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6px -10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22578d> | EBS 성우극회 소속 성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기수 및 년도 | 남 | 여 |
<colbgcolor=#f5f5f5,#2d2f34> 제특기(1961, 1968) | 김수자, 목춘수, | ||
제1기(1976) | 기영도 | 김민선, 안소연, 유재옥, 이나미, 이은영, 장영주 | |
제2기(1979) | 기연호 | 김민정, 이성미 | |
제3기(1981) | 김무규, 조경모 | ||
제4기(1982) | |||
제5기(1982) | |||
제6기(1983) | 김창기 | ||
제7기(1985) | 홍성룡 | ||
제8기(1986) | 박은주 | ||
제9기(1987) | 이채진 | 정현숙 | |
제10기(1988) | 최윤태 | 이서윤 | |
제11기(1989) | 박경찬, | 김미정, 김윤미, 최향윤 | |
제12기(1991) | 이원상 | 강경아, 박인선, 이혜영, | |
제13기(1993) | 김호정, 남경표 | 김미현, 차경희 | |
제14기(1995) | 신경택, 최지환 | ||
제15기(1996) | 이소영, 홍소영 | ||
제16기(1997) | 정윤정 | ||
제17기(1998) | 엄상현, 전태열 | 국승연, 이은정 | |
제18기(2000) | 장은숙(극회장) | ||
제19기(2001) | 박웅선, | 이영아, 이주희, 홍희숙 | |
제20기(2004) | 김창열, 정영웅 | 김은아, | |
제21기(2007) | 오병조, 이기호 | 전해리, 정미라 | |
제22기(2010) | 한미리, 한혜원 | ||
제23기(2013) | 이민규 | 김수영, 유보라, 천지선 | |
제24기(2015) | 오민혁, 채아신 | 권영지, 권지애 | |
제25기(2017) | 한만중 | 김보민, 이한솔 | |
제26기(2019) | 이상준 | 김아롱, 이보용 | |
제27기(2021) | 김단 | 김예령, 류지아 | |
제28기(2023) | 송준 | 강해나, 장희라 | |
타 성우극회 : 대교방송 · 대원방송 · 투니버스 · CBS · KBS · MBC · PBC | |||
| }}}}}}}}} |
<colbgcolor=#878787><colcolor=#fff> EBS 성우극회 극회장 EBS 성우극회 18기 성우 | |
장은숙 Jang Eun-sook | |
<nopad> | |
출생 | 1976년 8월 14일 ([age(1976-08-14)]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
|
본관 | 안동 장씨 (安東 張氏) |
가족 | 부모님, 배우자, 딸 |
신체 | 166cm, 48kg, B형 |
학력 |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
소속 | EBS 성우극회 18기 (프리랜서) |
활동 시기 | 전속: 2000년 ~ 2002년 프리랜서: 2003년 ~ 현재([age(2000-01-01)]년 차) |
링크 |
1. 개요
대한민국의 성우. 2000년 EBS 성우극회 18기로 입사했으며[1] 2003년부터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성우가 된 것은 서혜정 성우의 영향이 크다고 한다. 홍쇼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성우 일을 하기 이전 방송일을 했을 때 "너는 뭐냐"고 물었고 "너는 성우 될 수 있다"고 하면서 성우 시험 응시를 제안했다. 그 결과 지금의 장은숙 성우가 될 수 있었다고.
2. 활동
귀엽고 톡톡 튀는 목소리로 같은 소속 성우 장경희와 함께 주로 소녀 캐릭터를 맡고 있지만 하라다 리카처럼 성인 여성도 잘 소화한다.2013년 6월 14일자 나 혼자 산다에서 노홍철, 올밴의 발음 교정 지도를 위해 출연했는데, 여기서 같이 나온 사람이 다름 아닌 김정규 PD다...[2]
2015년 7월 12일, 마이 리틀 텔레비전 MLT-07에서 후배 성우인 정영웅과 함께 레이디 제인의 '연애 잘 알지도 못하면서...' 코너에 출연했다.[3]
투니버스와는 오랫동안 인연이 없었다가 2017년에 마침내 명탐정 코난에 나오면서 늦게나마 투니버스 출연을 달성하였다.
2024년부터 EBS 성우극회 극회장을 맡았다. 전임은 하성용.
현재 정영웅이 원장으로 있는 성우학원에서 강사로 근무 중이다.
