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6 03:14:06

잡식공룡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잡식성 공룡}}}에 대한 내용은 [[공룡상목 생물 목록]]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공룡상목 생물 목록#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공룡상목 생물 목록#|]]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잡식성 공룡: }}}[[공룡상목 생물 목록]]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공룡상목 생물 목록#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공룡상목 생물 목록#|]]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bgcolor=#c4c1c2,#c4c1c2><colcolor=#335b54> 잡식공룡
杂食恐龙[1]|Jabsik Dinosaur
<nopad> 파일:잡식공룡.jpg
본명 왕현수 (Wang Hyunsoo)
출생 1997년 6월 19일 ([age(1997-06-19)]세)
거주지 서울특별시
신체 O형(Rh+)
가족 부모님, 오빠 왕현우, 왕현민[2]
반려견 망고(웰시 코기)
학력 풍문여자고등학교 (졸업)
한림대학교 (제적)
링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복구][삭제][삭제][비공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샤오홍슈 아이콘.svg[비공개]

1. 개요2. 활동3. 논란 및 사건 사고
3.1. 전라도, 이재명/민주당 지지층 비하3.2. 국적 논란
4. 여담

1. 개요

대한민국에서 활동했던 음식 리뷰 유튜버.

2. 활동

새로 나온 프랜차이즈의 신메뉴와 SNS 맛집, 찐맛집을 리뷰하는 컨텐츠를 쇼츠 영상으로 제작하고 업로드했다.

종종 공룡 잠옷과 공룡 인형이 달린 머리띠를 착용하고 컨텐츠를 진행했다.

2019년 '왕구'[8]라는 닉네임으로 유튜브 활동을 시작했으며, 본인의 일상과 운동, 다이어트를 담은 Vlog 영상을 업로드했었다.

2023년 1월 12일에 올라온 영상을 끝으로 원래 채널에서의 영상 업로드를 중단했다. 2023년 1월 26일, 프랜차이즈 신메뉴와 맛집을 리뷰하는 '잡식공룡'이라는 유튜브 채널과 틱톡 채널을 개설했다.

2025년 6월 7일 16시경, 후술할 논란으로 인해 유튜브[9], 인스타그램, 틱톡 계정을 비활성화 하였고, 중국 내수용 SNS인 샤오홍슈 계정은 비공개했다.

3. 논란 및 사건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3.1. 전라도, 이재명/민주당 지지층 비하

파일:IMG_8902.jpg
2025년 6월 5일, 이재명 대통령제21대 대통령 선거 당시 전남 지역에서 89.04%의 득표율[10]을 얻은 것을 비하하는 스레드 댓글들을 캡처해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전라도 주민을 비하하는 글과 함께 올렸다. # 이후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을 비방하는 댓글들을 캡쳐하며 '중국어 배우기 싫은데, BYD 주식 사기 싫은데, 차이나 넘버원 외치기 싫은데'[11]라는 문구와 함께 게시했다.

해당 게시글에 대해 한 유저가 '일베충이세요? 전라도 왜 비하하셨나요?'라며 자신을 질타하는 댓글을 남기자, '라도인임? 긁혔나보네?'라고 답글을 달며 논란을 더욱 더 가중시켰다. # #
잡식공룡의 사과문 전문[삭제]
안녕하세요, 잡식공룡입니다.

최근 제가 올린 게시물에 지역을 비하하는 표현과 정치적으로 한쪽에 치우친 내용이 있었고, 그로 인해 많은 분들께 불편을 끼쳐 드렸습니다.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여러분이 보내 주신 디엠과 댓글을 읽으며, 제가 지금까지 얼마나 무지했고 잘못 알고 있었는지 깨닫게 되었습니다.

어릴 적부터 주변 환경의 영향도 있었고, 한쪽의 말만 듣다 보니 저도 모르게 편향된 생각을 갖게 된 것 같습니다. 그로 인해 특정 표현이 비하 발언이라는 점을 깊이 생각하지 못하고 경솔하게 사용했습니다.[13]

많이 반성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말 한마디, 게시물 하나도 더 조심하고 책임감 있게 다가가겠습니다. 또한 그릇된 생각을 갖지 않도록 늘 주의하고 반성하겠습니다.

실망하신 분들께 다시 한 번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결국 해당 게시글을 삭제하고 유튜브, 인스타 등 자신이 사용하는 SNS들에 사과문을 게시했다. 하지만 사과문에서 자신의 주변환경을 탓했다가 비난을 받자 삭제하는 등, 4과문이라는 의견이 대다수이다. 사과문 작성 이후에는 모든 플랫폼들의 댓글 기능을 막았다.
잡식공룡의 2차 사과문[삭제]
제 잘못된 언행으로 인해 상처 받은 분들께 다시 한번 정말 죄송합니다.

기부를 한다고해서 제 잘못이 없어지는것이 아니라는것 또한 분명히 명심하고 있겠습니다.

