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12:29:44

이 무림의 미친년은 나야/무대탐방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이 무림의 미친년은 나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무림의 미친년은 나야

등장인물 ([ruby(서문청,ruby=주인공)]작중 행적) | 설정 | 무대탐방


1. 개요2. 시대배경3. 지리4. 음식

[clearfix]

1. 개요

소설 《이 무림의 미친년은 나야》의 무대탐방에 대한 문서.

2. 시대배경

작중에선 '원시 고대 미개 중원'으로 통칭하며 구체적인 년도를 언급하진 않는다. 다만, 무림이라는 요소를 제외하면 주인공인 청이 무천대제의 검혼을 보고 우주공간을 유영하는 유체이탈 경험을 했을 때 보았던 장면[1]으로 미루어보아 실제와 같거나 거의 유사한 역사가 진행된 것으로 보이며, 작중에서 등장한 몇 가지 요소를 종합해보면 구체적인 시대배경은 명청교체기, 그중에서도 명나라가 멸망 직전까지 몰리는 1630년대 후반에서 1640년대 초반 정도로 추정된다.
  • 고구마감자가 등장한다. 두 작물이 중국에 본격적으로 전래된 것은 16세기 후반, 그중에서도 만력 22년(1594년) 대기근 당시이지만, 작중에서 묘사되는 것과 같이 남중국의 산골 마을에서도 대거 재배되는 모습이 나타나려면 17세기 초반까진 시간이 흘러야 한다. 참고
  • 고추가 전래되었지만, 사천을 포함한 일부 남부 지역에서만 사용되는 모습이 묘사된다. 고추는 고구마, 감자와 마찬가지로 16세기 후반에 전래되었지만, 운남, 사천, 귀주 3개 성 바깥에서도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무렵의 일이다. 고추의 보급률으로 미루어보아 양쪽 시기의 가운데에 낀 17세기가 시대 배경으로 유력하다. 참고
  • 북부군은 여진족과, 남부군은 왜구와 맞서싸우고 있다. 북로남왜가 심각한 문제가 되는 것은 만력제 연간 장거정이 죽은 뒤의 일로, 1590년대까지만 소급해서 계산해야 한다.
  • 북방에서 대순군을 이끄는 장년기의 이자성이 등장한다. 이자성이 실존인물과 생년월일이 같다면 1606년생이 되는데, 엘리트 코스를 밟았다 쳐도 여진군에 맞서는 정예부대의 장군[2]을 역임하고 있는 만큼 연령을 최소 30대 이상으로 추정 가능하다.

한편, 무림과 무공이 존재하는 만큼 실제 역사와는 다르게 흘러간 부분도 존재한다. 근본적으로 이 소설은 '무림생사전'이라는 게임 속의 무협 세계관에 빙의한 것을 전제로하고 있으니 빙의한 세계가 실제 역사 속의 중국과 다른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 원래는 북경순천부에 있어야 할 한림원이 현 황제의 홀대로 태원부로 옮겨간 상태이다. 따라서 한림원 시강학사인 천유학도 북경이 아닌 태원에서 교편을 잡고 학사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청과 장명도 천유학을 만나기 위해 태원이 위치한 산서성으로 향해야 했다.
  • 여진족은 원 역사에 비해 흥기하지 못해 청나라가 세워지지 못하고 북부군과 계속 전투를 벌이고 있다. 원래라면 사르후 전투 때 한차례 망가지고 원숭환 사후 기강이 완전히 무너졌어야 할 만리장성 및 요동 주둔 북부군은 금의위에 비해 비교적 홀대를 당하는 점을 제외하면 별다른 문제를 겪지 않고 오히려 명나라를 외적으로부터 지탱하는 대들보와 같은 핵심 정예군으로 큰 명망을 얻고 있다.
  • 이 시대에는 존재하지 않아야 할 지명인 흑룡강성, 청해성, 신강성, 강소성 등의 지명이 버젓이 쓰이고 있다. 다만, 이는 밑의 새외 출신 세가 및 문파들과 엮이는 문제도 있어 독자들이 알아보기 쉽도록 의도적으로 설정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 실제 역사에서 명나라의 직접통치권 하에 놓인 적이 없는 지역들이 중원 세가, 문파들의 근거지로 나오거나 관내 지역처럼 다뤄진다. 대표적으로 곤륜파가 청해, 무림맹주를 배출한 명문 흑룡조가가 흑룡강변에 위치해있는데 양쪽 모두 관외는커녕 중원 내지에 가까운 지역으로 묘사되며, 교통에도 아무런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그 외에도, 차하르부 몽골족의 영역이라 유목민에 가까운 생활상을 보여야 할 건평[3] 일대가 번듯한 객잔이 존재하는 중국풍 소도시로 묘사되는 등 전반적으로 명나라가 더욱 팽창주의적이고 발전된 듯한 모습을 보인다.[4]
  • 마라탕이 존재한다. 흔히 알려진 마라탕의 원형인 마오차이는 대략 청나라 건륭제 연간에 현재에 가까운 모습으로 자리잡았다. 다만, 마오차이의 원형인 훠궈의 경우 이미 원말명초 시기에 현재와 거의 동일한 레시피가 자리잡았고, 고추가 전래되면서 마라탕과 더욱 비슷한 형태가 되었을 것이므로 이렇게 훠궈가 마라 소스를 만나 변형된 레시피의 초기 마라탕을 청 일행이 먹었다고 하면 말이 되긴 한다.

