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6:53:50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미국 테크 트리/수집가 전차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미국 테크 트리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gcolor=white,#1f2023><table bordercolor=black><colbgcolor=black><colcolor=white><bgcolor=black> 파일:WotBlitzLogo.png ||
게임 플레이 시스템 | 게임 모드 | 이벤트 모드 | 승무원 | | 업적 | 장비 | 임무 | 클랜 | 상점 | 뽑기 | 용어 (PC월탱 용어) | 배틀 패스 | 시즌
테크트리 전차 (둘러보기 틀)
기타 문제점 | 사건 사고 | 버전 업데이트 (내역) | 이벤트 | 콜라보레이션 | 그래픽 및 사운드 | PC버전과의 차이점 | e스포츠 | 버그 | 모드 | Tanks Blitz
템플릿 템플릿: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

||<-5><#000000>
파일:WoTB_Logo.png파일:투명.png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차량|{{{#!wiki style="font-size:1.2em"]]'''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나치 독일 군기(1938–1945).svg 독일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유럽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WoTB_HN.svg 기타 국가 기타 전차 }}}
※ 신규 전차 추가 시 템플릿: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의 표 사용 바람



1. 개요2. 경전차
2.1. T1E6 - 2티어2.2. T2 Light Tank - 2티어2.3. T7 Combat Car - 2티어2.4. M22 Locust - 3티어2.5. T21 - 6단계2.6. Ranger - 6단계2.7. Frosty - 6단계2.8. XM551 Sheridan Missile(XM551 셰리든 미사일) - 10단계
3. 중형전차
3.1. T2 Medium Tank - 2단계3.2. M2 Medium Tank - 3단계3.3. M3 Lee - 4단계3.4. M4A2E4 Sherman - 5티어3.5. High Score - 5티어3.6. M4A3E2 Sherman Jumbo - 6단계3.7. Rudolph - 6티어3.8. BLTZ9000 - 6티어3.9. 튜토리얼 M4A3E8 - 6티어3.10. T42 - 7티어3.11. T25 Pilot 1 - 8티어3.12. M60 - 10티어
4. 중전차
4.1. Magnus - 6티어4.2. Cyborg - 6티어4.3. Pawlack Tank - 6티어4.4. T54E2 - 8티어4.5. T26E5 - 8티어4.6. T77 - 8티어4.7. M-IV-Y - 8티어4.8. AE Phase I - 9티어4.9. TL-7-120 - 9티어4.10. T95E6 - 10티어4.11. Concept 1B - 10티어
5. 구축전차
5.1. T18 - 2티어5.2. T82 - 3티어5.3. T40 - 4티어5.4. T67 - 5티어5.5. Enforcer - 6티어5.6. T28 HTC - 7 단계5.7. Super Hellcat - 7 단계5.8. TS-60 - 8티어5.9. XM66F - 10티어

1. 개요

5.5 업데이트로 정규트리에서 삭제되어 수집가 전차로 변경된 전차들, 10.6 업데이트 이후 수집가 전차로 전환된 프리미엄 전차들, 처음부터 수집가 전차로 출시된 전차들을 비롯하여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에 등장하는 미국 소속 수집가 전차를 모아둔 문서.

2. 경전차

2.1. T1E6 - 2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AnnoT1_E6.pn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통신 범위 선회 속도 HP 무게 단계 비고
T1 13/6/6mm 210m 500m 38도/초 320 700kg 1단계 밀폐형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American LaFrance 312A V-12 200마력 20% 800kg 4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무게 단계 비고
Vickers E 11.1 톤 42 도/초 2,000 kg 1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37mm Semiautomatic Gun M1924A1 48mm 40 AP 1단계
80발 0.42m 3.02초 12.63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후진 속도 출고 중량 좌우 포각/올림각/내림각 가격
(골드)
16/6/6mm 43/20km/h 9.03톤 360/15/10도 한정 판매
파일:T1E6_0.jpg
T1E4에서 T1E6까지 이르는 시험 차량개발은 영국 Vickers E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첫 시제품은 커닝햄사에서 1931년 제작되었으며 1932년 시험 운행을 거친 후 개량형이 제작되었다. 그러나 다른 시험 차량인 T2안이 선택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언젠가 공방에서 5승하면 무료로 얻을수 있었던 수집가 전차이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높은 알파데미지, 괜찮은 최고속력, 좋은 부각

단점
2티어에서 가장 낮은 체력,얇은장갑,느린 탄간 장전시간,긴 장전시간, 높은 주포 분산도, 긴 조준시간

패치 사항

기타
요약하자면 2티어 최약체 골탱이다. 생존력이 끔찍하므로 주의해서 몰지 못하면 낮은 체력과 얇은 장갑 그리고 느린 탄간 장전시간의 시너지로 인해 클립을 다 비우기전에 신나게 두들겨맞고 차고로 가는 경우가 잦다. 높은 알파데미지를 이용해 신중하게 운용하자.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2. T2 Light Tank - 2티어

파일:external/wikiwiki.jp/?plugin=ref&page=T2%20Light%20Tank&src=T2.jp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mm m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마력 % kg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mm // // 단계
m 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출고 중량 좌우 포각 가격
(크레딧)
//mm km/h 360도
록 아일랜드 조병창에서 1933년 설계하여 제작한 시제 전차이다. 6톤급 Vickers 전차인 Vickers Mk. E의 차체와 현가장치가 사용되었다. T2 시제 전차의 시험 주행은 성공적이었지만, 지형 돌파 능력이 더 뛰어난 T2E1 개량형이 선택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공격

방어

기동
현존하는 월탱 블리츠 전차중 가장 빠른 속력을 가지고 있다.이제 옛말 그러나 전1위 속력은 무시할 수 없다. 하위 티어에서는 빠른 차량이다.
엔진 부스트 사용하고 광산같은 내리막길이 긴 맵에서 주행하면 80은 가볍게 나온다.

게임플레이

광산맵에서 시작하자마자 앞으로 치고나가 적진 한가운데로 빠진 뒤 기지쪽으로 빠져나와 거의 모든 적군을 스팟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들의 시선을 집중시켜 아군이 고지를 더 빠르게 선점하게 할 수도 있지만, 시선이 집중되는 만큼 사망률도 높아져 신중한 운전을 필요로 한다. 할 것이라면 에임이 자동으로 고정되는 것을 끄고 하는 것을 추천한다.상대 티투라이트도 같이 튀어나온다면?!
5클립 3연발포도 나쁘지 않은편. 대신 선회속도가 약간 느리고 충각당하면 생존률 0%대로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골탱의 기본목적인 클딧팩터가 안 좋다..

그냥 전형적인 유희용 탱크. 연습방에서 술래잡기할 때 직선주로가 많은 맵에서 유리하다.

대신 앞에 서술된것처럼 선회력이 좋지 않은 점은 조심해야 한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3.2 업데이트 이후 상점에서 내려갔다.

2.3. T7 Combat Car - 2티어

파일:external/static-wbp-eu.gcdn.co/1_WPAXDq9_885x.jpg
파일:external/wiki.gcdn.co/Module_wot_turret.png 장갑 수치 관측 범위 선회 속도 티어
T7 Combat Car 13/13/13 mm 210 m 24 도/초 2 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Module_wot_engine.png 마력 화재 확률 티어
Continental W-670 262 마력 20 % 3 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Module_wot_chassis.png 선회 속도 티어
T7 Combat Car 44 도/초 2 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Module_wot_gun.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Browning MG caliber .50 HB, M2 27 mm 8 철갑탄 1 티어
1350발 0.53 m 1.7 초 116.53발/분
차체 장갑 최대 속력 중량 좌우 포각 HP 가격
(골드)
15/12/6 mm 56km/h 10.41 톤 360 도 225
미 기병 사단에 배치할 목적으로 개발된 반궤도 차량이다. 1937년 4월부터 1939년까지 첫 시제 차량이 시험 운행에 들어갔다. 그러나 궤도 차량이 채용되면서 T7 계획은 중단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크리스마스 이벤트인 블리츠마스 특별 이벤트인 전투 임무: 선물 (T7 Combat Car) 를 통해 얻을 수 있었다. 별명은 티치카.

전투 임무: 선물 (T7 Combat Car)
이벤트 기간: 2015년 12월 25일(금) 19:00 ~ 2016년 1월 11일(월) 19:00

조건
  • 계정당 1번
  • 전투에 1회 참여

보상
  • T7 Combat Car
  • 100% 숙련도 승무원
  • 차고 슬롯

추가로 2017년 6월 26일 블리츠 출시 3주년 기념으로 소련의 M3 Light와 같이 획득 가능하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T7 전투 차량은 준수한 기동성을 가지고 있다.평지에서 쉽게 시속 50 ㎞대를 뽑지만, 현가 장치가 이를 잘 따라주지 못하고 높은 속력에 비해 포탑 선회가 느려 뺑뺑이 돌 때 어려움이 있다. 크레딧 팩터는 블리츠에서 현존하는 2티어 프리미엄 전차 중 가장 높은 177%이다. 5클립 5연발의 기관총은 다 박는다는 기준으로 2티어에서 평균 8 * 5 * 5 = 200 HP라는 티어 대비 엄청난 피해를 줄 수 있다.[1] 주포가 장수만세 중기관총인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이기 때문에 골탄은 없다.[2] 2티어 경전차에게 방호력은 기대하지 말고 끊임없이 기동하며 탄을 피하거나 빼꼼샷을 하는 일명 시카고 갱스터 스타일 플레이가 중요하다. 2~3티어에는 물장 + 뉴비들이 가득한 관계로 뻔히 측면을 내놓고 앞만 보는 적이 있다면 가까이 붙어서 쏴주면 두 클립 내로 정리할 수 있다. 다만 27 ㎜에 불과한 관통력이 실질 DPM을 많이 까먹고 분산도를 일단 야포급으로 벌리고 주는 블리츠 MG 밸런싱 상 원거리 집탄율이 극악이다. 근접해서 적의 측후면을 잡아 처리하는 근접전을 강요 받지만 일단 관통 시킬 기회만 잡으면 폭딜을 넣어 무력화 할 수 있는 재미있는 플레이가 장점이다. T7을 상대할 때 정직하게 딜교환을 한다면 손해 볼 확률이 높다. 순식간에 200데미지를 커버하긴 3티어 전차도 힘들다. 12초에 육박 하는 재장전 시간이 있기 때문에 재장전 시에는 은엄폐를 칼 같이 하는 것이 좋다. 어차피 근접전 지향 전차니 광학 대신 위장막을 끼고 수풀에 숨어 닌자 놀이를 하는 것도 괜찮다.

기관총의 상태를 보면 알겠지만 떡장 전차들에게 비비라고 만든 물건이 절대 아니다. 철저하게 물장만 골라서 족쳐야 한다. 장갑 또한 얇지만 이리저리 틀어 준다면 기관포 정도는 몇발 씹을 수 있다.

원래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은 우수한 놈을 골라서 조준경 달아 저격 하기도 하고[3] 사통장치 발달 이전에는 주포 사격 이전에 가늠하는 용도로 사용했을 만큼 탄도 성능이 우수한 불후의 명품이지만, 블리츠에서는 밸런스 문제로 분산도가 100 m당 0,523 m에 달하는 샷건이 되어버렸다. MOA로 치면 무려 19.97에 달하는 무지막지한 산탄이다. 실제로는 숙련된 사수가 제대로 된 삼각대에 비교적 상태가 양호한 총열을 쏠 경우 점사 중에도 3,4 MOA에 불과한 집탄율을 자랑 한다.

추천 장비

장점
  • 쾌속

    • 직진성, 순발력이 우수하여 다른 전차간의 싸움에서 이점을 점할 수 있다.
  • M2 브라우닝의 순간 화력

    • 전탄 관통시 평균 200 HP를 잘라먹을 수 있다. 내구도가 간당간당한 적을 매의 눈으로 노리자.
  • 높은 수익률

    • 3,9 업데이트 기준으로도 177%의 괜찮은 크레딧 수익률을 자랑한다. 골탄이 없고, .50구경 탄 값이 발당 1 크레딧이라는 초떨이니 0딜이 아닌 이상, 적자는 사실상 날 수 없다. 심지어 완파시 수리비가 고작 909 크레딧이다!

단점
  • 느린 선회

    • 기껏 측후면을 잡아도 일단 포탑이 완전히 돌아가길 기다려야 해서 허공에 탄을 낭비할 때가 많다. 익숙해지면 아예 미리 사격 방향으로 포탑을 정렬하는 식으로 싸우게 된다. 차체 선회도 생각보다 느긋하다.
  • 장갑차에 도전 하는 장갑

    • 차체 정면이 15 ㎜, 포탑 정면이 12 ㎜에 차체 후면은 경이적인 6 ㎜다. 적에게 노출 되면 일단 달리고, 절대 멈추지 않는 것이 좋다.
  • 승무원 부상

    • 부품 손상보다 승무원 부상이 압도적으로 자주 발생 한다. 생존 장비에서 전투실 방호 장치와 군용품 안전 키트를 추천 한다. 골탱이라 군용품 부담도 매우 가볍다.

패치 사항

기타

  • 단점

2.4. M22 Locust - 3티어

파일:external/static-wbp-ru.gcdn.co/locust_06.jp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내구도 무게 단계 비고
M22D1 25 / 25 / 25 ㎜ 230 m 40 도/초 370 1 000 kg 3 단계 밀폐형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종류 단계 비고
Lycoming O-435T 192 마력 20% 256 ㎏ 가솔린 4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무게 단계 비고
VVST78 7,59 톤 40 도/초 1 200 ㎏ 3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탄속 포탄 가격
(크레딧)
무게 단계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포각 비고
37 ㎜ 포 M6 56 / 78 / 9 ㎜ 40 / 35 / 50 철갑탄/고속철갑탄/고폭탄 792 / 990 / 792 m/s 18 / 800 / 10 82 ㎏ 3 단계
50 0,41 m 1.7 초 26,2 발/분 360 / -10 / +30 도
승무원 차체 장갑 전진 / 후진
최고 속도
출고 중량 / 한계 포각 제자리 선회 가격
(골드 / 수익률)
3명 - 전차장(■), 포수(▼), 조종수 25 / 13 / 13 ㎜ 64 / 20 ㎞/h 6,92 / 7,59 톤 360 / -10 / +30도 불가능 1 000 / 174%
1941년 겨울, 공수 작전용 경전차가 필요해지자 Marmon-Herrington사에서 개발하였다. 1943년 4월부터 1944년 2월까지 총 830대가 생산되었으며 그중 260대는 무기대여법을 통해 영국에 공급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2차 세계대전 때 공수전차로 만들어진 M22 로커스트 이다. 수익률은 3티어 최고 수준인 177%이고, 마스터 컷도 600 경험치로 현저히 낮은 수치를 보여준다. 과거 상점에서 상시 판매하였지만, 3.1 업데이트로 상점에서 삭제되었다. 1~2년에 한두번씩 수집가 전차 패키지로 판매된다.

공격
37mm 명품 바늘포를 사용하여 준수한 연사력과 관통력을 보여준다. 탄종은 철갑탄, 고속철갑탄, 고폭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저구경 포이기 때문에 고폭탄은 웬만하면 넣지 않는 것이 좋다. 4탑방으로 간다면 관통력이 슬슬 부족해지기 때문에 고속철갑탄을 넉넉히 챙겨가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을 것이다.

그러나... 이 앞의 문장들만 보면 명품 주포 같지만 3초가 안되는 재장전 속도[4]에 탄약 최대 적재량은 50발(...)에 불과해 게임이 후반으로 간다면 탄약이 부족해지기 시작할 것이다. 그러니 플레이 할 때 이 점을 염두에 두고 해야 한다.

방어
가장 단단한 부분의 장갑이 25mm라 장갑은 거의 없다고 생각하고 플레이하면 된다. 그러나 미국 전차답게 포방패가 상당히 단단한 면모를 보여주므로, 헐 다운을 사용하며 플레이하면 체력 관리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의외로 차체를 이리저리 비틀며 플레이하면, 매직 도탄이 자주 일어나는 전차이기도 하다.

기동
타 국가의 경전차들이 300~500대의 마력을 보여주는 데 반해, 이 전차는 200 ± 10 마력에 불과하지만, 공수전차 답게 7톤이라는 경이롭게 가벼운 무게라 최고 속력 64km/h 로 쌩쌩 달려간다. 이 경쾌한 기동력을 이용해 적의 중전차 혹은 구축전차를 뺑뺑이로 농락할 수 있다.

게임플레이
경쾌한 기동력을 이용해 적 전차들을 발견하고, 광산 같은 맵에서 고지를 선점하는 것이 중요하며, 적과의 맞다이 때 우수한 연사력을 이용하는 플레이가 중요하다. 또한 적들의 기지로 들어가다 어그로가 끌렸을 때, 차체를 이리저리 비틀며 뜬금 도탄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 전차의 무게는 겨우 7톤에 불과하므로, 적들에게 충각을 하는 행위는 절대 금물이다. 또한 헐 다운을 이용한 플레이도 요구된다.

추천 장비

장점
  • 우수한 기동력
  • 37mm 명품 주포의 준수한 연사력과 관통력
  • 낮은 마스터 컷
  • 높은 크레딧 팩터(수익률)
  • 타 국가 동티어 경전차에 비해 약간 높은 내구도
  • 귀여움

단점
  • 부족한 탄약
  • 가벼운 무게[5]로 인해 충각에 취약
  • 고구경 고폭탄에 취약

패치 사항

기타
완벽한 T-15의 상위호환인 전차로, 고기동 명품 주포로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이는 미국 경전차이다. 갖고 있다면 마스터 따는용, 앵벌용으로 괜찮은 전차이며, 저티어 제초기로도 활약할 수 있다. 5.5 업데이트로 수집가 전차가 되어 판매 시 1000 골드를 얻을 수 있지만, 우수한 전차 성능과 희귀성 때문에 골드가 급한 것이 아니라면 판매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2.5. T21 - 6단계

파일:09-t57-branch-gallery.jpg
파일:WoTB US VI LT T21.jp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T21 29 / 25 / 25 ㎜ 250 m 43.81도/초 900 6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Ford GAN 610 마력 20% 7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지형 돌파 능력 (도로/야지/물) 선회 속도 단계 비고
VVSS T48M1A2 104 / 94 / 61% 50.06도/초 6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화력
76 ㎜ Gun M1A2 128 / 177 / 20 ㎜ 160 / 135 / 200 AP / APCR / HE 6단계
70발 0.364 m 3.7초 5.94초 / 1 615 DP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 (좌우/내림/올림) 가격
(판매시 골드 보상가)
29 / 25 / 25 ㎜ +60 / -21 ㎞/h 23.16 톤 360 / -10 / +25도 500
중형전차 T20에 M7의 긴 차체를 사용하여 경량화한 개량형으로 1943년 전반기에 개발되었다. T21은 T20보다 장갑과 무장이 감소하였다. 양산되거나 제식 채용되지는 않았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스튜어트를 대체하기 위해 T20을 기반으로 계획된 경전차이다. 때문에 기본 사양 T20과 외형이 거의 일치한다.

공격
동단계 중형전차 M4A3E8, 통칭 이지에잇의 주포인 76 ㎜ M1A2를 사용한다. 원본에 비해서 조준 시간과 분산도가 향상 돼있다. 반면 재장전 시간이 길어져 화력이 저하 되었고 고폭탄 관통력이 20 ㎜로 줄어서 써먹기 힘들다.

관통력이 부족한 편이므로 골탄을 충분히 들고 다니고 조준 사격과 약점 사격, 약간의 우회를 통한 측후방 협공을 잘 노려야 한다.

내림각이 셔먼의 -12도가 아니라 -10도로 기동성에 좀 더 의존해야 한다.

방어
한마디로 골판지 장갑이다. 포탑 전면이 원본 이지에잇의 76 ㎜ 고폭탄에 관통 당할 정도니 말 다했다. 운이 좋아서 포탑 끄트머리에 걸린 탄이 도탄 되는 게 아닌 한 모든 철갑탄과 75 ㎜ 이상 고폭탄을 관대하게 허용한다. 포방패 조차 28 ㎜ 종잇장이라 눈 앞에 나타나면 KV-2나 Smasher가 아주 좋아할 것이다. 100% 내구도에서도 152 ㎜ 고폭탄 관통 한 방에 차고로 가버릴 수 있다. 경전차 주제에 몸집도 거대해서 숨어서 정찰도 힘들다.

기동
장갑을 내다 버린 만큼 기동성은 어느 정도 나온다. 최고 속력은 경전차 중 하위권이지만 6~7단계 전투 전체로 보면 우수하다. 평균 속력을 45 ㎞/h 까지 올릴 수도 있고 추중비도 풀 스펙에서 30 마력/톤 정도 나온다.

포탑 회전 속도가 차체 회전 속도 보다 9도/초 정도 느리니 주의할 것.

