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21:46:31

임곡역

폐역 장성 - [ruby(옥정, ruby=1959~2006)] - 임곡
임곡역
역명 표기
호남선 임곡
Imgok
林谷 / イムゴク
주소
광주광역시 광산구 고봉로 785
(임곡동 532-1)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광주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광주본부)
운영 기관
호남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호남선 1914년 1월 11일
승강장 구조
2면 6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호남선
임 곡
파일:임곡역사.png
<colbgcolor=#ccc> 현 역사(1987년 준공)
파일:former_Imgok.jpg
구 역사 (1933년 준공, 1987년 철거)

1. 개요2. 역 정보3. 둘러보기

1. 개요

호남선철도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고봉로 785 (임곡동 532-25번지) 소재.

2. 역 정보

파일:임곡구내.png
역 구내
광산구에서도 교외 농촌 지역에 위치해 있어 지속적인 수요 감소로 2004년 7월 15일 여객영업이 중지되었다.

사실 이 역은 하남역, 광주송정역 등과 더불어서 광주광역시 내부의 화물을 수송하기 위한 역이었다. 한 해 화물수송량은 약 9만 톤 정도. 역 구내에 컨테이너 야적장이 있기 때문이다. 2015년 5월 28일에 화물취급역을 정비하면서 화물취급을 하지 않게 되었다. 컨테이너 화물 취급 기능은 하남역으로 이관되었다.

이 역이 위치한 도로명이 고봉로인데, 이 지역 출신의 조선 중기 성리학자인 고봉 기대승의 호를 딴 도로명이다. 기대승은 퇴계 이황과 사단칠정론으로 논쟁을 벌인 학자로 유명하다.[1]

2014년 1월 24일에 열차운전시행세칙 제7조에 따른 1명 근무지정역으로 지정되었고 2014년 8월 1일에 개정되면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어 하남역이 관리하게 되었다.

3. 둘러보기

호남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여객영업 X
}}}}}}}}}

[1] 경기도 고양시에도 똑같은 이름의 도로가 있는데, 저쪽은 고양시 일산 일대의 옛 지명인 '고봉현'에서 따온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