기가 있었는데 모바일에서 해당 파츠를 그대로 구현해준 덕분에 K2처럼 보이게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때문에 크리그가 출시된다고 하자 유저들은 드디어 K2가 나온다는 우스갯소리를 하기도 했다.

2.24. EM2

EM2
파일:CODM EM2.png
콜드 워의 조준경을 장착한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정확도가 높고 안정적으로 대미지를 주지만 사격 속도가 느립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킬 36 54 20/8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73 75 53 73

저연사 고화력 소총. 근거리에서 전신 3발컷이 가능한 대미지에 반동이 적으나, 연사력이 나쁘고 기본 장탄량이 적다. 고유 부착물들이 많은데 일부는 성능이 좋다. 기본적으로 투박한 조준경이 달려 있으나, 소드피쉬와는 달리 확대경은 아니다.

2.25. Maddox

Maddox
파일:CODMMaddox.png
특별한 에코 파이어 모드를 탑재하고 있으며, 발사 속도가 빠르고 기동성이 우수한 돌격소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킬 28 72 40/16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8 83 48 62

블랙옵스 4에 있던 돌격소총. 총구에 부착물을 달 수 없으며, 연사력이 좋고 기본 장탄량이 넉넉하고 반동이 적지만 탄퍼짐이 매우 심하다. 심지어 조준사격 집탄율을 개선시키는 부착물이 초록 레이저 딱 하나뿐이라 중장거리 교전에서 많이 불리하다.

2.26. FFAR 1

FFAR 1
파일:CODM FFAR 1.png
중거리 및 근거리에서 뛰어난 기동성과 치명적인 대미지를 내며 발사 속도도 높은 돌격 소총입니다. 하지만 달리기 중 발사 지연이 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킬 24 91 25/10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2 80 52 42

콜드워에 등장한 FFAR 1을 그대로 빼다박은 총기. 점사 총기를 제외하면 순정 상태 기준 돌격소총 중 가장 높은 연사력을 가지고 있다.[22] 그와 함께 준수한 피해량을 지니고 있는 대신 전체적인 반동이 심해 파츠 없이 중장거리를 노리기는 조금 힘들다.

2.27. Grau 5.56

Grau 5.56
파일:CODM Grau 5.56.png
기동성이 뛰어난 중거리 돌격 소총으로, 다양한 부착물 세트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킬 27 73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0 85 54 59

준수한 피해량을 기반으로 각종 파츠를 이용해 사거리와 명중률을 극한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 무기. 중장거리전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2.28. Groza

Groza
파일:Groza_model_CoDMobile.webp
중고속 발사 속도를 지닌 돌격소총으로, BO 부착물을 장착하여 극한의 기동성을 추구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회 26 75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1 85 46 52

2023 시즌 11 출시. 블랙옵스 콜드 워에서 등장한 그로자이다.

무기 설명대로 기동성과 연사력이 좋다. 다만 반동이 꽤 심한 게 단점.

2.29. Type 19

Type 19
파일:Type_19_model_CoDMobile.webp
다양한 전투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여러 모듈식 부착물을 도입한 고속 발사 개인 전투 시스템화 무기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회 - -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 - - -

2024 시즌 2 출시. 간만에 등장한 모바일판의 오리지널 총기이며, 중국 신형 제식소총인 QBZ-191이다.

괜찮은 대미지와 빠른 연사력을 가지고 있으며 반동, 안정성 모두 좋은 덕분에 2025년 기준 돌격소총 중에서는 1티어를 차지하고 있다.

2.30. BP50

BP50
파일:BP50_model_CoDMobile.webp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발사 속도가 높고 장거리에서도 치명적이면서도 정확하여 경쟁력이 있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회 - -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 - - -

2024 시즌 6 출시. 뱅가드 사양으로 등장한 F2000이다.

연사력이 좋으며 반동도 정직하다. 출시 당시 근중거리 모두 씹어먹는 0티어 사기총이었고 멀티플레이 랭크전은 이 총으로 도배가 된 적이 있었다. 이후 너프를 받았지만 그럼에도 그럭저럭 쓸 만 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2.31. LAG 53

LAG 53
파일:LAG_53_Gunsmith_CoDM.webp
중장거리 전투에서 상당한 제압력을 발휘하는 저연사 돌격소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회 - - 20/8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 - - -

2024 시즌 8 출시. 모던 워페어 I 사양의 FAL이다.

연사력이 느린 대신 모든 거리에서 전신 3방컷 이하가 나온다는 점에서 여러모로 Oden과 비슷한 포지션이다. Oden보단 반동이 적지만, 돌격소총 중에선 최악의 기동성을 가지고 있다. 기동성 나쁘기로 유명한 Man-O-War보다도 각종 이동 속도가 느리다. 때문에 중장거리 전투 위주로 수동적으로 운용해야 한다.

2.32. XM4

XM4
파일:XM4_Gunsmith_CoDM.webp
전자동 돌격소총입니다. 향상된 발사 속도로 안정적인 대미지를 입힙니다. 연속 사격 시 무기 제어력이 좋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돌격소총 헤드샷 30회 - -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 - - -

2025년 시즌 1 업데이트로 공개된 돌격소총으로, 블랙옵스 콜드 워 사양의 XM4이다.

실제 총기는 베트남전 당시에 나온 카빈형 소총 XM177E1

연사력과 안정성이 좋고, 다른 총기에선 찾아볼 수 없는 성능 좋고 개성있는 고유 파츠들이 많다. 따라서 건스미스를 어떻게 구성하느냐가 굉장히 중요한 총기. 2025년 기준 대회에서도 자주 보이는, 1티어 AR 중 하나이다. 단점은 기본 아이언사이트가 M16처럼 링 형태로 가려진 모습이라 가시성이 조금 떨어진다.

2.33. 바르고-S

바르고-S
파일:Vargo-S_Gunsmith_CoDM.webp
마음껏 개조할 수 있도록 여지를 넉넉히 남겨둔 균형 잡히고 안정적인 돌격소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2025 시즌 4 배틀패스 달성
돌격소총 헤드샷 30회
- -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 - - -

뱅가드에서 등장한 돌격소총으로 2025년 시즌 4 출시.

무기 설명대로 개조의 폭이 넓고 독특한 부착물들이 많다. 어떻게 개조하느냐에 따라 유사 지정사수소총이 될 수도 유사 경기관총이 될 수도 있는 총. 하지만 비슷한 컨셉인 피스키퍼나 XM4와 달리 부착물들의 성능 증가폭이 애매하다. 기본 반동도 강한 편인데 일부 쓸만한 부착물들은 오히려 반동을 크게 올려버린다. 이 반동을 확실하게 잡아줄 마땅한 부착물이 없는 게 문제. 향후 상향을 어떻게 받느냐에 따라 1티어가 될 잠재성이 있지만, 최소 현재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총.

실제 총기는 바한 소총.

2.34. RAM-7

RAM-7
파일:RAM-7_Gunsmith_CoDM.webp
간소한 디자인의 전자동 불펍 소총. 근접전에 적합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2025 시즌 8 배틀패스 달성
돌격소총 헤드샷 30회
- -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 - - -

2025 시즌 8 출시. 실제 모델은 TAR-21.

연사속도가 꽤나 빠르며, 대미지와 반동도 준수하다.

출시 직후엔 사격 시 총기 떨림이 아주 심했지만, 버그였는지 금방 수정되었다.

3. 저격소총

Get down, Sniper!
엎드려, 저격수다!
시야에 들어온 적들 중 저격소총을 장비한 적이 하나 이상 있을 경우 출력되는 대사.[23]
Sniper eleminated!
저격수가 제거됐다!
저격소총을 장비한 적을 전부 사살할 시 출력되는 대사.

장거리에서 원샷원킬이나 화력투사가 가능하며, 기본 배율을 떼버리고 1.5 ~ 4배율 조준경을 달아 근거리 견제도 어느 정도 할 수 있다.

다만 높은 피해량과 긴 사거리의 대가로 조준 후 몇 초 기다리면 숨참기가 풀려 조준경 흔들림이 생기고, 피격 시 화면 흔들림이 매우 심하다.

여느 FPS 게임들이 대부분 그렇듯, 고점과 저점이 한없이 차이나는 무기군이다. 특히나 2021년 저격소총류에 가해진 전반적인 너프로 인해 초보자들에겐 절대 추천되지 않는 무기군. 그래도 멀티플레이 고티어 랭크전에선 한 발로 판도를 뒤바꿀 수 있는 무기군인만큼 많이 쓰인다.

3.1. DL Q33

DL Q33
파일:CODM DL Q33 v2.png
단발 저격소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기본무기[24] 90 28 6/24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9 32 99 32

다른 저격소총보다 기동성과 조준 속도, 연사력이 떨어지지만 별도 파츠 투자 없이 다리를 제외한 부위에서 모든 거리 원샷이 나는 강력함과 뛰어난 안정성 때문에, 속속히 새로 출시되는 저격소총들에게 꿇리지 않고 멀티플레이 고티어 랭크전에선 오랫동안 저격소총 1티어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특유의 "피융!" 하고 나는 시원한 격발음이 일품이다.[25]

2022년 12월 업데이트로 머리 피해 계수 버프를 받아 배틀로얄에서도 1000m까지 헤드 한 방이라는 이점이 생겼기에 라이텍과 ZRG와 동석할 수 있게 되었다.

실제 모델은 샤이엔 택티컬 사의 인터벤션이고, 캐링핸들이 제거되고 다른 형태의 양각대와 권총 손잡이가 장착된 모습이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탄약(Ammunition) Maevwat Omega-1
<rowcolor=black> 피격 후 충격탄 효과 장탄량 -2
이동 속도 1.0% 감소
재장전 속도 5.0% 감소
탄속 30% 감소
일반 탄과 비교하여 부위별 피해량의 차이는 없지만, 특이하게도 피격된[26] 적에게 충격탄 효과를 부여하는 탄이다. 하지만 그 대가로 탄속이 심각하게 느려지므로 배틀로얄에서는 상황에 따라 잘 판단하여 사용하자.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레드 액션 시즌 1 배틀패스 상자
네온 버스트 시즌 11 배틀패스
홀리데이 홀리데이 뽑기
광신도

}}}||

3.2. M21 EBR

M21 EBR
파일:CODM M21 EBR v2.png
사격 속도가 더 높고 안정성이 뛰어난 저격소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22레벨 91 37 10/3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9 43 90 40

모던 워페어 2에 등장했던 총[27]. 반자동 저격소총 계열이라서 연사력이 높고 반동이 약하지만 대미지도 약해서 중장거리에서는 헤드를 제외하면 원샷이 나지 않는다. 사실상 킬을 위해 빠르게 두 발을 꽂아넣어야 하는데, 다른 성능 좋은 저격소총이나 지정사수소총들을 놔두고 쓸 이유가 없다. 멀티플레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배틀로얄에서는 마땅한 저격소총을 못 찾았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원거리 타격 수단이다. 약한 반동과 비교적 빠른 연사력으로 원거리에 있는 적을 빠르게 제압할 수 있다.

실제 모델은 미 해군 해상전연구소 크레인 부문에서 만들어진 Mk.14 Mod.1이다. 그런데 모던 워페어 2 마냥 M21이라는 이름을 달고 나왔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3.3. XPR-50

XPR-50
파일:CODM XPR-50.png
반자동 저격소총입니다. 원거리 무기이며, 반동은 보통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40레벨 80 37 8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73 51 90 40

블랙 옵스 23에 등장했던 총.

M21과 마찬가지로 조준 속도와 연사력이 저격소총 중에서는 최상위권이지만, 헤드를 제외한 신체 원샷이 나지 않는 허약한 대미지가 문제. 기본 상태에서는 M21보다도 대미지가 낮다. 저지력 탄창을 달면 흉부 원샷이 나긴 하지만 경쟁력이 떨어지는 건 마찬가지다.

실제 모델은 존재하지 않는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개머리판(Stock) YKM 유령 개머리판(YKM Ghost Stock)
조준 사격 집탄율 7.8% 감소
이동 중 조준 사격 집탄율 10% 감소
수평 반동 4.5% 감소
조준 사격 시 이동 속도 10% 감소
XPR-50에만 달리는 파츠.
탄약(Ammunition) OWC 저지력 탄창(OWC Stopping Power Reload)
사거리 25% 증가
기본 대미지 증가
부위별 대미지 계수 증가

재장전 시간 5% 증가
조준 속도 10% 감소
발사 간격 50% 증가
헤드샷으로만 원샷킬이 가능한 XPR-50의 대미지를 늘려 주는 부착물. 흉부와 팔까지 원샷킬 범위가 증가하지만, 사격 속도가 꽤나 느려진다. 그럼에도 킬 결정력이 대폭 증가하기에 인기가 많은 부착물.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3.4. Arctic.50[P]

Arctic.50
파일:CODM Arctic.50 v2.png
총을 들어 올리거나 들고 이동하는 속도가 빠른 저격소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32레벨 85 31 7/28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9 33 95 68

실제 모델은 애큐러시 인터내셔널 사의 AS50. 반자동 저격소총이기 때문에 연사력이 DL Q33의 두 배 가량 높지만, DL Q33와 달리 복부 원샷이 나지 않는다.

