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17:58:24

일본식 외래어 표기

1. 개요2. 실제 사례3. 비슷한 사례

1. 개요

빈번히 볼 수 있는 일본식 외래어 표기를 그대로 가져가서 잘못 읽는 것을 바로잡는 문서. 가타카나로 표기된 일본어 외래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한글 표기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이러한 잘못된 표기가 나오는 근본적인 원인은 외래어 유입의 비중이 높은 일본어의 특성과 더불어 오로지 아는 건 일본어밖에 없고 일본에서 쓰이는 외래어의 어원에 관한 인문학적 지식 및 상식에 관한 공부는 거의 하지 않은 일본어 문서 번역자의 부족한 교양 때문이다. 번역이라는 작업이 해당 언어를 단순하게 읽을 줄 안다고 다 되는 게 아니라는 것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예라 하겠다.

{묠니르 → ミョルニル (묘르니르) → 묘르닐}의 예처럼 일본어 가나 표기의 한계로 원어를 잘못 옮겨내는 오류가 많으며, 아래의 ワルキューレ이나 イワン의 예처럼 한국과 일본의 외래어 표기 방식이 다른데[1] 그걸 무시하고 일본식으로 써내는 오류도 있다. 1990년대 이전에 출간된 서적이나 잡지, 신문 등을 보면 이러한 외래어 표기의 오류를 쉽게 볼수있는데 이는 원어 텍스트가 아닌 일본어 번역본을 중역해서 번역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었다. 특히 일제강점기 동안에는 일본어가 한반도에서도 최소한 제2언어의 지위를 갖고 있고 (물론 공식적으로는 제1언어였다) 다른 외국 문헌을 접할 기회가 적었던 만큼 일본어의 영향이 그만큼 컸다. 흔한 패턴은 아래의 것이 있다.
  • r과 l의 혼동[2]
  • 불필요한 ッ를 사이시옷으로 남김
  • '외', '위'에 해당하는 [ø], [y]를 '에'/'요'와 '유'로 옮김[3]
  • う단에 해당하는 'ㅜ'와 'ㅡ'의 혼동
  • F발음을 'ㅎ'으로 옮김
  • ne를 '-ㄴ느'로 옮김 (주로 프랑스어)

물론 일본어를 전공한 번역자가 세계의 모든 교양을 다 커버하기는 불가능하지만 상당 부분은 일본에서 쓰이는 기본적인 외래어를 숙지하거나 하다못해 잘 모르는 외래어 단어가 나왔을 때 사전이나 인터넷 검색이라도 하는 노력을 기울였다면 손쉽게 교정할 수 있는 것들이다.

한편 예외적으로 다른 언어에서 차용한 것이지만 일본에서 고유명사가 되었거나 의미가 달라진 것이라면 일본어 한글 표기법에 따라 적는 것도 틀렸다고만은 할 수 없다. 태풍 곤파스는 원래 '컴퍼스(Compass)'이지만 '일본에서 제출한 일본어 태풍 이름'에 속하며, 알파벳으로도 Kompasu이기 때문에 한글로 '곤파스'로 적는 것이 그 예.