다시는 이런 경솔한 행동과 잘못된 생각을 하지않도록 평생 반성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이후 다시 사과문을 게시하며 5.18기념재단에 500만원을 기부하였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5·18 기념재단 홈페이지 문의 게시판 등에는 ‘잡식공룡의 기부금을 거부하라’는 청원 글이 빗발쳤다. #

중국에 대해 적대적으로 발언을 했지만, 정작 본인은 중국 내수용 SNS인 샤오홍슈[15]활발히 영상을 업로드하는 등 내로남불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중국은 싫지만 차이나머니는 못참지

사건 이후 대다수 영상의 댓글을 닫았으나 최신 영상을 포함한 일부 영상엔 댓글창을 열어두었는데, 이 영상들이 사전에 계약된 광고 영상이었기 때문에 댓글 창을 닫을 수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유튜브 사과문에 광고주가 댓글을 써서 이전 사태로 인해 카톡으로 광고 게재 중지 및 광고비 전액 환불 요청을 요청했으나 읽지도 않고 답장도 없다며 빠른 처리를 요청했다. # 뒤에서 조용히 사태를 수습 중인지 해당 광고의 비공개 처리와 더불어 과거 광고를 받았던 라라스윗 홍보 영상도 모두 비공개 처리를 하는 등, 추가적인 브랜드 이미지 타격에 의한 피해 보상 등을 피하기 위해 영상들을 내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6월 7일 16시경,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틱톡 계정을 삭제하였고 네이버 블로그는 글은 다 비공개 처리가 되었으나 안부게시글을 남길 수 있어 안부게시글을 통해 항의를 받고 있는 상황이며 중국 내수용 SNS인 샤오홍슈 계정은 한동안 열려있다가 6월 13일 경 비공개하였다. #

6월 11일, 5.18 기념재단은 '기부에 5.18 민주화운동을 기리는 의도가 없다'는 이유를 들며, 잡식공룡에게 기부 거절 의사가 담긴 이메일을 6월 9일에 보냈다고 밝혔다. # # # 박강배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지난 9일 유튜버 잡식공룡 측에 전화를 했는데 받지 않았다. 이후 이메일로 '이런 기부금은 받지 않겠다. 반환할 계좌번호를 달라'는 취지의 글을 보냈는데 답이 오지 않았다"며 "반드시 반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3.2. 국적 논란

파일:1000151401.jpg
논란이 된 답글
위 논란 발생으로 인해 조명된 과거 발언으로 인해 중국 국적자가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과거 인스타그램에 달린 "잡식공룡 중국인이다"라는 댓글에 "대통령 븅신인 나라 국민이라 좋겠다 님은, 난 중국인이라 괜찮음"이라고 받아치는 답글을 작성한 사실이 알려진 것이다.

가족이 중국에 거주하고 있고, 중국 여행 콘텐츠를 꾸준히 만들어 왔으며, 중국 SNS인 샤오홍슈 계정 개설에 중국 번호가 있어야 한다는 점 등이 추가로 거론되었다. # 또한 왕씨는 한국에선 희성이지만 중국에선 매우 흔한 성씨다. 그 샤오홍슈 계정에는 IP 주소가 중국의 산둥성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공교롭게도 한국 화교의 대부분이 산둥성 출신이기도 하다. 프로필 설명에는 반대로 "我是杂食恐龙 韩国人!"(저는 잡식공룡 한국인!)이라고 적어놨다.
파일:잡식공룡 샤오홍슈 크롭.png
샤오홍슈 계정 프로필
이러한 본인의 일구이언으로 인해 상기한 중국인 발언이 진담인지 아니면 조롱으로 맞받아친 건지, 어느 쪽이 사실인지는 불분명하다.

4. 여담

  • 2025년 1월 13일 SBS 생활의 달인에 꽈배기 덕후로 출연했다. 그러나 전술한 논란으로 인해 이 유튜브 영상이 비공개되었다.
  • 헬스장에서 운동하는 것 외에도 골프를 좋아한다. 왕구 채널을 운영하던 시절, 골프를 치는 영상을 몇 개 올렸었다.
  • 매운 것을 잘 먹는다. 왕구 채널을 운영하던 시절, 엄청 맵다는 불마왕라면을 먹으며 악플 읽기 컨텐츠를 진행했었는데, 매워서 괴로워하는 기색이 없었다.
  • 왕구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하던 시절에 사용했던 구독자 애칭은 '방구'였다.
  • 유튜버로 활동하던 당시 남자친구로 추정되는 인물 역시 음식 리뷰 유튜브 채널과 인스타그램 계정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잡식공룡의 논란이 불거지자, 이 인물의 채널과 SNS 계정의 계정명을 바꾸어 운영 중이다. ##

[1] 샤오홍슈 계정의 중국어 간체 명칭.[2] 현재 큐비스트(페이스팩토리, 베픈)와 계약하여 OEM 업무를 하고 있다.[복구] 2025년 6월 7일에 삭제하였지만 논란이 잦아들자 은근슬쩍 다시 복구시켰다.[삭제] [삭제] [비공개] [비공개] [8] 처음에는 '왕짱구'였으나 얼마 안가 왕짱구를 줄여서 왕구로 바꿨다.[9] 논란 전인 2025년 6월 6일 기준 구독자는 18만명이었다.[10] 캡쳐한 이미지는 개표 초반의 집계 결과로 최종적으로는 85.87%를 얻었다.[11] 일부 보수층이 이재명더불어민주당 인사 및 지지층의 성향이 친중이라고 주장하며 21대 대선을 전후하여 '이재명이 대통령이 되면 나라가 중국에 넘어간다'라고 해왔는데, 잡식공룡의 해당 게시글 또한 이러한 주장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삭제] [13] 이 부분은 최초 사과문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이후에 삭제하였다.[삭제] [15] 마오쩌둥의 어록을 담은 책의 별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