전용 부착물로 MIP 저지력 탄창이 존재한다. 과거에는 전신 원샷킬이라는 강력한 성능을 보여주는 데 비해 페널티는 수직 반동 증가와 사격 속도 감소뿐이기 때문에 사기적인 부착물이었다. 하지만 지속적인 패치로 장탄량이 줄어들고, 반동 증가와 사격 속도 감소 등의 페널티가 강화되었으며, 결정적으로 다리를 쏘면 더 이상 원샷이 나지 않아 DL Q33에게 완전히 밀렸다.

배틀로얄의 공중 보급품에서 신화 등급의 Arctic.50을 일정 확률로 얻을 수 있는데, 장착된 조준경에 열감지 기능이 있고 몸샷 피해량이 SR 중 가장 높다는 장점이 있다.[29] 다만, 조준경이 납작한 직사각형이라 호불호가 확실하게 갈리고, 소음기가 부착되어 있지 않아 완벽한 암살은 불가능한 것이 흠.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의 AS50에서 디자인을 조금 바꾸고 가져온것이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탄약(Ammunition) MIP 저지력 탄창(MIP Stopping Power Reload)
대미지 증가
사거리 25% 증가
수직 반동 30% 증가
재장전 속도 5% 감소
조준 속도 30% 감소
연사력 50% 감소
탄창 용량 2 감소
멀티플레이 기준 원샷킬 범위를 복부까지 늘려주지만, 페널티가 무려 5개나 되니 이를 사용할 땐 단점들을 고려하도록 하자.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3.5. Locus

Locus
파일:CODM Locus.png
볼트액션 저격소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28레벨 95 28 8/32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9 35 95 34

블랙 옵스 3와 4에 등장한 저격소총. 시즌 2 출시. 에카트 PGM 울티마 레이쇼를 닮은 미래전 총기이다. 기동성과 조준속도가 좋고 저지탄을 끼면 어느 거리에서든지 복부까지 원샷이 가능해져 출시부터 오랫동안 1티어를 유지했다. 이후 성능 좋은 다른 저격소총들이 많이 출시되면서 최근에는 입지가 약간 애매해진 상태. 그래도 저지탄이 장탄량을 감소시키지 않는 점은 상당히 매력적이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3.6. Outlaw

Outlaw
파일:CODM Outlaw.png
볼트액션 저격소총입니다. 머리와 상반신을 노려 한 방에 사살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저격소총 헤드샷 30킬 91 28 6/24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71 41 90 41

배틀 패스 시즌 6 업데이트로 추가된 총기. 블랙 옵스 4에 등장했던 저격총이다. 기동성이 우수하고 조준속도도 짧지만 근거리 이상을 넘어가면 복부 원샷이 나지 않는 것이 문제. 그나마 이게 상향을 받은 것으로, 과거엔 손 부분도 중장거리 원샷이 나지 않았다.

리볼버 탄창을 채용했기 때문인지 재장전 시 약실을 통째로 교환한다.

실제 모델은 제1차 세계대전에 사용되었던 한 리볼버 탄창 저격소총이라고 한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3.7. NA-45

NA-45
파일:CODM NA-45.png
반자동 2발 사격 체계입니다. 기폭제(두 번째 총탄)가 근처에 맞으면 뇌관(첫 총탄)이 폭발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저격소총 헤드샷 30킬 30 37 2/32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4 37 95 34

어드밴스드 워페어에 등장한 반자동 저격소총이다. 연사력이 저격소총 중에선 가장 빠르지만 장전 가능 탄약이 단 2발 밖에 없는데, 각각 폭발탄과 뇌관으로 구성되어있다. 2발 중 초탄은 접착 폭발탄이라 명중한 위치에 박히고, 이 폭발탄을 중심으로 한 작은 범위 내에 두 번째 총알인 뇌관이 명중하면 초탄이 폭발하면서 피해를 입히는 방식이다. 폭발탄이 붙은 곳은 빨간색으로 표시되며 경고음이 들리고 사용자에게는 아이콘도 뜬다. 점착탄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가까이 다가가면 수류탄 경고 표식이 뜨고 점착탄 발견 시 대사가 출력된다. 다만 초탄을 사격한 상태로 재장전을 해버리거나 두번째 기폭탄이 인식범위 바깥에 명중할 경우 초탄은 그대로 사라진다.[30]

출시 초기엔 사실상 무한인 사거리 + 빠른 제압 가능 + 넉넉한 기본지급 탄약량 + 피해량 증가 파츠의 존재 4가지 특징이 조화를 이루어 당시 모든 0티어 무기를 누르고 패왕으로 등극했다. 이런 혀를 내두르게 만드는 성능에 모든 서버의 플레이어들이 대동단결해 이 무기를 너프시키라는 문의를 쏟아냈고, 결국 얼마 후 저격소총 전체에 가해진 대형 너프와 NA-45에도 연사력, 반동, 파츠 너프가 가해졌다.[31] 현재는 출시 직후 상황이 무색하게 저격소총류 중 최악의 무기라는 평가를 받으며 아무도 쓰지 않는다.

골드 위장 노가다가 굉장히 암을 유발하는 총기 중 하나이다. 그 원흉은 장거리 사살 미션으로, 폭발 대미지로 적을 사살하면 장거리에서도 롱샷 메달을 주지 않는다. 때문에 장거리 사살을 대부분 헤드샷으로 처리해야 한다. 안 그래도 저격소총류의 장거리 사살 요구 횟수가 타 무기군보다 높을 뿐더러 장탄량이 단 두 발 밖에 없기 때문에 다마스커스 위장을 노릴 때 지뢰 중 하나.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총열(Barrel) RTC 표준(RTC Modified)
조준경 흔들림 억제력 증가
수평 반동 완화
수직 반동 감소
조준 속도 증가
이동 속도 감소
NA-45의 연속 사격 시 조준경 흔들림을 완화시켜주는 파츠. 대신 조준 속도가 줄어든다.
총열(Barrel) MIP 개조형 경량(MIP Custom Light)
조준 속도 증가 조준경 흔들림 억제력 감소
수평 반동 증가
수직 반동 증가
조준 속도를 올려주는 대신 반동과 조준경 흔들림이 더 크게 된다.
총열(Barrel) 긴 OWC 전술(OWC Tac Long)
조준경 흔들림 억제력 증가
수평 반동 완화
수직 반동 감소
조준 속도 증가
이동 속도 감소
RTC 표준의 상위호환.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3.8. Rytec AMR

Rytec AMR
파일:CODM Rytec AMR.png
반자동 저격소총입니다. 복부 위에서 사격 시 치명적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저격소총 헤드샷 30킬 80 31 5/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2 24 92 32

모던 워페어에서 넘어온 반자동 저격소총. 반자동이라 연사력이 다른 저격소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으며, 게임 내의 모든 저격소총들 중 기본 피해량이 가장 높은 저격소총이다.

모던 워페어처럼 이쪽에도 25×59mm 테르밋탄과 고폭탄이 있는데, 둘 다 전신 한 방 컷이다.[32] 다만 해당 부착물들을 장착하였을 때 기동성이 다른 저격소총들에 비해 많이 낮아져서 다행히 멀티 플레이의 밸런스 붕괴는 되지 않았다. 고폭탄의 경우 맵에 배치된 차량을 한방에 터뜨려 차 뒤에 숨은 적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고, 테르밋 탄약의 경우 스코어스트릭이나 설치형 오퍼레이터 스킬에 가하는 대미지가 실로 흉악하기 그지없다지만, 정신나간 우상단 반동을 자랑하며 장전시간도 속 터진다. 심지어 반동에 걸맞게 사격 후 조준점 회복 속도도 느려터져서 더더욱 이 단점이 크게 느껴진다. 아무리 전신 한방 컷이라지만, 빠른 템포로 굴러가는 멀티플레이에서는 쓰는 데 무리가 있다.

배틀로얄에서도 이 무지막지한 대미지는 어디 안 가서 헤드는 사거리 상관없이 무조건 한 방이다.

3.9. SVD

SVD
파일:CODM SVD.png
기동성이 높지만 상대적으로 대미지가 낮은 반자동 저격소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저격소총 헤드샷 30킬 80 34 10/4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9 42 92 40

모던 워페어 I의 사양으로 등장하였다. 연사력이 좋지만 원샷 가능 사거리가 짧고 원샷 범위가 좁다. 이 때문에 중장거리는 헤드샷이 아닌 이상 무조건 두 발 이상을 소비하게 된다. 게다가 기본 스코프의 가시성이 매우 좋지 않기 때문에 차라리 저배율 스코프를 달고 지정사수소총처럼 운용하는 것이 나을 수 있다. 비슷한 포지션인 M21과 XPR에 비하면 나은 상황이지만, 그래도 잘 보이지 않는 건 마찬가지다.

3.10. Koshka

Koshka
파일:CODM Koshka.png
사격 속도가 느리고, 살상 부위가 넓어졌으며, 명중률이 높은 볼트액션 저격소총입니다. 전용 부착물 장착 시 조준 사격 중 명중률이 대폭 개선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저격소총 헤드샷 30킬 90 27 6/18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2 34 62 40

초탄과 차탄 사격 간의 텀이 긴 불펍식 볼트액션 저격소총. 사거리와 원샷 범위는 DL Q33과 맞먹는데다 기동성은 더 좋지만, SVD와 ZRG처럼 기본 스코프의 시야 확보성이 그닥 좋지 않다. 다른 저격소총들은 다 있는 FMJ 퍽이 없는 것도 단점 중 하나. 그나마 고유 탄창 중 하나가 관통력을 올려주지만 소소한 페널티가 있고 다른 탄창을 포기해야 한다. 이 때문에 멀티플레이에선 1티어 반열에 들지 못하고 있다.

3.11. ZRG 20mm

ZRG 20mm
파일:CODM ZRG 20mm.png
큰 구경 덕분에 탄속이 빠르며 강력한 대미지를 줄 수 있어 믿음직한 볼트액션 저격소총입니다. 특수 부착물을 장착하면 차량에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 95 27 5/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2 35 74 40

반동이 적고 대미지가 강하지만 연사력이 떨어지는 저격소총. SVD, Koshka와 마찬가지로 기본 조준경의 가시성이 나쁘다. 대차량 탄약을 부착할 수 있는데 전신 원샷이 가능하다. 모든 거리에서 전신 원샷이 가능한 저격소총 중에서는 가장 조준속도가 빠르지만, 장탄량이 4발밖에 안된다.

배틀로얄에선 탄속이 빠른 장점과 어떤 거리에서든, 어떤 탄약으로든 헤드 한 방으로 적을 사살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상기한 대차량 탄약이 각종 탈것들에 대해 큰 대미지를 주는 점 때문에 유용한 저격소총이다.

저사양 기기에서도 탄피가 빠져나가는 모션이 보인다.

실제 모티브는 NTW-20.

3.12. HDR

HDR
파일:CODM HDR.png
초강력 화력을 갖추는 대가로 기동성을 크게 희생한 고중량 저격소총 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 91 27 5/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70 33 54 32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의 저격소총. 2023년 배틀 패스 시즌 2때 출시되었다. 원작과 달리 조준경이 살짝 앞으로 왔으며 배럴이 짧아지고 색이 좀 더 어두워진게 특징이다.

성능 역시 원작을 계승하여 강력하다. 멀티플레이에선 별도 파츠 투자 없이 모든 거리에서 전신 한 방 컷이며, 배틀로얄에서도 대미지가 흉악해 헤드를 맞추면 키네틱 아머 오버차저를 껴봤자 소용 없다. 다만 그 대가로 조준속도가 굉장히 느려서 근접 스나로 사용하기는 무리가 좀 있다.

좀비모드에서 중간 보스, 보스등을 죽일 때 유용하게 쓰인다.

3.13. LW3-Tundra

LW3-Tundra
파일:LW3-Tundra_model_CoDMobile.webp
명중률과 기동성이 뛰어난 현대식 볼트액션 저격소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저격소총 헤드샷 30회 91 28 5/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8 35 46 32

2024 시즌 1 출시. 원샷 범위가 넓고 조준 시간도 괜찮은 편이라 멀티플레이에서 많이 쓰이는 저격소총이다.

3.14. 3선 소총

3선 소총
파일:3-Line_Rifle_Gunsmith_CoDM.webp
더 무거운 볼트액션 소총이 향상된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신체 어디에 적중하든 즉사에 가까운 피해를 입힙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2025 시즌 6 배틀패스 21티어 달성 - - 5/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 - - -

2025 시즌 6 출시. 뱅가드의 사양으로 등장한 모신나강이다.

첫 등장 시즌에는 굉장히 좋은 성능으로 나왔다. 기본 장탄수가 5발로 상대적으로 적지만 기동성이 뛰어나고 몸통 대미지 배수가 좋다. 조준속도 올인 세팅을 가도 원샷 범위가 DL Q33와 같고, 대미지 세팅을 가면 중거리까지 전신 한방컷이 가능해진다

장전시 오류가 있는데 그건바로 스트리퍼 클립으로
장전한다는 겄이다 실제총은 한발식 총 5발을넣어야한다
아마도 밸런스 때문인 것 같다

4. 지정 사수 소총

고스트에서 처음 추가됐던 무기군이다. 여기서는 모던 워페어에서 등장한 DMR들의 사양을 따라 대구경이 아닌 중구경탄을 사용하는 저격무기들이 배정받는 무기군으로, 저격소총과 가장 큰 차이라면 기본 스코프가 아이언 사이트라는 것. 그리고 관통 가능한 벽의 두께가 저격소총에 비해 더 얇다. 현재 모던 워페어에서 등장했던 무기들만이 추가된 상태이다.

