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7 05:46:11

지산 포레스트 리조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스키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운영 중
파일:곤지암리조트 로고.svg 파일:무주 덕유산 리조트 로고.svg 파일:비발디파크 로고.svg파일:비발디파크 로고(다크모드).svg 파일:알펜시아 리조트 로고.svg 파일:에덴밸리리조트 로고.svg 파일:엘리시안 강촌 로고.svg
곤지암리조트
경기도 광주시
무주 덕유산
리조트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비발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알펜시아 리조트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에덴밸리리조트
경상남도 양산시
엘리시안 강촌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파일:오투리조트 로고.svg 파일:오크밸리 리조트 로고.svg 파일:모나 용평 로고.svg 파일:웰리힐리파크 로고.svg 파일:지산 포레스트 리조트 로고.svg 파일:하이원 리조트 로고.svg
오투리조트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오크밸리
리조트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모나 용평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웰리힐리파크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지산 포레스트
리조트

경기도 이천시
하이원 리조트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파일:휘닉스 평창 로고.svg
휘닉스 스노우파크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휴업 및 폐업
파일:bearstown_logo.jp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starhill_logo.jp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양지파인리조트 로고.svg 파일:정선 알파인 경기장 베뉴.svg
베어스타운
경기도 포천시
수안보 이글벨리
스키리조트

충청북도 충주시
스타힐리조트
경기도 남양주시
알프스리조트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양지파인리조트
경기도 용인시
정선 알파인
경기장
[A]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A]: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전용 경기장으로 일반인 대상으로 영업한 사례가 없다.
}}}}}}}}} ||

파일:지산 포레스트 리조트 로고.svg

1. 개요2. 구성
2.1. 스키장
2.1.1. 슬로프2.1.2. 리프트
2.2. 숙박시설
3. 여담

1. 개요

홈페이지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지산로 267 에 위치한 복합 레저시설이다. 1996년 12월 24일에 개장하였다. 이름은 리조트를 끼고 있는 산인 '건지산'에서 유래했다.

2. 구성

한화리조트, 소노호텔&리조트, 웰리힐리파크 같은 유명 복합레저단지들과 같이 스키장과 골프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2.1. 스키장

파일:jisan_slopes_map.jpg

2.1.1. 슬로프

  • 초급 슬로프
    1-1번, 1번
  • 중급 슬로프
    2번, 3번
  • 중상급 슬로프
    7번
  • 상급 슬로프
    뉴오렌지, 5번
  • 최상급 슬로프
    5번 상단, 6번

2.1.2. 리프트

  • 1-1번 슬로프와 1번 슬로프를 이용 가능한 '레몬'리프트가 있다. 고정식 리프트라 무지하게 느리다.
  • 2번 슬로프와 3번 슬로프를 이용 가능한 오랜지 리프트가 있다.
  • 뉴오렌지 슬로프와 2번 슬로프, 3번 슬로프를 이용 가능한 뉴오랜지 리프트가 있다. 6인승이라 순환이 빠르편, 그리고 리프트 의자가 푹신푹신 하다.
  • 5번 슬로프와, 6번 슬로프, 7번 슬로프를 이용 가능한 블루 리프트가 있다. 지산리조트의 정상으로 가는 리프트이다. 정상에는 전망대와 매점겸 분식집이 있다.
  • 5번 슬로프 <상단 이용불가>, 6번 슬로프, 7번 슬로프를 이용 가능한 실버 리프트가 있다. 6인승이며 순환이 빠른편. 그래서 블루 리프트에 사람이 몰릴때 실버로 가면 리프트를 빠르게 탑승 가능하다.

모든 리프트가 Doppelmayr[1]사의 리프트이다.

2.2. 숙박시설

메이플 콘도라는 다른 리조트에 비해서 작은 콘도가 있다.