게임플레이
가지고 있는 몇 가지 장점인 기동, 위장률, 조준 시간, 분산도를 최대한 활용해서 전선을 지원하는 역할에 어울리는 전차이다. 위장률 자체는 좋지만, 덩치가 워낙 크고 포방패도 없다시피 하므로 초반 정찰시 상당한 주의를 요한다. 관측 범위를 290 미터 까지 확보 가능 하므로 최대한 장비와 군용품을 붙여서 선제 발견 및 사격 후 안전한 위치로 철수하여 아군 전차들을 유도하는 것 부터 시작 하는 것이 좋다. 일단 교전이 제대로 붙으면 최대한 돌아다니면서 특정 위치에 찍히는 것을 피하고 상대가 신경 쓰지 못하는 맹점에서 지원 사격을 가하는 것이 좋다.

경전차의 다른 임무인 침투 및 구축전차 자르기는 잘 못하는 편인데, 화력이 낮고 고폭탄에 취약해서 완벽하게 뺑뺑이를 돌리는 것이 아닌 한 맞대결에서 버틸 수가 없다. 지형지물과 포탑을 이용해서 무포탑 구축전차를 농락하는 정도 외에는 화력 교차 자체를 피해야 한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 개요
  • 공격
  • 방어
  • 기동
  • 운용
  • 기타
M7에서 열심히 뚫고 올라온 전차장에게 이 전차는 말그대로 한숨과 절망감을 안겨주었다. 나스호른과 맞먹는 장갑, 티거와 자웅을 겨루는 거대한 차체, 아쉬운 DPM 등의 부조화로 T57만 바라보고 처음으로 미국 계통도를 뚫는 전차장에게는 밑도 끝도 없는 고통을 안겨준다. 미국 2차 경전 계통 추가 이후에는 공방에서 사라졌다. 이후 계통도가 전체적으로 정리 된 이후 수집가 전차로 옮겨졌다. 한때 미국 7단계 중형 T20까지 타고 이 놈을 타게 되면, 궤도 빼고 다 연구되어있는 진풍경을 볼 수 있었다.

아시아-태평양(APAC) 기준으로 2022년 3월 11일 18시 부터 21일 18시 까지 열흘간 무료 구독 이벤트로 T21의 부품 조각을 200개 모아서 설계도를 완성하는 캠페인을 진행 했다. 기간 내로 무료 구독을 활성화 해서 부품 조각과 전용 임무[6]를 마치면 되었다. 모자란 부품은 20개 당 525 골드로 구매해서 채울 수도 있었다.

2.6. Ranger - 6단계

파일:WoT Blitz VI c US LT Ranger Front.png파일:WoT Blitz VI c US LT Ranger Side.pn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Ranger 30 / 25 / 25 ㎜ 250 m 43.81도/초 900 6단계 완전 회전 포탑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Ford GAN 610마력 20% 7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Ranger 53.08도/초 104 / 95 / 61% 6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단계
포탄 적재량 100 m 분산도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화력
76 ㎜ M1A2B2 128 / 177 / 20 ㎜ 160 / 135 / 200 AP / APCR / HE 6단계
70발 0.345 m 3.8초 5.66초 / 1 697 DPM
차체 장갑 최고 속력 중량 포각(좌우/올림각/내림각) 가격
(골드)
30 / 25 / 23 ㎜ +60 / -21 ㎞/h 23.21 톤 360 / +25 / -10도 배틀 패스


승무원 구성 :

개요
2022년 7월 배틀 패스 보상 전차. T21 기반이다.

공격
T21 주포의 가상 B2형 버전이다. T21보다는 재장전 시간이 짧아서 정규 경전차인 M24 채피와 거의 비슷하다. T21의 장점인 빠른 조준 속도도 그대로이다. 분산도는 T21보다 나아서 개량형 주포 구동 장치와 수직 안정기를 껴도 0.326까지 내려간다. 내림각도 그대로 미국식 -10도이기 때문에 지형지물을 타고 은폐 중 기습 공격 후 빠지는 데 유리하다.

방어
T21과 사실상 동일하다. 즉, 맞지 말아야 한다. 아주 약간 나은 점으로 위장률이 3% 더 좋다. 실전에서 차이를 느끼기는 힘들다.

기동
역시 T21과 동일하다. 소련 경전차처럼 날아다니는 정도는 아니지만, 썩어도 경전차라 혼자 있는 뚱뚱한 상대를 뺑뺑이 돌리는 건 문제없다.

게임플레이
사격 성능이 약간 향상된 T21에 전용 위장을 씌운 경전차라고 보면 된다. DPM 욕심 내지 말고 넓게 돌아다니면서 한 발씩 꽂아 넣는 유격수 플레이를 하는 것 정도로도 제값은 한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동 배틀 패스 55 레벨에서 전용 전설 위장 "전지형 All-Terrain"을 얻을 수 있다. 전설 위장을 장착하면 전투 중 이름이 "Ranger All-Terrain"으로 변경된다. 포탑 양옆에 수납대가 달리고 차체 후방에서 전방으로 청록색 에너지 파이프 같은 것이 두 줄기 붙는다. 차체 후방에는 정체를 알 수 없는 커다란 수정 하나가 불꽃을 튀기고 있다.

2.7. Frosty - 6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 ㎜ m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마력 %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도/초 / / %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단계
포탄 적재량 100 m 분산도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화력
// ㎜ // // 단계
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가격
(골드)
// ㎜ ㎞/h 360//도
승무원 구성 :

개요
2022년 12월 배틀 패스 보상 전차. M24 채피를 기반으로 한다[7].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배틀 패스에서 획득하는 전용 전설 위장은 Jingle Bells. 전설 위장 적용시 전투 중 전차 이름이 Frosty Jingle Bells로 변경된다.

2023년 크리스마스 기념으로 12월 8일부터 31일까지 로그인하면 전차+전설 위장을 무료 보상으로 지급하였다.

2.8. XM551 Sheridan Missile(XM551 셰리든 미사일) - 10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AR/AAV XM551 Sheridan 40 / 40 / 15 mm 260 m 37.55 도/초 1 800 10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General Motors 6V53T 485 마력 12 % kg 10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AR/AAV XM551 Sheridan 17.05 톤 56.32 도/초 10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152 mm XM150E4 230 / 310 / 90mm 560 / 490 / 680 APCR / HEAT(ATGM) / HE 10 단계
40발 0.403 m 5.6 초 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좌우 포각/올림각/내림각 판매 가격
(골드)
25 / 32 / 12 mm[8] 65 / 22 km/h 17.05 톤 360/+20/-10 도 10(...)
파일:Sheridan_Missile-1.jpg파일:Sheridan_Missile-2.jpg
1959년 1월 장갑정찰/공수돌격 차량으로 개발이 시작되었다. 1962년 6월 캐딜락 자동차 제조사에서 첫 시제 전차를 제작하였다. 처음 생산 분량에는 시제 전차 3종이 포함되어 있다. 그 후로도 개발 작업을 계속하였으며 1966년 M551 Sheridan으로 명명하여 제식 채용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6.7 패치에서 등장해 7.5 패치 전까지 정규 트리에 존재했던 ATGM 사양 셰리든. 7.5 패치로 정규 트리 셰리든은 골탄이 ATGM에서 일반 HEAT로 바뀌고 골탄이 ATGM인 셰리든은 수집가 전차로 변경되었다. 7.5 패치 전까지 셰리든을 연구한 유저들에게 지급되었으며, 이후 2021년 4월 9일 진행된 이벤트 "목표: Sheridan Missile"로 물량이 풀린 이후로는 가끔가다 복각 이벤트를 실시하고 있다.

대부분의 모드에서 플레이할 수 없는 전차지만, 연습방과 매드 게임즈, 그래비티 포스, 업라이징, 버닝 게임즈 등 특수 모드 한정으로 이 전차를 플레이 할 수 있다. 그래서 위 모드들이 열릴 때마다 하나 정도는 보일 정도로 자주 보이는 편.

디자인은 정규 셰리든의 전설 위장인 사이드와인더의 색놀이 버전. 그래서 레이저 사이트와 서치라이트 등등 각종 악세사리가 그대로 달려있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경전차 다운 관통력을 제외하면 일반탄의 탄속과 사격 성능이 생각보다 쓸만해서 미사일 의존도가 그렇게까지 높지 않다. 잘 엄폐하면서 막강한 기동력으로 관통 가능한 상대를 찾아서 152 ㎜ APCR을 박아주자.

HEAT MGM 관통력은 340 ㎜, 보정 탄약을 쓰면 374 ㎜, 이고 골탄 공격력 페널티가 없으므로 맞을 때까지 안전하게 조준 할 수 있다면 적극적으로 사용하자. 탄속이 느리므로 너무 노출되어 집중 공격 받으면 쉽게 차고로 가게 되므로 주의. 성형작약탄이므로 상대의 공간장갑과 궤도에 약하다는 점도 주의 해야 한다.

T92E1, 같은 셰리던과 동족상잔을 자주 하게 되는데 셰리던에게는 절대적으로 고철탄이 유리하다.

철갑탄으로 관통 가능한 상대에게는 쓸데없이 미사일을 날리지 않는 것이 좋다.

고폭탄 위력이 680으로 엄청나게 좋은 편은 아니므로 경장갑 상대라도 확실한 순간에만 고폭탄을 날리자. 고폭탄 탄속도 1 000 m/s나 되므로 조준만 잘 조이면 예측 사격은 거의 필요 없다.

미사일 유도 중에는 상대적으로 적의 공격에 취약하니, 엄폐물에 숨어서 고각으로 발사해 유도하면 좋다.

ATGM 탄속이 매우 느린데 대놓고 쏠경우 상대가 차체를 틀거나 궤도를 보여줘서 씹는 경우가 많다.

추천 장비

장점
  • 560에 달하는 알파 데미지를 가져 저지력이 매우 높고, -10도라는 좋은 내림각을 가졌기에 언덕 교전을 하기에도 수월하다. 거기에 빠른 탄속을 가져 빠른 적을 잡기에도 유리하다.
  • 차체의 모습을 보면 상자곽처럼 생겼기에 고폭에 잘 뚫릴 것 같지만, 사실 이 외장은 공간 장갑으로, 공간 장갑인거 모르고 고폭 쐈다가 역관광 당하는 일이 있을 수 있으니 그냥 철갑을 쓰자. 하지만 포탑에는 공간장갑이 발라져있지 않아 쉽게 뚫리지만 포탑 각도가 날카로워 전면에서 고폭으로 공략하기엔 무리가 있다.
  • 셰리든의 아이덴티티라고 할 수 있는 대전차유도미사일, 일명 ATGM은 310mm의 관통력을 가진 성작으로, 예전의 T49 ATGM보다 더 어렵도록 시스템이 변화하였다.[9] ATGM 능력은 이후 10.1 업데이트에서 정식으로 특수 메커니즘으로 분류되었고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안내창도 추가되었다.
  • 우선 예전과는 다르게 '연료'가 추가되어 일정 시간이 지나면 ATGM은 공중 폭발한다. 그러니까 예전처럼 오랜 시간 동안 대기타는 플레이가 불가능해졌다. 그리고 이제 자동 조준을 한다고 미사일이 그쪽으로 따라가지 않는다. 포신을 따라가는 게 아니라 유저의 시야를 따라가기 때문에 시야를 움직이면 따라간다. 마지막으로, ATGM을 발사하면 탄이 터지거나 어딘가에 맞기 전까지는 장전이 되지 않는다. 사실상 ATGM을 오래 날릴수록 공격 찬스를 놓치고 딜로스가 생길 수 있으니 손해라고 볼 수 있다.

단점
  • 장갑이 12~40 ㎜로 매우 얇다. 상술했듯 차체는 고폭탄에 내성이 있지만, 포탑은 그런 것도 없으니 미사일 유도 중에도 에임이 흔들리지 않을 정도로는 움직여 주자. 그러지 않을 경우엔 FV215b 183 등의 고폭탄이 사정없이 날아온다. 사실 구축이 고폭을 쏘면 열에 아홉은 공간장갑에 맞고 비관통이 뜬다. 일부 구축들은 차체에 맞아 딜로스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냥 철갑탄을 쓰거나 야이백이나 268/4처럼 철갑이 우수해 그냥 철갑난사로 작살내는 경우도 있는 만큼, 조심하는 게 좋다. 차체를 사격하면 가끔 비관통이라고 뜨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공간장갑에만 맞고 주장갑대를 타격하지 못한 것이다.그러면 관통은 관통 아닌가
  • HEAT MGM의 탄속은 30 m/s로 매우 느리다. 일단 유도 자체는 탄속이 느릴 수록 편해서 공격 자체는 쉬워지는 셈이지만, 노출 시간이 길어져서 방어면에서는 불리하다고 볼 수 있다.
  • 미사일이 은근 공격에 애로사항이 생길때가 있는데, 바로 멀리 있는 적을 쏠때. 은탄으로 관통이 안되니 골탄을 들어 뚫어야 하는데, 미사일을 쏘면 도착할 때까지 세월아 네월아에, 그동안 장전도 안되고, 노출시간도 길어지니 멀리 있는 적을 쏠때에는 엄청난 단점.
  • 전티어보다 차체에 공간장갑이 더해져 고폭탄에 어느정도는 면역이라고 할 수는 있지만, 차체가 매우 커져서 오히려 너프라고 볼수가 있다.

패치 사항
  • 6.8 업데이트로 골탄 공격력이 10% 감소되고, 은탄의 관통력은 250에서 230으로, ATGM은 340mm에서 310mm로 줄어들었다.
  • 7.0 업데이트로 미사일 사정거리가 300m로 감소, 미사일 속도 감소와 미사일 회전 속도가 25% 감소되었다. 또한 7.0 패치에서 엔진 마력이 650마력에서 485마력으로 165마력이 깎이고, 추중비가 약 42에서 31로 11이나 깎이는 대너프를 먹었다. 이 때문에 패치 전에 셰리던의 기동성에 적응한 유저들은 전에 비해 확실히 느려터진 가속을 경험하게 되었다.

기타
이 전차는 당연하지만 특수 모드, 특히 그래비티 포스 모드(중력 이상 모드)에서 빛을 발하는데, ATGM에 피격되면 일반 포탄에 피격되는 것 보다 더 강한 넉백을 받기 때문. 어지간히 무거운 거 아닌 이상 차체가 90도로 꺾여서 날아갈 정도. 허나 전차의 무게가 17톤으로 매우 가벼운데 거기에 152mm 대구경 주포를 얹어놔서, 일반 셰리든과 똑같이 사격할 때마다 들어오는 반동은 어떻게 해결할 수 없다(...). 반대로 날아갈 땐 주포를 비행 방향의 반대쪽으로 돌려놓고 발사하면 맵 끝까지 날아서 횡단할 수도 있다.

2021년 4월에 Sheridan Missile을 얻지 못한 유저들도 획득할 수 있는 이벤트를 했다. 이후 시간이 지나서 2022년 4월에 배포된 8.10 버전의 앱 아이콘이 Sheridan Missile인데, 이를 통해 8.10 버전에서도 Sheridan Missile 획득 이벤트를 하는 거 아니냐는 예상이 있다. 그러나 무슨 이유인지 8.10 버전 동안에는 Sheridan Missile 획득 이벤트가 열리지 않았다.

71식 전차와 일본 중전차 트리가 나온 9.0 버전에서도 앱 아이콘을 장식하는 전차로 8.10에 이어서 나왔고, 이건 9.4 업데이트까지도 이어지고 있다.[10] 획득 이벤트를 할 조짐도 없는 전차를 무슨 이유로 굳이 앱 아이콘 대표 전차로 만든건지 의문이라는 반응들도 나오고 있다. 고인물의 상징이자 언젠가 이 전차를 얻을 수 있으리라고 믿는 뉴비들의 헛된 희망을 상징

2023년 4월에 배포된 9.8 추가 마이너 업데이트에서 원본 Sheridan과 더불어 HD화 되어 PBR 텍스처가 적용되었다.

오랫동안 복각 소식이 없다가 2023년 6월에 공개된 향후 컨텐츠 예고 영상에서 셰리든 미사일 획득 이벤트로 추정되는 이벤트가 실시될 예정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2023년 7월 27일부터 8월 4일까지 진행된다. #

2024년 7월에도 19일부터 29일까지 복각 이벤트가 실시되었다.#

3. 중형전차

3.1. T2 Medium Tank - 2단계

파일:external/pbs.twimg.com/DCgwZ6VUQAAXD6n.jp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T2T1 22/22/22mm 220m 34도/초 280 1단계 기본
T2T2 25/25/25mm 230m 36도/초 260 2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Wright Continental R-975C2 340마력 20% 549kg 3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T2E4 16.20톤 41도/초 2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37mm Gun M5 48/70/9mm 철갑탄/고속철갑탄/고폭탄 40/40/50 2단계
103발 0.46m 1.7초 17.06발/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포탄 재장전 시간 /
클립 재장전 시간/
클립당 탄수
37mm Browning Semiautomatic Gun 39/63/9mm 철갑탄/고속철갑탄/고폭탄 40/40/50 2단계
110발 0.47m 1.7초 0.50초/7초/3발
20mm Hispano-Suiza Birkigt Gun 30/41mm 철갑탄/고속철갑탄 10/10 2단계
1200발 0.50m 1.7초 0.10초/9초/15발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출고 중량 좌우 포각 가격
(크레딧)
22/22/22mm 40km/h 12.11톤 360도 3325
1930년부터 1932년까지 개발이 진행된 중형전차로 양산되지는 않았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영국에 이어 가장 빨리 나오는 중형전차이다. 매우 물장물장하지만 그래도 명색이 중형이니 피통은 많은 편이다. 기동력은 경전보단 느려도 상당히 빠른 편. 워낙에 근접전이 많이 일어나는 블리츠라서 클립포가 더 좋다. 2.4 업데이트로 37mm M1924주포와 Liverty엔진, T2E1현가장치 부품이 제거되었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스톡포탑과 차체 장갑이 22/22/22이다
스톡포탑과 차체 장갑이 22/22/22이다
무려 이름도 T2.

3.2. M2 Medium Tank - 3단계

파일:external/pbs.twimg.com/DCgxAl1UIAANh7p.jp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M2M19 25/25/25mm 210m 40도/초 350 2단계 기본
M2M7 38/25/25mm 240m 39도/초 340 3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Wright Continental R-975C2 340마력 20% 549kg 3단계 기본
Wright R-975EC2 400마력 20% 515kg 4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T49 23.50톤 40도/초 3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37mm Gun M5 48/70/9mm 철갑탄/고속철갑탄/고폭탄 40/40/50 2단계
120발 0.36m 2.1초 15.79발/분
37mm Gun M6 56/78/9mm 철갑탄/고속철갑탄/고폭탄 40/40/50 3단계
120발 0.38m 1.7초 17.14발/분
75mm Howitzer M3 20/91mm 고폭탄/성형작약탄 200/160 3단계
46발 0.52m 2.3초 5.45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출고 중량 좌우 포각/올림각/내림각 가격
(크레딧)
32/18/13mm 43km/h 20.43톤 360/25(40)/10(20)도 29500
양 세계대전 사이에 미군이 채용한 유일한 미군 중형전차로, 37 mm 주포 한 문과 7.62 mm 기관총 6정이 회전식 포대에, 고정식 기관총 2정이 차체 정명에 장착되었다. 전투 성능이 뛰어나지는 않았지만, M2A1는 미국 전차 개발 역사에 이정표로 남았으며 양산에 최적화되어 있었다. 1940년에 94대가 생산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공격
75 ㎜ 단포신 주포의 관통력이 블리츠에서 대폭 하향 된 관계로 4탑 방만 가도 75 ㎜는 크게 피해를 못주고 씹힐때가 많다. 그렇다고 37 ㎜를 쓰기에는 화력이 조금 부족한 감이 있다. 물론 3탑 싸움은 거기서 거기니 그냥 타자. 저티어 경전차가 우글대는 3티어에서 중형전차는 체력이 높다는 점을 빼면 단점이 많은 병과이다. 경전차와 달리 이동중 위장률이 유지되지 않고 전고가 높기에 위장률 자체가 낮은 단점이 있다. 장갑에서 크게 이점을 갖는 것도 아니고... 훌륭한 부각을 이용한 헐다운 플레이로 단점을 커버해야 한다.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이 전차의 가장 재미있는 부분은 바로 "주포"이다. 위 스크린샷의 75 ㎜ 단포신 주포의 내림각은 무려 -20도이다. 75mm가 관통력만 좋았으면...핵사기 기관포 정도는 제법 튕겨주는 포방패를 활용해 언덕에서 고폭과 성작 찜질을 해주자. 적자를 감수한다면 성형작약탄으로 3티어 답지 않은 화력투사가 가능하다. 고폭탄은 관통력이 좀 하향되어서 힘들지만 방사 피해로 두자리수 피해는 줄 수 있다. 옆동네 라이벌인 4호 전차 A형은 철갑탄이 있어서 그나마 좋지만, 이 녀석은 고폭탄과 성작뿐이다. 75 ㎜의 화력을 제대로 뽑아내려면 성작을 써야해 적자가 많이 난다. 프리미엄 탄 공격력 15% 감소로 더 약해진 상태. 그래도 심심하면 10초를 넘어가는 재장전 속도를 보이는 3티어 75mm 단포신포 치고는 괜찮은 연사력을 보여준다. 최종 포탑은 개방형이라 고폭탄에 취약하다. 차체 장갑 자체는 별로지만 부분적으로 경사가 있어 나름 쓸만하다. 하지만 웬만한 3티어라면 이 전차를 쉽게 관통하니 무지막지한 내림각을 무기로 헐 다운 하며 운용하는 것이 좋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 2.4패치로 T48 현가장치가 제거되었고 주포들이 자잘한 상향을 받았다.

