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유엔 기후변화 협약 당사국 총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P1 | COP2 | COP3 | COP4 | COP5 |
1995 베를린 | 1996 제네바 | 1997 교토 | 1998 아르헨티나 | 1999 본 | |
COP6 | COP7 | COP8 | COP9 | ||
2000 헤이그 | 2001 본 | 2001 마라케시 | 2002 뉴델리 | 2003 밀라노 | |
COP10 | COP11 | COP12 | COP13 | COP14 | |
2004 부에노스아이레스 | 2005 몬트리올 | 2006 나이로비 | 2007 발리 | 2008 포즈난 | |
COP15 | COP16 | COP17 | COP18 | COP19 | |
2009 코펜하겐 | 2010 칸쿤 | 2011 더반 | 2012 도하 | 2013 바르샤바 | |
COP20 | COP21 | COP22 | COP23 | COP24 | |
2014 리마 | 2015 파리 | 2016 마라케시 | 2017 본 | 2018 카토비체 | |
COP25 | COP26 | COP27 | COP28 | COP29 | |
2019 마드리드 | 2021 글래스고 | 2022 샤름엘셰이크 | 2023 두바이 | 2024 바쿠 | |
COP30 | COP31 | COP32 | COP33 | COP34 | |
2025 벨렝 | 2026 미정 (서유럽) | 2027 미정 (아프리카) | 2028 미정 (아시아태평양) | 2029 미정 (동유럽) | |
■ 리우 회의 체제 ■ 교토의정서 체제 ■ 파리협정 체제 |
<colbgcolor=#207e6a><colcolor=#ffffff>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2023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ference COP 28 | ||
| ||
대회 기간 | 2023년 11월 30일 ~ 2023년 12월 12일 | |
개최 지역 |
두바이 | |
참가국 |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 협약국 | |
의장 | 술탄 아흐메드 알자베르 | |
링크 | 공식 사이트 | |
이전·이후 총회 | ||
2022년 샤름엘셰이크 | 2023년 두바이 | 2024년 바쿠 |
1. 개요
2023년 11월 30일부터 12월 12일까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개최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2. 결과
탈화석연료 전환에 대한 합의가 이뤄졌다. 다만, 단계적 퇴출이 아니라 더 순화된 전환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비판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일본, 뉴질랜드, 노르웨이, 이스라엘 등 엄브렐러 그룹 국가들이 초안을 보고 서명을 거부했었고 군소 도서 국가 연합 또한 섬나라에 사형 선고라며 비난했다.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하고 산업화 대비 세계 평균기온 상승세를 1.5도로 유지하는 데에 있어 원자력 발전이 필수적임을 확인하였고 25개국이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 발전량을 3배로 증산할 것을 합의하였다.[1] #
[1] 아르메니아, 불가리아, 캐나다, 크로아티아, 체코, 핀란드, 프랑스, 가나, 헝가리, 자메이카, 일본, 대한민국, 몰도바, 몽골, 모로코, 네덜란드,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웨덴, 우크라이나, 아랍에미리트, 영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