3. 지리

파일:무친년 지도_ver1.1.webp
서문청 무림 6년차까지 행적도

중국의 도시와 관광지가 실감나게 등장하여 재미를 준다. 낙양(뤄양), 무한(우한), 성도(청두) 등의 대도시뿐만 아니라 여러 실존하는 중소도시가 배경으로 등장하며, 백마사, 동정호, 평산호대협곡, 도강언, 황학루 등 중국의 주요 문화관광지도 등장한다.

시대 배경상 중원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던 새외 지역 중에선 천마신교가 위치한 톈산 산맥 일대가 직접 등장하며, 북해북해빙궁청해의 아할랍달택산[5]에서 온 등장인물도 존재한다. 그 외에도 설정상으로 언급되는 지역에는 청이 익힌 용상반야호심공과 역근세수경이 기원한 천축대뢰음사, 라마승들의 본산인 서장포달랍궁, 그리고 귀한 영약 취급을 받는 고려인삼의 주 수입처로 나오는 고려 등이 있다.
===# 등장 지역 #===
||<tablewidth=100%><rowbgcolor=#000000><rowcolor=#FFF> 지역명 || 명대 지역명 || 현대 지역명 || 방문 화수 || 주요 사건 ||
1년차
서산 - 랴오닝성 차오양시 시산[6] 프롤로그 서문청 빙의 장소.
건평 북평행도사 대녕위 건평성 랴오닝성 차오양시 젠핑현 - 서문청이 낭인으로 활동하던 도중 이곳에 위치한 객잔에서 쫓겨남.
2년차
청하 북직예 순덕부 청하현 허베이성 싱타이시 칭허현 1화 청하삼협을 처음 만남.
낙양 하남성 하남부 낙양현 허난성 뤄양시 6화 팽대산, 제갈이현, 황보운척을 처음 만남.
흑영회 영애와 그 호위들을 처치함.
신녀문 사천성 기주부 신녀봉 충칭시 우산현 셴뉘봉 23화 진장명을 데리고 도주하던 도중 서문수린에게 거둬짐.
신녀문에 입문함.
자귀 호광성 형주위 자귀현 후베이성 이창시 쯔구이현 27화 -
동정호 호광성 악주부 동정호 후난성 웨양시 둥팅호 30화 장강수로채에서 식인마군을 처치하고 총채주에게 용왕패와 함께 융숭한 대접을 받음.
안경 남직예 안경부 안후이성 안칭시 38화 장강수로채의 호위를 받으며 상륙한 곳.
남궁신재를 처음 만남.
황천 하남성 여녕부 황천현 허난성 신양시 황촨현 42화 팽대산과 재회함. 창빈을 처음 만남.
신양 하남성 여녕부 신양현 허난성 신양시 46화 대정문의 왕손만이 혈교의 사주를 받아 일으킨 섭심공 사건을 해결함.
한 노파의 아들을 찾던 도중 수별산 천후묘를 도굴하던 천마신교 전진파랑대 일당을 처치하고 복신적을 습득함.
화산파 섬서성 서안부 화산 산시성 웨이난시 화산 55화 화산파를 방문함.
절검벽에서 독고구검의 8번째 초식 천변만화를 습득함.
신녀문 사천성 기주부 신녀봉 충칭시 우산현 셴뉘봉 59화 2년차 여행을 마치고 신녀문으로 복귀.
3년차
천산신시 - 신장위구르자치구
아커쑤 지구 포베다 산
72화 아미파, 청성파가 위치한 사천으로 가려던 중 신교지존 염휘영에게 납치되어 끌려감.
견포희, 설가놈과 처음 만남.
칠채산 섬서행도사 고치소 칠채산 간쑤성 장예시 치차이단샤 94화 천마총으로 향하던 도중 지남.
천마총 섬서행도사 감주오위 평산호대협곡 간쑤성 장예시 핑산호지리공원 95화 천마혼을 발굴하면서 환골탈태를 거침.
천마혼을 내면에 봉인하고 새로운 천마신교의 지존으로 등극함.
숭주 사천성 숭주 쓰촨성 청두시 충저우시 106화 생활비를 벌기 위해 지하투기장에서 여항적이라는 가명으로 활동함.
성도 사천성 성도부 쓰촨성 청두시 107화 당난아, 자유, 팽초려, 연파, 견노와 처음 만남.
사천당가, 덕현친왕부와 엮인 문제들을 해결함.
도강언 사천성 성도부 도강언 쓰촨성 청두시 두장옌 117화 황실이 자유를 독살하기 위해 민장강에 오양즉을 풀어놓은 것을 확인하고, 오독문 소속 무인들을 처치함.
중경 사천성 중경부 충칭시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도중에 방문함.
신녀문 사천성 기주부 신녀봉 충칭시 우산현 셴뉘봉 142화 3년차 여행을 마치고 신녀문으로 복귀.
4년차
자귀 호광성 형주위 자귀현 후베이성 이창시 쯔구이현 27화 설가상회의 상황을 보기 위해 방문함.
무창 호광성 무창부 후베이성 우한시 우창구 148화 제갈이현과 재회함.
신양 하남성 여녕부 신양현 허난성 신양시 152화 -