기타

3.3. M3 Lee - 4단계

파일:external/pbs.twimg.com/DCg8T9SUMAIGhCP.jp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Wright R-975EC2 400마력 20% 515kg 4단계 기본
Chrysler A57 440마력 20% 570kg 5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VVSS T41 29.90톤 40도/초 3단계 기본
VVSS T48 29.90톤 43도/초 4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75mm Gun M2 90/125/20mm 160/160/200 철갑탄/고속철갑탄/고폭탄 4단계
50발 0.47m 2.3초 6.00발/분
75mm Gun M3 92/127/20mm 160/160/200 철갑탄/고속철갑탄/고폭탄 4단계
50발 0.41m 1.8초 8.63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출고 중량 포각 가격
(크레딧)
51/38/38mm 38km/h 27.93톤 (좌)15,(우)15/ +20/ -9 도 126000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이 사용하던 중형전차이다. 전차의 이름은 남북전쟁 당시 남부군 총사령관이었던 로버트 리 장군의 이름에서 따왔다. 또한, 영국군에서 활약한 M3 Grant로도 유명한데 이는 영국에서는 연방군 장군이었던 U. Grant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1940년 M2 전차를 기반으로 개발된 M3는 1941년부터 1942년 12월까지 총 6,258대가 생산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미국이 M4 셔먼의 개발 전 "무포탑 전차에 얹어도 좋으니 75mm를 전차에 달아야 한다!"라는 개념으로 M2 Medium의 차체에 75mm포를 달아서 만들어진 전차이다. 전체적으로 리벳 접합 등의 구식 설계도를 토대로 만들어진데다 급조품의 성격이 강했기 때문에 훌륭한 전차로 평가하기에는 문제가 많은 녀석이었다. 다만 주포 하나는 당시 화력이 많이 부족하던 영국군들에게 호평을 받았으며, 게임에서도 다른건 몰라도 공격력은 끝내주게 좋다. 하지만 중형전차임에도 차체에 주포가 달린 이질적인 성격에서 오는 불편함 때문에 고평가는 못 받으며, M3 Lee를 변형시킨 망리라는 별명으로 자주 불리는 편이다.

공격
리의 풀업 75mm M3 주포는 4티어 경-중형전차들이 사용하는 주포 중 가장 성능이 뛰어나다. 리를 까는 이들도 주포를 갖고 뭐라 하지는 않는다. 106mm 라는 고관통, 160 데미지의 강력한 발당 피해량, 그리고 풀셋팅시 1568이 나오는 압도적인 분당 화력의 조화로 적을 콕콕콕 녹여 준다. 다만 고정포대인 탓에 포각이 좌우 각각 15도로 제한되어 유연성이 떨어지고, 주포의 정조준 명중률이 좋은 편이 아니라 장거리 사격시 탄이 튀는 게 보인다.

방어
장갑 두께는 50mm로 평범하지만 경사각이 적용된 부위가 적고, 차체 크기가 큰데다가, 결정적으로 인게임상 아무 쓸모 없는 거대한 부포탑이 차체 위에 덩그러니 올려져 있어서 잘 뚫린다. 특히나 무방비로 적에게 포착되는 경우 피탄 면적이 넓어 정면이고 측후면이고 두들겨맞기 좋다. 주포 내림각이 -9도는 나오기 때문에 능선을 끼고 면적을 그나마라도 최소화 하는 것이 좋으며, 주포 주변부의 포방패 부위는 어느정도 도탄이 가능하기에 엄폐물을 사용하여 차체를 가린 후 주포가 탑재된 차체의 우측만 빠르게 노출해 공격하고 숨는 전략으로 방어력을 활용할 수 있다.

기동
최고속도가 38km/h 밖에 안 되니 중력 이상도 아닌데 날아다니는 룩스나 VK 레오파르트 등 경전차가 난무하는 4탑방에서 기동전은 무리다. 애초에 다른 중형전차들처럼 최전방에 달려나가 개싸움을 하기엔 4티어 타는 고인물을 만날 경우 100% 확률로 궤도 터지고 뺑뺑이당할 정도로 무포탑의 페널티가 너무 크다. 그러니 자리 찾는 데에 딱 알맞은 속도로 아군의 백업 포지션을 잡는 것이 좋다. 다행히 선회력이 나쁘지 않으니 전차의 후방을 가려줄 엄폐물만 확보한다면 무기력하게 뺑뺑이에 죽지는 않는다. 다만 무포탑 전차의 한계가 명확한 만큼 적이 선회전을 걸 정도로 접근하는 상황을 애초에 피하자.

게임플레이
교전에 앞서 자신은 포탑이 없는 전차라는 사실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 애초에 이 트리와 4.10 기준 모든 중형전차 타이틀을 가진 전차 중 무포탑은 얘가 혼자이다. 주포의 위치가 아래이고 차체가 높기 때문에 방어적인 헐다운 쇼는 무리지만, 완만한 구릉 지형에서 -9도 내림각으로 노출면적을 줄이면서 쓰면 그나마 피해를 덜 받을 수 있다. 포탑이 없다보니 그냥 구축전차로 몰고도 싶겠지만 포가 정밀하지 않아서 원거리 저격을 하면 탄이 많이 튀기 때문에 고 DPM의 장점이 무색해진다. 1~1.5선 쯤에서 아군을 앞에 두고 화력을 보조하는 헷처와 비슷한 돌격포로 모는 것이 오히려 DPM을 살리기 좋다. 하지만 너무 앞서가면 물장+목고자 조합 때문에 전구가 뜨면 딜량에 목마른 적들이 이녀석만 쳐다보고 쏘기에 어그로 관리를 잘 해야 한다. 어차피 후에 나오는 미국 중형 중 이런 특이한 친구는 없으며, 이 전차를 잘 못 몬다고 낙담할 필요는 없다. 정 힘들면 그냥 4티어 쯤은 자경으로 보내버리자.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테크트리 시절에는 M3 리에서 전차가 두가지로 나뉘었는데, 중형전차 트리로 가길 원한다면 M4 Sherman, 중전차 트리로 가길 원한다면 T1 Heavy로 가면 됐다. 하지만 옛날과는 달리 T29가 76mm 스톡 주포를 삭제받았기 때문에 M4로 간 후 점보 셔먼을 지나 T29로 가는 게 나을 수도 있다. 이는 개인 취향이며, T1도 쓸만하니 원하는 데로 가라. 하지만 수집가 전차로 바뀐 이후에는 이것도 옛말이 되었다.

3.4. M4A2E4 Sherman - 5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M4A2E4D51066 76/51/51 mm 240 m 40.68 도/초 144 5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General Motors 6046 420 마력 15 % 549 kg 5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M4A2E4T42 33.3 톤 37 도/초 5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75 mm Gun M3 106/127/20 mm 160/135/200 AP/APCR/HE 4 단계
90 발 0.46 m 2.06 초 8.22 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출고 중량 포각 가격
(골드)
64/38/38 mm 52 km/h 31.8 톤 360/ +25/ -10 도 2 350
파일:06-m4a2e4-sherman.jpg파일:05-m4a2e4-sherman.jpg
1943년 3월 개발이 시작된 시험용 전차로 그해 7월까지 시제 전차 2대가 완성되었다. 시험 운행은 통과하였으나 양산 및 제식 채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M4A2 셔먼을 기반으로 토션바 서스펜션을 장착한 시험용 차량이다.

본래 프리미엄 전차였으나 지금은 수집가 전차로 전환되었다.

공격
4단계 M3 Lee 최종 주포를 사용하여 관통력과 탄속이 동급 중형전차 보다 약간 낮은 영국군 셔먼 V의 75 ㎜ 주포와 같다. 철갑탄 관통력은 장비 장착시 대부분의 정면 장갑은 관통 할 수 있다. 공격 시 운용법은 치고 빠지기. 원판 셔먼 보다는 나쁘지만 여전히 -10도 까지 나오는 주포의 내림각을 활용한 헐 다운을 주로 구사하여 생존과 공격을 동시에 꾀할 수 있다.

방어
정면 장갑은 꽤 튼튼하나 나머지 부분의 방어력이 중형 전차 답게 매우 약하다. 이리저리 빼고 틀다 보면 도탄 및 뜬금 방호가 자주나기 때문에 무조건 정면만 보여주며 싸우자. 그럼 적들이 자기는 뚫리는데 상대는 생각 외로 튕겨내니 좋아 죽을거다. 따라서 운용 시 치고 빠지기는 필수이다.

기동
엔진은 GM 6046으로 추중비가 정규 계통 셔먼 보다 나쁘다. 최고 속력은 52 ㎞/h 라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평지 기준 약 40 ㎞/h 미만에서 전술 기동을 하게 될 것이다. 오르막에서는 눈물나는 가속력 덕분에 되도록 평지를 이용하자. A2 계통 셔먼은 디젤 엔진을 사용 하기 때문에 엔진 피탄시 화재 발생률이 15%로 다소 낮다.

게임플레이
대부분 전차장들이 악평을 하지만 승무원 훈련과 장비를 적절한 것으로 달아주면 쏠쏠한 정면장갑과 1 500대 중반 정도 나오는 DPM 덕분에 자주 보이지는 않아도 적절한 활약이 가능하다. 이 전차는 인기가 없을 뿐이지 절대 쓰레기는 아니다. 2018년 6월 기준 WRL30D[11]이 59%대에서 노는 괜찮은 녀석이다. 어쩌다가 얻었다면 잘 굴려 주자. 수익률도 153%로 어쨌든 골탱 셔먼 값어치는 한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독일의 Pz.Kpfw.IV Hydr.와 같이 패키지로 판매되었던 희귀탱이자 인기없는 녀석. 간간이 5티어방에서 만날 수 있다. iOS 베타 테스트 당시에 북미 및 아시아서버 테스터들에게 지급된 전차였으며 한시적으로 한정 판매했다. 셔먼과 운용법이 같다. 망리 최종포를 사용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5. High Score - 5티어

파일:WoT Blitz V US MT High Score Front.jpg파일:WoT Blitz V US MT High Score Side.jp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High Score 80 / 60 / 55 ㎜ 240 m 38.59도/초 680 5단계 완전 회전 포탑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Wright Continental R-975C4 450 마력 20% 5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High Score 39.11도/초 104 / 95 / 61% 5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단계
포탄 적재량 100 m 분산도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화력
105 ㎜ M4 100 / 120 / 50 ㎜ 280 / 250 / 400 HEAT / HEAT / HE 5단계
36발 0.460 m 3.8초 12.46초 / 1 348 DP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가격
(골드)
64 / 38 / 38 ㎜ +48 / -18 ㎞/h 31.45 톤 360 / -6 / +20도 한정
승무원 구성 :

개요
2022년 6월 16일에 블리츠 8주년 이벤트의 보상 탱크로 출시되었다. 무료 구독 상품의 보상 차량으로 출시되었으며, 10일간 매일 출석하면 전차를 무료로 얻을 수 있다. 무료 구독 상품은 6월 16일부터 6월 24일까지 상점에 올라왔다.

오래전에 블리츠에서 삭제된 105 ㎜ 곡사포 사양의 M4 셔먼을 구현한 차량이다. 정규 계통에서는 삭제된 105 ㎜ 곡사포를 새로운 별개의 차량으로 구현한 점에서 2021년에 7주년 이벤트 보상 탱크로 나온 Pz. IV Gargoyle과 유사하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105 ㎜ 주포는 고폭탄 계열만 사용하기에 공간장갑 떡칠을 했거나 너무 튼튼한 전차에겐 성과를 내기 힘들다. 장애물을 뚫고서 약점 사격을 할 수도 없다. 당장 같은 105 ㎜ 주포를 단 가고일이나 나이트메어가 측면만 내놓고 있다면 자주 탄이 씹힌다. 심지어 차체 쉬르첸이 달린 걸판 4호 전차 Anko가 대놓고 측면을 내밀고 있으면 난감해진다. 느림보라고 놀림받는 AT-2/7이라도 만나면 골탄도 안 듣는 중장갑 때문에 일방적으로 얻어터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물론 상대 입장에서는 105 ㎜ 포탄에 뚫리는 게 무섭긴 하지만.

5단계 전투에서도 2선 지원에 투입되는 중형전차이다. 포방패와 포탑 측면, 그리고 차체 측면 하단의 공간 장갑이 아주 약간의 방어력을 내주지만, 대체적으로 방어는 믿을 게 전혀 못 되므로 최전선에서 좀 떨어진 수풀이나 엄폐물 뒤에서 은폐 중 사격을 한 후 빠지는 식으로 싸우는 것이 좋다. 이 정도 거리에서는 상대에 약점 사격을 하기에는 분산도가 상당히 안 좋으므로 너무 욕심 내지 말고 조준 조이는 도중 골탄으로 바꿔가며 관통 각을 재보자. 종종 고폭탄을 냅다 던지고 튀는 플레이가 나을 수도 있다.

추천 장비

장점
  • 105 ㎜ 똥포: 뉴비 제초 문제로 사라진 105 ㎜ 포를 달고 돌아온 셔먼이다. 4티어 섞인 5탑방에서는 거의 KV-2 열화판 취급이다. 사격 성능이 많은 문제가 있지만, 의외로 조준 시간은 짧은 편이고 280 DPS에 달하는 한 방은 경장갑 상대로는 상당히 위협적이다. 또한 50 ㎜ 관통력으로 뚫을 수 있는 상황에서는 고폭탄의 400 DPS가 매우 뜨겁다. 또한 무슨 짓을 했는지 은탄 HEAT탄의 탄속이 무려 1 000 m/s이다. 야이백보다 빠르다! DPM도 1 348로 제법 나오는 편이다.

단점
  • 중장갑에겐 답이 없는 관통력: 아무리 거리별 관통력 페널티가 없는 성형작약탄이라도 100 ㎜ 평균 관통력은 좀 심각한 편이다. 골탄을 들어도 고작 20 ㎜ 좋아질 뿐이라서 3601이나 병투라도 만나면 시뻘겉게 변한 모습을 볼 수 있고, 중장갑의 상징인 영국 구축트리의 AT 전차들에겐 후면으로도 탄이 안 박히는 미친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냥 뇌 비우고 고폭탄 찜질을 하고 튀는 게 제일 나은 경우가 잦다. 해괴한 점으로 골탄 탄속이 381 m/s로 갑자기 아리랑볼이 된다는 점이다. 장거리 저격 시 탄이 심하게 포물선 궤도를 그리는 것을 볼 수 있다.
  • 탄종: 모든 탄종이 HE 계열이다. 그러므로 가벼운 울타리나 얇은 벽이라고 할지라도 그 뒤의 상대에게 피해를 줄 수 없다. 방사 피해 제외.
  • 내림각: 저단계 셔먼 특기인 -12도 내림각은커녕 -6도에서 빌빌댄다. 셔먼이 아니라 그냥 셔먼에 자주포 주포 단 직사 자주포라고 생각해야 한다.

패치 사항
  • 9.5 버전 클라이언트에서 이 전차로 게임을 플레이하려고 시도하면 에러코드가 뜬 채로 전투방에 입장하지 못하는 버그가 잠시 일어난 적도 있다. 해당 버그는 2022년 12월 29일에 배포된 9.5.1 패치에서 수정되었다.
  • 11.0 업데이트로 보정 포탄이 버프받아 보정 포탄 장착시 은탄 골탄 관통력이 113 / 136mm로 버프되면서 그럭저럭 쓸만한 수준까지 올라와 겨우 숨통을 돌리게 되었다.

기타
포탑 측면에 예비 궤도를 달고 있고 차체 측면 하단에는 현란한 HIGH SCORE 전광판을 달고 있는데 실제로 5 ㎜ 두께 공간 장갑 판정이다.

2023년 4월 28일에서 5월 9일까지 진행된 네온스케이프 이벤트에서 다시 보상으로 출시되었다.

3.6. M4A3E2 Sherman Jumbo - 6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내구도 무게 단계 비고
M4A2E2T110 152 / 152 / 152 ㎜ 230 m 32도/초 920 5 400 ㎏ 5단계 스톡
M4A2E2D51080 76 / 52 / 52 ㎜ 240 m 39도/초 980 4 800 ㎏ 6단계 풀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종류 단계 비고
Wright Continental R-975C1 400 마력 20% 516 ㎏ 4단계 스톡
Wright Continental R-975C4 460 마력 20% 550 ㎏ 5단계
Ford GAA 520 마력 20% 569 ㎏ 7단계 풀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무게 단계 비고
VVSST48E2 38,50톤 30도/초 8 300 ㎏ 5단계 스톡
VVSST51E2 38,50톤 32도/초 8 300 ㎏ 6단계 풀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탄속 포탄 가격
(크레딧)
무게 단계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고저각 비고
75 ㎜ Gun M3 92 / 127 / 20 ㎜ 160 / 135/ 200 철갑탄 / 고속철갑탄 / 고폭탄 619 / 820 / 619 m/s // 1 437
4단계
0,46 m 2,1초 8,62발/분 - 10도 ~ 25도 스톡
105 ㎜ M4 30 / 102 ㎜ 400 / 210 고폭탄 / 성형작약탄 472 / 381 m/s // 2 600 ㎏ 5단계
0,55 m 2,5초 5,41발/분 - 10도 ~ 25도
76 ㎜ Gun M1A1 128 / 177 / 20 ㎜ 160 / 135 / 200 철갑탄 / 고속철갑탄 / 고폭탄 792 / 990 / 792 m/s // 1
567 ㎏
6단계
0,43 m 2,3초 8,16발/분 - 10도 ~ 25도
76mm Gun M1A2 128 / 177 / 20 ㎜ 160 / 135 / 200 철갑탄 / 고속철갑탄 / 고폭탄 792 / 990 / 792 m/s // 1 567 ㎏ 6단계
0,40 m 2,3초 10,49발/분 - 12도 ~ 25도 풀업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출고 중량 / 한계 좌우 포각 제자리 선회 가격
(크레딧)
101 / 76 / 38 ㎜ 35 ㎞/h 33,93 톤 / 38,50 톤 360도 가능 975 000
파일:점보셔먼.jpg
M4A3(75)W 전차의 중장갑 돌격 전차 개량형이다. 38mm 두께 장갑판을 추가로 장착하였으며 변속기 부분 장갑을 강화하였다. 또한, T23 포탑을 기반으로 장갑을 강화한 새로운 포탑도 장착하였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M4A3 셔먼에 증가장갑을 추가한 방어력 강화형 전차다. 통칭 점보셔먼.
공격
먼저 주로 쓰이는 스톡 포탑의 경우 전측후 모두 152mm라는 티어를 초월한 수치를 자랑한다. 최종 포탑의 경우 E8의 것과 같지만 호환은 안된다. 바로 옆의 M4A3E8과 마찬가지로 이 포탑은 M1A2를 쓸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풀업 포탑을 그냥 달기를 망설이게 만드는 부분이 있으니, 바로 풀업 포탑을 달면 존나게 잘 뚫려주신다라는 점이다. 단순 장갑으로는 스톡 포탑이 훨씬 두꺼우나 M1A1을 달아야 하기에 연사력을 포기해야 하지만, 그래도 이왕이면 떡장 플레이로 중형 라인의 중전차가 되고 싶으면 스톡 상태로 놔둬도 된다. 특히 본인의 실력이 치고 빠지면서 많은 딜을 넣는 데에 모자란 듯 하면 차라리 스톡이 나을 것이다. 본인이 숟가락 살인마 놀이에 익숙하다면 풀업 포탑과 M1A2를 선택하는 방법도 있다. 사실 스톡 포탑이라도 큐폴라가 약점이라 대부분 유저들이 여길 노리므로 실전 방호력은 다소 떨어질 수 있다. 풀업도 상대적으로 약할 뿐 상당히 튼튼하므로 본인에게 맞는 선택을 하자. 사격 간 잦은 움직임으로 약점을 노리기 어렵게 하는 방법도 유용하다.