4.1. 킬로 볼트액션

킬로 볼트액션
파일:CODM 킬로 볼트액션.png
볼트액션 소총입니다. 숙련된 지정 사수의 손에서 더욱 치명적인 빈티지 고전 무기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저격소총 헤드샷 30킬 85 28 5/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9 40 90 34

건스미스 업데이트 이후 처음으로 출시된 총기로,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Kar98k을 가져왔다.

연사력이 좋지 않은 편인데 원샷 범위까지 좁아서 저지탄 또는 테르밋탄 사용이 필수적이다. 테르밋탄은 신체 부위에 따라 TTK의 차이가 있을 순 있지만 일단 어디든 맞추면 킬이 난다. 단 상대가 방탄조끼나 불굴의 의지 등 테르밋 대미지를 경감시키는 퍽을 끼면 원샷이 나지 않을 수 있다.

여담으로, 테르밋탄의 경우 미묘한 총대미지를 테르밋이 막타치는 형식이다보니 총이 아니라 테르밋킬 판정이라서 점착수류탄 메달을 준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탄약(Ammunition) 소이탄(Thermite Reload)
대미지 증가 수직 반동 증가
재장전 속도 감소
조준 속도 감소
Kilo Bolt-Action에 달 수 있는 파츠. 적중한 상대에게 추가로 약한 화염 피해를 입힌다. 지속딜로 죽이는 저지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4.2. SKS[P]

SKS
파일:CODM SKS.png
사격 속도가 높은 경량 반자동 지정 사수 소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지정사수소총 헤드샷 30킬 60 43 20/8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82 46 62 57

실제 모델은 동명의 총기 SKS. 모델링은 모던워페어 리부트에서 가져왔다. 2021 시즌1 업데이트로 추가된 이 게임 내의 두 번째 지정 사수 소총이다. 기동성이 그다지 좋지 않지만, 상당히 빠른 사격 속도와 없다시피 한 반동 그리고 거리무관 상체 두 발, 헤드 한 방 컷을 낼 수 있는 강력한 대미지를 가졌다. 덕분에 2025년 기준 Type 63과 함께 1티어에 드는 유이한 지정사수소총이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4.3. SP-R 208

SP-R 208
파일:CODM SP-R 208.png
이 무기는 군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다양한 커스텀 버전이 등장했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지정사수소총 헤드샷 30킬 72 27 5/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3 40 56 34

연사 속도가 지정사수소총 중 가장 느리며 장거리에서 원샷 범위가 애매하다. 다만 특수 탄창과 경량 볼트를 통해 대미지를 높이고 사격 속도를 약간 빠르게 할 순 있다. 그밖에도 헤드샷 계수가 높다는 특징이 있지만, M1 개런드를 제외하면 지정사수소총들은 대부분 헤드샷으로 원샷킬이 나기 때문에 멀티플레이에서는 의미있는 장점은 아니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4.4. MK2

MK2
파일:CODM Mk2.png
명중률이 뛰어난 레버 액션 소총입니다. 머리나 가슴을 잘 조준하면 한 발로 적을 무력화시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지정사수소총 헤드샷 30킬 100 28 6/24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4 43 74 36

순정 상태에서도 원샷 가능 범위가 DL Q33과 맞먹을 정도로 넓은 대신 조준속도가 느리고 기동성이 나쁘다. 어처구니 없게도 원본은 DMR중 기동성이 가장 좋지만 원샷 킬 범위는 가장 좁았다.

4.5. Type 63

Type 63
파일:Type_63_model_CoDMobile.webp
다양한 부착물 세트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고전적인 지정 사수 소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지정사수소총 헤드샷 30킬 - - 20/8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4 43 74 36

위 SKS의 중국제 파생형으로 블랙옵스 콜드 워에서 나왔던 것과 같이 자동소총인 현실과 다르게 반자동 소총으로 나왔다. 설정답게 SKS와 스탯이 유사하며, 높은 연사력과 상체 두발컷을 낼 수 있는 대미지를 가졌다. 주요한 차이점이라면 SKS는 히트스캔인 반면 Type 63은 탄속이 존재한다. 때문에 장거리 싸움은 SKS보다 약간 불리하지만, 성능 좋은 고유 부착물이 많아 SKS와 차별화될 수 있다. 덕분에 2025년 기준 지정사수소총 중에서는 SKS와 함께 1티어를 유지중이다. 대회 픽률을 보면 Type 63이 SKS보다 더 자주 쓰인다.

4.6. M1 개런드

M1 개런드
파일:M1_Garand_Gunsmith_CoDM.webp
모든 사거리에서 효과적인 정확도와 저지력을 제공하는 다용도 소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지정사수소총 헤드샷 30킬 - - 8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 - - -

2025 시즌 3 출시. 뱅가드의 사양으로 등장했다.

지정사수소총 중에서 가장 낮은 대미지를 가졌지만, 가장 높은 연사력을 가졌다. 이론상 상체 두 발로 킬이 가능하지만 실전에서는 최소 세 발을 소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거기다가 기본 탄창이 꼴랑 8발밖에 없기 때문에 16발 또는 20발 탄창 사용이 필수적이다.

업데이트로 고유 부착물인 총검이 추가되었다. 별도의 버튼을 통해 근접 공격을 가할 수 있다. 멀티플레이에서는 한 방에 킬이 난다지만, 다른 부착물을 포기하고 달 정도로 실전성이 있진 않다.

5. 경기관총

타 무기군들에 비해 2~3배정도 더 큰 탄창과 비교적 높은 화력[34]을 자랑하지만 그만큼 낮은 기동성과 느린 조준 속도, 긴 재장전 시간을 가진 무기군으로, 전장을 돌아다니며 여포 플레이를 하기보다 특정 구역에 머무르며 다가오는 적들을 사살하는 앵커링 플레이가 더 적합하다. 실제로 교전 장소가 일자인 장소는 상대팀이 무더기로 러쉬를 오면 역으로 대기 중이던 경기관총에게 다 죽어버리는 경우가 꽤 있다. 단점이 명확한 반면 난전 위주인 게임 특성상 장점은 그리 두드러지지 않고, 워낙 돌격소총에서 날고 기는 총들이 많아 샷건과 함께 랭크전에선 가장 안 쓰이는 무기군이다. 근접은 AR과 SMG에게 털리고 거리가 멀면 스나에 털리는지라 중거리에서나 성능을 뽐낸다.

그러나 정작 인게임에서는 무작위 스폰으로 인한 난전 위주의 플레이, 가깝거나 멀거나의 모 아니면 도 식 맵 구성이 대부분이라 LMG 플레이어들은 킬 헌납자 신세. 다만 사용자의 숙련도가 상당하고, 지형을 유리하게 이용하는 경우 생체 포탑이 되어 버려서 스폰지점이 고정된 최전방의 경우 스폰킬로 스코어스트릭과 함께 두 자릿수 이상의 킬을 찍는 경우가 허다하며, 맵에 따라서는 타 모드에서도 자리잡고 학살을 펼칠 수도 있다. 조준 후의 성능에 모든 것을 몰빵할 경우 저세상 묵직함을 자랑하지만, 중장거리 교전에서 압도적인 힘을 발휘한다. 때로는 점사로 스나를 정면에서 따버리는 굇수들마저 보인다.

배틀로얄 같은 경우에는 그렇게 선호되지 않는 총기류이지만, 상위권 유저중 에임에 자신있는 여포형 플레이어는 헬기를 잘 사용하기에 부무장을 경기관총으로 장착해 대놓고 상공을 활보하는 헬기를 격추시켜버릴 수 있다.[35]

5.1. M4LMG

M4LMG
파일:CODM M4LMG.png
전자동 경기관총입니다. 범용 무기이며, 대미지는 양호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9레벨 32 63 100/40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1 57 58 59

모든 스탯이 균형을 이룬 평균적인 경기관총.

성능도 충분하고, 누구나 안정적으로 쓸 수 있는 경기관총이지만 다른 무기들에 밀려 잊혀진 비운의 총기이다.

몸샷 대미지가 35라 잘만 맞추면 3방 컷이 가능하지만 한발이라도 빚나가면 3방 컷이 안 된다.

실제 모델은 콜트 사의 IAR이며, 100발들이 Beta C-Mag, 그리고 여러 개조품들을 장착해 둔 모습이다. 모델링은 콜 오브 듀티: 온라인에서 가져왔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탄약(Ammunition) 30발 경탄창(30 Round Light Reload)
조준 속도 증가
이동 속도 증가
재장전 속도 증가
탄창 용량 감소
M4LMG를 돌격소총으로 만들어주는 마법의 파츠로, 분명 경기관총을 들고 달리는데 체감은 돌격소총인 듯 한 이동 속도와 빠른 재장전/조준 속도를 경험하게 해 준다.
탄약(Ammunition) 40발 경탄창(40 Round Light Reload)
조준 속도 증가
이동 속도 증가
재장전 속도 증가
탄창 용량 감소
30발 경탄창의 상위호환.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5.2. RPD

RPD
파일:CODM RPD v2.png
전자동 경기관총입니다. 중장거리 사격전에 적합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19레벨 31 66 100/40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1 52 60 47

적은 반동 덕에 지속적이고 안정감 있는 중장거리 교전이 가능하다. 경기관총 입문자들에게 M4LMG와 같이 적극 추천하는 총. 시그니처 부착물인 냉각 배럴을 장착하면 탄약이 무한이 되며 골리앗이나 헬리콥터 사수와 같이 총을 연사하면 과열 게이지가 오르는 방식으로 전환된다. 그 둘보다 더 긴 과열시간과 더 빠른 회복으로 사용에 답답함아며 없는 편이며, 오히려 잠시 사격을 멈추면 재장전 없이 다시 쏠 수 있어서 지속력이 더 뛰어나다.

실제 모델은 DSArms 사에서 마개조한 현대화형 RPD이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손잡이(Underbarrel) 스내치 전방 손잡이(Snatch Foregrip)
조준 속도 증가
수직 반동 감소
이동 속도 감소
현재는 RPD와 PKM에만 달리는 손잡이로, 산탄총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조준 속도가 증가하는 손잡이다.[36]
배럴(Barrel) 냉각 압축기 배럴(Cooling Compressor Barrel)
과열 사격 모드로 변경
사거리 15% 증가
수직 반동 10% 감소
피격 반동 10% 감소
이동 속도 3% 감소
조준 사격 집탄율 10% 감소
탄창을 교체해 사격하는 방식에서 총열이 과열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사격이 가능케 한다. 과열 게이지만 잘 조절해준다면 사실상 남은 탄약을 고려하지 않고 무한정 사격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해 보통 경기관총으로는 잘 안 되는 여포도 가능하다.
이 부착물은 좀비 무한모드에서 RPD 총알을 살 필요가 없어진 탓에 많은 사람들이 좀비모드에서 쓰는 부착물 중 하나다.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5.3. UL736

UL736
파일:CODM UL736.png
전자동 경기관총입니다. 사격 지원에 탁월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16레벨 28 62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8 66 70 65

상체 대미지가 준수하나, 탄퍼짐이 꽤 있는 데다 연사력도 떨어지고 기본 모델링이 드럼 탄창인데 황당하게도 기본 장탄수가 꼴랑 30발이다.[37]

한때 높은 명중률과 적은 반동으로 인해 S36과 함께 경기관총 투톱 자리에 있었으나, 시즌2 패치로 반동이 크게 증가해 관짝으로 들어갔다. 결국 배틀패스 시즌 6에 들어서고 나서야 반동이 조금 안정화되어서 폐급이었던 예전보단 나아졌지만 애초에 태생이 경기관총이기에 이걸 끼고 멀티플레이 랭크 매치를 돌리는 유저는 거의 없다.

실제 모델은 RSAF 엔필드/H&K 사의 L86 LSW인데, 이 게임의 총들이 그렇듯 수많은 개조품들이 장착된 모습이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틸 스틸 에메랄드 강철 상자
유성우

}}}||

5.4. S36

S36
파일:CODM S36.png
전자동 경기관총입니다. 동종 무기 중 사격 속도가 가장 높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27레벨 30 75 6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5 61 51 47

단발화력과 연사력이 매우 높아서 그야말로 화력면에서는 '경기관총 중' 최강이지만 경기관총 답게 낮은 기동성을 가지고 있다.

2019년 1시즌부터 2020년 4시즌의 랭크 매치를 말 그대로 점령했던 총기. 농담이 아니고 당시엔 어느 팀에 S36이 더 많은가에 따라 승패가 갈렸던 수준이니 할 말 다했다. 결국 거듭된 너프로 45발쯤 소모했을 때 심각한 좌상향 반동이 생겨 예전처럼 랭크전을 주름잡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Chopper의 대미지가 30으로 상향되어 사용하는 사람이 더욱 줄었는데 일단 chopper와 성능을 비교하면 S36이 기동성이 더 높고 재장전 속도도 훨씬 빠르며 제2사거리가 아주 조금 더 길다. 하지만 조준속도는 오히려 chopper가 더 빠르고 탄창 용량이 크며 명중률과 전체적인 대미지 역시 더 좋다. 그리고 결정적인건 반동. S36은 쏘다보면 누구나 다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좌상단으로 튀어오르지만 chopper는 그런 게 없기 때문에 S36쪽이 반동을 제어하기가 확실히 더 힘들다.[38][39] 거기에 묵직한 기관총 느낌이 나는 외형의 쵸퍼와는 달리 중국제 불펍소총 기반이라 외관마저 이쪽이 훨씬 볼품없기까지 하다.