주마점 하남성 여녕부 주마점 허난성 주마뎬시 153화 당난아의 세침을 수리하기 위해 반가철방에 방문했다가 나면파 소속 무인들을 처치함.
숙압호 하남성 여녕부 주마점 숙압호 허난성 주마뎬시 쑤야호 161화 흑시에서 무영신투 천유학을 처음 만나고, 이후 벌어진 소란으로 도시에서 도망침.
장원 하남성 개봉부 장원현 허난성 신샹시 창위안현 165화 전낭을 맡기고 오는 바람에 여비가 떨어져 거지 행세를 함.
팽대산, 팽초려와 재회함. 모용준, 조학체를 처음 만남.
개봉 하남성 개봉부 허난성 카이펑시 179화 무림맹이 개최한 무림대회에 참여해 결승전에서 역대 최연소로 초절정에 오름.
천유학의 정식 제자가 되어 차기 무영신투가 되기 위한 훈련을 받음.
진설, 설이리, 모용주희, 공손요예, 사마춘봉과 처음 만남.
혈교 지부가 고독과 잠람단을 사용해 꾸미던 음모를 차단함.
소림사 하남성 개봉부 숭산 허난성 정저우시 쑹산 271화 황후와 처음 만나 자신의 진정한 출신을 깨달음.
절검벽에서 독고구검의 1번째 초식 유아독존을 습득함.
등봉 하남성 개봉부 등봉현 허난성 정저우시 덩펑시 275화 소림사를 방문한 뒤 종남파를 방문할 준비를 하기 위해 설이리와 함께 숙소를 잡음.
부북촌 하남성 하남부 부북촌 허난성 뤄양시 후베이촌 282화 강간미수를 시도한 마부 일당을 처치하고 낙양으로 복귀하기 전 하룻밤 묵음.
감산 하남성 하남부 감산 허난성 싼먼샤시 간산 284화 감산 녹림이십구채를 파괴하고 총채주의 장남을 살해함.
낙녕 하남성 하남부 낙녕현 허난성 뤄양시 뤄닝현 290화 황하 제방을 설계한 기술자를 변호하고 수해 이재민 구휼을 실시함.
낙남 섬서성 서안부 낙남현 산시성 상뤄시 뤄난현 302화 서안으로 향하는 길에 방문함.
서안 섬서성 서안부 산시성 시안시 302화 수해의 원흉인 장흥상방을 처리함.
종남파 섬서성 서안부 종남산 산시성 시안시 쭝난산 317화 절검벽에서 독고구검의 7번째 초식 견월망지를 습득함.
석천 섬서성 한중부 석천현 산시성 안캉시 스취안현 323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길에 방문함.
안강 섬서성 한중부 안강현 산시성 안캉시 323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길에 방문함.
평리 섬서성 한중부 평리현 산시성 안캉시 핑리현 323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길에 방문함.
죽산 호광성 운양부 죽산현 후베이성 스옌시 주산현 323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길에 방문함.
방현 호광성 운양부 방현 후베이성 스옌시 팡현 323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길에 방문함.
흥산 호광성 형주위 흥산현 후베이성 이창시 싱산현 323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길에 방문함.
신녀문 사천성 기주부 신녀봉 충칭시 우산현 셴뉘봉 324화 4년차 여행을 마치고 신녀문으로 복귀.
5년차
용산 호광성 사주선위사 용산현 후난성 샹시 룽산현 328화 남녕으로 향하던 도중 바가지 장사에 당함.
천자산 호광성 악주부 천자산 후난성 장자제시 톈쯔산 328화 녹림총채주 왕철군을 처치하고 원가계 일대의 모든 녹림채를 불태웠지만, 이 과정에서 중상을 입음.
원가계 호광성 악주부 원가계촌 후난성 장자제시 위안자촌 350화 녹림제일채를 떠난 뒤 들러서 물자를 보급함.
회화 호광성 진주 회화현 후난성 화이화시 350화 남녕으로 향하는 길에 방문함.
통도 호광성 정주 통도현 후난성 화이화시 퉁다오현 350화 가짜 산적으로 변장하고 만나는 행인들을 학살하던 관군을 마주쳐 모조리 처단함.
관군에게 습격을 당해 도주하던 자유, 연파와 재회함.
무수강 호광성 정주 무수강 후난성 사오양시 무수강 361화 자유, 연파를 수레에 싣고 관군의 포위망과 산불을 피해 도망치다 빠진 강.
남녕 광서성 남녕부 광시좡족자치구 난닝시 371화 자유, 연파와 함께 도착해 무림맹 임무인 계림검파 지원을 완수함.