점보 셔먼의 내림각은 -10도로 매우 준수하지만 M4A3E8과 M4의 -12도보단 안 좋아서 이들에 익숙해져 있다가 점보 셔먼을 탄다면 헐 다운시 약간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다.

M1A2에 군용품과 장비를 있는 대로 달아주면 연사력이 분당 12,45발까지 올라가는데, 이러면 화력이 57 ㎜ 속사포를 단 T-34와 맞먹는 1 993 DPM이 된다. 이 포를 든 채로 헐 다운하면 상대 입장에서는 4,82초마다 포탑을 내밀며 평타 160 HP 대미지를 입힌 다음 다시 숨어버리는 굉장히 거슬리는 녀석이다. 물론 동일한 포와 연사력을 가지고 있는 이지에잇도 마찬가지이다. 다음 티어론 T20을 통해 중형 전차 라인으로 갈수도, T29를 통해 중전차 라인으로 갈수도 있다. 특히 4.8 업데이트 이후로 T29의 스톡 76mm가 삭제되어 여기서 T29로 가기가 더욱 수월해 졌다.

방어
차체의 전면 장갑 수치가 무려 101mm이고 경사 장갑까지 더해져 6탑방에서 상당한 방호력을 보여준다. 이 두꺼운 정면장갑으로 다른 6티어 중형전차의 악몽인 KV-2의 고폭탄을 300~400딜정도로 받아낼 수 있어 다른 애들이 900딜 맞고 빈사될 때 KV-2에게 정면에서 깝칠 수 있는 유일한 중형전차다. 하지만 적이 위에서 노려보거나 골탄을 들 경우 의외로 잘 뚫리는 경우가 있으니 당당히 버티는 스타일은 아니다. 상당히 둔중하고 느려졌으므로 중형 라인에서 홀로 중전차의 역할을 하거나 아군에 중전차가 없을 경우 그쪽 라인 지원에 나서는, 주로 최전선 유지의 역할을 한다.

정면 장갑은 위아래 두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트랜스미션 커버를 포함하는 하단보다 상단 장갑이 좀 더 얇다. 점보 셔먼의 장갑이 두껍다고는 해도 고관통포를 장착한 전차에게는 차체가 쉽게 뚫리므로 너무 과신하진 말자. 특히 7티어 전차와 5~7티어 독일 무개 구축전차를 조심하자, 믿었던 장갑이 8,8 ㎝ 주포 앞에서 종잇장이 되고 자신이 걸레짝이 되가는 것을 보고 있으면 제 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에게 8,8 ㎝ 포가 얼마나 두려운 존재 였는지 이해가 될 정도. 다만 관통력이 비슷하거나 낮은 포를 쓰는 전차들 상대로는 재미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지에잇과 점보셔먼이 정면에서 맞붙을 시 점보 셔먼이 이길 확률이 높다. 다만 뺑뺑이에 잘 대처하지 못한다면 후측면 두드려맞고 차고간다. 또한 점보셔먼끼리 맞붙으면 서로의 장갑을 관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때는 골탄을 쓰는 방법 말고도 돌진해 전방에 붙어 미국 특유의 탁월한 부각을 이용해 탄의 입사각을 줄이면 관통하기 수월 해진다. 이는 상대도 마찬가지이므로 재장전 중에는 바로 후진해서 멀어지도록 하자, 쫒아오면 궤도에 한방 꽂아주자.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 5.6으로 수집가 전차가 되고 고증포탑인 스톡포탑으로 바뀌고 포 역시 고증 포중 하나인 76mm M1A1이 되면서 연사력이 줄었다.


기타

3.7. Rudolph - 6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mm m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마력 % kg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mm // // 단계
m 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좌우 포각/올림각/내림각 가격
(골드)
//mm km/h 360//도
승무원 구성 :

개요
루돌프 사슴 코는 셔먼포

2020년 12월 크리스마스 배틀패스 프리미엄 보상으로 출시된 전차. 이지에잇 셔먼을 기반으로 측면에 썰매 장식을 추가하고 포탑에 사슴뿔 장식을 붙이고 포신의 머즐 브레이크를 빨갛게 칠해 루돌프 사슴처럼 꾸민 버전이다. 중량이 늘어나면서 추중비가 정규 이지에잇 셔먼보다 딸리지만, 주포 연사력과 DPM은 약간 우위이며 선회력도 좋아지고 최고속도도 원본보다 전진/후진 모두 2km/h씩 빨라졌다. 다만 장갑은 정규 이지에잇보다 약하다. 모델링이 새로 제작된 관계로 정규트리 이지에잇과 달리 제대로 된 고증 포탑을 달고 있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3.8. BLTZ9000 - 6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mm m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마력 % kg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mm // // 단계
m 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좌우 포각/올림각/내림각 가격
(골드)
//mm km/h 360//도
승무원 구성 :

개요
2021년 7월 배틀패스 프리미엄 보상으로 출시된 전차. 원본은 M18 헬캣이지만 분류도 중형전차로 변경되었고 디자인이 매우 미래지향적으로 과감하게 바뀌었다.

공격
주포는 헬캣의 최종 90mm포 기반이지만, 원본과 비교했을 때 조준 시간과 분산도가 크게 나빠졌고, 탄속과 철갑탄의 관통력, 재장선 시간이 너프되었다.

하지만 프리미엄 탄은 고속철갑탄을 쓰는 원본 헬캣과 달리 성형작약탄으로 변경되어 관통력이 더 좋아졌다.

부각은 원본보다 2도 줄어든 8도, 앙각은 원본과 동일하게 20도 이다.


방어
헬캣보다 전반적으로 장갑이 강화되었다.

원본 헬캣은 차체 대부분이 겨우 13mm였지만 BLTZ-9000은 차체 전면이 50mm, 측면이 45mm, 후면이 30mm로 강화되었다.

거기에다가 추가로 차체 전면은 50mm 공간장갑, 측면도 5mm 공간장갑으로 덮혀있어 매우 뛰어난 정도는 아니라도 헬캣에 비해 확실히 방호력이 올라서 성형작약탄을 상대로 무력화될 가능성은 줄어들었다. 단 차체 전면 상단에만 50mm 공간장갑이 붙어있기 때문에 전면 상단은 뚫기 어려울지라도 차체 전면 하단부는 공간장갑도 없는데다 둥글게 튀어나온 모양 때문에 쉽게 뚫을 수 있다.

포탑도 전반적으로 헬캣보다 두꺼운데, 정면은 75mm(추가장갑판 포함)와 양 옆에 공간장갑이 있으며, 오픈탑인데다가 구멍들이 여럿 뚫린 디자인이라 매우 약해빠진거 같은 뒷부분도 30mm 장갑으로 보호되어있다.

장갑이 헬캣보다 크게 버프되었다고 하지만 여전히 안심할 수 있는 수준은 절대 아니다. 전면장갑이 이지에잇 셔먼보다 약하고[12], 포탑 측후면도 40mm이므로 KV-2나 스매셔를 만나서 대구경 고폭탄에 공간장갑이 없는 부위가 뚫린다면 매우 위험하다. 덤으로 포방패도 공간장갑이 아니기 때문에 쉽게 무력화될 수 있고, 주포 마운트 부위에도 작은 히트박스가 있기 때문에 가능성은 낮지만 해당 히트박스가 피격당할 수도 있다.

포탑도 요동 포탑이라서 얇은 포탑 측면이 뚫려 포탑 구동부가 고장나면 포탑 선회는 물론 주포 각도도 조절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주포와 포탑을 무리하게 올려세우면 약점인 포탑링이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기동
엔진 출력이 풀업 헬캣보다 50마력 낮아졌고(450→400마력) 전진 최고속력이 인게임의 정규 헬캣보다 7km/h 낮은 58km/h로 너프되었다. 그 대신 선회력은 풀업 사양 헬캣보다 좋아졌다.

구축전차에서 중형전차로 바뀐 점 때문인지 포탑 선회속도는 헬캣보다 빨라졌다.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프리미엄 패스 레벨 70을 달성하면 전용 장식인 '라스캐논'을 얻는다. 외형은 레이저 거리 측정기가 달린 미니건같이 생겼으며, 장착하면 포탑의 왼쪽에 마운트가 생기며 전투중에는 라스캐논이 전차의 주포가 가리키는 방향과 같은 쪽으로 향하게 움직인다. 당연하지만 그냥 단순한 3D 장식이라서 애초에 월탱 시리즈에 부무장이라는 개념부터 없지만 장착한다고 라스캐논으로 공격할 수 있는 특수 능력 같은 게 생기지는 않는다.

원본에 비해 가장 많은 변화를 거친 배틀패스 전차라고 봐도 무방하다. 대부분의 배틀패스 전차는 외형이 어느정도 달라지고 성능이 조정되어도 최소한 전차의 유형은 유지되고 원본과 운용법도 비슷한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 전차는 원본에서 상당히 변경된 외형과 성능뿐만 아니라 분류도 구축전차에서 중형전차로 바뀌었기 때문에 다른 배틀패스 전차들보다 특이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위장률은 헬캣보다 살짝 안 좋은 정도라서 동티어의 M4A3E8을 비롯한 다른 중형전차들보다 뛰어나다.

로봇같은 디자인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기계의 반란이라는 배틀패스 컨셉답게 터미네이터를 모티브로 하였다. 자세히 살펴보면 전차에 사람이 타는 곳이 없고, 원본 헬캣에서 운전수 탑승구였던 곳은 붉은 발광부와 주위에 전선이 보인다. 그리고 포탑 내부를 보면 포탑링 주변으로 포탄이 배열되어있는 T-64나 T-80같은 소련제 주력전차의 코르지나 자동 장전 장치를 연상시키는 구조물이 있고[13] 배선과 기계부품만 보인다. 그리고 게임 시작 전 등장할 때 터미네이터 시리즈의 시간여행 도착 장면처럼 주변에 푸른 전기막이 생기면서 보여진다[14]. 다만 이는 디자인적인 요소고, 실제 게임에서는 승무원 판정은 존재하는데, 대부분의 동티어 전차들과 다르게 승무원은 운전수와 전차장 2명 뿐이다.[15][16]

이 전차가 나오고 1년 반 정도 지난 2023년 1월에는 진짜로 터미네이터 시리즈와 콜라보가 이루어져서 터미네이터 테마 배틀 패스와 T-800을 모티브로 한 Cyborg 전차가 추가되었다.

3.9. 튜토리얼 M4A3E8 - 6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 ㎜ m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마력 %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도/초 / / %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단계
포탄 적재량 100 m 분산도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화력
// ㎜ // // 단계
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가격
(골드)
// ㎜ ㎞/h 360//도
M4A3E8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운용된 미국 주력 전차 중 가장 많이 양산된 개량형이다. 차체는 용접 방식으로 제작하였으며 Ford GAA carburetor 엔진을 장착하였다. Fisher Tank Arsenal과 Detroit Tank Arsenal에서 1942년 6월부터 1945년 3월까지 개선된 HVSS 현가장치를 사용하여 총 11,424대를 생산하였다. M4A3(76)W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에도 1965년 인도 파키스탄 전쟁까지 수많은 전투에 참여하였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7.9 업데이트로 개편된 튜토리얼에서 시작할 때 선택할 수 있는 3대의 전차중 하나다[17]. 튜토리얼 전용차량이라 정규트리의 이지에잇과는 별개의 차량이며, 7.9 이후 새로 시작한 신입 계정에서 튜토리얼때만 잠시 볼 수 있다. 정규트리 이지에잇과 달리 제대로 된 고증 최종포탑을 달고있으며, 평균 데미지가 90인 대신 장전속도가 3초대가 되었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3.10. T42 - 7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 ㎜ m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마력 %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도/초 / / %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단계
포탄 적재량 100 m 분산도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화력
// ㎜ // // 단계
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가격
(골드)
// ㎜ ㎞/h 360//도
1948년 개발이 시작되어 M46과 무장은 비슷하지만, 더 견고한 장갑을 탑재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낮은 엔진 출력으로 인해 기동성은 떨어지는 편이었다. 시제 전차 6대가 제작된 이후 전차 개발이 중단되었다. 향후 포탑, 주포, 사격 통제 장치 등 일부 부품이 M47 개발에 사용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2023년 6월에 실시된 9주년 기념 Progresston 엑스포 이벤트에서 엑스포 상자와 함께 주요 보상으로 출시되었다. 8티어로 나온 본가 PC월탱과 달리 7티어로 하향되었다.

본래 프리미엄 전차였으나 11.0 업데이트에서 수집가 전차로 전환되었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이 전차의 포탑이 테크트리 M46 패튼의 풀업 포탑이다. 이 때문에 모양이 같은 것이다. 실제로 T42의 포탑이 M46 패튼 차체에 올려져서 만들어진 M46E1을 기반으로 M47 패튼이 개발되었다.

전설 위장 Vesperkill이 있다. 전설 위장 적용시 흙받이에 개틀링 기관총 장식이 생기고 포탑 후방에 연장된 장갑판 모양 장식이 추가되는 것과 같이 외형이 바뀌고 전투 중 표기되는 전차 이름이 T42 Vesperkill로 변경된다.

3.11. T25 Pilot 1 - 8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mm m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마력 % kg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mm // // 단계
m 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좌우 포각/올림각/내림각 가격
(골드)
//mm km/h 360//도
파일:T25Pilot_01.png파일:T25Pilot_03.png
미국 병기국에서 개발하였으며 대량 생산된 T23 전차에 90mm 주포를 장착하고 장갑을 강화한 전차이다. 시제 전차 두 대를 제작한 후 40대를 더 생산하였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T26과 동시에 개발되었던 90mm 주포 장착형 중형전차이다. T25의 장갑 강화형이었던 T26이 제식으로 체택되었다. 어찌보면 경량형 퍼싱.

2020년 8월 21일 상자깡 형식으로 등장하였다. 등장 확률은 5%로, 25개의 부적을 모으면 확정 획득이 가능했다. 12개 상자 묶음이 65,000원으로 책정되어 확정획득을 위해서는 약 14만원 정도가 요구되었다.

본래 프리미엄 전차였으나 10.8 업데이트에서 수집가 전차로 전환되었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In crates, tier 10, okay. Tier 8, no. A sh** tier 8, no.
(전차를) 상자깡으로 낸다면, 10티어: 좋아요. 8티어: 안돼요. 쓰레기 8티어: 안돼요.
- Meadsy69

위의 이 전차에 대한 혹평은 유명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 유튜버 Meadsy69의 말로, 공수주 뭐 다른 8단계 중형에 비해 내세울 것이 없는 이 전차에 이미 8단계 almost OP 중형인 Progetto 46 등과 비교하며, 워게이밍이 돈에 눈이 먼 나머지 이 똥탱크를 상자깡으로 내냐는 비판이었다. 이 혹평이 절대 과하다 할 수 없는 게 차체 장갑도 아예 없고, -10도 부각을 이용하게 만들어주는 포탑도 잘 조준하면 숭숭 뚫린다. 기동도 다른 중형 평균 수준이고, 관통력은 다른 미국 8티어 중형 프리미엄들과 비교하면 좋은 게 없다. 근데 확정획득이 14만원 그리고 이 전차는 2020년 크리스마스 경매 2주차에 최신 전차임에도 7000골드라는 싼 가격과 함께 나왔다. 그리고 당연히 가장 안 팔리고 있다. 워게이밍도 이게 안 좋은 건 안다(...).

그래도 하늘이 무너지면 솟아날 구멍은 있다고 장점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비록 힘 추중비가 조금 낮아서 속도 면에서는 약세이지만, 지형 저항 수치가 다른 전차에 비해 월등히 높아서 가속도가 상당히 높은 전차이기도 하다. 이 점과 부각을 활용하면 상황에 따른 대처가 매우 쉬워지기 때문에 어느 정도 캐리력을 가진 전차라고 볼 수도 있다. 다만, 상황에 따른 대처 능력이 좋은 전차일 뿐이지, 1대1에 강한 전차는 아니기에 1대1에 특화된 전차와 지형지물이 없이 맞붙게 된다면 높은 확률로 지게되니 항상 맵의 상태와 팀의 조합을 잘 살펴봐야 한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3.12. M60 - 10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M60 194/80/53mm 270m 43도/초 1900 10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Continental AVDS-1790-2 마력 % kg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M60 46톤 52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105mm Gun M68 255/300/53mm 350/300/440 apds(분리철갑탄)/heat/he 10단계
0.336 m 2.8초 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출고 중량 좌우 포각 가격
(크레딧)
120/89/26mm 52/20km/h 46톤 360도 15000골드[18]
파일:M60blitz_01.png파일:M60blitz_02.png
1950년대 후반에 미국에서 개발된 2세대 전차. M60은 M48 전차의 개량형으로 1957년에 시제 전차 개발이 시작되었다. 양산형 전차는 1959년에 크라이슬러 사에서 생산하였다. 4가지 개량형[19]을 포함하여 총 15,000대가 양산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미국에서 개발된 M60 전차로, 본가 PC월탱과 마찬가지로 블리츠에도 10티어 프리미엄 전차로 출시되었다[20].

인게임 사양은 M48과 유사한 터틀백 포탑에 105mm M68 강선포를 장착한 초기형 M60이다. 때문에 M60A1 이후 사양들(M60A2 제외)에 장착된 일명 롱노즈 포탑이 아니라 M48과 유사한 형태의 포탑을 가졌다.

본래 프리미엄 전차였으나 10.7 업데이트에서 수집가 전차로 전환되었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성능적으로는 정규 트리의 M48A1 패튼보다 아주 조금 좋은편. 상판장갑이 대부분 중형전차의 은탄에 확실한 방호를 보장하며, 체력이 조금 높고 부각도 -10도까지 내려간다. 그외는 거의 비슷하다. 버프 받을 때도 M48A1 패튼과 동시기에 동일한 부분에서 동일한 수치만큼 받을정도.[21] 자세히 알고싶으면 중형전차 문서의 M48A1 패튼 항목을 보자

이렇게보면 정규탱의 상위호환이라 OP같지만 M48A1 패튼은 10티어 중형전차 승률 부동의 꼴등을 유지할 정도로 애초에 원판 성능부터 별로라 이 전차의 성능이 썩 좋다 말하기도 그렇고 골탱인데도 불구하고 크레딧 팩터가 심각하게 낮다. 정규탱보다 약간 더 낮은정도로, 골탱의 역할을 기대 할 수 없는녀석. 골드 주고 사는 정규탱이라 생각하자.

전진 최고속력은 50km/h로 M48보다 소폭 빠른 수준이였는데, 2023년 9월 말에 실시된 10.3 업데이트에서 최대 전진 속도가 52km/h로 약간 더 버프되었다.

부각을 이용한 헐다운 전차로 운용하는 게 편하며 중전차와 헐다를 못한다면 헤드온으로 싸우자 머리가 단단해서 도리도리 해주면 중전도 잡을 수 있다. 포방패 부근의 탐조등도 단순 장식이 아니고 공간장갑 판정이 있기 때문에 방어에 어쩌다가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 11.3 업데이트에서 HD화 되어 전설위장과 함께 PBR 텍스처가 적용되었다.

기타
연말 경매를 제외하면 거의 상점에 나오지 않는 전차지만, 그래도 몇년에 한번 꼴로 매우 가끔 상점에 출시될때도 있다.

2022년 5월 13일에 상점에 패키지, 단품, 그리고 M60 상자가 한정 판매 상품으로 출시되었다.