2. 실제 사례

좌측은 잘못 사용된 예, 가운데는 잘못된 표기의 원인이 된 일본식 발음표기, 우측은 올바르게 사용된 예이다.
잘못된 표기일본식 발음표기올바른 표기
게이볼그ゲイ・ボルグ gei borugu 게이 보루구게 불그(Gáe Bulg)
고호ゴッホ gohho 곳호고흐(Gogh)
골리아테ゴリアテ goriate 고리아테골리앗 또는 골리아트(Goliath)
그라함, 그라햄グラハム gurahamu 구라하무그레이엄(Graham)[4]
그랜드グランド gurando 구란도[5] 그라운드(ground) 하나둘셋
궁그닐グングニル gunguniru 군구니루궁니르
기리샤ギリシャ girisha 기리샤그리스(Greece)
나팜ナパーム napāmu 나파무네이팜(napalm)
데빌デビル debiru 데비루데블(devil)
던필ダンピール danpīru 단피루담피르(dhampir)
라벨ラベル raberu 라베루레이블(label)[6]
라비린스ラビリンス rabirinsu 라비린스래버린스(labyrinth)
렌저, 렌쟈レンジャー renjā 렌자레인저(ranger)
ロン ron 론룽(榮)[7]
마루치マルチ maruchi 마루치멀티(multi-)
마키시모マキシモ makishimo 마키시모맥시모(maximo)
마하マッハ mahha 맛하마흐(Mach)
메비우스[8]メビウス mebiusu뫼비우스(Möbius)
묘르닐ミョルニル myoruniru 묘루니루묠니르(Mjöllnir)
미스테리ミステリー misuterī 미스테리미스터리(mystery)
바란스バランス baransu 바란스밸런스(balance)
바하バッハ bahha 밧하바흐(Bach)
부라보ブラボー bravō 부라보브라보(bravo)
부레끼[9]ブレーキ brēki 부레키브레이크(break)
부르스ブルース burūsu 부루스블루스(blues)
브렌드, 브랜드ブレンド burendo 부렌도블렌드(blend)[10]
브륜힐데ブリュンヒルデ buryunhirude브륀힐트(Brünhild)
사라만다サラマンダ saramanda 사라만다샐러맨더(salamander)
사벨, 샤벨[11]サーベル sāberu 사베루세이버(영어), 사브르(프랑스어)(sabre)
사이버스타, 사이버스터[12]サイバスター saibasutā 사이바스타사이바스터
사테라이트[13]サテライト sateraito 사테라이토새틀라이트
샤베트, 샤벳트シャーベット syābetto 샤벳토셔벗(sherbet)
샤콘느シャコンヌ syakonnu 샤콘누샤콘(chaconne)
세이버セイヴァー seivā 세이바세이비어(savior)
슬레이드게르밀スレードゲルミル surēdogerumiru 스레도게루미루슬레이드겔미르(Sladegelmir)
시보레シボレー shiborē 시보레-셰벌레이(Chevrolet)[14]
아라스톨アラストール arasutōru 아라스토루알라스토르(Ἀλάστωρ)
아리사アリサ arisa알리사(Алиса, Alisa)
아리스[15]アリス arisu앨리스(Alice)
알미늄アルミニウム aruminiumu 아루미니우무알루미늄(Aluminium)
알카드アルカード arukādo 아루카도알루카드(Alucard)
알카디아アルカディア arukadia 아루카디아아르카디아(Arcadia)
아킨페프アキンフェエフ akinfeefu 아킨훼에후아킨페예프(Акинфеев, Akinfeev)
알트론アルトロン arutoron 아루토론얼터우룽(二頭龍, èrtóulóng)
에네르기エネルギー enerugī 에네루기에너지(energy)[16]
엑기스エキス ekisu 에키스엑스트랙트(extract)[17]
엠페러エンペラー enperā 엔페라엠퍼러(emperor)
왁찐[18]ワクチン wakuchin 와쿠친백신(vaccine)[19]
왈큐레ワルキューレ warukyūre 와루큐레발키리(Valkyrja) 또는 발퀴레(Walküre)[20]
울드ウルド urudo 우루도우르드(Urd)
워커ウォッカ wokka 웍카보드카(vodka)
유그드라실
유그드랏실
ユグドラシル yugudorashiru 유구도라시루
ユッグドラッシル yuggudorasshiru 윳구도랏시루
위그드라실(Yggdrasill)
이스칸달イスカンダル isukandaru 이스칸다루이스칸다르(Iskandar)[21]
이완イワン iwan 이완이반(Иван, Ivan)
이리야イリヤ iriya 이리야일리야(Илья, Ilya, Ilija)
잔느ジャンヌ jannu 잔누(jeanne)
쟈가ジャガー jagā 자가재규어(jaguar)
쥬니올ジュニオール juniōru 쥬니오루주니오르(Júnior)
チェン chen 첸(橙, chéng)
ツー tsū 츠투(two)[22]
카모플라쥬カモフラージュ Kamofurāju 카모후라주카무플라주(Camouflage)[23]
카방클カバンクル kabankuru 카반쿠루카벙클(Carbuncle)
코드기어스コードギアス kōdogiasu 코도기아스코드 기아스(Code Geass)[24]
크로아치아クロアチア kuroachia 쿠로아치아크로아티아(Croatia)[25][26]
크 훌린ク・フリン ku furin 쿠 후린쿠 훌린(Cú Chulainn)
크림존クリムゾン kurimuzon 쿠리무존[27]크림슨(crimson)
타겟ターゲット tāgetto 타겟토타깃(target)
파라다이스パラダイス paradaisu 파라다이스패러다이스(Paradise)
파반느パヴァーヌ pavānu 파바누파반(pavane)
파브닐ファブニール fabunīru 화부니루파프니르(Fáfnir)
팡파레ファンファーレ fanfāre 황화레팡파르(Fanfare)
플랑돌フランドル furandoru 후란도루플랑드르
호엘ホエール hoēru 호에루웨일(Whale)
호일ホイル hoiru 호이루휠(wheel) 또는 포일(foil)
화이자ファイザー faizā 화이자파이저(Pfizer)
후르츠フルーツ furūtsu 후루츠프루츠(fruits)

3. 비슷한 사례

비슷한 사례로는 화이팅이 있다. 화이팅은 원래 영어 Fighting에서 온 단어로 외래어다. 그러나 영어 사용자들이 한국어로 된 매체를 영어로 번역하면서 '화이팅'을 번역해야 할 때는 어원이 된 영어 단어 'Fighting' 대신 한국식 발음을 그대로 옮겨서 'Hwaiting'이라고 쓴다.

다른 예로 waifu는 나의 신부|를 영어로 번역할 때 Mai Waifu로 옮기기도 한다(…).