광주 광동성 광주부 광둥성 광저우시 394화 진설, 견포희, 염휘영과 재회해 광동진가를 재건하는 것을 돕고 사도련의 광동 진출 시도를 차단함.
청원 광동성 광주부 청원현 광둥성 칭위안시 430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도중에 방문함.
양산 광동성 광주부 양산현 광둥성 칭위안시 양산현 430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도중에 방문함.
연주 광동성 연주 광둥성 칭위안시 롄저우시 430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도중에 방문함.
의장 호광성 침주 의장현 후난성 천저우시 이장현 430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도중에 방문함.
침주 호광성 침주 후난성 천저우시 430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도중에 방문함.
형양 호광성 형주부 형양현 후난성 헝양시 430화 신녀문으로 복귀하는 도중에 방문함.
자귀 호광성 형주위 자귀현 후베이성 이창시 쯔구이현 431화 염휘영, 견포희, 랑랑과 헤어진 뒤 설가놈의 근황에 대해 전해들음.
신녀문 사천성 기주부 신녀봉 충칭시 우산현 셴뉘봉 431화 5년차 여행을 마치고 신녀문으로 복귀.
6년차
삼문협 하남성 하남부 삼문협 허난성 싼먼샤시 435화 태원으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함.
운성 산서성 평양부 운성현 산시성 윈청시 435화 태원으로 향하는 도중에 방문함.
태원 산서성 태원부 산시성 타이위안시 435화 천유학과 재회해 한림원 태학에 등록, 글공부를 함.
태학 학사들과 요리점에서 식사를 하던 도중 병주삼흉과 싸움이 붙어, 그들을 제압하는 과정에서 흡정마공의 비급을 가리키는 장보도를 입수함.
낙양 하남성 하남부 낙양현 허난성 뤄양시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함.
정주 하남성 정주 허난성 정저우시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하나, 마차를 탄 채로 지나침.
개봉 하남성 개봉부 허난성 카이펑시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해, 단흉 유행이 찾아온 것을 확인함.
제남 산동성 제남부 산둥성 지난시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함.
정구 산동성 제남부 정구현 산둥성 지난시 장추구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함.
치박 산동성 청주부 치박현 산둥성 쯔보시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함.
청주 산동성 청주부 산둥성 웨이팡시 칭저우시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함.
유방 산동성 채주 유방현 산둥성 웨이팡시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함.
내서 산동성 채주 내서현 산둥성 칭다오시 라이시시 442화 노산으로 향하는 도중 방문함.
즉묵 산동성 채주 즉묵현 산둥성 칭다오시 지모구 442화 흡정마공 수색을 위한 보급기점으로 삼고 장기간 체류하던 도중, 모용주희와 재회해 일행으로 삼음.
노산 산동성 채주 노산 산둥성 칭다오시 라오산 444화 흡정마공을 찾기 위해 도착하자마자 마공 수색을 명분으로 대규모 약탈 및 학살 행위를 일삼던 사도십대천성과 조우, 각개격파와 이간질을 통해 수많은 사파 무인들을 처치함.
왕가촌 산동성 채주 왕가촌 산둥성 칭다오시 왕자촌 457화 강패천이 마을을 점거하는 바람에 쫓겨난 주민의 부탁을 받고 사파 무인들을 처치함.
청도 산동성 채주 청도진 산둥성 칭다오시 463화 사도련의 용의선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잠시 숨어있던 도중 들름.