처음부터 위장이 적용된거나 다름없는 특수한 외형이 적용된 전차라 오랫동안 별도의 위장을 사용할 수 없었다. 그러다가 2023년 7월 들어서 실시된 10.1 업데이트에서 전용 전설 위장 'Rocketeer'가 추가되면서 많은 배틀 패스 전차들처럼 전설위장만은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전설 위장 적용시 도색이 푸른색 계열로 바뀌며, 차체 전면 상단은 헤드라이트가 제거되고 반응장갑을 붙인 것 같은 타일 형태로 바뀐다. 포신에는 개틀링 기관총을 연상시키는 배연기를 감싸는 장식물이 추가되며, 포구 부분의 모양도 바뀌고 탐조등 모델링도 더 디테일한 새것으로 바뀐다. 포탑 측면에는 증가장갑판 형태의 장식이 추가되며, 이름답게 포탑 후면 상단에는 2차 대전기에 미군이 M4 셔먼에 장착한 칼리오페 다연장로켓을 현대화한것 같은 형태의 다연장로켓 발사대 장식이 달리며, 기본 상태에서 달려있던 포탑 후방의 바스켓, 포탑 전면부의 고리와 측면부의 손잡이도 사라진다. 여전히 HD화 되지 않아서 PBR 텍스처는 적용되지 않았지만 전설 위장 자체의 퀄리티가 오래된 기본 모델링보다 더 디테일한 편이라 전설 위장 적용시 HD화에 준하는 수준의 외형이 된다.
  • M60 무작위 지급 해프닝
    • 사건의 발단은 2016년 12월, 첫 블리츠페어때로 돌아간다. 당시 일부 유저들 사이에서 M60을 받았다는 제보들이 들려오며 시작되었다. 당시 수령자들은 지금까지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에 보내준 플레이어의 지대한 공헌에 감사하는 의미로 M60을 준다는 메시지와 함께 M60을 받았다. 문제는 모든 플레이어가 받은 것이 아니라 극히 일부의 플레이어들만 이를 받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에 플레이어들은 포럼에서 자체적으로 수령자들의 공통점을 조사하여 특수한 수령 조건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지만 특별한 공통점 같은 것은 도출이 되지 않았고, 이에 대해 워게이밍에 직접적으로 문의한 결과 "전차장님의 성원에 이 전차를 증정했다"는 답변만 줄 뿐 정확한 지급 기준을 공개하는 것을 거부하였다.[22]
    • 워게이밍만 볼 수 있는 특수한 유저 데이터를 통해 지급이 결정된 것이 아닌 이상 일반 플레이어들 입장에서는 그저 실수 혹은 랜덤 지급된 물건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 상황인데 그저 고개만 젓고있는 워게이밍 때문에 나머지 플레이어들은 답답할 따름이다. 성능의 좋고 나쁨을 떠나서 영문도 모른 체 누구는 받고 누구는 못 받았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이 납득이 안 가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10티어, 그것도 보상 전차라는 의미있는 선물이라면 누구든 갖고싶어했을 만한 물건이다. 거기다가 일반 플레이어 입장에서는 납득이 안 갈 정도로 실력이나 경험이 부족한 플레이어들이 정규 7티어나 8티어도 체 못 간 상태로 M60을 지급받아 10티어 방에서 트롤에 가까운 짓을 저지를 때마다 "저런 녀석도 M60을 받았는데 내가 자격이 안 된다는 건가" 식으로 화가 치밀 수밖에 없는 것이다.
    • 그런데 여기에 또 불을 붙이는 사건이 발생하고 말았는데, 2017년 12월 크리스마스 시즌에 시작한 두 번째 블리츠 페어에서 M60이 경매 상품 및 룰렛 보상으로 등장하는 게 발단이 되었다. 블리츠페어 경매[23]에서 "모두가 원하는 이 희귀한 M60 전차"를 45만원이라는 말도 안되는 입찰가로 시작했는데, 충격적인 사실은 경매 기간이 끝나기도 전에 매진되었다는 사실이다. 그 만큼 M60을 원하는 유저가 많았다는 말이기도 한데, 플레이어들은 자기 입으로 "성원에 보답하는 의미의 특별한 보상"이라고 말해놓고 전차 1대를 45만원에 달하는 거금을 받고 파는 행태를 보여주는 워게이밍의 이중성에 말을 잃었다. 룰렛 보상 또한 복잡한 시스템을 통해 이중 과금을 유도하는 형태인데, 1차적으로 상자를 구매해서 도박성 상자깡으로 나오는 포인트를 쌓아 해당 포인트를 이용해 다시 룰렛을 하는 것이다. 이 룰렛에서도 M60이 나오는 확률은 매우 희박해서 45만원 이상의 돈을 들여도 나온다는 보장이 없다.
    • 여기까지만 봐도 어이가 안드로메다로 날아갔을 정도의 내용인데, 화룡점정인 부분으로 일부 플레이어들이 무제한으로 룰렛을 돌릴 수 있는 시스템 허점을 발견하여 이를 악용해 M60 및 T95/Chieftain같은 기타 희귀 전차들을 받아갔다는 것이다. 당시 특정 전차들은 포인트를 쌓아 해제를 하면 얻을 수 있게 해놨었는데, 이미 해당 전차를 해제한 사람들은 그 전차에 해당하는 포인트가 더 쌓이면 점수가 환급되는 점을 이용하여 일정 수준 이상만 현질을 하여 포인트를 쌓으면 무한하게 포인트를 받아 룰렛을 돌릴 수 있었다. 페어 당시 이것저것 문제로 서버가 터져나가고 보상이 지급되지 않는 등 문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이 오류는 하루 이상 방치가 되어 몇몇 플레이어들이 이미 재미를 본 상태였다. 처음부터 검수를 제대로 하지 않아 이런 허점이 있는지도 몰랐던 워게이밍은 어느정도 시간이 지난 뒤에야 시스템에서 환급 수치를 극단적으로 떨어트리는 방식으로 해결을 하였는데, 이런 시스템 악용으로 보상을 얻어간 유저들에게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아 신뢰는 바닥까지 떨어졌다. 오히려 정직하게 얻기보다는 이렇게 허점이 발생하면 악용을 하여 최대한 이득을 봐도 아무 불이익이 없다는 선례만 남긴 것이다. 이 사건을 통해 워게이밍이 플레이어를 개돼지만도 못 한 현금인출기로 본 다는 것이 증명되었다고 본다.
    • 이러한 드라마틱한 뒷배경이 있는 전차이다보니 한동안은 공방에서도 좋은 취급을 받지 못 한다. 아군이건 적군이건 시선이 안 좋기 때문에 어그로 또한 당연히 높고, 실제로 당시 사건이 절정에 달했던 시절에는 M60이 보이면 적팀이 모두 합심하여 일제사격을 가하여 가장 먼저 죽게 하거나, 심지어는 같은 팀원들까지도 합세하여 길막을 하거나 절벽으로 밀어버리는 일까지 빈번하게 벌어졌다. 다만 이는 과거형으로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은 이런 일이 날 가능성이 매우 적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5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5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중전차

4.1. Magnus - 6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Magnus 151 / 93 / 90 mm 240.0 m 29.20 도/초 1 150 6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Wright G2X 875.0 마력 20 % 6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Magnus 31.29 도/초 95 / 74 / 50 % 6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단계
포탄 적재량 100 m 분산도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화력
90 mm Gun M3B 160 / 243 / 45 ㎜ 225 / 190 / 270 AP / APCR / HE 7 단계
52 발 0.364 m 5.0 초 8.34 초 / 1 618 DP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가격
(골드)
137 / 93 / 44 ㎜ +38 / -10 ㎞/h 58.45 톤 360 / -10 / +20 도 한정
승무원 구성 :

개요
2021년 3월 프리미엄 배틀패스 보상 전차로 출시된 전차로, 6티어 미국 중전차 M6가 베이스다. 로마 검투사 컨셉인데 이탈리아 전차가 아니다

공격
DPM(분당 공격력)이 원본보다 아주 약간 떨어지고 주포의 앙각이 10도나 낮아진 대신, 엔진 성능과 출력 중량비가 버프되면서 최고 속력이 전진 한정 원본보다 3km/h 높고 선회력도 대폭 증가해 작정하고 개량형 제어 장치를 끼면 도로에서 초당 40도대 선회력을 찍을 정도다. 주포 성능 너프는 거의 의미가 없는 수준으로 작으면서 기동성 증가량이 무지막지해서 내려간 화력은 체감이 아예 안 갈 것이다.


방어
장갑은 더 버프 받았는데, 차체 전면 장갑은 동일하지만, 포탑은 전면부가 10mm 얇아진 대신 형상이 좀 바뀌면서 측면부 절반까지 130~140mm 두께 장갑이 적용되어 단단하게 보호받는 면적이 늘어났다.(원본은 정면이 150mm 측면은 전부 86mm) 거기에 검투사 헬멧 모양의 부품이 공간장갑이라서 앙각이 10도 줄어든 대신에 방호력은 늘어났다.

사이드 스커트의 면적도 더 넓어졌고, 특히 오른쪽 측후면에 추가된 갑주는 공간장갑 역할을 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더 보호받는 면적이 넓어졌다. 다만 후면부는 장갑이 41mm로 더 얇은 영역이 많아졌기 때문에 원본보다 약해졌다. 원본은 후면부에서 보이는 궤도 바로 위의 장갑이 86mm로 보호받는 반면, Magnus는 그 부분도 나머지 후면부와 똑같이 41mm로 적용되었기 때문.

여타 M6 계열 중전차들이 다 그렇다시피 전면 장갑은 뛰어나나 측면 장갑에는 하자가 좀 있는 구조이므로 가능하면 전면 장갑만 하단을 가린 상태로 내놓거나, 나스호른급 관통력은 되어야 은탄으로도 정면을 그나마 안정적으로 뚫을 수 있는 포탑 정면과 -10도라는 부각을 활용해 헐다운 중전차로 운용하는 게 좋다. 원본 M6도 정면 한정 장갑이 크게 부족할 게 없는 전차였던 것처럼 이쪽도 M6의 장갑 구조를 약간 개선해서 가져왔으면서 공격 성능은 거의 그대로고 기동성이 대폭 상승했기 때문에 최전선까지 빨리 도달해서 탱킹하는 탱커 중전차의 역할은 더 잘 수행할 수 있다.

기동

게임플레이
6티어에는 독보적 최강자인 Kryos가 존재하는 만큼 성능 면에서 덜 주목받는 편이지만, 전반적인 성능이 괜찮은데 최고 속력과 선회력 때문에 기동성이 약간 아쉬운 게 약점인 M6를 기동성을 버프한 전차다 보니 성능은 6탑방에선 제대로 굴릴 줄 아는 손에선 6티어 최상위권 중전차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이 녀석보다도 승률이 높은 6티어 중전차는 유저가 너무 적어 유의미하다고 보기도 어려운 T-150, 6티어 경~중전차 앞에서 약간 각을 주면 시뻘건 정면을 보여주는 처칠 Mk. 6 정도밖에 없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4.2. Cyborg - 6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 ㎜ m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마력 %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도/초 / / %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단계
포탄 적재량 100 m 분산도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화력
// ㎜ // // 단계
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가격
(골드)
// ㎜ ㎞/h 360//도
승무원 구성 :

개요
2023년 1월의 배틀패스 보상 전차. 1월 배틀패스가 터미네이터 시리즈와의 콜라보인 만큼, 터미네이터 시리즈의 T-800을 모티브로 하는 설정이 있다[24]. 설정에 의하면 터미네이터의 T-800처럼 원래 스카이넷이 제작하였으나, 저항군이 새롭게 프로그래밍하였다고 하며 이제는 존 코너를 보호하는 것이 이 전차의 사명이라고 한다.

Magnus에 이어서 나온 두번째 M6 기반 배틀패스 전차이자, 블리츠 배틀 패스 전차 최초로 모티브 차량이 기존에 나온 배틀패스 전차와 중복되는 전차가 되었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프리미엄 패스 35단계에서 획득하는 전설 위장 'T-800'이 있다. 적용시 전투 중 표기되는 이름이 'Cyborg T-800'으로 바뀐다.

4.3. Pawlack Tank - 6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 ㎜ m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마력 %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도/초 / / %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단계
포탄 적재량 100 m 분산도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화력
// ㎜ // // 단계
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가격
(골드)
// ㎜ ㎞/h 360//도
1944년, Leon Pawlack은 주조 방식 차체로 설계된 전차의 축소 모형을 선보였다. 구동륜을 앞쪽에 배치하였으며 기존 설계를 따른 포탑에 76mm 주포를 탑재하였다. 탑승 가능한 승무원은 4명이며 전자 변속기와 최고 40km/h까지 가속할 수 있는 디젤 엔진을 탑재할 예정이었다. 생산된 시제 전차가 없으므로 검증하기는 어려운 자료이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2024년 1월에 개인 임무 이벤트 보상으로 출시되었다. 개인임무 하나당 1개씩 지급되는 토큰 50개로 교환하여 획득한다.

본래 프리미엄 전차였으나 10.8 업데이트에서 수집가 전차로 전환되었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2023년 1월부터 테스트가 시작되어 공방에서 간간히 목격되었고, 그 후 1년이 지나서 출시되었다.

본가 PC월탱에서는 이 전차가 Yoh 중전차 트리의 첫타자로 나왔지만 이미 Yoh 전차가 먼저 추가된 블리츠에서는 개별 프리미엄 전차로 바뀌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6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6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4. T54E2 - 8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T54E2 240 / 120 / 40 ㎜ 240.0 m 20.86 도/초 1 850 8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Continental AV-1790-5B2 810.0 마력 20 % 8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T54E2 29.20 도/초 95 / 70 / 45 % 8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단계
포탄 적재량 100 m 분산도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화력
105 mm Gun T140E1 220 / 260 / 53 ㎜ 310 / 260 / 440[25] AP / APCR / HE 9 단계
45 발 0.345 m 4.4 초 9.30 초 / 2 000 DP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가격
(골드)
155 / 70 / 50 ㎜ +40 / -20 ㎞/h 57.37 톤 360 / -10 / +20 도 8 500
파일:T54E2_01.png파일:T54E2_02.jpg
M48을 대체하고자 1950년대에 개발에 착수한 중형전차로 시제 전차가 1대 제작되었다. T95에 밀려 1957년 개발이 중단되어 실전에 배치되지는 않았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2020년 7월 25일 3%의 상자깡으로 출시되었으며 시제안 명칭인 T54E2를 따른 오사이투, 또는 레니게이샤크, 상어탱 등의 별명으로 불린다.[26]

8티어 단발 중전차의 정점으로 평가받는 전차 중 하나[27]인데, 어느 하나 특출나게 뛰어난 점은 없어도 거의 모든 스펙이 중상위권 이상이라는 축복받은 스펙 덕분에 어느 상황에서든 크게 어렵지 않게 좋은 성능을 뽑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한마디로 올라운더 중전차인데, 올라운더들의 고질적인 단점인 애매함이 해소된 완전체 올라운더라고 생각하면 된다.

본래 프리미엄 전차였으나 10.8 업데이트에서 수집가 전차로 전환되었다.

공격
  • 위력
    알파뎀은 서구권 중전차 표준인 310이다. 동구권 표준 400, 그 외에도 알파뎀이 350~400을 넘어가는 독일/서구권 전차들이 꽤 많다는 것을 고려하면 조금 아쉬울 수는 있다.
단점이라고 할 정도는 아니지만, 어쨌든 좋은 연사력과 조준 성능 등으로 보완이 필요한 부분.
  • 관통력
    은탄 관통력 220mm, 골탄 관통력 260mm로 별다른 설명이 필요없는 지극히 평범한 수준이다. 보정포탄 장착 시 각각 231mm/273mm가 되지만, 8탑방에서는 기본 관통력으로도 큰 문제가 없으므로 보정포탄보다는 장전기를 추천.
  • 주포
    • 그동안 미국 중전차들이 죽어라 써오던 사골 105mm가 아닌 새로운 105mm 주포가 탑재되어 관통력 면에선 부족함이 없다. 기본 상태에서도 2000을 넘기는 DPM은 덤.
    • 알파뎀이 310으로 대구경 중전차들보다 낮은 편인데다 연사력 또한 카나번, Chieftain/T95 같은 연사 특화 전차들은 물론이고 장전속도 버프받은 티거 2한테도 밀린다. 거기다 들쑥날쑥한 데미지 RNG로 인해 200대 후반의 데미지가 뜨는 일 또한 비일비재하다보니 딜로 찍어누르는 플레이는 힘든 편.
    • 대신 주포의 소프트 스펙은 오히려 준수한 편[28]인데, 분산도를 최대 0.29까지 줄일 수 있을 정도로 명중률이 상당히 높고, 조준속도도 1.57+초까지 줄일 수 있는 데다가, 탄속도 레일건급이라고 하는 티거 2보단 느리지만 상당히 빠르다. 여기에 관통력도 사골 105mm보단 훨씬 높은 220/260/53mm이므로 9탑에서도 골탄을 활용한다면 적절히 써먹을 만하다.
    • 사실상 관통력 좀 내려간 대신 나머지 세부 소프트 스펙은 큰 변화가 없는, 장전속도 버프 전 티거 2 주포를 들고 온 셈인데, 해당 포는 장전속도가 사실상 유일한 약점이었던 것처럼 이쪽도 약간 낮아진 관통력과 2% 아쉬운 DPM을 빼면 전반적으로 준수한 주포다.
    • 무엇보다도 이런 주포의 부각이 -10도에 포탑도 매우 튼튼하다 보니 포탑과 차체 상부까지만 내놓고 버티면서 딜을 누적하면 되는 헐다운에서 매우 유리한 포지션을 점할 수 있다.

방어
  • 생김새에서 볼 수 있듯, M103처럼 매우 복잡한 장갑 형상을 띄고 있는데, 후술할 기동성이나 주포 성능 양쪽 모두 준수한 전차치고는 방호력이 하자가 없는 정도를 넘어, 주로 사용하게 되는 포탑/차체 상부 장갑 방호력이 8티어 최정상급이다.
  • 포탑은 구조가 다소 복잡한데, 전면 포 부근과 포탑 목 부위를 보호하는 240mm 장갑, 포탑 정면의 측면 부위를 보호하는 120mm 장갑, 상판 부위에 해당하는 75mm 장갑과 이백에서 볼 수 있었던 머리띠 형상의 부위에 해당하는 수직 240mm 장갑, 그리고 순 두께가 120mm인 해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240mm 부위는 머리띠 부위의 아주 작은 부분과 포 바로 옆 볼 부위를 제외하면 구축전차 골탄으로도 관통당할 일이 거의 없고, 120mm 장갑 부위도 해치와 아주 작은 특정 부위를 제외하면 골탄으로도 못 뚫으며, 75mm 장갑 부위는 240mm 장갑이 끝나자마자 바로 나오는 아주 작은 부위를 빼면 ISU-152의 BL-10 골탄급(...) 관통력의 성작탄으로나 뚫어볼 수 있다.
  • 즉 T54E2의 포탑은 맞추기 쉬운 부위들이 포탑 여러 곳에 널려 있는 스톡 포탑과 포탑 정측면 전체가 약점이다시피 한 M103은 T54E2와 방호력을 비교하는 것 자체가 실례고, T54E2와 달리 약점부가 요철부 사이에 끼어있진 않은 T110E5과 비교해도 방호력이 크게 꿇리지 않는 막강한 방호력[29]을 보여준다. 10티어급 성능을 발휘하는 9티어 전차들의 포도 고관통 골탄을 든 게 아닌 이상 생각보다 튕기는 부위가 많으니 말 다한 셈. 물론 미국 중전차답게 해치가 60TP/IS-7마냥 작은 건 아니니 주의.[30]
  • 한편 차체는 정면 상단이 매우 튼튼한데, 통짜 155mm 경사장갑으로 이루어져 있어 똑바로 바라볼 시 340~400mm의 엄청난 효율을 자랑한다. 다만 크고 넓은 80mm 하단과 낮은 차체로 인해 1대1 상황에서 높이가 높은 전차들을 상대하거나 개활지에서 싸울시 빛이 바랜다. 그래도 차체 상단이 약해 헐다운을 해도 차체 상부가 뚫리기도 하는 전차들과는 달리 상부가 매우 튼튼하기 때문에 개활지라도 하단을 어떻게든 가릴 수 있다면 체감 방호력이 상술한 주포 성능과 후술할 기동성에 비해 과할 정도로 좋은 편이다.
  • 측후면은 각각 70mm / 50mm로 그리 두꺼운 편은 아니지만 역티타임 정도는 시도할 만한 수준. 측면은 152mm급 고폭탄엔 뚫릴 수 있고 후면은 자신의 주포한테도 뚫릴 수 있는 수준이긴 하나 이건 따지고 보면 어지간한 다른 미국 중전차들도 마찬가지니 이쪽만의 단점이라고 하긴 어렵다.

기동
  • 최고 속도 40km에 기본 추중비 14.1, 최대 15를 넘기는, 중전차치곤 상당히 높은 추중비와 꽤 민첩한 기동성을 가지고 있다. 다만 후술할 문제 때문에 소위 헤듐이라고 하는 기동성 준수한 중전차에는 아슬아슬하게 해당되는 수준.
  • 후진이 -20km로 중형전차급이다. 덕분에 측면에서 기습당하는 등의 비상 상황이나 사격 후 엄폐해야 해서 후진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상당히 유리하고, AT 시리즈/독일 초중전차 등은 후진으로도 따돌릴 수 있다(...)
  • 나름 괜찮은 최고 속력과 꽤 높은 기본 추중비를 지닌 댓가로 궤도 성능은 좋지 못하다. 험지 기동성이 심각하게 떨어지기 때문. 험지에선 심하면 자기보다 10톤 가량 무겁고 엔진 마력마저 떨어지는 티거 2보다도 느려질 정도.
  • 차체 선회는 중전차임을 감안하면 나름 괜찮고 평균 속력도 최대치로 찍으면 30km를 넘기긴 하나 저 처참한 궤도 성능 때문에 기동성에 너무 큰 기대는 하지 않는 게 좋다. 애초에 이 녀석은 헤듐에 가까운 전차지 진짜 중형전차는 아니다.

게임플레이
고티어 미국 중전차의 헤듐 스타일 운영에 최적화된 전차이다. 탄을 정직하게 받아낸다기보단 변칙적인 장갑 활용과 약점을 이용한 심리전을 사용하고, 때로는 중형전차들과 함께 나서며 기동전을 활용하는 플레이가 추천된다.