실제 모델은 존재하지 않는다. 블랙 옵스 2에 나왔던 QBB LSW(QBB-95-1 기반)에 4열 캐스킷 탄창을 장착한 모습이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5.5. Chopper

Chopper
파일:CODM Chopper.png
완전 자동 무기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경기관총 비조준 사격으로 30킬 30 75 100/40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6 53 46 50

초창기에는 콜 오브 듀티: 고스트의 체인쏘우 기관총을 가져왔으나 이후 건스미스 업데이트로 모던 워페어 리부트의 FINN 경기관총을 모티브로 리워크됐다.

전체적으로 RPD와 비슷한 포지션으로 RPD와 비교 시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많다. 단발 화력도 30으로 높은 편인데 연사력까지 우수해서 전체적인 화력은 쵸퍼쪽이 우수하며 조준시간도 조금 더 빠르지만 대신 기동성 자체는 오히려 이쪽이 되려 떨어진다. 게다가 탄약수도 RPD보다 적고[40] 정확도와 사거리가 낮아서 원거리 교전력에서 밀린다. 그리고 풀오토로 갈기면 무슨 공사장 드릴마냥 덜덜거리는 조준경도 원거리 교전력 하락에 일조한다.

원형은 KAC ChainSAW[41]와 그의 원형인 KAC LMG[42]. 또 크기가 무지막지하게 큰데[43], 연장총열을 달 경우 길이도 다른 경기관총들보다 훨씬 길 뿐더러 무엇보다 부피가 무지막지해서 다른 경기관총들보다 2~3배는 커보인다.[44] 그러나 정작 기본 상태에서는 RPD보다 기동성이 소폭 높다.

원래는 한방 대미지가 25로 낮았지만 30으로 버프를 받았다. 이 버프로 안 그래도 취급이 별로 안 좋던 S36은 쓸 이유가 더더욱 없어졌다.

여담으로, 중량 손잡이를 장착하면 후방 손잡이가 사라지는데, 승리모션은 후방손잡이 모션이 그대로라 이 묵직한걸 손도 안대고 들고있다(...) 허공섭물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손잡이(Underbarrel) 중량 손잡이(Heavy Handle)
수직 반동 감소
비조준 사격 명중률 증가
조준 사격 불가
조준경, 개머리판, 후면 손잡이 장착 불가능
[45]
현재는 Chopper에만 장착되는 손잡이. 이걸 장착하면 8시즌 전 쵸퍼의 견착 사격을 구현 가능하다.
레이저(Laser) RTC 레이저 - 용병(RTC Laser - Merc)
비조준 사격 명중률 증가
조준 사격 집탄률 증가
레이저가 보임
조준 속도 감소
Fennec과 Chooper에만 장착되는 레이저 사이트. 조준/비조준 사격 시 집탄율을 모두 높여 준다.
레이저(Laser) YKM 레이저 - 레인저(YKM Laser - Ranger)
비조준 사격 명중률 증가
이동 시 조준 사격 집탄률 증가
레이저가 보임
조준 속도 감소
Fennec과 Chooper에만 장착되는 레이저 사이트. 조준 사격 시 집탄율과 이동하면서 조준 사격 했을 때의 집탄율을 모두 높여 준다.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5.6. Holger 26

Holger 26
파일:CODM Holger 26.png
다용도 전자동 5.56mm 경기관총입니다. 모듈형 디자인 덕분에 광범위한 교전에 대비하여 구성할 수 있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경기관총 비조준 사격 30킬 31 71 11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3 59 60 59

2021 배틀 패스 시즌 4의 무기. 모던 워페어의 Holger-26를 그대로 가져왔으며 원본은 H&K G36의 기관총 버젼인 MG36이다.

현 경기관총의 입지를 생각해보면 그 자체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 경탄창을 부착해 돌격소총으로 운용한다.[46] 기관단총과 몇몇 돌격소총 바로 아랫단계의 근접 DPS와 안정적인 반동을 통한 원거리 견제도 가능해 현재 가장 안정적으로 올라운더로 운용 가능한 총기 중 하나로 평가된다. 다만 낮은 반동과 별개로 탄퍼짐과 줌속도는 하위권으로, 운용방식에 따라 둘 중 하나를 택해 상쇄하는 부착물 세팅이 권장된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5.7. 하데스

하데스
파일:CODM 하데스.png
상대적으로 기동성이 높은 전자동 경기관총입니다. 특수 부착물인 크로스바를 장착하면 비조준 사격 명중률이 대폭 늘어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경기관총 비조준 사격 30킬 29 65 65/26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7 58 53 60

블랙 옵스 4에서 등장한 헬리컬 탄창을 사용하는 경기관총. 그래서인지 재장전 속도가 경기관총 중에선 빠른 편이다. 하지만 조준사격 탄퍼짐이 경기관총 중에선 가장 심하며, 기본 아이언사이트의 가시성도 그다지 좋지 않다. 따라서 고유 하부 배럴 부착물과 레이저를 통해 비조준사격 위주로 운용하는 것이 낫다. 대미지와 사격속도를 동시에 올려주는 고유 배럴도 있기 때문에 근거리에서는 적을 충분히 갈아버릴 수 있다.

5.8. PKM

PKM
파일:CODM PKM.png
전자동 경기관총입니다. 기동성은 떨어지지만, 막강한 화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경기관총 비조준 사격 30킬 33 63 100/40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4 31 58 49

모던 워페어 2019의 PKM을 그대로 이식해온 총기. 강력한 피해량과 경기관총 중 가장 높은 명중률을 가졌으며, 앵커링 특화라는 경기관총의 아이덴티티를 극대화시킨 총기이다.

모던 워페어 리부트의 모션을 사용하기 때문에[47] 무기 전환 시간이 비교적 길며, 높은 피해량과 명중률에 비례하는 묵직한 사격음과 강렬한 반동으로 매우 강력한 고화력 총기의 느낌을 준다.

또한 기본 대미지 33, 몸샷 35로 사실상 3방 컷이다[48]. 경기관총중 유일하게 3방컷이 가능한 총기인 건 물론 3방컷이 가능한 총기들 중 가장 연사력이 빠르다. 쵸퍼, S36과는 다른 쪽으로 최강의 화력을 지닌 경기관총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사격 시 화면 흔들림 역시 상당히 심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5.9. Dingo

Dingo
파일:CODM Dingo.png
돌격소총의 기동성과 경기관총의 탄창 용량을 조합한 것으로 관통력은 다소 낮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경기관총 비조준 사격 30킬 28 72 80/3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4 53 49 54

블랙 옵스 3에서 가져온 무기. 무기 설명대로 돌격소총과 비슷한 기본 기동성을 가지고 있으나, 관통 시 피해량 감소량이 비교적 크고 수평 반동이 심하다. 다만 수직 반동 제어는 쉬워 초보들에게 권장된다.

5.10. 브루엔 MK9

브루엔 MK9
파일:Bruen_MK9_model_CoDMobile.webp
균형 잡힌 안정성과 뛰어난 발사 속도를 자랑하는 현대적인 경기관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경기관총 비조준 사격 30킬 30 75 100/100[49]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9 53 50 58

2023 시즌 10 출시.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에서 나온 경기관총. 기존의 S36, 쵸퍼와 같은 발당데미지와 연사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둘이 장착하지 못했던 200발 탄창을 장착이 가능하고 반동도 더 안정적으로 잡히는 성능을 내지만 60발 경탄창을 달아도 조준속도가 그렇게 빠르지는 않고 경기관총 세팅을 하면 쵸퍼 이상으로 느린 조준속도가 나와 돌격소총같이 쓰기는 어렵다.

그리고 처음에 시작할 때 보유하고있는 탄약수가 상당히 적다. 총 200발인데 비슷한 컨셉의 쵸퍼는 500발이다. 때문에 독수리퍽이 사실상 강제된다. 또한 재장전 속도가 굉장히 느리다. 거의 6초나 걸리는데 이는 거의 PKM과 맞먹는 수준이다. 당연히 PKM보다는 연사력이 훨씬 빠르기 때문에 재장전할일이 훨씬 많아서 체감은 더하다. 쵸퍼보다 더 좋은 스펙을 준 대신 이런 부분에서 불이익을 줬다고 보면 된다.


실제총기는 FN미니미다

5.11. MG42

MG42
파일:MG42_model_CoDMobile.webp
초고속 발사 속도를 자랑하는 경기관총으로, 무시무시한 제압력과 유지력을 갖췄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경기관총 비조준 사격 30킬 22 103 125/275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0 49 54 40

2024년 시즌 4 업데이트된 무기. 밸런스 문제로 한방 화력이 매우 낮은 편이나 히틀러의 전기톱이란 별명에 맞게 기본 연사력이 미친 수준이며, 용도에 맞게 빠르게 적들을 갈아버리거나 원거리에서 서폿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해 줄 수 있다. 반동부스터와 355mm래피드 총열을 달아주면 발사속도가 122로 올라가서 TTK가 경기관총중 가장 짧아 기관단총이나 돌격소총류와도 근거리에서 비빌수있다.

보통 추천되는 파츠 조합은 3배율+무반동 파츠이다. MG42 파츠 중 수직, 수평 반동을 50%나 줄여주는 파츠가 있어 이정도의 화력을 거의 레이저처럼 나가게 해준다. 이때문에 3배율로 원거리에서 써는 플레이가 요구된다. 13mm 탄창은 래피드와 반동 부스터를 모두 장착한기준으로 발사속도가 122에서 120으로 줄어드는 대신에 차량에 가하는 피해가 30% 증가해 기동성이 빠른편인 이동수단을 격추하는데 쓸수도 있다.[50]

의외로 관통력이 매우 약하다. 기관단총과 비슷한 수준이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The Campaign

}}}||

5.12. RAAL MG

RAAL MG
파일:RAAL_MG_Gunsmith_CoDM.webp
정찰용 보조 돌격 경기관총은 느린 발사 속도와 왕복형 배럴을 사용하여 .338 노르마 매그넘의 강력한 반동을 완화합니다. 고급형 티타늄 구조로 무게를 감당할 수 있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경기관총 비조준 사격 30킬 - - 10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 - - -

2024 시즌 11 출시

실제모델은 SIG M250이다

5.13. MG 82

MG 82
파일:MG_82_Gunsmith_CoDM.webp
발사 속도가 높고 중장거리에서 강력한 제압 사격이 가능한 경기관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 - - 10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 - - -

2025 시즌 7에서 추가된 콜드 워 출신 기관총이다. MG42의 후손이기도 하다.

실제모델은 스페인 총기회사가 Mg3 개량한모델읻

6. 기관단총

AR보다 조준 속도와 기동력이 빠르고 근거리에서 더 확실한 화력을 보장하지만, 사거리가 짧고 탄퍼짐이 좀 있어 원거리가 힘이 좀 빠지는 경향이 있다. 산탄총을 제외한 나머지 주무기들보다 벽에 대한 관통력이 약해서 종이 한 장 급으로 얇거나 목재 벽이 아니고선 월샷이 되지 않으니 월샷을 노릴 땐 유의해야 한다.

멀티플레이에선 난전 위주의 전투 환경 특성상 좋은 성능을 내며 돌격소총과 함께 가장 자주 쓰이는 무기군이다. 하지만 배틀로얄에서는 중장거리 교전력이 너무 떨어지기 때문에 많이 쓰이진 않는다. 심지어 샷건에게도 사용률이 밀린다.

6.1. RUS-79U

RUS-79U
파일:CODM RUS-79U.png
대미지가 높은 전자동 기관단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8레벨 28 77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1 98 46 50

반동이 다소 강한 감이 있긴 하지만, 기동성이 우수하고 조준속도도 짧으며 탄퍼짐도 적은 편이다. 하지만 근거리를 벗어나면 힘이 확 빠진다. 이 무기를 능가하는 성능을 지닌 갖가지 무기들이 등장하면서 지금은 잘 보이지 않는다.

실제 모델은 이즈마쉬(칼라시니코프) 사의 AK-74의 단축형인 AKS-74U. 여러 개조품들이 장착된 모습이며, 모델링을 콜 오브 듀티: 온라인에서 가져왔다. [51]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6.2. MSMC

MSMC
파일:CODM MSMC.png
전자동 기관단총입니다. 사격 속도가 매우 높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45레벨 26 92 25/10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37 109 41 27
블랙 옵스 23에 나왔던 총.

높은 연사력으로 인해 근거리 화력만큼은 기관단총 최강이며, 기동성도 매우 우수하다. 하지만 이러한 근거리 특화 기관단총들이 그렇듯 근거리를 벗어나면 크게 힘이 빠진다. 높은 연사력 답게 수직반동도 강한 편. 게임 출시 후 극초창기 때를 제외하면 메타에서 탑티어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다.

실제 모델은 인도군 무기 개발 담당 DRDO 산하 보병 화기 제조 전문인 ARDE에서 만들어진 MSMC이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6.3. HG 40

HG 40
파일:CODM HG 40.png
전자동 기관단총입니다. 사격 속도와 반동이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13레벨 29 67 32/128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9 100 48 50

블랙 옵스 3에 등장한 총이다. 반동이 굉장히 안정적이지만 기관단총 치곤 낮은 연사력이 발목을 잡으며 기동성도 그렇게 우월하지 않다. 그렇다고 돌격소총만큼 중거리 싸움을 확실히 가져가는 것도 아니어서 별로 보이지 않는다.