===# 등장 명소 #===
||<tablewidth=100%><rowbgcolor=#000000><rowcolor=#FFF><width=33%> 백마사 ||<width=33%> 서릉협 ||<width=33%> 동정호 ||
파일:중국 백마사 2.jpg 파일:서릉협.jpg 파일:洞庭湖.jpg
낙양의 관광지. 7화에서 팽대산과 놀러간 장소. 장강삼협. 29화에서 호북부찰도위사 차순단의 아들 차남정에게 납치된 곳. 중국 5대 담수호. 30화에서 장강수로채 총채주와 함께 식인마군을 처리하기 위해 향한 곳.
<rowcolor=#FFF> 천산신시 칠채산 도강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engish_Chokusu_from_BC.jpg 파일:칠채단하.jpg 파일:external/visitchina.or.kr/0104.jpg
천산산맥 최고봉. 72화에서 방문한 천마신교 총본산 천산신시가 위치한 산. 장예의 명소. 천마총으로 향하던 도중 지나간 산. 전근대 중국의 최대규모 저수지. 117화에서 덕현친왕 암살용 오양즉을 풀어놓은 범인을 잡기 위해 들른 곳.
<rowcolor=#FFF> 황학루 숙압호 철탑
파일:중국 우한 황학정.jpg 파일:숙압호.jpg 파일:중국 카이펑 1.jpg
무한의 관광명소. 148화에서 당난아, 견포희와 함께 갔다가 제갈신재와 만난 곳. 주마점 동쪽에 붙어있는 호수. 161화에서 흑시가 열려 구경간 장소. 개봉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철탑(철로 만든 탑은 아님). 185화에서 공손요예를 데리고 간 곳.