3. 출연작
묘하게 원판이나 현지화된 이름이 유미인 캐릭터가 많다.(☆)3.1. 애니메이션
- 갓슈벨 극장판 101번째 마물 - 코토하
- 검볼 - 다윈 워터슨, 제이미 루소
- 골든보이 - 노리코, 치에
- 공주님 조심하세요 - 소바나
- 극상학생회 - 이치카와 마유라, 오다 하즈키
- 과학마술단 - 이다솔[4]
- 기사제인과 말썽꾸러기 용(EBS) - 공주
- 꼬마버스 타요(EBS) - 멜로디
- 꼬미와 베베 - 베베 엄마, 캐티
- 꾸러기 닌자 토리 - 유미☆, 엄마
- 나비의 모험 - 나비
- 네모네모 스펀지 송 - 각종 단역
- 냉장고 나라 코코몽 - 캔디팡
- 다이노스터: 공룡수호대 - 루시오 엄마
- 달려라! 도라라 - 반바니
- 도라에몽 - 도라미[5]
- 도와줘요! 코알라 형제 - 앨리스
- 동경대부 - 사치코
- 동물대탐험 - 구리구리 댕댕 - 댕댕
- 두키 탐험대 - 먼디
- 뒤죽박죽섬의 빅풋패밀리 - 삐뿌
- 딸기 100% OVA - 하시모토 치나미
- 띠띠뽀 띠띠뽀(EBS) - 씽씽
- 띠띠뽀와 마법 기차 - 지니, 씽씽
- 뚜바뚜바 눈보리 - 핑크아루
- 릴리의 모험일기 - 메리글루
- 멋쟁이 낸시 클랜시 - 엄마, 그레이스
- 명탐정 코난 14기 (2017)[6] - 고채영[7][8]
- 모피와 친구들 - 리
- 몬카트 - 베스 테일러
- 뭐하니, 패즈? - 토야
-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와 블랙캣 - 티키, 나디아 사막, 말레나 세제르, 미레유 까께, 크리스 라히프
- 미술탐험대 - 지니
- 미스테리야 - 플랫마이너 공주
- 뱀부 블레이드 - 오다지마 레이미, 키리노 동생
- 베르사유의 장미(EBS 재더빙판) - 니콜 라 몰리에르, 샤를로트 드 폴리냐크
- 벤과 홀리의 리틀 킹덤 - 홀리
- 본타: 땅콩왕국의 전설 - 니팝
- 뽀롱뽀롱 뽀로로 - 뚜뚜
- 4기 - 보라색 나비, 응가 요정
- 6기 - 꼬물이
- 샤먼킹 - 타마무라 타마오, 코로로, 샐리, 마티 외 각종 단역
- 세미와 매직큐브 시즌 2(EBS) - 각종 단역
- 솔티레이 - 셀리카 야요이
- 숨겨진 숲의 비밀 - 그렉
- 슈퍼 다이노 - 케라
- 스모모모모모모 ~지상 최강의 신부~ - 미야모토 이로하
- 스즈메의 문단속 - 이와토 츠바메
- 스쿨랜드(EBS) - 꽁짜
- 슬레이어즈 고저스 - 핑크 드레스
- 시간탐험대(EBS 재더빙판) - 스카이
☆[10] - 아유마유 극장 - 타마노 마유
- 아이들의 장난감 - 송선생님, 아영, 박수련, 소지아, 나범재
- 안젤리나 발레리나 - 안젤리나
- 암굴왕 - 에데, 발랑틴 드 빌포르, 에드와르 드 빌포르
- 애코와 친구들 - 아양, 갈구
- 엄마 까투리 - 막내연어, 엄마물떼새, 꿀벌
- 에그엔젤 코코밍 - 포포밍[11], 유진아, 김다빈, 스노밍, 너스밍, 냐냐밍, 유리
- 완소! 퍼펙트 반장 - 남 마리아
- 요괴인간 2006년판 - 마코토, 유미코☆, 유, 나츠메, 소라 누나
- 요술공주 세리 - 포미[12]
- 요절복통 사총사 - 산드라
- 우주탐험가 젯 - 민디, 래퍼티 박사
- 위시캣 - 우아냥
- 이누야샤 - 시오리, 춘랑
- 정글에서 살아남기 마루의 어드벤처 - 아라
- 제로의 사역마 - 카틀레아, 티파니아 웨스트우드
- 지옥소녀 - 하시모토 마유미, 유키 엄마
- 쵸비츠 - 강유미☆
- 출동! 슈퍼윙스 - 아리, 마리벨 공주, 네오
- 극장판 슈퍼윙스: 맥시멈 스피드 - 아리, 다인엄마
- 칙칙폭폭 처깅턴 - 코코
- 콩이야 학교가자 - 콩이
- 컸다! 러그래츠 - 딜
- 캐니멀
- 캐치! 티니핑 - 모야핑
- 코고맨 - 아리, 해설
- 택틱스 - 나츠미
- 토끼네 집으로 오세요 - 능금
- 투모야 친구들 - 보롱
- 파워퍼프걸Z - 켄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극장판 7기 열공의 방문자 테오키스(대원 더빙판) - 오드리
- 프린세스 바리 - 코디, 사오정
- 피터 래빗 - 릴리
- 피터팬: 후크 선장과 결투의 날 - 피터팬
- 허니와 클로버 - 하라다 리카