출시 당시 기준으론 3%라는 극악 수준의 확률로 풀리는 전차인 만큼 저 확률의 값어치를 가지는 전차라고 보긴 어려웠다. 당시에도 상자깡을 선호하지 않는다면, 추후 골드 판매로 풀릴 때를 노려보는 것이 좋다는 평이 나왔을 정도.

다만 이건 당시 저 극악의 확률 때문에 저평가 받은 것이고, 2022년 기준으로는 영국의 카이메라와 함께 8티어 사기 프리미엄 전차들 계 대표급 전차로 꼽힐 정도로 고평가받는다. 2022년 시점에는 정가로 풀린 적도 꽤 많고 나온 지도 오래된지라 유저 수가 정규 전차 수준으로 많은데, 성능도 8.75 티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막강해 유저 수가 많은 프리미엄 전차인데도 승률이 최상위권인 중전차로 군림하고 있다. 완벽한 스탯은 없지만 모든 스탯이 평균 이상인 올라운더고, -10도 부각 덕에 맵빨도 덜 타면서 무식하게 튼튼한 차체 상단 덕에 헐다운도 쉽고 운용 난이도도 낮은 편이라 실력이 떨어지는 유저라도 기본만 제대로 안다면 충분히 활약할 수 있고, 숙련자가 잡으면 어느 맵에서나 혼자 탱킹/딜/기지 점령을 다 하면서 게임을 캐리하는 것도 가능한 전차다.

굳이 단점을 꼽자면 특장점이 있다기는 힘들어서 게임을 이기는 것만이 목표가 아니라 적절한 성능에 더불어 특별한 재미를 찾는 전차장고인물에게는 노잼이라고 까이기도 한다. 물론 그런 전차장들마저 3연승 미션이 나오면 한숨 쉬면서 고를 정도의 초 고성능 전차다. 부각 좋고 포탑 튼튼한 8티어 중전차들은 53TP나 Emil I처럼 포지션이 다른 중전차를 제외하면 하나같이 'T54E2가 있는데 그걸 왜 타냐'라는 식으로 비교 및 저평가당할 정도니 말 다한 셈.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 2021년 8월 23일에 월탱 블리츠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HD PBR 모델링이 공개되었으며, 업데이트 8.3에서 기존 출시된 골탱중 2번째로 HD화 되었다.[31]

기타
출시된 지 2년쯤 지난 2022년 기준으로는 정가로 풀릴 경우 단품이 8 500 골드에 팔리고 있다. 마찬가지로 8 500 골드인 오비옉트 252U보다도 승률이 높고, 500 골드 싼 Action X나 AMX M4 49는 T54E2와 성능을 비교하는 게 실례일 정도로 승률 차이가 크기 때문에 본인이 성능도 좋은데 가격도 성능 대비 괜찮은 프리미엄 전차를 원한다면 키마이라나 이쪽이 가장 적절한 선택일 것이다. 다만 가장 큰 단점이 '플레이스타일의 단조로움'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특색이라는 게 없다시피 한 전차이므로 본인이 헤듐 특유의 플레이스타일이나 헐다운으로 적 전차들 탄을 씹는 걸 좋아하는 게 아니라면 재미를 보긴 힘들 것이다.

4.5. T26E5 - 8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T26E5 191 / 102 / 127 ㎜ 250.0 m 26.08 도/초 1 800 8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Continental AV-1790-1 704.0 마력 20 % 8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T26E5 28.16 도/초 87 / 74 / 50 % 8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단계
포탄 적재량 100 m 분산도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화력
90 mm Gun T7E1 221 / 265 / 45 ㎜ 240 / 200 / 270 APCR / HEAT / HE 8 단계
70 발 0.326 m 4.0 초 6.52 초 / 2 209 DP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가격
(골드)
152 / 76 / 51 ㎜ +40 / -15 ㎞/h 46.40 톤 360 / -10 / +20 도 6 500
파일:T26E5-Sheriff-02.jpg파일:T26E5-Sheriff-01.jpg
장갑을 강화한 강습 전차 M4A3E2가 전투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자 M26에도 같은 변경 사항을 적용하기로 했다. 1945년 7월 Chrysler사에서 개량형 전차 생산을 시작했으며 시험 주행을 통해 현가장치 손상을 방지하려면 험지 주행 속력을 낮춰야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시험 주행 및 성능 실험 목적으로 총 27대가 생산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점보 셔먼과 유사하게 M26 퍼싱의 장갑을 강화한 전차. 통칭 점보 퍼싱

2019년 9월 20일 상점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상자깡이며 확률은 3%이다. 2020년 11월 하순 블랙 프라이데이 할인으로 5 000 골드에 풀렸다. Obj. 252U에 비하면 인기가 덜하지만 나름 쉽고 싸게 얻을 수 있어서 잘 팔렸다.

본래 프리미엄 전차였으나 11.1 업데이트에서 수집가 전차로 전환되었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마찬가지로 돌대가리인 액션 X보다도 헐 다운 의존도가 높은, 헐 다운에 모든 것을 걸다시피 한 중전차. 대신 그만큼 헐 다운 성능이 매우 막강해 헐 다운을 활용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상대 팀을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헐 다운을 통해 적의 돌파를 억제하고 빠른 재장전 시간을 활용해서 지속적인 교전으로 적을 소모시키는 것이 좋다. 머리만 내밀고 정조준 사격을 반복하며 앞뒤로 전술 기동을 하면 적이 쉽사리 돌파를 시도할 수 없다. 측후면은 방호력이 없으므로 다른 아군 전차와 전선을 형성하는 것이 필수이다.

중형전차를 후속 지원할 수 있을 정도의 기동성은 있으므로 여차하면 다른 전선에 가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헐 다운 지속 교전에 특화 돼있기 때문에 지원 갈 때도 1.5선에서 머리만 지속적으로 내밀고 탱킹하는 것이 좋다. 아예 재장전 시간 동안 완전히 빠지는 것은 비추인데, 어디까지나 중전차 역할을 기대받기 때문이다. 또한 장전 속도도 어차피 빠른 편이라 클립 전차들처럼 긴 현자타임도 딱히 없으므로 장전하는 와중이라도 본인이 탱커라면 포탑만 내밀고 계속 탱킹하는 게 좋다.

장갑이 좋은 중전차와 1:1로 만났을 때, 차체를 완전히 붙이면 9티어 중전차를 상대로도 승산이 있다. 돌머리와 단점이 없는 해치, 상대 전차에 비해 빠른 발을 이용해 포를 쏠때만 간격을 벌리거나, 해치를 따는 방법으로 도탄송을 들으며 제압이 가능하다. 부각이 나쁜 소련, 전고가 높은 독일 전차를 상대로 쓸만하다.

추천 장비

장점
  • 튼튼한 포탑: 8티어 헐다운 중전차 중 액션 X와 함께 최상위권으로 평가받는 강력한 포탑 장갑을 지녔다. 통짜 190 ㎜ 장갑판을 두르고 있는데 실질적으로 못해도 300㎜급 관통력이 아니면 포탑을 뚫는 것이 힘들다. 포방패가 아주 크고 279 ㎜ 공간장갑 판정이라 헐 다운 하면 굉장히 까다로운 상대로 돌변한다. 대다수의 전차에서 약점인 큐폴라조차 260 ㎜ 관통력 이상[32][33]의 포탄이 아니면 튕겨내기 십상이다. 내림각도 -10도이기 때문에 미국맛 헐 다운에 특화된 전차이다.
  • 준수한 화력: 90 ㎜ 주포긴 하지만 재장전이 5.7초대까지 내려가기 때문에 신속한 화력 투사로 적을 압박하기 좋다. 중전차치고는 한 방이 아쉬운 편이지만 90mm 대 평균 알파인 225보다 15나 알파가 높고 돌대가리 헐 다운을 구사할 때 이렇다 할 약점이 없기 때문에 안정적인 지속 화력 구사가 가능하다. 기본 알파가 평균 대비 높다보니 동급 90mm 주포 대비 DPM이 높아 카나번 액션 X같은 작정하고 만든 DPM 괴물을 제외하면 DPM이 2500 정도로 꽤 높은 것도 이점. 사격 성능도 구경이 작다 보니 준수한 편으로 분산도 0.308에 기본 조준 시간이 1.55초 까지 내려가서 동급 중전차 중 상위권이다.
  • 준수한 기동성: 원본 중형전차에 비하면 확연히 느리나, 중전차치곤 기동성이 굉장히 준수한 편이다. 헤듐의 대표격 중전차이자 후배인 T54E2보다 도로 위 가속/선회는 약간 느리지만, 험지 주행성이 확연히 좋기 때문에 실전에서의 기동성은 헤듐 기준으로도 나름 좋은 편에 속한다.

단점
  • 미덥지 못한 차체: 차체 정면 장갑이 152 ㎜인데 경사각이 좋지 않아서 210 ㎜ 정도를 안정적으로 관통 가능한 주포 앞에서는 숭숭 뚫린다. 측면은 80 ㎜로 69도 입사각에서도 정면과 비슷한 수준의 방호력을 보여준다. 사실상 절대 도탄각이 아니면 측면 받음각을 주지 못하는 전차이다.
  • 저지력 낮음: 동급의 중형전차가 주로 쓰는 90 ㎜ 주포라서 한 방이 240 DPS로 살짝 좋음에도 저지력이 중형전차들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못한 수준이다. 여기에 DPM이 높다곤 해도 중전차 기준으로 높은 거지 절대적으로 높은 건 아니라서 차체 노출 시 DPM으로 승부하는 다른 전차나 구축전차를 상대하기에 벅차다.
  • 모듈 손상: 퍼싱이 베이스라 중전차치곤 작은 편이라 잘못 피격당하면 높은 확률로 "엔진" "조종수" "주포" 가 나간다.

패치 사항

기타
1 450 골드 짜리 전설 위장이 있는데 이름은 "보안관"이다. 장비시 전투 중 이름이 T26E5 Sheriff로 바뀐다.

명백한 약점은 아니지만, 포방패 중간 부위에 포탑 장갑이 없는 부분이 있다. 관통력 280 ㎜ 이상의 골탄으로 쏘면 뚫린다.

약 1년 뒤 나온 후배 T54E2가 워낙에 정신나간 성능의 전차이기도 하고, 하필 T26E5와 포지션이 겹치는 헐다운 헤듐인데 운용도 더 쉽다 보니 유저 수가 다소 적은 전차다. 오비옉트 252U나 WZ-112-2가 나오면서 도태된 대다수의 동구권 중전차들과 비슷한 상황.

다만 T54E2가 너무 강해서 그렇지 이쪽도 성능이 나쁜 전차는 아닌데, 9.6 버전 기준 T26E5의 승률은 약 55%로 프리미엄 전차 기준으로도 나름 상위권에 가깝고, 8티어 전체 기준으로는 확실하게 상위권에 속하는 승률이다. T54E2 대비 열세인 차체 장갑/알파뎀/후진 속도 때문에 T54E2보다 성능이 떨어지고 운용 난이도가 높다고 평가받긴 하지만, 나머지 스탯에선 T54E2와 비교해도 큰 손색이 없거나 오히려 더 좋은 스탯들도 있기 때문에 성능이 떨어지는 전차는 전혀 아니다.

4.6. T77 - 8티어

파일:blitz_t77_1.png파일:blitz_t77_2.pn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T169 160 / 160 / 160[34] 240.0 m 31.29 도/초 1 750 8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Continental AV-1790-5B 860.0 마력 20 % 8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T54 27.12 도/초 104 / 70 / 52 % 8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단계
포탄 적재량 100 m 분산도 조준 시간 포탄 재장전 시간 /
클립 재장전 시간 /
클립당 탄수 / 화력
120 mm Gun T179 in Mount 169 221 / 249 / 50 ㎜ APCR / HEAT / HE 380 / 320 / 440 8 단계
50 발 0.364 m 5.1 초 2.50 초 / 20.61 초 / 2 발 / 1 973 DP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가격
(골드)
140 / 80 / 60 ㎜ +35 / -18 ㎞/h 59.38 톤 360 / -10 / +12 도 7 500[35]
1950년대 중반에 양산형 M48 전차와 T54 전차 설계를 기반으로 개발된 미국 전차이다. 일부 포탑이 제작되었지만, 지속적인 요구 사항 변경과 개발 지연으로 인해 1957년에 개발이 중단되었으며 1958년에 모든 포탑이 폐기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2022년 7월 5일에 직접 판매로 처음 출시되었으며,[36] M48 패튼 기반 T54의 차체에 T57의 포탑을 경량화한 포탑을 장착한 요동포탑 중전차이다.

동 티어 기준 독보적인 순간 화력, 그리고 적절한 기동성과 은근히 도탄을 잘 내는 장갑을 가져 2023년 현 메타에서 에밀 1과 함께 8티어 클립 중전차의 정점에 자리잡고 있는 전차이다.[37]

클립형 전차치고는 난이도가 낮은 편이라서 초심자의 클립탱 입문용으로도 적합하며, 숙련자가 몰 때의 퍼포먼스도 보장되는 최상위권의 성능을 가졌다.

전반적으로 외형이나 장갑 구조, 포까지 미국 정규 10티어 중전차인 T57 Heavy와 유사하다. 다만 포는 오히려 같은 정규 중전차 M-VI-Yoh에 훨씬 더 가깝다. 즉 둘의 짬뽕격 전차인 셈.

본래 프리미엄 전차였으나 11.1 업데이트에서 수집가 전차로 전환되었다.

공격
  • 120mm 2클립 주포를 사용하는데, 알파뎀은 120mm대 표준인 400/420보다 20/40 낮은 380이다. 클립 총합 딜은 에밀 시리즈로 대표되는 8티어 클립 중전차들 중에선 가장 낮은 760이나, 대신 탄간 재장전이 2.5초로 상당히 빠른 편이라서 폭딜 능력은 8티어 클립 중전차들 중에서도 독보적이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2.5초만에 150mm대 구경을 단 구축전차들보다도 높은, 또는 T49의 골탄 고폭탄 급의 피해를 입히는 것이다. 심지어 다른 클립 중전차들은 보통 클립을 모두 소모하는 데 빨라도 5초 이상은 걸리고, 다소 이질적인 클립포를 지닌 IS-3 Defender를 제외하면 한 발 한 발의 저지력이 떨어지지만, 이쪽은 소련 중전차보단 낮아도 그에 가까운 저지력까지 지녔으면서 클립을 다 터는 속도도 빨라서 여러모로 적 전차들을 압박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다.
  • 저지력을 제외한 주포의 스펙도 생각보다 나쁘진 않다. 클립 장전 속도는 20.61초로 길긴 하지만 탄간이 짧고 알파뎀이 꽤 높아 DPM은 클립 중전차 표준급인 2 000대가 나오고, 기본 분산도도 0.364에 승무원 113% 기준 0.344로 에밀 시리즈와 동급으로, 8티어 중전차 기준으론 표준치지만 저런 폭딜형 주포치곤 분산도가 낮다. 조준 시간도 승무원 100% 기준 최소 2.3초에 최대 5.1초, 승무원 113%에 조준 시간을 최대한 줄이면 최소 1.79초, 최대 4.0초로 에밀 시리즈보다 오히려 빠르고 어지간한 단발 중전차들과 비슷하거나 더 좋기도 한 수준. 양각이 12도로 매우 낮고, 이동 시 분산도가 좀 높긴 하나, 대신 포탑 회전 시 분산도는 생각보다 낮은 편.
  • 포의 전반적인 스펙은 생각보다 멀쩡하고, 폭딜 능력을 감안하면 오히려 좋은 편이지만, 확실한 하자가 있는 부분이 있는데, 바로 관통력. 은탄은 221mm로 중전차 표준급이긴 하나 고철탄이라 실질적인 관통력이 약간 낮고, 골탄은 성작탄임에도 불구하고 관통력이 겨우 249mm로 8티어에도 있는 몇몇 떡장 전차들[38]을 뚫기 어렵다 보니 사실상 보정 포탄이 강제된다. 고폭탄도 관통력이 구경 대비 좀 낮은 55mm. 어차피 클립 주포 전차들은 보정 포탄을 자주 끼긴 하지만 이쪽은 골탄 관통력 때문이라도 선택이 아닌 필수다.
  • 부각은 -10도로 매우 좋다. 물론 후술할 이유로 인해 헐다운 탱킹을 제대로 할 수 있는 아니지만 높은 부각 덕에 지형을 별로 안 탄다는 건 장점.
  • 사실 T77의 주포는 T57의 라이벌인 M-VI-Yoh에 가까운 편이다. 티어 기준 평균급인 조준 시간, 티어 대비 좋은 건 아닌 분산도, 탄간 재장전이 짧고 저지력이 높은 2클립, 티어 대비 딸리는 골탄 관통력 등 여러모로 T57보단 M-VI-Yoh와 비슷한 편이다. 후술하겠지만 본 전차의 운용법도 T57보단 M-VI-Yoh에 가까운 편이다.

방어
  • T57과 닮은 외형 때문에 장갑도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티어 대비 성능에서 T57에 비해 우세인 면과 열세인 면이 공존한다.
  • 우선 포탑의 경우 T57 포탑의 경량화 버전인데 몇몇 약점을 빼면 T57보다 튼튼하다(...) 비록 해치는 포탑에서 가장 단단한 부위 중 하나가 해치인 T57과 달리 약점으로 7티어도 충분히 뚫을 수 있지만, RNG 때문에 탄이 엄한 데 맞는 게 아니면 포탑 피격=관통에 가까운 T57과 달리 섣불리 쐈다가는 은탄의 경우 도탄이 나기 쉬운 구조다.
  • 이유는 포탑 군데군데 방호력이 낮아지는 부위들이 있긴 하지만 아닌 부위들은 T57 포탑 이상의 방호력을 보여주기 때문. 포 주변의 방호력과 특정 부위들 방호력은 T57보다 내려가긴 했지만, T57에서도 볼 수 있는 포탑 목 부위는 T57보다 순 두께도 두껍고 방호력이 확연히 올라가는 부분들도 확연히 많이 포진되어 있고, 포 양 옆 볼 부위는 직각에 가까운 부위도 실 방호력이 220mm 가량 나오고 그 부위를 벗어나면 아예 8티어 중전차 은탄은 완벽하게 방호하는 수준이 된다.
  • 물론 결국은 다른 미국 중전차들만큼 포탑이 단단하진 않아서 경~중전차 은탄/경전차 골탄까진 충분히 막아볼 수 있어도 구축전차 은탄/중형전차 골탄은 슬슬 도탄 난이도가 올라가고 중전차/구축전차의 골탄은 눈먼탄이 아닌 이상 막기 어렵다. 상대가 골탄으로 바로 대응한다면 충분히 뚫릴 수 있는 장갑이므로 너무 과신하진 말자.
  • 포탑 장갑이 7티어 사골포급 관통력은 완벽하게 막고, 티거 II처럼 관통력이 평균 이상인 8티어 중전차도 군데군데 탄이 뜬금없이 비관통 뜨는 구역들이 꽤 있는데 개량 장갑을 끼면 이런 구역들이 더 늘어나다 보니 T57과 달리 개량 장갑을 채용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물론 끼던 안 끼던간에 통상적인 7티어 경~중전차들, 그리고 관통력이 떨어지는 8티어 경~중형전차들 앞에선 골탄을 강요하는 시뻘건(...) 포탑을 보여줄 수 있고, 맷집이 1 750으로 약간 아쉬워 추가 체력 105가 꽤 크다 보니 필수는 아니다.
  • 차체는 당연히 9.1 패치 이전 T57에 비해서, 그리고 티어 기준으로도 열세다. 물론 9.1 패치 이전 T57이 정면 장갑만큼은 인게임 최상위권 성능을 자랑했긴 했지만, 이를 감안해도 T77의 정면 장갑은 썩 강력하진 않은 편.
  • 차체 정면 상단은 중앙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철갑탄 기준 대략 240mm, 성작탄 기준 265mm 정도의 방호력을 발휘한다. 차체 상단은 경사가 완화되는 중앙 일부분이 아니라면 구축전차 골탄도 쉽게 못 뚫어 악명이 높은 T54E2와 달리 중전차 골탄으로는 중앙을 노릴 경우 충분히 관통을 노려볼 수 있는 수준.
  • 차체 정면 중단/하단은 당연히 미국 중전차답게 얇다. 차체 정면 정중앙과 스프로킷 연결 부위 근처가 방호력이 가장 낮은 부위로 130~140mm 정도의 방호력만 나오므로 가능하면 이 부위들을 때리도록 하자. 다만 하단 몇몇 부위는 방호력이 성작탄 기준 180mm 이상이라 관통력이 낮은 중형/경전차라면 상술한 두 약점 대신 하단을 대충 때리면 도탄날 가능성이 있다.
  • 측후면은 포탑이나 차체나 말할 필요도 없이 얇으나, 일단 차체 측면이 80mm라서 3배 구경 룰에 의해 관통당하진 않고, 미국 고티어 특유의 보트형 차체를 지녀 역티타임 시 도탄이 나름 뜨는 편. 또한 150mm대 고폭탄 관통이 확실하게 가능한 건 차체 후면 뿐이니 자신이 150mm대 주포를 달고 다닌다고 고폭탄을 낭비하진 말자.
  • 전반적인 장갑 성능도 T57보단 M-VI-Yoh에 가까운 편이다. 비록 M-VI-Yoh처럼 그나마 확실하게 노려볼 만한 약점이 해치밖에 없는 건 아니지만, M-VI-Yoh처럼 일단 포탑이 약점을 최대한 조준하기 어렵게 한다면 은탄 상대로는 그럭저럭 괜찮은 방호력을 보여주는 대신 차체가 미국 중전차치곤 정면 장갑이 다소 부실하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기동
  • 도로에서의 지형 돌파 능력이 110%라서 도로 한정으론 중전차 표준급보다 높은 기동성을 보여주나, 준 헤듐급 전차인 T54E2와 마찬가지로 험지 주행성이 험지에선 승무원 113% 기준으로도 74%로 떨어지기 때문에 전반적인 기동성은 중전차 표준급보단 낫지만 헤듐급으로 빠르진 않다.
  • 최고 속력은 +35/-18km로, 전진 속력은 중전차 표준급이나 후진 속도가 약간 느린 중형전차급으로 상당히 빨라 본 전차의 본업인 클립으로 치고 빠지기에 아주 적합하다. T57이 느려터진 후진 때문에 고생하는 것과는 정 반대.
  • 엔진 출력이 860 마력으로 준수하다 보니 추중비가 중전차 기준으론 높은 편이다. 59톤짜리 전차임에도 불구하고 추중비가 고급 연료+엔진 가속기 기준 16.9까지 나오며, 승무원 113% 기준으론 도로에선 무려 18.59를 뽑는다. 험지가 많은 블리츠 맵 특성상 유효 추중비는 실전에선 저 정도까지 나오진 않지만, 그래도 엔진 출력이 상당하다 보니 평균 속력이 최대 31km로 최고 속력 35km짜리 전차 기준으론 잘 나오는 편이다. 도로 한정 추중비는 매우 높기 때문에 일단 도로에서 달리면 순식간에 35km를 찍을 수 있다.
  • 차체 선회는 무보정 기준 도로에서 27.12도/초로 꽤 높은 추중비에 비하면 다소 느리다. 이 때문에 추중비 자체는 좋아도 은근히 느린 선회 때문에 기동이 약간 뻑뻑한 느낌이 들 수 있다. 대신 포탑 선회는 무보정 기준으로도 31.29도/초로 중전차치곤 빠르며, 승무원 113% 기준으론 36.45도/초로 포탑 선회로 고생할 일은 없다.