한편 일본어 가나 표기의 한계로 원어를 잘못 아는 경우가 있다.
  • 만화 《진격의 거인》의 등장인물 '엘런 예거'의 이름인 Eren은 독일에서 터키계들이 흔히 쓰는 이름으로 '에렌' 내지는 '에런'으로 표기해야 하나, エレン이라고 적힌 걸 Ellen으로 잘못 추정하는 바람에 '엘런' 예거가 되었다.
  • 이런저런 게임에서 기술명으로 가끔 쓰이는 단어인 スタンピード는 스탬피드(Stampede)로 표기해야 하나, スタン 부분의 영향인지 스턴피드(Stun ?)로 잘못 적히는 일이 있다.


[1] 일본어 자체도 2차대전 후 일본어 자체의 철자법이 바뀌고 외국과의 교류가 늘어나면서 2차대전 이전과 직후, 그리고 고도성장기 이후의 외국어 표기에 차이가 있다.[2] 더 나아가 -r-과 -ru-, -l-과 -lu-도 흔히 혼동된다. 다른 자음 또한 う단으로 처리된 자음을 혼동하는 경우가 있지만 r, l만큼 두드러지지는 않는다.[3] 여담으로 이는 러시아어도 동일하다.[4] 단 영어식이 아닌 게르만계 인명의 경우 그라함이 맞다. (예: 카롤리네 그라함 한센)[5] 일본어에서도 비표준 표기이며 정상적인 표기는 グラウンド(그라운도)이다. 또한 grand의 정상적인 표기가 グランド이므로 혼동될 수 있다.[6] 일본에서도 レーベル이라고 쓰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레코드 레이블'.[7] 마작 용어 중 하나. 자세한 것은 마작의 룰 참조. 원래 중국마작에선 룽이 맞고 론은 룽을 일본식으로 발음한 것이다. 일본식 리치마작에선 론으로 표기하는 것도 타당성이 있다.[8] 단 담배의 경우 고유명사이며, 영문 표기도 mevius이기 때문에 이쪽이 맞다.[9] 국립국어원 우리말샘에 경남 방언으로 등재되었다.[10] ブレンド만 보고 브랜드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브랜드(Brand)는 일본어로 ブランド/Burando/이다.[11] 가장 유명한 표기는 빔 샤벨일 듯.[12] TV판만 예외로 psybuster.[13] 애니메이션 제작사의 경우 고유명사이므로 이쪽으로 써도 문제되지 않는다.[14] v-o 사이의 r이 탈락하여 축약되는 식이다. 단, 브랜드의 공식 한국어 표기는 '쉐보레'다.[15] 이는 어디까지나 Alice에만 해당된다. 실제로 '아리스(Aris)'라는 이름도 존재한다.[16] 단 일본어의 '에네르기'는 독일어 Energie에서 따온 것이며, 현대에 와서는 영어를 따온 에나지(エナジー)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기업 상호 등 고유명사는 거의 모두 영어식으로 바뀌었다.[17] '추출물'로 순화.[18] 북한 문화어에서도 왁찐으로 쓰나, 일본어 중역이 아닌 러시아어식 표기로 추측된다.[19] 일본어 표기는 독일어 Vakzin에서 따온 것으로, 독일어를 원어로 삼을 경우에는 '팍친'이 가장 가까운 표기가 된다.[20] 보면 알겠지만 일본 표기는 독일어에서 들여온 표기다. 반면 한국어에선 고대 노르드어인 '발키리'로 통용된다.[21] 이 경우는 다른 예시와 조금 다른데, 이스칸다르가 맞는 발음이고 일본식으로도 이스칸다르라고 쓰여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알파벳 l로 끝나서 한국어로 표기시 ㄹ받침으로 표기되는 단어가 일본어로 표기시 루(ル)로 끝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경우는 이스칸다르가 맞는 표기라는 걸 모르는 번역자가 이스칸다르라는 일본어 표기만 보고 지례짐작해서 이스칸달로 생각없이 바꿔버린 것이다.[22] 뮤츠, 플 투[23] 다만 이건 프랑스식이고, 영어식 발음은 한글로 적으면 '캐머플라지' 정도로 크게 다르지 않다.[24] 이 경우도 일본식 발음은 코드기아스이므로 표기가 틀린 건 아니다. 다만 기아스(Gease : 맹약, 주술)이라는 단어를 몰랐던 아마추어 번역자가 로봇물이니 기어스(Gears)이겠거니 지례짐작해서 코드기어스로 표기했고, 이 잘못된 표기가 공식 번역에까지 침투해버렸다.[25] 한국어 '크로아티아'는 공식적으로는 라틴어 Croatia에서 따온 것으로 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부터 일본어 번역에 의한 표기가 먼저 통용된 것이 확인된다.[26] 여담으로 크로아치아는 이탈리아어 표기인 Croazia와도 같다.[27] クリムソン(쿠리무손) 표기도 병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