4. 음식

무대와 함께 음식이 많이 등장한다. 청이 식도락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더욱 서술이 많은 편. 중국 문화에 대한 작가의 지식이 여럿 보인다.
  • 자어향탕수계(煮魚香糖水鷄)
    청이 1년차를 기념해서 먹은 닭튀김. 자어향은 주로 물고기에 쓰이는 사천의 매운 소스를 의미한다.
  • 만두(饅頭)
    파일:external/s.iimg.me/interest.php?url=http%3A%2F%2Fi7.meishichina.com%2FHealth%2FUploadFiles%2F201203%2F2012031411362186.jpg
    중국 만두 중 만터우라고 불리는 종류. 우리가 흔히 아는 소가 들어간 만두가 아니라 그냥 밀가루 빵이다. 반점에서 주로 파는 물건으로 하나에 한 문. 세 개 사면 탕국을 줘서 청이 2년차가 되기 전에 자주 먹은 음식이다.
  • 동파장육(東坡醬肉)
    파일:중국식 동파육.jpg
    그 유명한 동파육. 뒤에 붙은 장육은 장에 졸인 고기란 의미다. 청이 팽대산과 해어져 진장명과 만난 객잔에서 먹은 요리.
  • 서유산생
    회와 튀긴 가지, 야채를 깃들인 음식.
  • 초기탕어
    큰 민물고기를 통째로 찐 음식.
  • 유조(油條)
    밀가루 반죽을 튀긴 과자로 꽈배기와 같은 맛이 난다고 한다. 중국어로는 유탸오라고 한다.
  • 고(糕)
    작중에서는 식혀서 굳힌 과자의 통칭. 다과로 많이 쓰이며 녹두고가 대표적이다. 다만 糕는 그냥 떡의 의미로도 쓰인다. 청이 용궁루에서 보열과 육보를 마실 때 같이 나온 금귤양갱에 가까운 다과도 금귤을 졸여서 만든 고에 속한다.
  • 디름라마(딤라마)
    파일:dimlama-scaled.jpg
    청이 마교에 끌려가며 먹었던 음식. 우즈베키스탄의 전통음식으로 고기와 야채를 푹 끓인 스튜의 일종.
  • 방납장건어
    청이 마교에 있을 무렵 환희궁의 아침으로 나온 음식. 코다리무침과 비슷한, 졸여서 만든 진한 소스로 버무린 말린 생선 요리라고 한다. 청은 먹는 것을 포기했다.
  • 가지장국
    청이 마교에 있을 무렵 환희궁의 아침으로 나온 음식. 청은 먹는 것을 포기했다.
  • 마라탕
    파일:마리탕 2.jpg
    사천에서 먹으려고 했지만 실패한 백창자의 마라궁극탕. 일반적으로 마라탕은 서민음식으로 요리보다는 그냥 끼니에 가까웠다고 한다.
  • 유황오리
    사천에서 먹은 오리 요리. 일반적으로 유황은 사람이 먹기 힘들지만 유황오리를 먹으면 먹을 수 있다고 팽초려가 부연한다.
  • 가지튀김
    가지탕수라고도 부르는 튀김 요리. 청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 중 하나. 황후의 언급에 따르면 연술공주 소할도 가지튀김을 좋아했다고 한다.
  • 벌레꼬치
    흑시에서 팔리는 길거리 음식. 누에 번데기처럼 먹을만한 것도 있지만, 지네, 전갈, 거미, 물방개 같이 먹기 힘든 것도 많다. 작중에서 낭야차 역태강이 지네꼬치를 은자 3개에 사먹었다가 토하고는 바가지 씌운 상인에게 보복하려고 흑시 철수까지 기다렸다.
  • 무명고기
    일반적으로는 먹지않지만 흑시에서 팔리는 고기들. 황서랑, 산묘, 완웅[7]이나 산양의 양물 같은 엽기적인 것들도 있다. 맛이 없어서 정력에 좋다는 소문을 내도 잘 안 먹는 고기.
  • 밀반
    밥에 꿀이나 끓인 과일을 탄 것. 한국의 약식이 밀반이라고도 불리는데, 중국에서는 이를 고려반이라고 부르기에 같은 것인지는 불명확.
  • 닭대가리
    개봉에서 있던 중화의 대표적인 길거리 간식. f(x)의 빅토리아가 언급한 닭뇌를 먹는 요리로 보인다.
  • 오리목
    개봉에서 먹은 중화의 대표적인 길거리 간식.
  • 관탕소롱포자(灌汤小籠包子)
    파일:소롱포.jpg
    개봉의 명물이라는 교자. 뜨거운 국물을 넣은 만두. 중국어로 샤오룽바오.
  • 과첩(鍋貼)
    교자를 구울 때 전병 반죽을 부어 바삭하게 만든 군만두.
  • 주먹밥
    댓잎으로 찰밥을 싸서 찐 삼각형 주먹밥. 흔한 음식이지만 속에 든 고명이 팥, 양고기, 산양고기, 닭고기, 오리알로 좀 특이한 것들이 섞였다.