게임플레이
  • 주포와 장갑은 외형이 유사한 T57보단 M-VI-Yoh의 8티어 버전 같은 느낌이고, 기동성은 T57 / M-VI-Yoh 양쪽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우수하기도 한 전차다. 포탑 장갑이 썩 좋지 못한 T57과 달리 차체와 포탑 모두 장갑이 없는 건 아니지만 대신 양쪽 모두에 하자가 있다 보니 헐다운 탱킹을 시도해볼 수는 있는 M-VI-Yoh, 차체 정면으로 적 탄을 도탄내는 T57과 달리 탱킹은 어느 장갑을 활용하더라도 쉽지 않은 중전차다. T57 / M-VI-Yoh 양쪽 모두 주력 탱커보단 주력 딜러 겸 서브 탱커에 가까운 것처럼, T77도 주력 탱커 역할은 수행할 수 없고 적 전차들의 진격을 저지하는 주력 딜러이자 동시에 높은 체력/방호력이 어느 정도 있는 장갑을 이용한 서브 탱커 역할을 수행하는 게 좋다.
  • 탄간이 겨우 2.5초에 380뎀이라는 8티어 기준 높은 알파뎀을 지닌 2클립 주포를 이용해 섣불리 나서는 적 중형전차들을 순식간에 풀피에서 반피로 만들어버리거나 적 중전차들에게 심각한 타격을 입히는 게 주된 역할이다. 클립 주포치곤 생각보다 빠른 조준 시간/생각보다 준수한 분산도 덕에 중거리샷도 명중이 가능하기 때문에 폭딜을 넣을 수 있는 주포를 지녔으면서도 너무 근접전에 연연할 필요가 없는 건 장점. 기동성도 불편함은 없는 수준이다 보니 긴 재장전 시간 동안 보호해줄 엄폐물이나 아군 전차가 있다면 본인의 실력이 심히 딸리는 게 아닌 이상 여러 맵에서 활약해볼 수 있는 전차다.
  • 상술했다시피 장갑이 주력 탱커를 맡기엔 부족하긴 하나, 일단 눈먼탄 정도는 충분히 튕겨볼 만한 장갑이므로 필요할 때는 서브 탱커로 나서는 것도 중요하다. 차체만이 탄을 제대로 튕길 수 있는 T57, 포탑만이 도탄을 제대로 볼 수 있는 M-VI-Yoh와 달리 차체/포탑 모두 일단 도탄을 볼 수 있는 전차이므로 하단을 가리고 포탑을 도리도리 해주면 의외로 적 전차들이 쉽게 뚫지 못하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물론 숙련된 적 전차장들 상대로는 유효한 방호력을 발휘하긴 어려우니 주의.
  • 이쯤 되면 이미 눈치챘겠지만, 포탑과 차체의 방호력이 비슷한 수준이 되었고 폭딜 능력이 낮아졌긴 했지만 전반적으로는 T57처럼 생긴 8티어판 M-VI-Yoh에 가깝다. 9.0 버전까지 10티어 상위권 중전차로 평가받던 M-VI-Yoh와 유사하다는 데서 알 수 있다시피, M-VI-Yoh 급은 아니더라도 폭딜 능력이 충분하면서 Yoh와 달리 분산도가 동티어 중위권에 조준 시간도 마찬가지로 그닥 길진 않아서 매우 강력한 전차로 평가받는다. 실제로 평균 승률은 블리츠스타 9.2 버전/90일간 기준 무려 58~59%대로, 9.2 버전/블리츠스타 기준 8티어 전체 기준으로도 10위권 내, 극도로 희귀한 몇몇 전차들을 빼고 보면 아예 5위 내에 드는 엄청난 승률을 자랑한다.[39] T77보다도 승률이 높거나 동급인 전차는 기껏해봐야 부라스크, 스코다 T 56, 57식, 키메라 정도로 극히 제한적이며, T77은 이들 중 키메라를 제외한 나머지 전차들보다 운용 난이도가 낮으면서 성능도 최소 동급 이상이다 보니 전반적인 성능은 키메라 다음[40]으로 난이도도 낮으면서 강력한 8티어 최상위권 중전차로 평가받는다. 특히 딜 능력이 워낙에 사기적이다 보니 9.7 버전 후반기 시점에는 8티어 기준 평균 승률 2위 , 게임 당 평균 딜 1위[41]에, 8티어 중전차 중에서는 유일하게 게임 당 평균 피해량이 기본 체력보다 높은 전차[42]다.
  • 이처럼 성능이 워낙에 높다 보니 같은 국가의 T54E2와 함께 사실상 8.75 티어(...) 전차 취급을 받는다. 무려 그 오비옉트 752[43]와 비교하는 유저도 있을 정도.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본가에선 T57을 8티어로 만든 듯한 전차였기 때문에 포탑이 거의 모든 동급 전차에게 프리패스급이고 탄간 2초 3클립 주포에 360 알파뎀과 높은 관통력을 지닌 대신 클립 재장전이 40초가 걸려 독보적으로 처참한 DPM을 지닌 전차였지만, 블리츠에선 포탑이 대폭 버프받아 대충 쏜 동급 전차 은탄을 방호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고, 차체 장갑도 약간 두꺼워지고 주포도 탄간 2.5초 2클립 380 알파뎀 주포로 변경되어 장전 속도가 1/2 수준이 된 대신 관통력이 낮아졌다. 본가 버전에 비해 크게 달라진 대신 활용하기 훨씬 편해진 편.

출시와 동시에 전설 위장이 풀렸다. 이름은 Cannonball. 전설 위장 착용 시 디젤펑크스러운 파이프 장식들이 차체에 달리고 추가 장식물들이 포탑에도 달리며, 정면에서 바라볼 때 기준 포탑의 오른쪽에 큼지막한 '01' 마크가 새겨진다. 이름으로 보아 모티브는 미식축구 선수인 듯. 당연하지만 이 파이프들은 공간장갑 같은 게 아닌 장식일 뿐이므로 성능 변화는 없다. 만약이긴 하지만 저 파이프 장식들이 공간장갑 판정을 받았다면 정면 차체 하단 앞에 상당한 두께의 공간장갑이 생기는 것이므로 방호력이 상당히 향상되었을 것이다.

전차 랭크 시스템이 가장 먼저 적용된 전차이나, 얼마 지나지 않아 8티어 특정 전차들에게 랭크 시스템이 적용되고, 이후 패치로는 아예 모든 8티어 전차들에게 랭크 시스템이 적용되어 시스템상 부각할 만한 이점이 상당히 빠르게 사라졌다(...)

상대하는 일반 8티어 입장에선 답이 없고, 8티어 최상위권으로 꼽히는 전차들은 물론이고 통상적인 9티어마저 혼자서 상대하기 힘들어하는 높은 성능에 걸맞게 2023년 4월 13일 기준 첫 출시 당시를 제외하면 상점에 골드로 구매 가능한 상품으로 풀린 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 풀려도 M60 잠금상자의 증서 중 하나로 풀리거나 Carro 45t 과금 이벤트 중간단계 전차로 풀리는 등, 여타 8티어 프리미엄 전차들보다 확연히 비싼 가격으로 풀렸다. 그러다가 드디어 2023년 4월 14일 T54E2, T54E2 전설 위장, T77, T77 전설위장과 경험치 5배 증서/아바타를 포함한 패키지가 T77 출시 당시 가격인 17 500 골드로, T77 단품은 10 000 골드로 풀렸다. 출시된 지 무려 9개월만에 골드 구매 가능 상품으로 출시되어, 2022년에 출시된 8티어 전차 중에선 이례적일 정도로 단품이 늦게 풀렸다. 성능이 워낙에 높다 보니 '이것도 성능 대비 싸다'[44]는 평도 나올 정도.

결국 2023년 10월 초에는 단품 7 500 골드라는 어이없는 가격으로 풀렸다. 13 000 골드를 줘도 사야 되는 전차라고 평가받을 정도로 강력한 전차임을 감안하면 대놓고 퍼주는 거나 다름없는 가격이며, 이처럼 강력한 전차가 저렴한 가격에 풀린 관계로 8탑방이 T54E2 같은 전차들이 저렴하게 풀렸을 때와 비슷하게 또다시 초토화(...)되는 중이다.

4.7. M-IV-Y - 8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M-IV-Y 267 / 120 / 53 ㎜ 240.0 m 23.99 도/초 1 850 8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Continental AOSI-1195-5 Y IV 660.0 마력 20 % 8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M-IV-Y 31.29 도/초 95 / 70 / 45 % 8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단계
포탄 적재량 100 m 분산도 조준 시간 포탄 재장전 시간 /
클립 재장전 시간 /
클립당 탄수 / 화력
105 mm T140 Y IV 218 / 265 / 53 ㎜ 310 / 260 / 420 AP / APCR / HE 8 단계
52 발 0.384 m 4.5 초 6.98 초 / 14.38 초 / 4 발 / 2 107 DP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가격
(골드)
158 / 82 / 52 ㎜ +40 / -18 ㎞/h 46.97 톤 360 / -8 / +18 도 한정
파일:mivystalker1.png파일:mivystalker2.png
T95 계열 전차 개발은 1953년에 시작되었다. 당해 6월, H.L. Yoh사에서 M-IV-Y 전차를 포함한 설계도면 7개를 제시했다. 미국 전차 설계의 일반적인 구성을 기반으로 한 47톤가량의 중형전차로 주조 방식의 차체 및 포탑과 105mm 주포를 탑재하고 승무원 4명이 탑승할 수 있도록 개발될 예정이었다.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요동 포탑이었으며 요동 부품 손상을 방지하고자 전면 하단부에 고정물을 적용하였다. 하지만, M-IV-Y의 추가 개발은 중단되었으며 설계도면으로만 존재한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프리미엄 차량으로 출시된 Yoh 전차. 탄간이 짧은 클립포를 사용하고 기동성도 중전차 평균~평균 이하인 여타 고티어 Yoh 전차들과는 다소 플레이 양상이 다른 전차다. 2022년 10월 7일에 천장이 있는 상자로 출시되었다.

본래 프리미엄 전차였으나 11.1 업데이트에서 수집가 전차로 전환되었다.

공격
105mm 4클립 주포를 사용한다. 알파뎀은 8티어 클립 전차답게 310/260/420이고, 관통력은 역시 클립 전차답게 은탄은 약간 낮은 철갑탄 218/고철탄 265/고폭탄 53mm이나, 보정 포탄을 자주 채용하는 클립 전차 특성상 실질적인 관통력은 229/278/58mm로 8티어 중전차 표준보다 조금 더 높게 잡힌다.

조준 성능의 경우, 하자가 있긴 하나 클립 주포 중전차치곤 좋은 편이다. 우선 조준 시간은 승무원 113%+조준기+수직 안정기 기준 기본 1.98~최대 3.5초로 8티어 클립 중전차 중 조준 시간이 짧은 편인 EMIL 1951의 기본 2.04~최대 4.0초보다도 짧다. 이는 승무원 113%+수직 안정기 기준 기동 추가 분산도가 0.145로 중전차 기준 낮은 편이고 선회 추가 분산도가 0.08510티어 중형전차급이기 때문. 그나마 약간 높은 게 0.12에 근접하는 포탑 회전 시 추가 분산도인데, 이를 감안해 포탑을 사격할 방향으로 미리 돌려놓고 기동하면 조준 시간을 3.5초보다도 짧게 만들 수 있다.

조준 성능에서 가장 아쉬운 부분은 기본 분산도. 승무원 113% 기준 기본 분산도가 0.362로 0.344가 표준인 105mm 주포치곤 다소 높은 편이다. 이는 122mm를 사용하는 IS-3와 같은 분산도인데, IS-3와 달리 조준 시간이 짧긴 하지만 은근 높은 분산도 때문에 중거리 이상의 교전에선 여타 클립 전차보다 불리할 수 있다. 그래도 일단 티거 II/T54E2처럼 중전차 기준 빠른 조준 시간을 지녔기 때문에 이 분산도 문제는 생각보다 체감이 크진 않다.

여기까지 보면 관통력도 멀쩡하고 조준 성능도 클립 중전차 기준으론 좋은 편이라 105mm 3클립 주포만 주구장창 쓰는 8티어 중전차의 혁명급 주포로 보일...수도 있지만 사실 탄간이 6.98초다.

물론 탄간이 긴 만큼 클립 전탄 재장전 시간은 풀세팅 기준 13.6초라서 단발 주포처럼 운용할 수는 있다. 사실 이 주포는 통상적인 클립 주포로 운용하기보단 일종의 단발 주포로 운용하는 게 더 적합한데, 제대로 활용한다면 아드레날린을 사용한 통상적인 105mm 단발 중전차보다 약간 낮은 화력지속 투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M-IV-Y의 주포는 8티어 105mm 단발 중전차들보다 순간 DPM은 당연히 낮고[45], 마찬가지로 여타 클립 중전차들보다 순간 폭딜은 낮긴 하지만[46], 클립 4발이 모두 장전된 상태라면 2 665라는 높은 DPM을 약 14초의 쿨다운마다 발휘할 수 있다. 블리츠에선 교전이 20초 이상 지속되는 일이 적고, 반대로 각 팀 전차들의 전술 기동 등의 이유로 교전이 10초 이상 소강 상태가 되는 일은 잦다. 즉 굳이 클립 4발을 전부 사용하려고 애쓰는 대신 이 소강기나 기동 전에 클립을 장전해주면 교전이 재시작되자마자 바로 저 화력을 상대 전차들에게 투사할 수 있고, 이런 식으로 클립 재장전만 제때제때 해주면 표기상 DPM은 2100대이고 아드레날린을 사용하지 못하긴 하지만 실질적 DPM이 2 665인 105mm 단발 중전차로 운용할 수 있다.

즉 일반 클립 중전차나 Defender 계열처럼 활용하려고 하면 긴 탄간 때문에 로우 리스크 로우~마이너스 리턴인 전차지만, 상술한대로 교전 소강기마다 클립이 몇 발이 남았던간에 재장전을 해주는 식으로 실질적인 DPM을 끌어올리면 로우 리스크 하이 리턴이나 다름없는 주포다. 심지어 이런 주포가 기본 분산도를 뺀 스펙이 준수하다 보니 이 주포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유저의 손에선 은근 사기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다만 그만큼 클립 전탄 재장전 타이밍을 잘 잡아야 하기 때문에 운용 난이도가 높은 주포다.

주포에서 운용 난이도 이외의 아쉬운 점을 꼽자면 부각과 1대1 시 성능. 우선 부각은 표기상으로는 -8도로 꽤 높은 편이지만, 전고가 높은 전차다 보니 다른 부각 -8도 중전차들이 사격각이 나올 만한 언덕에서 사격각이 안 나오기도 한다. 또한 1대1 전에 미리 클립 전탄을 재장전하지 않았거나 상대 체력이 골탄 4발로도 끝낼 수 있는 1000 이하가 아니라면, 상술한 꼼수로 실질적 DPM을 끌어올리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1대1 상황에서 상당히 불리한 전차다. 진짜배기 105mm 단발 중전차들과 1대1을 뜨면 상대 사격 실력이 심각하게 구린 게 아닌 이상 거의 반드시 질 정도.

방어
정면 상단은 동티어 중전차의 은탄까지는 확실하게 막지만, 하단이 보정 포탄 낀 T49 은탄(성작탄 167mm)에게도 관통되는 차별없는 관대함을 보여준다. 차체 중단부도 중전차 은탄에 관통당할 수 있는 건 덤. 상대가 누구라도 이 전차의 하단을 뚫을 수 있으니 7티어 전차라고 막 들이대는 것은 금물.

포탑은 생긴 것과 같이 정면 기준 못해도 260mm 이상의 방호력을 보여줄 정도로 튼튼하나 문제는 종양. 보통 PC>블리츠로 이동하면서 미국 특유의 종양이 우르단 큐폴라[47]로 작아지는데, 이 전차는 PC판 그 특유의 종양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요동포탑을 위로 들어도 다 안가려질 정도로 큼지막한 해치는 답이 없으므로 헐다운시 대각선으로 무빙을 해주자. 그래도 큐폴라 하단/측면/상단 등 도탄이 뜨는 부위들이 은근 많아서 종양으로 유명한 Chieftain/T95마냥 무방비하게 해치가 뚫리지는 않는다.

비상 궤도 시스템이 있다고 해서 역티타임을 하려고 하는 유저가 있을 수 있는데, M-IV-Y는 여타 Yoh 전차들 이상으로 거대한 포탑링 약점 때문에 역티타임은 매우 어려운 전차다. 상술한 부각 문제와 종양 큐폴라 때문에 헐다운을 능숙하게 하긴 어렵지만 일단은 헐다운을 주력으로 하도록 하자.

기동
기동형 중전차의 대명사인 T54E2보다 실질적인 기동성이 더 높다. T54E2와 비교시 실 추중비에서 소숫점 단위 차이로 밀리고 후진 최고 속력이 2km/h 밀리는 정도로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클립 전차 특성상 반 강제로 엔진 출력 부스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실전에선 가속력도 오히려 더 좋은 편이고, 기본 선회력이 승무원 113%+고급 연료+엔진 가속기 기준으로도 도로에서 초당 38도, 험지에서도 초당 28도를 넘겨 T54E2보다 확연히 좋다 보니 전반적인 기동성은 T54E2보다 좋은 편이다.

비상궤도 시스템이 적용된 전차라 궤도가 끊겨도 느리긴 하지만 일단 -4km로 후진이 가능하다. 다만 정규 yoh 트리를 타본 전차장은 느껴본 적이 있겠지만 없는 것보다 나은 정도지 전차의 평가를 올려줄 만큼 중요한 요소는 아니다.


게임플레이
주포 성능/장갑/기동성까지 모든 스탯이 평균 이상이라 헐다운/사격각만 잘 잡을 줄 알면 무쌍을 찍는 T54E2에 비하면 생각해야 할 것도 많고, 약점도 좀 더 확실해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중전차다. 대신 제대로 활용한다면 아쉬운 점이 분산도밖에 없게 되는 주포, 종양이 있긴 하지만 일단 그럭저럭 쓸만한 포탑, T54E2보다도 높은 기동성이라는 장점이 크게 부각되는 전차이기 때문에 난이도는 높아도 성능이 떨어지는 전차는 아니다.