- 헌터×헌터 (1999) - 콜트피, 엘레나&이타
- 박물관이 진짜 살아있다 - 하비
- 폴리포켓 - 커스티
- 요술상자 - 케이트, 각종배역
3.2. 특촬물
3.3. 외화
- 마담 퐁파두르 (EBS) - 앙리에트 공주(클로이 스테퍼니)
- 마디타와 리사벳 (EBS) - 리사벳
- 슈가 & 스파이스 (SBS) - 해나
- 식스티 세컨즈 (SBS) - 초보 운전생(그레이스 우나)
- 아저씨 우리 결혼할까요?(SBS) - 학생(이칭의)
- 오 O (SBS) - 브랜디(레이철 슈메이트)
- 칼라의 소망 (EBS) - 주니어(조너선 워너 유엘)
3.4. 내레이션
3.5. 게임
- 그라나도 에스파다 - 로라 콘스탄스, 세실 아세리아, 캐논 슈터 클레어
- 블레이드 앤 소울 - 비여홍, 가연, 희경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루루벨 피즐뱅
- 엘소드 - 아리엘, 헬렌 외 단역
3.6. 기타
- 마이 리틀 텔레비전(MBC) - MLT-07 레이디제인 방송의 쇼윈도 여자
- 말할 수 없는 남매 - 박쥬리
- 쿠베라 - 후라
- 방귀대장 뿡뿡이(EBS) - 뿡순이(2003.3~2009.2)[13]
- 알록달록 콩콩이(EBS) - 아리콩
- 과거 EBS 보니하니에 책을 읽는 코너에서 실사로 나와 책을 읽어주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전태열 성우와 격주로 번갈아가면서 출연.
- AIG 보험광고에 실사로 출연한적이 있다.
- 락앤락글라스 - 라디오 광고
- SK텔레콤 - TTL[14]
- 현대오토에버 맵피 - 길안내 음성[15][16]
- 처음 타요 - 씽씽씽
3.7. 노래
4. 여담
- 사진을 보아도 알 수 있듯이 동안이다. 동갑이자 후배인 문남숙과 더불어 성우계의 대표적인 동안 미모의 소유자이다.
- 서혜정 성우와는 전속 시절부터 알고 지낸 사이이다. 애초에 장은숙이 성우 일을 시작하기 이전에 성우가 될 수 있도록 조언을 해준 이가 서혜정 이었으니 어찌 보면 당연하다.
- 슉슉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동료 성우들이 그렇게 부른다.
5. 관련 문서
[1] 참고로 EBS 18기 성우는 남녀 통틀어 장은숙이 유일하다. 단 한 명만 뽑는 시험이었다고 한다. 이는 동일 극회 내 선배인 정윤정도 마찬가지.[2] 두 사람이 방문한 스피치 연기학원의 원장. 노홍철과는 예전에 같이 더빙 작업한 적이 있는 지라 서로 안면이 트인 듯.[3] 다만, 직접 얼굴을 드러내지는 않고 실루엣으로만 출연했다.[4] 꾸러기 닌자 토리 중 유미 목소리랑 흡사하다.[5] 2009년 방영분까지. 이후 신 시리즈와 극장판에선 대원 1기 김민정, 대원 3기인 채민지가 연이어 맡고 있다.[6] Tooniverse 첫 출연작.[7] 20~21화 (불편한 다과회) 입원환자 / 42세[8] 김선미 살해범. 친구였던 김선미(김지혜(성우))의 아들인 현수 때문에 당시 임신한 고채영에게 독감이 옮았는데, 고채영은 불안한 마음에 몸조리도 제대로 못하다가 유산한다. 어느 날 현수(이새벽)이 와서 독감에 걸렸으니 세원이(고채영 아들) 방에 가서 공부하라고, 독감이 옮아서 라이벌이 하나라도 줄으면 얼마나 행운이냐며 김선미가 현수에게 그랬다는 것을 말했고, 그에 분노한 그녀는 김선미의 찻잔에 베이킹소다를 타서 독살했다.[9] 박종태 경찰청장의 딸.[10] 원판의 이름만 유미다.[11] 열려라 코코밍은 이재현으로 바뀌었다.[12] 투니버스판은 최덕희.[13] 이후 정미라, 정윤정이 이어받았다.[14] 정식 성우가 되기 전에 녹음한 광고다.[15] 맵피 GO와 구형 스마트폰 어플 한정 이후 후속 제품에서는 전해리 성우의 음성으로 변경되었다.[16] 안내음성에 장은숙 성우 특유의 경쾌한 목소리가 잘 들어가있어 운전할때 듣기가 매우 좋다는평이 있다. 거기에 업계에서는 효과음의 괴물이라 불리는 현대오토에버 답게 효과음이 매우 호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