  • 소채(蘇菜)
    파일:thco.jpg
    청자검으로 수련하면서 먹은 식사로 중국식 채소 요리의 총칭.
  • 고로소병(高爐燒餠)
    쌓아올린 화덕에 붙여 굽는 게 특징인 하남성 개봉의 음식. 호떡처럼 납작하고 바삭하게 구워낸 빵이다. 청이 수련한답시고 청자검으로 먹다가 혀를 베였다.
  • 완탕면
    배곯은 빙설화가 노려보던 음식. 완탕은 만둣국과 유사한, 얇은 밀가루 피에 여러 가지 소를 넣어 싼 후 육수에 끓여먹는 음식이고 완탕면은 거기에 면만 추가한 것.
  • 불도장(佛跳墻)
    파일:external/www.absolutechinatours.com.au/buddha-jumps-over-wall1.jpg
    청이 소림사 근방에서 설이리와 같이 먹은 음식. 수련을 쌓은 불자도 담장을 넘어서 몰래 먹는다는 진미. 해삼, 전복, 화퇴, 피단 등 각종 음식을 사용해 만든 술찜 요리.
  • 병자병(餠子餠)
    청이 소림사 근방에서 먹은 음식, 파전, 또는 빈대떡과 비슷한 음식이다.
  • 초육죽
    청이 감기 걸린 설이리와 먹은 음식. 보통 초육(炒肉)은 돼지고기 볶음을 의미한다.
  • 오사갱(五蛇羹)
    장안에서 설이리가 먹은 음식. 광동의 고급 요리로, 다섯 종류의 뱀을 푹 고아서 만든 탕요리. 보양식의 일종이며 전분을 풀어 걸쭉하다.
  • 호병
    장흥상방의 일이 끝나고 먹고 싶어 했던 음식. 기름에 튀겨 속이 빈 전병으로, 공갈빵과 비슷하다고 한다.[8]
  • 호전병(당밀전병)
    장흥상방의 일이 끝나고 먹고 싶어 했던 음식. 호떡과 비슷한 음식이라고 한다.[9]
  • 소유저(燒乳豬)
    파일:燒乳豬.jpg
    광동의 대표요리. 애저구이, 즉 새끼 돼지를 손질해서 숯불에 통째로 구운 음식이다. 광동에서 대표적인 미식으로 손꼽히는 요리이며 저륵, 즉 갈비뼈가 가장 맛있다고 한다.
  • 홍소유합(紅燒乳鴿)
    파일:紅燒乳鴿.jpg
    어린 비둘기를 통째로 튀겨서 먹기 좋게 손질한 요리. 본래 비둘기 고기는 가난한 서민 음식이지만, 광동의 홍소유합은 식용으로 따로 품종관리하고 기른 비둘기라 고급으로 친다.
  • 광주소아(廣州燒鵝)
    파일:燒鵝1.jpg
    광동의 거위 구이. 다른 지방에서도 거위는 먹지만, 광동에서 거위는 특히 즐겨먹는 음식이라 한다.
  • 팔보채(八寶菜)
    파일:attachment/c0026408_4c07208f07fc3_1.jpg
    여덟 가지 진귀한 재료로 만든 요리라는 뜻으로, 해삼, 새우, 오징어 등의 해물과 죽순 등의 야채에 소량의 기름을 사용하여 강한 불에 재빨리 볶은 요리다. 물류가 부족한 시대라 신선한 해물은 고급 중에서도 최고급으로 꼽힌다고 한다.
  • 객가만두(客家饅頭)
    파일:客家蒸釀豆腐.jpg
    객가증양두부라고도 한다. 이름대로 객가인들이 개발한 만두로, 두부 안을 동그랗게 파고 안에 만두소를 집어넣어 기름에 지진 요리. 간장과 비슷한 소스를 곁들여서 먹는다. 원래 밀과 만두를 주로 먹어오던 지역에서 온 객가인들이 광둥에선 밀을 구하기 힘들어 만두피를 두부로 대체해서 만들어낸 요리이다.
  • 우파(牛巴)
    소고기 육포. 작중에서는 송아지 둔부 살을 반건조 시켜서 나왔다.
  • 파마흑두부(巴馬黑豆腐)
    광서성 파마(巴馬) 지역의 명물. 작중 광동지방 사람들도 인정하는 두부라고 묘사된다. 흑두부는 대게 서리태 같은 검은 콩으로 만든 두부를 일컫는다.
  • 압장보(鴨掌煲)
    오리발을 솥에 쪄낸 요리. 광서에서는 우렁이와 함께 쪄내는 요리인 듯하다.
  • 원소
    중원의 정월대보름에 해당하는 원소절에 먹는 떡으로, 찹쌀로 빚은 경단 모양의 꿀떡. 생김새는 좀 다르지만 우리나라의 송편과 비슷하게 소로 콩, 깨, 설탕 등을 사용한다. 작중에서는 이를 고깃국에 넣어먹기도 한다.
  • 대백충
    요족의 특산물로 우나람이 청에게 권한 음식. 검지만한 애벌레를 생으로 먹는 건데, 의외로 고소한 소젖 맛에 사과향이 난다고 한다.
  • 양매화
    각다귀가 남녕에서 사파와 일전을 벌이기 전에 준비한 설탕에 절인 양매화. 양매화는 아마 소귀나무의 열매인 양매(楊梅)로 추정된다.
