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31 13:25:52

일직 손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0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20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

일직 손씨
一直 孫氏
관향 <colbgcolor=#fff,#191919>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시조 손응(孫凝)
집성촌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인동리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경상북도 안동시
경상북도 청도군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산내면
경상남도 하동군
경상남도 합천군
대구광역시 동구·군위군
인구 27,132명(2015년)

1. 개요2. 역사3. 항렬표
3.1. 좌대언공파3.2. 판서공파
4. 인물

1. 개요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안동의 일직손씨는 고려/고려 후기 또는 조선 초 명신 손홍량(孫洪亮,1287~1397)을 중시조로 세계를 이어오고 있는 안동의 토착 성씨 중 하나이다.

일직 손씨(一直孫氏) 또는 안동 손씨(安東孫氏).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손응(孫凝)의 원래 성은 순(荀)씨였는데 고려 현종의 이름과 음이 같다하여 손(孫)씨로 사성되었다.

2. 역사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과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에 있는 손홍량 유허비에 의하면 시조 손응(孫凝)의 원래 이름은 순응(荀凝)으로 순(荀)씨였는데 고려 8대 현종의 이름과 음이 같다하여 손(孫)씨로 사성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손응 이후의 계대(繼代)에 대한 기록이 전하지 않아 상의직장동정(尙衣直長同正)을 지낸 손세향(孫世鄕)을 1세조로 하고 있으며, 장군을 지낸 손간(孫幹)을 중시조로 하여 일직(一直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에 자리잡아 살면서 본관을 일직(一直)으로 삼게 되었다.

3. 항렬표

좌대언공파와 판서공파로 나뉘며, 19세부터 42세까지 24개의 항렬자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좌대언공파 19세는 '진(鎭)○'입니다.

3.1. 좌대언공파

19 20 21 22 23
항렬자 진(鎭)○
양(養)○
경(慶)○
○룡(龍)
○진(振)
○경(敬)
○정(廷)
○원(遠)
○규(奎)
양(亮)○
24 25 26 27 28
항렬자 ○헌(憲)
○모(謨)
기(基)○
중(重)
○수(銖)
○호(鎬)
태(泰)○
제(濟)○
○상(相)
○동(東)
29 30 31 32 33
항렬자 희(熙)○
섭(燮)○
○규(圭)
○배(培)
경(鏡)○
동(銅)○
○순(淳)
○해(海)
병(柄)○
계(桂)○
34 35 36 37 38
항렬자 ○열(悅)
○환(煥)
수(壽)○
재(在)○
○종(鍾)
○균(鈞)
윤(潤)○
원(源)○
○식(植)
○주(柱)
39 40 41 42
항렬자 충(忠)○
덕(德)○
○곤(坤)
○대(垈)
용(鏞)○
예(銳)○
○구(求)
○호(浩)

3.2. 판서공파

19 20 21 22 23
항렬자 ○대(大)
명(命)○
처(處)○
억(億)○
국(國)○
○세(世)
효(涍)○
삼수변
시(時)○
몽(夢)○
주(周)○
○모(謨)
상(尙)○
종(宗)○
24 25 26 27 28
항렬자 ○경(慶)
○로(老)
석(錫)○ ○영(永) 병(秉)○ ○렬(烈)
○광(光)
29 30 31 32 33
항렬자 수(壽)○
희(喜)○
○호(鎬)
○현(鉉)
한(漢)○
완(浣)○
○직(稙)
○표(杓)
충(忠)○
덕(德)○
34 35 36 37 38
항렬자 ○균(均)
○곤(坤)
옥(鈺)○
은(銀)○
○준(浚)
○용(溶)
동(東)○
영(榮)○
○섭(燮)
○걸(杰)
39 40 41 42 43
항렬자 배(培)○
재(在)○
○탁(鐸)
○수(銖)
원(源)○
해(海)○
○근(槿)
○화(和)
경(炅)○
지(志)○

4. 인물

  • 손홍량(孫洪亮) : 시호는 정평(靖平). 고려 후기 활동한 문신. 첨의평리, 도첨의찬성사, 판삼사사를 지냈고 복천부원군(福川府院君)에 봉해졌다. 홍건적(紅巾賊)의 난으로 공민왕이 복주(福州: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로 피난할 때 중도에서 평복(平服)으로 왕을 맞아 치하를 받았다.
  • 손조서(孫肇瑞) : 호는 격재(格齋). 조선 전기 활동한 문신. 지봉산군사, 병조좌랑, 호조참의를 지냈고 점필재 김종직(金宗直)과 교류하며 한훤당 김굉필(金宏弼), 일두 정여창(鄭汝昌) 등을 제자를 두었다.
  • 손처눌(孫處訥) : 호는 모당(慕堂). 조선 중기 유학자, 임진왜란 당시 대구지역의 의병장. 한강 정구(鄭逑)를 스승으로 하고, 동고 서사선(徐思選), 사월당 유시번(柳時蕃) 등을 제자로 두었다.
  • 손린(孫遴) : 호는 문탄(聞灘). 조선 중기 활동한 문신. 한강 정구(鄭逑), 낙재 서사원(徐思遠)을 스승으로 하고, 정묘호란 당시 우복 정경세(鄭經世)에 의해 추천되어 대구지역 의병장으로 활동했다.
  • 손명대(孫命大) : 조선 후기 활동한 무신. 이인좌의 난을 토벌하고 경상좌도수군절도사에 제수되었으며, 훈련도감별장·선천방어사 등을 지냈다.
  • 손상룡(孫相龍) : 호는 불미헌(不媚軒). 조선 후기 활동한 무신. 금위영 선전관, 무산부사, 장단부사, 김해부사를 지냈다.
  • 손진민(孫鎭民) : 조선 후기 활동한 무신. 충청도수군절도사, 경상좌도병마절도사, 남도병마절도사, 북도병마절도사, 오위도총부부총관을 지냈다.
  • 손기현(1883)
  • 손기석
  • 손경헌
  • 손기찬
  • 손기석
  • 손종헌
  • 손양윤
  • 손기욱
  • 손병석
  • 손상대 손상윤 형제 : 언론인.
  • 손숙
  • 손시헌
  • 손일민
  • 손정의(손 마사요시) : 소프트뱅크 그룹 회장.
  • 손종헌
  • 손주연: 걸그룹 우주소녀의 멤버.
  • 손중철
  • 손태인
  • 손기창 : (주)경창산업 창업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