실제 모델은 에르마 베르케 사의 MP40이며, MP40의 미래화 버전이라는 설정으로 인해 외형이 싹 다 고쳐져 있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6.4. PDW-57

PDW-57
파일:CODM PDW-57.png
전자동 개인 방어 화기입니다. 유효 사거리를 희생했지만, 가볍고 탄창 용량이 큽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6레벨 27 75 50/20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4 100 44 50
블랙 옵스 2에 등장한 총. 50발이라는 상당한 장탄량과 안정적인 반동을 가지고 있다. 메타를 주도하는 0티어 총들에겐 중거리 이상 대미지가 밀리지만 운용 난이도가 낮고 안정적인 성능을 낼 수 있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손잡이(Underbarrel) OWC 전방 손잡이(OWC Foregrip)
수직 반동 8.4% 감소
수평 반동 15.3% 완화
조준 속도 14% 감소
이동 속도 2% 감소
PDW-57과 레이저백, 그리고 Cordite에만 달리는 손잡이. 수직/수평 반동을 전부 잡아주나, 그 대가로 조준 속도와 이동 속도가 줄어든다.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6.5. CHICOM

CHICOM
파일:CODM CHICOM.png
3점사 기관단총입니다. 사격 속도가 높아 속사에 적합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42레벨 32 62 39/156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3 105 43 57

블랙 옵스 2에 등장했던 총으로, 원작과 다르게 모바일에서는 3점사로 출시되었다. 상당한 기본 기동성을 가지고 있고, 점사무기 답게 반동도 적은 편이다. 하지만 근거리를 벗어나면 대미지가 너무 떨어져 외면받는 무기. 꽤 오랫동안 저열한 성능으로 최악의 무기라는 평가를 받았다. 현재는 거듭된 버프로 예전만큼의 폐급 수준은 아니지만, 그래도 1티어도 아닌 2티어 취급도 못 받는게 현실.

실제 모델은 노린코 사의 QCW-05. 이름인 Chicom은 인민해방군(중국군)을 뜻하는 영어 속어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6.6. Razorback

Razorback
파일:CODM Razorback.png
전자동 기관단총입니다. 동종 무기 중 가장 정확도가 뛰어나 중거리 교전에 이상적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55레벨 30 63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0 94 47 57

시즌 2 업데이트로 추가된 무기로, 블랙 옵스 3에서 등장한 무기다. 기본 아이언사이트의 가시성이 좋지 않다. 전체적으로 PDW-57과 스탯이 유사하며, 근거리 대미지는 PDW-57보다 약간 높지만 연사력은 떨어진다. 이걸 쓸 바엔 차라리 PDW-57을 드는 것이 낫다. PDW-57과 스탯이 유사한 이유는 시즌 2 출시 땐 Razorback이 고유의 총기가 아닌 PDW-57의 도안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 시즌 9가 되서야 별도 총기로 분리되었다.

과거에는 손잡이를 장착하면 무슨 용접을 해놓은 것 마냥 핸드가드에 박혀있었는데 2021년 랭크매치 시즌 5 때 손잡이를 장착하면 핸드가드가 사라지고 그 자리에 있는 레일에 손잡이가 달리게 고쳐졌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손잡이(Underbarrel) OWC 전방 손잡이(OWC Foregrip)
수직 반동 8.4% 감소
수평 반동 15.3% 완화
조준 속도 14% 감소
이동 속도 2% 감소
PDW-57과 레이저백, 그리고 Cordite에만 달리는 손잡이. 수직/수평 반동을 전부 잡아주나, 그 대가로 조준 속도와 이동 속도가 줄어든다.
퍽(Perk) 속사(Rapid Fire)
연사력 10% 증가[52]
QXR의 강화 볼트와 비슷한 퍽. 다만 강화 볼트는 연사력 증가가 체감이 되는 데 비해 이 퍽은 장착해도 별로 체감이 되지 않는다.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6.7. Pharo

Pharo
파일:CODM Pharo.png
4점사 기관단총입니다. 신뢰할 만한 대미지와 정확도를 자랑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36레벨 34 68 28/112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9 102 43 39

2020년 신년 업데이트로 추가된 무기로, 블랙 옵스 3에서 등장한 무기다. 블랙 옵스 3의 설정상 대한민국제 총기다. 4점사로 작동한다.

근접 전투 시 매우 높은 화력을 보여주지만, 기본 탄창이 28발 뿐이고 반동이 점사 총기 답지 않게 이리저리 튄다. Chicom과 마찬가지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고유 부착물로 테이저 건이 있는데, 별도 버튼으로 테이저를 발사할 수 있다. 테이저라고 상대를 마비시키는 것이 아닌 즉사시키는 것이 특징. 다만 사거리가 아주 짧으며, 쿨타임이 있다. 상기했다시피 Pharo가 점사 총기 치곤 반동이 강한데 하필이면 테이저 건이 하부 배럴 부착물이라 레인저 손잡이같이 반동을 많이 줄여주는 부착물과 경쟁해야 한다는 것도 단점.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하부총열(Underbarrel) 하부총열 테이저 건(Underbarrel Taser Gun)
근거리에서 즉각적인 스턴을 걺[MP]
장착 시 총열 아래에 간소화된 테이저 건이 달린다. 5m 이내에 적이 접근하면 빠른 근접 공격 버튼이 나타나도록 설정해 둔 자리에 전기 충격 버튼이 뜨며, 이 버튼을 누를 시 크로스헤어 내부에 있는 적 중 가장 가까운 한 명에게 단발성 테이저 건을 발사하여 즉사시킨다. 다만 이 사기적인 성능 때문에 배틀로얄에서는 이 부착물의 효과가 적용되지 않으며, 재충전 쿨타임은 5초이다.[54]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6.8. GKS

GKS
파일:CODM GKS.png
전자동 기관단총입니다. 동종 무기 중 사격 속도는 느린 편이지만, 반동이 적고 명중률이 높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19레벨 33 60 25/10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2 95 50 59

블랙 옵스 4에서 나온 총. 시즌 4 패치로 등장했다.

연사속도는 기관단총 치고는 낮은 편이지만, 초근거리 전신 3발컷이 가능한 강력한 대미지를 가지고 있다. 단점은 제어가 어려운 반동. 수평반동은 예측하기 힘든 데다 수직반동도 강하다. 현재는 USS 9이 이 총의 거의 완벽한 상위호환이기에 성능만 놓고 보자면 쓸 이유가 없다. 같은 연사력에 대미지와 사거리는 USS 9이 근소하게 우위고, 무엇보다 반동 제어가 USS 9이 훨씬 쉽기 때문.

여담으로 예전엔 소리가 커 봤자 틱틱거리는 것 뿐으로 상당히 조용했다. 이것 때문에 조용히 암살용으로 쓰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업데이트로 격발 소리가 바뀌면서 소리가 꽤 커졌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키즈네 이벤트로 획득

}}}||

6.9. Cordite

Cordite
파일:CODM Cordite.png
전자동 기관단총입니다. 큰 탄창과 조화를 잘 이룹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10레벨 26 80 40/16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6 93 53 44

블랙 옵스 4에 등장한 총기.

시즌 6 업데이트로 새로 추가된 기관단총. 기본 장탄량이 높은 데다 80발 탄창을 사용할 수 있어 압도적인 장탄량을 자랑한다. 연사력 또한 우수하며 특유의 정숙하면서도 타격감 있는 격발음을 가지고 있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손잡이(Underbarrel) OWC 전방 손잡이(OWC Foregrip)
수직 반동 8.4% 감소
수평 반동 15.3% 완화
조준 속도 14% 감소
이동 속도 2% 감소
PDW-57과 레이저백, 그리고 Cordite에만 달리는 손잡이. 수직/수평 반동을 전부 잡아주나, 그 대가로 조준 속도와 이동 속도가 줄어든다.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6.10. QQ9

QQ9
파일:CODM QQ9.png
전자동 기관단총입니다. 안정성, 기동성, 파괴력이 완벽한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기관단총으로 앉아서 30킬 28 83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0 102 42 42

모티브는 H&K MP5.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의 MP5에 일부 도안에 적용되어있는 SEF 트리거 그룹과 레일이 적용된 기본 핸드가드, FTAC 접이식 개머리판을 장착하고 있는 모습이다. 라이센스 문제 때문인지 이름이 QQ9으로 고쳐져 있다.

너프 전 초창기 MSMC와 여러모로 비슷하다. 현재 MSMC는 여러 차례 너프로 인해 반동이 비교적 강해져 조준 사격에 어려움이 뒤따르지만 QQ9은 적당한 연사와 단순한 반동 패턴 덕분에 반동 제어가 쉽고, 조금 부족한 연사력은 강한 대미지가 받쳐주어 근거리 제압이 용이하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탄약(Ammunition) 10mm 30발 탄창(10mm 30 Round Reload)
거리별 대미지 감소폭 완화
대미지 증가
수평 반동 증가
재장전 속도 감소
조준 속도 감소
연사력 감소[55]
QQ9 전용 탄창으로, 중거리 대미지를 상/하체 각각 1씩 늘어나게 한다.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6.11. Fennec

Fennec
파일:CODM Fennec.png
저돌적인 전자동 기관단총으로 부드러운 반동과 엄청나게 빠른 사격 속도를 자랑하며, 전략적인 공간 소탕과 최전선 사수에게 안성맞춤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기관단총 헤드샷 30킬 23 111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29 108 41 24

실제 모티브는 KRISS Vector로, 배틀 패스 시즌 11 업데이트로 추가된 총기. 모던워페어에서 등장한 기관단총인 Fennec을 그대로 가져왔는데, 덕분에 나사빠진 벡터 모양이 그대로 들어왔다.

연사 속도가 매우 빠른 대신 그에 걸맞게 수직 반동이 아주 심하다. 아킴보를 처음으로 부착물로 달고 나온 총기이다. 그런데 이 총이 출시된 직후에는 아킴보의 피해량과 사거리 감소 수치가 상당히 미미했기에 잘하면 중거리까지 커버가 가능했고, TTK 역시 상상을 초월했다. 출시 직후인 랭크 매치 시즌 7 때는 페넥 아킴보의 근거리 TTK가 1위였던 Pharo를 압도했다.

결국 랭크 시즌 8 패치에서 아킴보의 피해량 감소 수치가 심해졌고, 페넥의 비조준 사격 명중률 정확도를 보정해주는 부착물들의 정확도 상향률도 많이 줄었다. 이 이후로 아킴보는 거의 보이지 않게 되었지만, 원 총기의 압도적인 연사력에서 나오는 강력함은 여전해서 2024년까지도 멀티플레이 메타 탑티어에 군림하고 있었다. 현재 사용률 자체는 USS 9과 VMP에 많이 밀렸지만 성능은 여전히 좋은 편이다.

여담으로 출시 초기엔 모던 2019의 모델링을 썼는데도 장전 모션은 모던워페어 2의 벡터 장전 애니메이션이 출력되었으나, 언제부턴가 모던 워페어 2019의 힘찬 모션으로 변경되었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레이저(Laser) RTC 레이저 - 용병(RTC Laser - Merc)
비조준 사격 명중률 증가
조준 사격 집탄률 증가
레이저가 보임
조준 속도 감소
Fennec과 Chopper에만 장착되는 레이저 사이트. 조준/비조준 사격 시 집탄율을 모두 높여 준다.
레이저(Laser) YKM 레이저 - 레인저(YKM Laser - Ranger)
비조준 사격 명중률 증가
이동 시 조준 사격 집탄률 증가
레이저가 보임
조준 속도 감소
Fennec과 Chopper에만 장착되는 레이저 사이트. 비조준 사격 시 집탄율과 이동하면서 조준 사격 했을 때의 집탄율을 모두 높여 준다.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6.12. AGR 556[P]

AGR 556
파일:CODM AGR 556.png
기동성과 근중거리 성능이 뛰어난 모듈식 전자동 기관단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기관단총 헤드샷 30킬 25 75 25/10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37 98 47 47

실제 모티브는 슈타이어 AUG.[57] 모던 워페어 리부트의 형식을 가져와 기관단총 모델로 등장했다. 모델링은 모던 워페어 육해공 번들에 포함되어 있던 에어샷의 것이며, 기본으로 장착되던 코만도 전방 손잡이만 빠져있는 모습이다. 현재는 기본 모델링으로 수정된 상태. 모던 워페어에서처럼 탄종은 5.56mm와 9mm 두가지를 사용 가능하며, 기본적으로는 9mm 탄을 사용한다. 출시 당시의 모델링을 보면 분명 9mm 탄창이 아니라 5.56mm 모델에 사용되는 돌격소총 탄창이었지만 다음시즌인 시즌13에선 기관단총 탄창이 꽂혀있는 모델링으로 바뀌었다.

기관단총 치곤 사거리가 길고, 기동성도 우수해 근중거리에서 빛을 발한다. 하지만 제어하기 어려운 S자형 반동에 사격 시 떨림이 아주 심하다. 기본 탄창이 애매하게 적은 25발이고 불펍식이여서인지 전탄 소모시 재장전 시간이 다른 기관단총에 비해 더 길지만, 다행히도 60발 탄창을 사용할 수 있다.