    • 용정차 - 중국 서호지방 용정산에서 나는 녹차로 작중에서 흔하게 제공되는 차. 청은 이걸 빙공으로 차갑게 마시는 걸 좋아하지만,[10] 다른 사람들은 세상 끔찍한 광경을 본 듯 경기를 일으킨다.[11][12] 그나마 검 외에는 관심 없는 남궁신재만 먹든가 말든가 하는 정도.
    • 반한차 - 황천 지역의 차. 씁쓸한 맛을 가진 차로 대정문에서 대접한 차다.
    • 유자꿀차 - 유자를 넣은 냉과일차. 당난아가 유자청과 석청, 얼음에 설사약과 재채기 약을 섞어서 대접했다. 청의 묘사로는 달고 시고 차가운데, 살짝 맵고 화한 맛이 더해져 아주 맛있었다는 듯.
    • 육보차 - 광서성의 특산물로 천하의 명차 중 하나로 손꼽힌다고 한다. 개중 찻잎을 먹은 애벌레의 변으로 만든 것을 충시라고 해서 최고급으로 친다. 육보충시는 만들어지는 양이 적기 때문에 가격도 비싸다고 한다. 삼향이 나는 것이 특징.
    • 노청차 - 호북성의 특산물이며 대표 차. 후발효차인 흑차에 속한다.
    • 죽엽청 - 무협지에서 흔하게 보이는 술. 약주이며 도수가 높고 단 맛이 난다고 한다.
    • 비홍주: 청이 무림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마신 비가에서 만든 홍주. 그다지 가치있는 술은 아니었다. 홍주는 과실주로 포도를 주로 사용해서 만든다고 한다.
    • 오량액 - 사천성 이빈시의 향토 고량주. 자유가 마라탕을 먹기 위해 걸어둔 술.
    • 두강주 - 청과 모용주희가 술 대결을 할 때 마신 술. 서협의 물로 빚은 서정두강주로 마셨다.
    • 계잡주 - 광서성 특산품으로 장족의 전통주. 닭의 간과 심장, 창자를 푹 삶고 다져서 술과 섞어 마신다. 하급 술을 먹을 때 좋으며, 안주와 술을 동시에 먹는 느낌이며 의외로 고소하니 먹을만하다고 한다.
    • 저간주 - 광서성 특산품으로 장족의 전통주. 계잡주에서 재료를 돼지로만 바꾼 술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플레이트 아머를 착용한 유럽인 군대와 아메리카를 탐험하는 식민 개척자 등의 모습이 등장했다.[2] 상관이 정4품인 위지휘첨사인 점과, 휘하에 정6품인 백호(百戶)들을 거느리는 천호(千戶)인 것으로 보아 구체적인 관직은 정5품 상계 무절장군(武節將軍) 정천호(正千戶)에 상응한다.[3] 현 랴오닝성 젠핑현.[4] 이 점에 대해선 무천대제가 딱히 나라를 개박살내놓거나 하기보단 오히려 황제 본인만을 때려잡고 각지에 준동하는 사파와 마교, 혈교 등을 조져놓아서 행정력을 확보하기엔 오히려 더 좋은 여건을 조성해줘서 그럴 가능성도 있다. 작중 시점에서 약 200년 전에 활동했던 것으로 묘사되는 무천대제 당시의 황제는 토목의 변의 당사자인 정통제로, 그가 오이라트에 포로로 잡혀 풀려나는 과정에서 북방 영토를 대부분 상실한 게 아니라 단순히 자금성 꼭대기에서 무천대제한테 멱살 한 번 잡히고 관무불가침을 인정하는 선에서 끝났다 치면 명나라의 영역이 고스란히 유지되었어도 말이 안 될 것은 없다.[5] 칭하이성 위수시 야허라다쩌산. 황허강의 발원지이며, 현지 티베트 불교도들에게는 성산으로 숭앙받았다.[6] 요녕성 서산 2개 중 건평 근처.[7] 각각 족제비, 살쾡이, 너구리[8] 다만 일반적인 공갈빵은 당고화소(糖鼓火燒)나 공심병(空心餠)라고 검색해야 하며, 호병을 검색할 시에는 공갈빵을 납작하게 누른 듯한 빵이 나온다.[9] 다만 현대 중국어로 검색할 시 호떡은 당소병(糖燒餠),유전당병(油煎糖餠), 봉밀당병(蜂蜜糖餠) 등으로 검색되며 호전병은 파전, 당밀전병은 당밀을 쓴 펜케이크가 검색된다.[10] 아이스 아메리카노처럼 생각하고 먹는 듯[11] 중국인들은 차를 무조건 뜨겁게 해서 먹기 때문, 콜라를 뜨겁게 먹는 격이라 비유된다.[12] 창빈, 최리옹, 설이리, 진자강이 그랬는데, 창빈과 설이리는 그냥 끔찍하다는 정도의 반응이었지만, 최리옹과 진자강은 청을 사뭇 세상에서 가장 불쌍한 사람 보듯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