3. 여담

  • 4번 슬로프는 예전에 5번 슬로프 옆에 있었으나 5번 슬로프를 확장하면서 없어졌다고 한다.
  • 곤지암리조트와 함께 경기권의 투톱. 시설도 좋고, 동호회 활동도 활발하며, 이벤트도 좋고 많다.
  • 시즌권 가격은 적당한 편이며, 강남이나 분당 등과 가까워서 주말엔 인파가 엄청나게 몰린다.
  • 경기권의 휘팍이라 불릴만 하지만, 역시 경기권이라 운영기간에는 한계가 있다.
  • 초급 슬로프에 입문자들을 위한 컨베이어 벨트가 있으며 2갈래로 나눠져있다.[2][3] 오렌지는 중급이지만 사실상 초중급으로 1번 슬로프와 경사 차이가 별로 없고 좌우로 많이 넓은 편이라 초중급자들이 연습하기 매우 좋다.[4]
  • 위에서 이어지는데, 슬로프 난이도가 전반적으로 과대평가되어있다. 사실 과거에는 오렌지는 초중급, 7번이 중급, 5번이 중상급[5]으로 분류되었고, 현재도 비교적 오래된 시설물에는 이렇게 표기된 경우가 상당히 많다. 사실 기존의 분류가 타 스키장과 비교했을때 훨씬 더 통상적인 난이도 분류인데, 바뀐 이유는 불문.
  • 뉴오렌지는 항상 햇빛이 안 드는 곳이라 설면이 단단하게 얼어있으며, 초반에 급경사를 보고 겁먹은 초중급자들이 눈을 다 쓸고 내려와 조심해야 한다.[6]
  • 설질관리는 좋은 수준으로 곤지암리조트와 거의 대등하지만, 경기권이라는 한계 때문에 강원도권 스키장에 비하면 좋지 않다.
  • 콘도가 있는데, 한 시간 이내에 서울에 사대문 안에 들어갈수 있는 근교라 숙박 손님은 거의 없고 대회나 세미나 온 사람들이 이용한다.
  • 폐장 후 1-2주간 스프링 시즌을 운영한다. 모글리스트들과 레이서들이 이용한다. 16/17 시즌은 날씨가 안 좋아 3월 4일 폐장 후 3월 12일까지 1주일간 무료 운영하고 닫는다.
  • 이후 기간에는 스키장 경사를 살려서 용평리조트처럼 MTB 다운힐 파크를 운영중이다.
  • 21/22 시즌 이후 베어스타운양지파인리조트가 폐장에 가까운 운영을 했고 실제 폐장까지 이어짐에 따라 곤지암리조트와 함께 경기도에서 엄청난 득을 보는 스키장이다.
  • 2월 평일 야간/심야시간대에도 1 ,2 ,3 주차장이 만석으로, 주말시간만큼 사람이 빽빽한 오렌지 슬로프를 확인 할 수 있다.
  • 지구온난화로 인해 개장일이 점점 늦춰지고있다. 22/23 시즌은 12/4일에 오픈했고, 23/24 시즌은 12/6일에 오픈했지만 24/25 시즌의 경우에는 가장 늦은 12/13일에 오픈했다.

[1] 베어스타운과 리프트 제조사가 동일하다.[2] 1-1은 왕초보용, 1은 초보용. 1-1은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올라가 이용할 수 있으며 경사각은 별 차이가 없는 수준이지만 1이 조금 더 높다.[3] 두 슬로프 모두 평지 수준이라 초보자가 연습하기 좋다.[4] 타 스키장에서 중급을 타고 왔다면 7번 슬로프로 가는 것을 추천. 여기가 용평의 골드환타스틱과 상당히 비슷하다.[5] 상단까지 포함이다. 5번 상단부는 무려 2단계나 오른 셈. 현재는 상급 코스로 표기되는 실버 리프트-5번 중하단 연결부는 과거에 5-1번으로 분류되었다.[6] 블루 5번 슬로프도 햇빛이 안 들지만 오른쪽에 실버 슬로프가 있어서 뉴오렌지보단 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