여담으로 출시 직후 5.56mm 30발 탄창의 최대 탄창 소지량이 무려 8200발에 달하는 버그가 있었다.[58]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탄약(Ammunition) 30발 5.56mm 탄창(30 Round 5.56mm Mag)
대미지 증가
사거리 증가
탄창 용량 증가
반동 컨트롤 감소
조준 속도 감소
연사 속도 감소[59]
대미지와 사거리가 증가하며, 그에 맞춰 반동도 증가한다. 그리고 연사 속도와 반동 컨트롤은 떨어진다.
탄약(Ammunition) 60발 5.56mm 탄창(60 Round 5.56mm Mag)
대미지 증가
사거리 증가
탄창 용량 증가
반동 컨트롤 감소
조준 속도 감소
연사 속도 감소[60]
대미지와 사거리가 증가하며, 그에 맞춰 반동도 증가한다. 그리고 연사 속도와 반동 컨트롤은 떨어진다.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6.13. QXR

QXR
파일:QXR_model_CoDMobile.webp
소형으로 설계된 전자동 기관단총입니다. 사격 속도가 빠르고 반동이 적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기관단총 헤드샷 30킬 23 87 40/16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7 101 47 40

시즌 13과 함께 추가된 신규무기. 모던워페어의 MP7 외형을 그대로 가져왔다.

만능 SMG로 평가받는 모던 워페어의 성능을 계승한듯 상당히 빠른 연사력과 비교적 낮은 반동을 가지고 있어서 DPS가 훌륭한 편이다. 다만, 연사력이 매우 빠른 만큼 체감반동은 다소 있는 편.

기본적으로 SMG라 기동력도 우수하고 레이저를 달면 지향사격도 우수한 편이라 런앤건 플레이에 알맞는 무기이고, 탄퍼짐과 반동 역시 준수해 중거리까지는 무리 없이 커버가 가능하다. 또한 모던워페어의 외형을 그대로 가져온 만큼, 훌륭하다고 평가받던 기본 아이언사이트 역시 그대로 가져와서 굳이 조준경을 달지 않아도 상당히 조준하기가 편한 아이언사이트를 가지고 있다. 덕분에 조준경 부착물 대신 다른걸 달 여유가 생기는 것도 소소한 장점.

랭크 매치 2021 시즌 2에 기관단총 전체에 가해진 패치로 흉부 대미지가 27이 되어 상체를 잘 맞히면 4방으로 처치할 수 있게 되었던 적이 있었는데, 이 패치와 강화 볼트가 엄청난 시너지를 일으켜 상황에 따라 근중거리에서 AR이 선제공격을 가해도 역관광보낼 수 있게 되었다. 이 때문에 당시 메타를 지배하던 QQ9, PP19에 묻혀있던 이 총이 그 두 총 이상의 적폐로 뛰어올라 랭크 매치 2021 2시즌의 마스터 이상의 멀티플레이 랭크 매치는 이 녀석으로 도배되어 밸런스가 붕괴되었고, 총기 간의 생태계도 무너졌다.[61]

결국 배틀 패스 2021 시즌 5 패치로 QXR의 흉부 피해량이 1 더 강화된 대신 강화 볼트에 사거리 너프와 부위별 피해량 너프가 가해졌다. 이 패치 이후 QXR에 강화 볼트를 달고 근접에서 복부를 사격하면 겨우 19밖에 피해가 가해지지 않고, 그 외의 다른 부위들도 근접에서 적어도 5발은 맞추게 바뀌었다.
전용 부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퍽(Perk) 강화 볼트(Enhanced Bolt)
연사력 증가
QXR에만 달리는 파츠. 연사력을 올려 준다.

}}}||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6.14. PP19 비존

PP19 비존
파일:CODM PP19 비존.png
대용량 나선 탄창을 사용하는 균형 잡힌 전자동 기관단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기관단총 헤드샷 30킬 30 65 64/256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2 102 52 64

2021 시즌 3에 추가된 SMG로, 모던 워페어PP19 비존의 모델링을 그대로 가져왔다.

운용 난이도가 낮으면서도 강력한 성능을 낼 수 있다. 기동성이 상당하여 조준 사격 시 이동 속도가 매우 빠른 데다 반동까지 없다시피 한 수준이다. 게다가 기본 탄약이 64발에 달하는 만큼 기관단총에게는 거의 필수 부착물인 확장 탄창을 따로 달지 않고 다른 부착물로 성능 투자가 가능한 것도 장점. 심지어 대미지까지 높아 초근거리에서는 상체 3발컷도 가능하다. 다만 헬리컬 탄창 특성상 하부 배럴 부착물을 달지 못한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6.15. MX9[P]

MX9
파일:CODM MX9.png
전자동 기관단총입니다. 사거리가 더 길고 반동이 적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기관단총 헤드샷 30킬 27 86 35/14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5 95 41 40

2021 시즌 6에 추가된 블랙 옵스 4 출신 총기. 사격 속도가 빠르고 대미지도 적당하지만, 이 총기 고유의 수평 반동으로 인해 적응이 필요하다.

출시 당시에는 기본 30대미지에 대구경 탄약을 장착하면 근거리에서 흉부 3발킬이 가능해지는 사기적인 총기로 등장했지만, 2021년 시즌 10 배틀 패스 패치로 대미지가 감소하고 수평 반동이 대폭 증가하면서 밸런스가 맞춰졌다. 하지만 빠른 연사력과 준수한 대미지로 인해 여전히 좋은 총으로 평가받으며, 주로 조준 사격 시 이동 속도 강화 세팅과 함께 활약한다.

Peacekeeper MK2처럼 총기 개조는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를 기반으로 한다.

6.16. CBR4

CBR4
파일:CODM CBR4.png
불펍 전자동 기관단총입니다. 상단 탄창을 사용해 관통력이 높은 5.7 x 28mm 고속탄을 대량으로 장전할 수 있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기관단총 헤드샷 30킬 24 80 50/20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3 94 47 42

2021 배틀 패스 시즌 10 시즌 미션 보상으로 출시된 무기. 실제 모티브는 FN P90이다.

뛰어난 사거리와 낮은 수평, 수직 반동으로 중거리까지 안정적으로 커버가 가능한 기관단총. 한때는 랭크 매치의 한 시즌을 풍미했던 때도 있었으나, 반동과 ADS 집탄율이 하향된 이후로 잘 보이진 않는다.

또한 설명대로 관통력이 다른 기관단총들보다 높기에 돌벽을 뚫을 수 있다.

6.17. PPSh-41

PPSh-41
파일:CODM PPSh-41.png
탄창 용량이 크지만 명중률이 낮은 전자동 기관단총입니다. 목재 부착물 덕에 우수한 안정성을 보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기관단총 헤드샷 30킬 24 82 65/26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2 88 46 43

대부분의 작품에서 준수한 성능을 인정받아 온 PPSh였기에, 모바일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쏘기 시작한 직후 좌우로 한 번 씩 반동이 강하게 튄 후 좌상으로 반동이 튄다. 이 반동만 잡을 수 있다면 근거리에서는 이길 수 있는 총기가 별로 없다. 또한 지향사격 명중률을 극한으로 올리고 배틀로얄에서 드랍되는 전설 지향사격 명중률 변형을 부착한다면 지향사격 명중률이 말 그대로 수직상승해 이론상 초장거리까지 견제가 가능하다! 반동이 상술했듯이 난폭한 편이므로 반동 제어에 자신이 없다면 아예 지향사격과 사격 지연 감소에 투자해 런앤건 분무기 조합으로 굴려도 좋다.

모델링과 총 사운드는 콜 오브 듀티: WWII에서 가져왔으나, 대부분의 무기 조작 동작들은 콜드 워에서 가져왔다. 35발 빠른 탄창의 모션은 뱅가드에서 가져온 것으로 추정.

6.18. MAC 10

MAC 10
파일:CODM MAC 10.png
사격 속도가 높고 기동성이 우수한 기관단총입니다. 근거리에서 효과적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해금 방식/레벨 24[MP]
21[BR]
120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31 107 44 26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에서 넘어온 총으로 모든 무기들 중 가장 빠른 연사 속도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에임만 좋다면 어떤 거리에서든 교전할 때는 엄청난 연사력을 필두로 상대를 갈아버릴 수가 있지만, 매우 짧은 사거리와 처참한 조준 사격 집탄율, 그리고 연사력 대비 매우 적은 탄 용량으로 인한 짧은 지속력이 문제가 되어 확장 탄창과 정확한 에임이 필요하다..[65] 따라서 그냥 독수리 퍼크와 함께 mw5 레이저를 달아서 비조준 무기로 써먹는 것이 좋다.

6.19. KSP 45

KSP 45
파일:CODM KSP 45.png
3점사 기관단총입니다. 사격 속도가 느리지만, 근/중거리에서 사격 피해가 높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기관단총 헤드샷 30킬 34 75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9 107 46 41

블랙옵스 콜드 워에 등장한 3점사 기관단총. 반동과 탄퍼짐, 탄속, 사거리 등 대부분의 스펙이 다른 기관단총들에 비해 우수하며, 상반신 원버스트를 낼 수 있다.

출시 초기엔 확장 탄창의 용량이 45발이었으나, 바로 다음 시즌에 조용히 42발로 너프를 먹었다.

6.20. Switchblade X9

Switchblade X9
파일:CODM Switchblade X9.png
기동성이 높고 반동이 낮아 조작성이 탁월한 경량 기관단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기관단총 헤드샷 30킬 27 85 26/104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8 107 42 37

블랙 옵스 4에서 등장한 전자동 기관단총. QQ9과 비슷한 스펙을 가지고 있으나, 사거리와 피해량이 우위라 중장거리도 안정적으로 견제가 가능하다.

출시 직후 확장 탄창은 10발을 추가해줬으나, 얼마 후 15발을 추가해주게 되는 버프를 받았다.

6.21. LAPA

LAPA
파일:CODM LAPA V2.png
명중률이 높고 대미지가 안정적이지만, 탄속이 느린 기관단총입니다. 특정 부착물을 바꾸면 탄속과 공격력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기관단총 헤드샷 30킬 31 70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6 104 48 57

대미지, 사거리, 반동 모두 준수하고 조준사격 집탄률과 기동성도 좋다. 다만 큰 단점이 있는데 아이언사이트의 가시성이 역대급으로 나쁘다. LK24와 비슷하게 옆이 완전 막혀 있는데다 윗부분이 뚫려 있지도 않아 제대로 쓰려면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 처음 이 총을 쓰기 시작했을 땐 꼭 도트나 홀로그램을 쓰도록 하자. 이외에도 탄속이 기관단총 중에서도 상당히 느리지만 배럴 부착물을 통해 끌어올릴 순 있다.

6.22. OTs 9

Ots 9
파일:CODM Ots 9.png
기동성은 매우 뛰어나지만, 탄창 용량이 적은 경량 기관단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발사 속도 장탄량
기관단총 헤드샷 30킬 27 86 20/8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3 102 43 42

블랙 옵스 콜드 워에서 넘어온 총. 높은 연사력으로 근접전에서 유리하지만 반동이 강하고 기본 장탄량이 적다.

6.23. Striker 45

Striker 45
파일:CODM Striker 45.png
높은 대미지를 주고 기동성도 우수하지만 발사 속도는 중간 정도인 기관단총입니다. 중거리 공격 시 대미지 감소하는 약점을 보완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발사 속도 장탄량
기관단총 헤드샷 30킬 34 60 25/10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4 76 44 57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에서 나온 기관단총. 연사속도가 느리지만 근거리 3발컷을 낼 수 있는 높은 대미지를 가졌다. 헤드샷 대미지가 높지만 다리 대미지 배수가 낮아 완전한 전신 3발컷은 아니며, 무엇보다 반동이 꽤 심하다. 여러모로 GKS와 비슷한 처지로, 같은 연사속도에 반동 제어가 훨씬 쉬운 USS 9이 존재하기 때문에 외면받는 총이다.

6.24. CX-9

CX-9
파일:CODM CX-9.png
발사 속도 및 근거리 대미지가 높고 제어하기 쉬운 경량 기관단총입니다. 부착물을 조정하면 내구성이 향상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발사 속도 장탄량
배틀패스 21티어 달성
기관단총 헤드샷 30킬
24 103 20/8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35 101 41 32

다시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에서 넘어온 기관단총. 매우 빠른 발사속도를 가지고 있어 기관단총 중에서도 상위권에 속하는 근거리 성능을 자랑하나, 중거리 이상으로 넘어가면 대미지가 매우 저열해지며 기본 장탄량이 적다.

출시 초기에 인게임 스탯은 대미지를 제외하고 Striker-45랑 똑같이 해놓는 실수를 했지만 현재는 제대로된 스탯으로 수정되었다.

6.25. TEC-9

TEC-9
파일:TEC-9_model_CoDMobile.webp
반자동 기관단총으로, 정확도가 향상되고 반동이 최소화되었으며, 대미지 출력이 높고 사거리가 보통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발사 속도 장탄량
기관단총 헤드샷 30킬 - - 30/12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 - - -

2024 시즌 3 출시. 블랙옵스 콜드 워의 사양으로 등장했으며, 따라서 총구 부착물에 소음기가 없고 연사, 점사 관련 부착물로 대체된 것 역시 똑같다.

초근거리 전신 3발컷이 가능한 딜량을 선보이지만 연사력이 기관단총 중 최하로 아주 나쁘다. 그나마 총구 부착물을 통해 연사력을 높일 순 있지만 대미지 감소 거리와 신체 대미지 배수가 감소한다.

6.26. ISO

ISO
파일:ISO_model_CoDMobile.webp
발사 속도가 높고 안정적인 기관단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발사 속도 장탄량
기관단총 헤드샷 30킬 - - 20/8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 - - -

2024 시즌 7 출시.

연사력이 좋은 대신 기본 장탄량이 20발로 상당히 적기 때문에 50발 탄창 사용이 필수적이다. 근거리에서는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지만 중거리 이상부터는 낮은 대미지, 별로 깔끔하지 않은 기본 아이언사이트, 총기 떨림으로 인해 좋은 교전력을 기대하긴 어렵다.

6.27. USS-9

USS-9
파일:USS_9_model_CoDMobile.webp
우수한 기동성과 안정적인 제어력을 갖춰 균형이 잘 잡힌 기관단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발사 속도 장탄량
기관단총 헤드샷 30킬 - - 32/144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 - - -

2024 시즌 10 출시. 모던 워페어 I의 우지이다. 강력한 화력이 특징으로 원작에 있던 .41 AE탄도 사용할 수 있다. 오픈볼트 딜레이가 있었던 MW와 다르게 즉시 발포가 되는데 발포음은 발사 후 좀 있다가 들리는 현상이 있다.

연사력은 SMG 중에선 하위권이지만 근거리 전신 3발컷이 가능한 충격적인 딜량을 가지고 있고, 반동과 탄퍼짐도 그리 강한 편이 아니라 중장거리에서도 돌격소총들과 대등하게 교전할 수 있다. 이런 사기적인 성능 덕분에 출시부터 멀티플레이 랭크전의 패왕으로 군림했다. 연사력도 SMG 중에서 하위권이라는거지, 전체 총기들과 놓고 보면 결코 느리지 않다. 자잘하게 너프를 먹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1티어 자리를 유지중이다.

6.28. VMP

VMP
파일:VMP_Gunsmith_CoDM.webp
발사 속도와 기동성이 인상적인 기관단총으로, 파괴적인 근거리 점사 대미지를 선보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발사 속도 장탄량
2025 시즌 5 배틀패스 21티어 달성 - - 40/16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 - - -

2025 시즌 5 출시. 블랙옵스 3, 4에서 등장한 기관단총.

안정성이 준수하고 연사력이 높고 근거리 대미지도 높은 편이라 출시 후 USS-9과 함께 멀티플레이 랭크전 메타를 주도중이다. 심지어 고유 퍽을 통해 대미지 감소 거리가 약간 줄어드는 대신 그 높다는 연사력을 더 끌어올릴 수 있는데, 이럴 경우 거의 Fennec의 상위호환이 가능해진다.

7. 산탄총

숙련자의 총기들

여타 FPS 게임들에서도 으레 그랬듯 한방 한방이 묵직한 근거리 최강총들. 하지만 운용 난이도 또한 매우 높은 총기류이다. 조금만 떨어져도 반샷이 나지만 이속이 그리 빠르지도 않아서 숙련되지 않았다면 쉽게 죽는다. 게다가 멀티 플레이 근거리에선 다들 산탄총보다는 기관단총이나 근접무기를 사용하기에 쓰는 사람은 정말 드물며, 그나마 쓴다고 해도 한두 가지의 무기만이 보인다.

대신 배틀로얄에서는 상당한 효율을 보여준다. 펠릿당 피해량이 상당하기에 장갑판과 체력을 쉽게 깎을 수 있으며, 이동 속도와 탄퍼짐, 그리고 사거리 역시 파츠와 각종 변형들로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산탄총을 근접 교전용으로 운용하면서 중거리 이상 견제를 위해 보조무기로 저격소총이나 돌격소총을 드는 유저들이 많다.

7.1. BY15

BY15
파일:CODM BY15.png
성능이 뛰어나고 균형 잡힌 펌프 액션 산탄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기본무기 25×12=300 29 8/32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8 71 40 42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에서 'W1200'이란 이름으로 등장하였으며, 정조준 집탄율이 상당하다. 그러나 펌프액션이라는 한계와 더불어, 모션 캔슬이 없기 때문에 딜레이를 줄일 수 없으니 한 발 한 발 정확한 사격이 요구된다.

기동성이 좋아 초창기엔 샷건 중 가장 많이 쓰였으나, 몇 차례 데미지 너프를 먹고 관짝에 들어갔다. 현재 멀티플레이에선 거의 쓰이지 않는다.

그래도 배틀로얄에서는 전자동이 아닌 샷건들 중에선 연사 속도가 빠른 편이기 때문에 건물 내부에서의 초근거리 전투를 위해선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공중 보급상자와 상점에서 신화 등급 BY15를 구할 수 있다.

실제 모델은 윈체스터 사의 모델 1200이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7.2. 스트라이커

스트라이커
파일:CODM 스트라이커.png
사격 속도가 빠른 반자동 산탄총입니다. 근거리에서 효과적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12레벨 20×8=160 38 12/48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9 73 34 42

샷건 특유의 근거리 화력, 빠른 연사력과, 확장 탄창이 없어도 12발이나 장전되는 나름 괜찮은 장탄수로 1대1 교전에서 유리하게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거리가 조금만 벌어져도 다른 무기들에게 무참하게 갈려버리는 일이 발생한다. 그리고 많은 장탄수는 양날의 검인데, 리볼버식 원형탄창 특유의 극악한 장전속도로 발목을 잡는다.

몇 차례의 버프를 받아 성능이 예전보다 좋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멀티플레이어에서 도저히 써먹을 수준이 못된다. 해외 유명 유튜버들에게 최악의 총기 5개를 꼽아보라고 하면 반드시 들어가는 총기 중 하나.

실제 모델은 암셀 사의 스트라이커이며, 피카티니 레일이 상부와 측면에 달려 있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7.3. HS2126

HS2126
파일:CODM HS2126.png
4점사 전자동 산탄총입니다. 사격 속도가 높고, 탄창 용량이 큽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17레벨 16×8=128 38 16/64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0 71 33 38

블랙 옵스 2에 나온 4점사 샷건. 그래서 4발 쏠 때마다 재장전해야 한다. 원샷원킬 계열은 아니지만, 연사로 벌집을 만드는 스트라이커와는 또 다르게 상대에게 4발 전부 다 제대로 맞춰야 죽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싸우는 게 좋다. 점사 속도가 매우 빨라 초근거리에서는 출중한 위력을 보여주나 이건 다른 샷건들도 마찬가지고, 거리가 조금만 벌어져도 탄이 어마어마하게 퍼져서 한 탄창을 쏟아부어도 적이 죽지 않는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

배틀 패스 시즌 9 패치로 블랙 옵스 2 외형에서 모바일 만의 새로운 외형으로 바뀌었다. 그런데 모델은 고정된 관형탄창을 사용하는 걸로 바뀌었지만 재장전 모션은 그대로라 손만 공중에서 휘적거리는 매우 요상한 광경을 보여줬다. 이후 샷건용 스피드로더를 사용하여 재장전 하는 새로운 모션을 가지게 되었다.

외형 변경 전 실제 모델은 SRM 암즈 사의 M1216.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콜 오브 듀티 모바일의 모든 총기를 통틀어, 도안이 단 한 개도 존재하지 않는다!

}}}||

7.4. HS0405

HS0405
파일:CODM HS0405.png
레버액션 산탄총입니다. 사격 속도는 느리지만, 근접전에서 발군의 위력을 자랑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47레벨 26×15=390[MP]
28×15=420[BR]
27 7/28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5 74 37 42

보통 근거리 교전만 하고 싶은 유저들이 드는 샷건이다. 장점은 높은 데미지와 준수한 기동성으로, 탄 명중 시 키네틱 따위 무시해버리는 흉악한 피해가 들어가는 점을 이용해 배틀로얄에선 단 한 방에 체력 100 + 장갑 200으로 중무장한 적을 눕혀버릴 수 있어 많은 숙련자들이 애용하는 산탄총이다. 단점으로는 기본적으로 레버액션으로 설정되어 있는 샷건이다 보니 연사력이 펌프액션 샷건들보다도 떨어지며,[68] 장전할 때마다 큼지막하게 화면을 가려 가시성이 저하되는 게 유독 심하다.

BY15가 1티어 샷건이었던 초창기땐 거의 폐급 수준으로, 굉장히 평이 좋지 않은 샷건이었다. 하지만 BY15가 너프로 관짝에 들어가고 KRM도 몇 차례 너프를 먹는 와중에 기동성이 올라가는 상향을 받으면서 현재는 샷건 중에서는 가장 좋은 평가를 받는다. 2025년 기준 대회에서 유일하게 쓰이는 샷건이기도 하다.

특이하게도 멀티플레이와 배틀로얄에서의 성능이 다르다. 멀티플레이에선 26대미지 펠렛이 15개, 배틀로얄에선 펠렛 수가 동일한 대신 펠렛당 피해량이 2 더 강하다.

실제 모델은 윈체스터社의 모델 1887이며, 이 총도 미래화 버전이라는 설정이 붙어있는지 외형이 싹 다 뜯어고쳐져 있다.

2023년 하반기 업데이트로 새로운 전용탄 썬더 라운드가 출시 되었다. 성능은 일반탄보다 약간 좋고 사실상 단 하나의 왕구슬로 무자비하게 관통시키는 슬러그보다는 관통력이 약해서 애매하는 평가가 중론.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7.5. KRM 262

KRM 262
파일:CODM KRM 262.png
펌프 액션 산탄총입니다. 비좁은 곳에 밀집한 다수의 적을 한 방에 사살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43레벨 26×12=312[MP]
24×12=288[BR]
28 6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51 73 39 42

블랙 옵스 3에 등장했던 펌프액션 샷건. 시즌 3 출시.

기동성이 낮지만 비조준 탄퍼짐이 좁고 명중률도 좋아 초창기엔 평가가 좋았다. 하지만 몇 차례 너프를 먹으면서 현재는 그다지 자주 쓰이지 않는다. BY15처럼 대미지가 애매해 꽤 가까운 거리에서도 '이게 원샷이 안 나네?'라는 상황이 자주 연출될 수 있다. 같은 단발 샷건인 HS0405과 비교할 때, 집탄율과 연사력은 우위고 대미지와 기동성은 열세이다. 비조준 단발 샷건으로 좀더 확실한 원샷원킬을 노리고 싶으면 HS0405를 쓰는 것이 낫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

7.6. Echo

Echo
파일:CODM Echo.png
탄창 용량이 커서 지속 사격에 유리한 반자동 산탄총입니다. 근접전을 할 때 유용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산탄총으로 장거리킬 30킬 21×9=189 35 8/32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9 82 36 42

실제 모델은 Origin-12 샷건.

시즌 10 출시. 모던 리부트의 오리진. 모던 워페어처럼 포어그립 개조품이 두 가지밖에 없으며, 총열 옆에 부착된다.[71]

비교적 빠른 연사력 덕분에 근거리에서 빗맞춰도 탄을 더 쏟아부어 잡을 수 있다. 또한 확장 탄창으로 최대 25발까지 탄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2020년 새로 등장했던 시즌 당시엔 나름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이후 너프를 먹으면서 관짝으로 들어갔다. 스트라이커와 마찬가지로 연사력만 높을 뿐 집탄율과 데미지 모두 좋지 않기에 근거리에도 몇 발을 꼽아넣어야 겨우 1킬 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므로 2025년 기준 멀티플레이에선 스트라이커와 함께 최악의 샷건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래도 배틀로얄에서는 나쁘지 않다. 넉넉한 용량, 그와 함께 딸려오는 지속력, 산탄총 특유의 강력한 근거리 피해량이 조화를 이루기에 산탄총 입문 배틀로얄 유저에게 추천한다.
도안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도안명 획득 경로
악마의 눈 배틀 패스 시즌 10 50티어 보상
만월 밤의 스릴러 상자
냉풍 시즌 13 이벤트
알력 2021 시즌 1 이벤트
잠자는 드래곤 사원의 수호자 상자
증기 시계 2021 시즌 4 이벤트

}}}||

7.7. R9-0

R9-0
파일:CODM R9-0.png
이중 총열이 있어 장전하지 않고도 빠르게 두 발을 쏠 수 있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산탄총 장거리킬 15회 17×12=204 34 14/28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9 86 38 42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에서 넘어온 무기.

2021 시즌 8 출시. 탄창의 용량은 14발이지만 2발마다 펌프하는 방식의 샷건으로, 한발만 사격하면 다음 사격시 한발만 사격되고 펌핑해야하므로 원샷킬을 냈다면 재장전이 필수.

초탄과 차탄 간의 사격 간격이 굉장히 짧으며 두 발 모두 정확히 박았다면 킬이 나는 사거리도 샷건 치곤 매우 길어, 좋은 평가를 받는 몇 안되는 샷건이다. 하지만 이런 좋은 성능을 내려면 조준 사격 위주로 운용해야 하고, 특유의 장전방식 때문에 난이도가 높다.

7.8. JAK-12

JAK-12
파일:CODM JAK-12.png
높은 연사력을 가진 전자동 산탄총입니다. 근접전에서 특히 강력한 위력을 발휘합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산탄총 장거리 처치 30회 16×12=192 42 8/32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49 75 33 42

2022 시즌 2 출시. 모던 워페어에서 넘어온 산탄총으로, 매우 빠른 연사력을 활용해 근접 전투 시 빠르게 적을 처리할 수 있다. 다만 기본 탄 용량은 단 8발이기 때문에 탄창을 장착하지 않았다면 어느새 탄약이 다 떨어져 있고, 연사력에 상응하는 반동 역시 만만치 않기에 수직 반동을 잘 잡을 수 있다면 추천한다. 같은 연사샷건인 스트라이커와 에코에 비하면 그래도 낫다는 평가가 많다.

HS0405, Echo와 함께 배틀로얄 유저들에게 사랑받는 산탄총이기도 하다. Echo에 어느 정도 적응한 유저들이 사용하며, 수직 반동과 사거리만 잡아준다면 매우 강력한 위력을 자랑한다.

7.9. Argus

Argus
파일:Argus_model_CoDMobile.webp
우수한 기동성과 명중률을 자랑하는 산탄총입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산탄총 장거리 처치 30회 28×8=224 28 10/40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60 81 38 42

2023 시즌 8 출시. 처음 등장한 블옵3를 계승한 듯, 조준/비조준 집탄율이 극단적으로 차이가 나는 것이 특징으로, 조준 사격 시 집탄율이 중장거리를 커버할 수 있게 될 정도로 향상된다. 이런 특징으로 인해 기존 샷건들과는 다른 운용 스타일이 요구되며, 샷건류의 고질적인 단점인 사거리 문제가 거의 완벽하게 해결되는 대신 한 발 한 발 정확한 조준사격이 필수적이므로 운용 난이도가 높다.

7.10. VLK Rogue

VLK Rogue
파일:VLK_Rogue_Gunsmith_CoDM.webp
강력한 근거리 화력과 뛰어난 조작성을 갖춘 12게이지 탄창식 산탄총입니다. 다양한 탄약 유형을 지원하여 다양한 전투 상황에 맞춰 활용할 수 있습니다.
<rowcolor=#000> 해금 대미지 사격 속도 장탄량
산탄총 장거리 처치 30회 - - 8/32
<rowcolor=#000> 명중률 기동성 사거리 컨트롤
- - - -

2025 시즌 2 출시된 볼트액션 샷건. 단발 샷건들 중에서는 독보적으로 빠른 연사력을 가지고 있다. 다만 스트라이커나 에코 같은 자동샷건들처럼 버튼을 길게 눌러서 자동으로 연사가 되진 않는다. 연사력도 이런 자동샷건들만큼 빠르진 않다.
[P] 프레스티지 위장 존재[2] 이러한 특성 때문에 배틀로얄에서 대부분의 유저들이 커스텀 로드아웃에 돌격소총을 하나씩은 넣어 둔다.[3] 언뜻 보면 M4A1 SOPMOD Block 2르 닮은 것 같기도 하다.[MP] 멀티 플레이 한정[P] [6] 페이 투 윈 요소라고 할 수 있는 부분으로, LK24의 전설 등급 위장들은 아이언사이트가 기본 버전에 비해 매우 깔끔하게 되어 있다. 최대한의 성능을 내고 싶으면 전설 등급 위장을 사는 것도 한 방법이다.[7] 이 Type 25는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에 등장했던 돌격소총으로, 블랙옵스 2 개발 당시 '중국군의 신형 소총'이라는 컨셉으로 재구성한 모델이다. 블옵2의 시대적 배경은 2025년인데 이 총의 명칭 또한 25식 소총이다.[8] 중국 서버에서는 AKBP라는 이름으로 나왔다.[P] [10] 당연히 틀린 말이다. 적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헤드샷 대미지가 감소한다.[11] OTM 탄창을 장착하면 최대 30발, 확장 탄창을 달면 38발까지 확장할 수 있다.[12] 과거에는 OTM 탄창이 전신 3발컷이라는 강력한 성능을 내게 해줬다. 하지만 패치로 복부, 다리, 팔은 그대로고 흉부와 어깨 부분만 대미지 배수가 높아지도록 너프를 받았다.[주의] 피스키퍼의 전용 부착물은[14] 배틀로얄의 전설 탄창까지 더하면 약 0.5초로 재장전 그런 거 없다![15] 보통 타 총기에서는 기동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컨셉의 파츠로 이동속도와 조준속도를 큰 폭으로 올려주는 대신 반동제어와 집탄율이 감소하는 페널티 등이 있는 파츠다.[16] 너프되기 전엔 무려 90%라는 정신나간 보정치를 가지고 있었다.[17] 한때는 피격 시 화면 흔들림 감소율이 무려 90%였다.[18] 71 > 51[19] 레네티와 공유하는 특징으로, 손잡이를 따로 장착하지 않을 시 모던 워페어에서의 파지법인 C-Clamp 그립을 사용한다.[P] [21] ASM10은 중거리까지만 3발컷이 가능하고, 맨오워 역시 장거리 이상은 3발컷이 불가능하고 기동성이 나쁘다. DR-H 역시 중장거리 이상 가면 힘이 빠지고 무엇보다 탄퍼짐이 너무 심하다. LAG 53은 그나마 거리 불문 전신 3발컷을 보여주지만 기동성이 Oden보단 떨어진다.[22] 패치로 세부 수치는 바뀔 수 있지만 2025년 9월 기준 기본 발사 속도가 66ms로, 68ms인 M13보다 빠르다. 그리고 부착물을 포함하면 전용 배럴을 낀 BP50의 62.9ms 등이 FFAR 1을 능가한다.[23] 개인전이나 팀에 접속중인 인원이 자신 혼자인 경우는 해당 대사가 출력되지 않는다.[24] 튜토리얼 진행 중 로드아웃에 들어갈 때 보면 이미 지급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25]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의 인터벤션의 격발음을 가져왔다.[26] 착탄지점 주위에 있어도 적용되나, 범위가 cm단위로 적다시피 하다. 사용자의 발 밑에다 착탄시킬 경우 확인 가능.[27] 다만 모델링은 콜 오브 듀티: 온라인에서 가져왔을 가능성이 크다.[P] [29] 헤드샷까지 포함한 피해량은 DL Q33, Rytec AMR, ZRG 20mm, HDR이 우위다.[30] 이 특징을 이용한 배틀로얄 전략으로 NA-45의 초탄 한 발을 상대에게 맞춰 둔 뒤 일부러 재장전을 하지 않고 둬 상대 한 명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플레이가 있다. 다만 기폭탄은 적의 공격에도 폭발할 수 있다.[31] 그런데 당시 이 게임의 한국 서버 관리자들이 NA-45가 OP라는 클레임은 한국 서버에서만 나온다는 망언을 해 논란이 된 적이 있었다. 당시 서버를 가리지 않고 이 총을 들면 최악의 경우 레딧에 박제되거나 패드립까지 들을 수 있었고, 글로벌 CODM 공식 디스코드 서버에 들어가보면 비판이 수두룩했으며, 심지어 일본의 한 CODM 프로가 대회에서 이 무기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석고대죄를 한 적이 있다. 그런데 이를 몰랐다는 것은 그냥 조사를 안 한 것이나 다름없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 공지를 올린 지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CODM 글로벌 공식 레딧에서 NA-45를 너프하겠다는 패치노트가 뜨며 욕을 2배로 먹게 되었다.[32] 방탄조끼 퍽을 장착한 상대의 경우 종아리 쪽에 맞추면 반샷이 난다. 방탄조끼가 각종 폭발 피해를 감소시키기 때문.반면 테르밋 탄창을 장착시 추가 화염 대미지로 인해 죽기는 한다.[P] [34] 단발 상체 대미지 평균이 약 30이다. 웬만하면 4방컷이란 소리.[35] 헬기를 격추시킬 목적뿐이라면 로켓이 굉장히 좋지만, FHJ-18은 적 조준이 가능하긴 해도 폭발 범위가 좁고, SMRS와 Thumper는 파괴력이 좋고 적에게 조준할 수 있지만 예측이 힘들면 헬기를 격추시기기 어렵다. 그런 환경이기에 안심하고 헬기에 안심하고 탑승하는 유저들이 있다.[36] 또 특이한 점은 RPD 한정으로 스내치 손잡이가 레인저 손잡이를 대체하기 때문에 RPD에는 레인저 손잡이 장착 및 사용이 불가능하며, 스프라이트가 예전 경기관총들에 달렸던 전방 손잡이다.[37] 건스미스 패치 전에는 75발이었다.[38] 사실상 이 반동 문제가 chopper대비 기동성과 사거리의 우위에도 S36이 완전히 도태되어버린 이유를 제공했다고 봐도 될 정도인데, 실제로 S36은 비슷한 명중률과 사거리를 가지면 chopper보다 기동성 면에서 확실히 나은 모습을 보인다. 그럼에도 이 좌상단으로 심하게 튀는 반동이 나머지 장점까지 다 까먹어버려 결국 외면당하게 된 것.[39] 좌상단으로 반동이 튀더라도 근거리는 사실 충분히 제어가 가능하다. 문제는 원거리인데 사실 원거리까지 가지 않아도 대략 20m 정도만 되도 좌상단으로 튀기 시작하면 제대로 적을 맞추는 건 거의 포기해야될 정도이다.[40] 기본탄창은 100발로 동일하나 쵸퍼 쪽이 연사력이 빨라서 탄약 소모가 더 빠르고 확장탄창은 200발이랑 150발로 쵸퍼쪽이 50발 적다.[41] 중량 손잡이 장착시. 원본이다.[42] 중량 손잡이 비장착시[43] 이는 원본 스토너 LMG가 체인쏘우로 개조되면서 총몸이 권총손잡이가 있던 부분까지 커졌는데, Chopper를 리워크 하며 새 모델링을 만들때 총몸을 원래대로 되돌리지 않고 그냥 그 두꺼운 총몸 아래에 권총손잡이를 붙이고 총열덮개도 똑같이 크게 키워서 그런 것이다. 거기에 연장총열을 달면 총열 자체의 길이도 엄청나게 길다.[44] 헤비 배럴과 스테디 개머리판을 달면 쵸퍼 다음으로 크다고 여겨지는 PKM의 1.5~2배정도 되며 커다란 저격소총들과도 크기가 비슷하다.[45] 인게임에선 누락됨.[46] 해당 총기의 "개머리판 없음" 부착물은 조준 시 이동속도를 무려 40% 상승시킨다.[47] 꺼낼 때 캐링핸들을 들고 세워서 꺼낸 후 견착하고, 집어넣을 때도 총기를 세워서 집어넣는다.[48] 3발 중 한발이라도 몸샷이 나면 나머지 두발이 몸샷이 안 나도 3방 컷이다.[49] 이 경기관총만 유일하게 가지고 있는 탄창이 적다.[50] 물론 전차와 트럭은 훨씬 더 먼거리에서 파괴가 가능한 Rytec이 낫다.[51] 초기 시즌때는 AKS-74U 이름을 쓰고 있었다.[52] 수치상으로는 63에서 64로 증가한다.[MP] [54] 충전되었을 때에는 장탄량을 보여주는 칸의 무기 실루엣이 밝은 파란색으로 빛난다.[55] 83에서 81로 감소하며, 인게임에선 누락됨.[P] [57] 정확히는 AUG A3 PARA 모델로 추정.[58] 스폰할 때 가질 수 있는 최대한의 탄약을 주고 시작하는 탄약 완비 퍽을 장착했을 때 발생하며, 독수리 퍽으로도 어찌어찌 채울 수는 있으나 저 정도까지 채우려면 엄청난 양의 시간과 노동이 든다. 랭크 매치 시즌 8 시작과 동시에 수정될 것으로 보인다.[59] 75에서 73으로 떨어진다.[60] 75에서 73으로 떨어진다.[61] 돌격소총은 현실적으로도 대부분의 기관단총들보다 사용하는 탄의 위력이 강하기 때문에 근거리에서는 연사력이 빠른 SMG가 유리하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AR이 점점 유리해지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중거리에서 AR이 선제공격을 가해도 반응이 빠른 QXR 유저의 경우 바로 대응하여 돌격소총을 제압해버리니 밸런스가 무너졌고, 자연히 멀티 플레이 랭크 매치에서는 너도나도 QXR을 쓰게 되어 메타의 획일화가 발생했다. 상술한 페넥 아킴보의 경우 지향사격만이 가능해서 초근거리와 근거리에서만 강했지 중거리 이상을 넘어가면 다른 무기들에 밀리기라도 했지만, QXR은 지향사격만 가능한 아킴보도 아니니 정확도가 더 높을 수밖에 없고, 거기다 피해량과 반동, 연사력까지 최상급이니 이는 정말 답이 없다.[P] [MP] [BR] 배틀로얄 모드 한정[65] 그마저도 페넥이 아무리너프를 먹어도 근접에서는 비등하며 상대가 아킴보퍽을 장착하였다면 ADS 셋팅이 아닌 명중률 or 이속 셋팅을 했다는 뜻이기에 답이 없다[MP] [BR] [68] 볼트액션 스나이퍼인 DL Q33보다 약간 높은 정도.[MP] [BR] [71] 다만 모던 워페어에선 연사하려면 사격 버튼을 광클해야 하나, 여기에선 모바일 환경의 특성상 버튼을 꾹 누르고 있으면 자동으로 연사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