M-IV-Y 운용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상술한 "클립 전탄 재장전 타이밍 잡기"다. M-IV-Y의 클립은 4발을 전부 발사하는 것보단 필요한 만큼만 사격한 후 바로 재장전에 들어가는 식으로 활용해야 실질적인 DPM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는 주포다. 상황을 보고 상대 팀의 공세가 휴식기에 들어갔거나 전술 기동 전이라면 클립 몇 발이 남았던간에 미련을 버리고 바로 재장전에 들어가자. M-IV-Y 주포의 최대 장점은 클립이 장전된 상태일 때 나오는 높은 지속 DPM이지 순간 폭딜이 아니다.

M-IV-Y는 제대로 활용하면 실질적인 DPM이 높은 전차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티거 II마냥 아드레날린을 키면 규격 외의 DPM이 나오는 중전차 상대로 맞딜을 걸고도 손해를 안 보는 전차는 아니다. 상대 105mm 단발 중전차가 아드레날린을 켰다면 그 상대가 T32/KV-4마냥 DPM이 구린 중전차가 아닌 이상 되도록 너무 적극적으로 맞딜을 하려고 하진 말자.

기동성이 좋은 여타 기동형 중전차들과 마찬가지로 중형 라인을 따라가는 것도 답이다. 중형전차들은 중전차보다 주포가 정밀해 M-IV-Y의 해치를 좀 더 쉽게 따긴 하지만, 대다수는 체력이 1400대에 머무는 만큼 체력도 M-IV-Y보다 한참 낮고, 전차에 따라서는 DPM마저 M-IV-Y의 표기상 DPM보다 낮다 보니 M-IV-Y를 1대1로 이기기 힘든 편이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일단 나름의 장점이 있긴 하지만, 여러 번 서술했듯이 주포의 운용 난이도가 높고, "헐다운이 주력인 105mm (유사)단발 기동형 중전차"라는 포지션은 같은 국가의 T54E2로도 그럭저럭 커버 가능하기 때문에 저평가받는 경향이 꽤 있는 중전차다. 물론 T54E2는 애초에 거의 모든 단발 헐다운/기동형 중전차들을 성능으로 압도하는(...) 전차이긴 하다.

전설 위장 Stalker가 있다.

4.8. AE Phase I - 9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mm m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마력 % kg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mm // // 단계
m 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좌우 포각/올림각/내림각 가격
(골드)
//mm km/h 360//도
1951년에 개발된 전차로 4개 궤도 현가장치를 장착하여 현가장치 2개가 손상되어도 계속 기동할 수 있으며 대구경 포탑을 장착할 수 있다. 이후 Associated Engineers 사는 각 측면의 현가장치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개량형 현가장치 개발을 요청받았다. 설계 도면으로만 존재한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2021년 8월 배틀 패스부터 추가된 작전 상자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전차[48]. 작전 상자는 프리미엄 패스를 가진 상태에서 배틀 패스 레벨을 모두 클리어한 다음에 배틀패스 재화를 100개 소모하여 얻을 수 있는 걸로 처음 출시되었다. 2022년 5월부터는 배틀 패스 진행 방식이 많이 달라지면서 작전 임무를 7단계 클리어 할 때마다 작전 상자를 열 수 있게 바뀌었다.

희귀함
문제는 이 전차를 얻으려면 프리미엄 배틀패스 과금이 필수인데다가, 무엇보다도 획득 확률이 0.05%[49]로, 기간 한정 판매 상자나 무료상자를 제외하면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 역대 최악의 상자 전차뽑기 확률을 자랑한다[50].

얻을 수 있는 방법도 프리미엄 배틀 패스 보상으로 나오는 작전 상자 단 1가지 뿐인데다가, 이마저도 확률이 매우 낮은 상자 뽑기라서 가지고 있는 유저들이 손에 꼽게 적다. 때문에 공방과 랭크 전투를 비롯한 게임에서 거의 보이지 않는다. 사실상 현재까지 출시된 9티어 전차 중에서 가장 희귀하며, 앞으로 배틀패스 상자 이외의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이 추가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희귀함은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외형상 개별 궤도가 4륜차 타이어같은 형태로 4개나 달려있기 때문에 2021년 6월에 나온 M-N-Yoh 중전차 라인의 9티어와 10티어처럼 궤도가 파괴되어도 비상궤도로 후진할 수 있는 거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지만, 해당 메커니즘이 AE Phase I에는 적용되지 않아서 나머지 전차들처럼 궤도 1개가 파괴되어도 그대로 정지라고 한다. 하지만 궤도가 저렇게 생긴 이유는 실제로 이 전차가 설계될때 궤도가 1~2개 파괴되더라도 기동이 지속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였다. 추후 업데이트를 통해서 Yoh 9티어와 10티어 전차처럼 궤도 메커니즘이 추가될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4.9. TL-7-120 - 9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TL-7-120 230 / 70 / 45 ㎜ 250.0 m 22.95 도/초 2 000 9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AOI-695 640.0 마력 15 % 9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TL-7-120 29.20 도/초 104 / 80 / 58 % 9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화력
120 mm 2B M1 249 / 330 / 60 mm 400 / 340 / 515 AP / HEAT / HE 10 단계
56 발 0.345 m 4.7 초 10.74 초 / 2 235 DP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가격
(골드)
180 / 70 / 40 ㎜ +36 / -10 ㎞/h 43.16 톤 360 / -7 / +20 도 한정
파일:TL-7-120-1.jpg파일:TL-7-120-2.jpg
1954년 6월, Detroit Arsenal 사에서 M48 중형전차의 뒤를 이을 전차 기획 9개를 제시했다. 기획 목표는 M48의 기동력과 화력을 능가하는 전투 중량 30톤 전차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최종적으로 TL-1 기획이 채택되었지만, 가볍고 견고한 TL-7 전차 개발도 진행되었다. 개발 결과는 1955년 4월 7일에 발표되었지만, T95 개발에 밀려 기획이 취소되었다. 시제 전차는 제작되지 않았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2023년 4월 7일 상자깡으로 출시된 미국 국적의 9티어 수집가 전차. 천장은 근래 출시된 전차들과 마찬가지로 부적 30개이고, 확률은 전설 위장 6% / 전차 본체 4%다.

워게이밍의 설명에 따르면 1954년 6월 Detroit Arsenal 사에서 M48 패튼의 후속 전차로 제시한 9종의 전차 계획 중 하나다. 전투 중량 30톤과 M48 이상의 기동성 및 화력을 목표로 했고 1955년 4월 7일에 개발 결과도 발표되었지만, T95 중형전차 프로젝트에 밀려 계획 자체가 취소되었다고 한다. PC판에서는 이와 같은 설명에 걸맞게 30톤 이하의 중량과 M48보다는 높은 전진 최고 속력을 갖춘 구축전차이나, 블리츠에서는 중량도 43톤으로 확연히 늘어났고, 병종도 중전차로 변경되었으며, 후술하겠지만 최고 속력에 아주 심각한 하자가 생겼다(...) 이름도 PC판에서는 TL-7이라고만 나왔지만 블리츠에서는 주포 구경까지 붙었다.

보통 줄여서 TL, 또는 TL-7 정도로 부른다. 다만 후술할 이유로 인해 게임 내에서는 TL 정도로만 지칭된다.

공격
M103와 스펙 대부분이 동일하거나 비슷한 주포를 사용한다. 승무원 113% 기준 DPM은 2 545로 M103와 정확하게 동일하고, 알파뎀도 마찬가지로 동일하나 관통력이 은탄/골탄 기준 9/10mm 열세다. M103 화력이 9티어 중전차 기준 나름 상위권임을 감안하면 그리 아쉬운 수준은 아니나, 알파뎀 자체가 9티어치곤 아쉬운 400이다 보니 다소 저지력이 부족한 감은 있다. 또한 관통력도 골탄은 문제가 없지만 은탄 쪽의 관통력이 250mm 미만으로 9티어 평균 이하이기 때문에 10탑방에서는 골탄을 들어야 할 때가 꽤 생길 것이다.

조준 성능도 M103와 거의 같다. 승무원 113%+조준기+수직 안정기 기준 기본 조준 시간 1.72초, 예상 조준 시간 3.8초에 기본 분산도는 0.326, 심지어 기동/선회/포탑 회전 추가 분산도도 0.170/0.170/0.085로 동일하다. M103가 조준 성능은 9티어 중전차 기준 그럭저럭 준수한 편임을 감안하면 나쁘지 않은 건 핸들링인 셈.

M103 주포와의 확실한 차이점은 탄속과 부각. 우선 탄속의 경우, TL-7-120 쪽의 은탄이 아주 조금 더 빠른 초당 1084m를 찍지만, 모든 탄종의 탄속이 초당 1067m로 동일한 M103와 달리 TL-7-120의 골탄은 초당 876m, 고폭탄은 초당 736m로 확연히 느리다. 물론 일반 고폭탄을 쓰는 120mm 중전차는 고폭탄을 쓸 일이 거의 없고, 성작탄 탄속이 그리 느린 것도 아니다 보니 이는 큰 문제가 아니다.

진짜 문제는 부각. 부각 좋은 전차들이 많기로 유명한 미국 중전차답지 않게 부각이 -7도로, -8도인 M103보다 좋지 못하다. 후술하듯이 전고가 낮은 본 전차 특성상 언덕 헐다운을 못 하는 건 전혀 아니지만, -8도 이상의 부각이라면 사격각이 나올 환경에서 부각 차이와 낮은 전고 때문에 사격각이 오히려 안 나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본인이 -8~-10도 부각을 지닌 미국 중전차들에 익숙하다면 은근 불편하게 다가올 것이다.

종합하자면 주포는 관통력과 부각이 약간 아쉬운 것을 빼면 M103의 주포의 스펙을 거의 그대로 가져온 만큼 그럭저럭 준수한 편이다. 본 전차가 오비옉트 752나 K-91마냥 주포만 보고 굴리는 중전차가 아니라는 걸 감안하면 주포 성능이 은근 괜찮은 셈.

방어
10티어 이상으로 튼튼한 전면 주 장갑부, 그리고 이와 정 반대로 취약한 측면 장갑과 거대한 해치, 그리고 끔찍하게 약한 차체 하단이라는, 매우 극단적인 장갑 구조를 갖췄다.

우선 주 장갑부, 즉 차체/포탑 전면 장갑은 그냥 튼튼한 정도를 넘어 탈 9티어급으로, 주 장갑부 한정 WZ-114에 필적하는 수준의 방호력[51]을 발휘한다. 차체 상부는 10티어 중전차 은탄급 관통력에 관통당하는 정면 상단/어깨 장갑 연결부 약점이 작게 있고, 차체 상부 대비 장갑이 얇은 어깨 장갑부가 있는 만큼 티타임/역티타임은 못 하는 구조이긴 하나, 어깨 장갑부는 각을 안 줬을 경우 철갑탄 절대도탄, 차체 상부는 철갑탄 기준으로도 310mm 이상의 방호력이 나오고 성작탄 상대시에는 어깨 장갑부가 330mm대 방호력이, 차체 상부가 360mm대 방호력을 갖춘다. 즉 차체 상부는 기본적으로도 튼튼한 편에 속하지만, 여기에 부각을 약간이라도 활용하면 보정 포탄 낀 10티어 중전차의 골탄도 막는 높은 방호력을 보여준다.

포탑의 경우 주 장갑부는 10티어 중전차 은탄급 관통력은 포탑 전면 230mm 장갑부와 180mm 장갑부의 경계 부위 정도를 제외하면 완벽하게 막고, 10티어 중전차 평균급 관통력인 330mm 성작탄도 포방패 바로 옆/230mm 장갑부/230mm와 180mm 장갑부 경계 부위 정도를 빼면 막을 수 있는 방호력이 나온다. 이 약점들의 면적은 M103와 비교 시 약 1/3 수준으로 확연히 작고, M103보단 포탑이 튼튼한 AE Phase 1과 비교해도 그 면적이 거의 절반 수준밖에 안 된다. 심지어 363mm 성작탄도 관통 가능한 면적은 차이가 없어, 9티어 중전차 기준 포탑 방호력이 매우 높은 편에 속한다. 고철탄 326mm 앞에서는 포탑 측면 공간장갑에 가려진 몇몇 부위들도 관통 가능해지니 포탑 주장갑의 방호력을 과신하면 안 되나, 피격 면적 자체가 작고 애초에 TL-7은 포탑 주장갑부보단 후술할 약점이 더 큰 문제다.

이처럼 주 장갑 방호력은 탈 9티어급이긴 하나, 본 전차는 전면 장갑에도 매우 심각한 문제가 있다. 바로 초거대 해치와 끔찍하게 허약한 차체 하단. 우선 해치의 경우 부분적으로 120mm 고폭탄(60mm대 관통력)에도 관통당할 정도로 물장갑이면서 중전차 기준 해치가 상당히 큰 편인 71식보다도 면적이 넓고 높아, 말 그대로 종양이나 다름없는 부위다. 부각을 최대한 활용해도 적 포탄 도탄은 생각할 수도 없으면서 면적이 거대하다 보니 헐다운 시 후술할 기동성 하자와 함께 매우 큰 약점이 된다. 상술한 주 장갑부의 방호력을 말아먹는 가장 큰 약점으로, 헐다운을 해도 상대방이 주장갑부를 굳이 노리기보단 저 거대한 해치를 때리기 때문에 -7도라는 아쉬운 부각으로 헐다운을 해도 탱킹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가 없다.

한편 차체 하단은 각을 안 줄 경우 고폭탄 기준으로도 110mm 정도 관통력이 있다면 여유롭게 관통 가능한, 끔찍한 방호력을 자랑한다. 전차 자체가 작다 보니 면적이 통상적인 중전차 차체 하단 약점보다 훨씬 작긴 하나, HESH 계열에게 손쉽게 뚫리고 철갑탄은 당연히 못 막으므로 되도록 가려주는 게 좋다.

이처럼 정면 장갑에도 하자가 있는데, 미국 중전차답게 측후면 장갑은 말할 필요도 없이 취약하다. 그나마 후면 장갑은 60mm 이상의 고폭탄은 있어야 안정적으로 관통 가능해 여타 미국 중전차들보단 나은 편이나, 측면은 70mm로 매우 얇아 역티타임을 하려고 해도 철갑탄 절대도탄각이 아니면 역티타임이 불가능한 수준이고, 측면 하단은 아예 50mm라 152mm 이상의 주포 앞에선 절대도탄각을 지켜도 3배 구경 우세룰로 철갑탄 계열에 관통당한다. 그나마 5mm 공간장갑 판정인 사이드스커트 덕에 측면에 대구경 고폭탄을 얻어맞는 일은 적지만, 측면이 원체 취약하다 보니 측면을 내주면 그대로 체력이 빨려나간다.

이렇듯 장갑 구조상 하자가 상당한 전차인데도 불구하고 체력은 2 000으로 9티어 중전차 최하위권이다. M103와 달리 개량형 모래주머니 장갑도 없다 보니 체력을 늘릴 수 없고, 어차피 개량 장갑으로부터 얻는 이득이 크다고 보기 어려운 전차이니 되도록이면 정밀 조립으로 추가 체력 120을 받아가도록 하자.


기동
한 가지 매우 심각한 하자 때문에 기동성에 대한 평가가 영 좋지 못한 전차다. 일단 스펙상 추중비는 고급 연료+엔진 가속기 채용 시 17.3까지 올라가고, 도로에서는 실제로 이 추중비가 나오긴 하나, 지형 돌파 능력이 험지 지형에서 다소 좋지 못해 대략 13 정도로 떨어진다. 선회력도 마찬가지로 승무원 113%+고급 연료+엔진 가속기+선회 향상 7렙 기준 도로에서 초당 38.72도가 나오나, 험지로 가면 초당 30도 미만으로 감소한다. 그래도 도로 한정 추중비는 기동형 중전차급이다 보니 도로를 따라 기동할 경우 생각보다 준수한 가속력을 보여주며, 중전차 기준 13 정도의 추중비는 낮진 않기 때문에 전반적인 가속력 및 선회력은 중전차 기준 못해도 중위권은 되는 수준이다.

문제는 역시 최고 속력. 전진 최고 속력은 36km로 중전차 기준 그럭저럭 평균급이나 절대적으로 높진 않아 높은 추중비에도 불구하고 발이 빠른 편은 아니다. 다른 미국 중전차들처럼 추중비는 준수하나 전진 최고 속력 때문에 직진 기동성이 제한되는 경우. 가장 큰 문제는 후진 최고 속력인데, 겨우 -10km8~10티어 중전차들 중 제일 느린 편에 속한다. 후진 최고 속력이 -12km인 T110E5도 후진이 너무 느리다고 까이는 게 9~10티어 환경인데, -10km라는 독보적으로 느린(...) 후진 속력 때문에 TL-7-120은 비상 시 후진 기동을 사실상 못하는 건 물론이고, 다른 헐다운 중전차처럼 헐다운 상태에서 직후진을 반복하며 적 전차들이 해치를 노리기 어렵게 하는 와리가리 기동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즉 가속력과 선회력 모두 쓸만한 수준이긴 하나, 최고 속력, 특히 후진이 과할 정도로 느려서 전반적인 기동성이 상당히 답답하게 느껴지는 전차다. 끔찍하게 느린 후진 속력에도 불구하고 엔진 출력 부스트 향상 같은 소모품도 없다 보니 한 번의 기동 실수가 그대로 차고행 또는 실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 후진 속력과 상술한 장갑 약점들 때문에 능동적인 플레이가 어려운 중전차이기도 하다.

게임플레이
M103에서 장갑을 대폭 강화한 대신, 체력을 대폭 줄이고 후진을 더 느리게 만든 듯한 중전차. M103나 그 개량/강화형인 AE Phase 1도 평가가 썩 좋지 않다는 데서 알 수 있다시피, TL-7-120도 9티어 수집가 전차들 중에서는 평가가 안 좋은 편에 속한다.[52] 장갑도 문제가 있긴 하나, 후진 속력을 불편해하는 유저들이 특히 많은 편이고, 후진은 실제로도 본 전차의 최대 약점이라고 할 수 있다.

주 장갑부 방호력이 훨씬 올라가고 하단 약점부 면적도 얇지만, 거대한 해치라는 매우 명확한 약점 때문에 TL-7-120은 M103와 플레이 스타일이 그리 다르지 않은 전차다. 즉 최전선에서 탱킹하는 탱커 중전차보다는 1.5선에서 아군 주력 탱커 중전차의 라인전을 딜링으로 도와주는 화력 지원형 중전차로, 화력 지원형 중전차들이 다 그렇다시피 최전선 교전을 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상당히 불리해지는 반면 오래 살아남을수록 높은 캐리력을 발휘할 수 있다.

다른 건 몰라도 주포만큼은 쓸만하다고 평가받는 M103의 주포를 약간 다운그레이드한 상태로 가져온 만큼, 어떻게든 체력 관리를 할 수 있다면 장기적인 캐리력은 나름 준수한 전차다. 또한 M103보다 약점 크기는 확연히 작은 편이고, 약점부를 제외한 전면 장갑은 10티어 중전차급으로 튼튼하다 보니 M103보다 탱킹력만큼은 훨씬 좋은 편이다. 물론 이를 감안해도 초거대 해치/끔찍하게 취약한 차체 하단 및 측후면과 낮은 기본 체력, 그리고 여러 번 서술했다시피 어이없을 정도로 느린 후진 때문에 한번 다대일 교전에 잘못 휘말리면 아군 전차들에게 화력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곳까지 후진 기동하기도 전에 체력이 녹아버리다 보니 중전차 기준 체력 관리가 녹록지 않은 편에 속하며, 이 때문에 M103와 마찬가지로 1선 교전은 게임 중후반이 아닌 이상 반드시 피하는 게 좋다.

DPM이 높다고는 하지만 이것도 DPM이 티어 대비 제일 처참하기로 유명한 9티어 중전차 기준으로 절대적으로 높은 건 전혀 아니라 상대가 8티어 중전차가 아닌 이상 난전에서는 불리하면 불리하지 유리한 전차는 전혀 아니다. 헤드온도 거대한 해치와 극도로 낮은 전고 때문에 불리하면 불리하지 유리한 경우는 거의 없으니 되도록 근접전은 피하는 게 좋다.

운용 시 가장 주의할 점은 당연히 후진. 후진이 E3/E4와 마찬가지로 상상 이상으로 느린데, E3와 달리 엔진 출력 부스트 향상으로 가속하는 것도 불가능하므로 후진 기동을 최소화해야 한다. 후진을 해야만 빠져나올 수 있는 상황에 처하게 되지 않도록 최대한 주의하며 기동하도록 하며, 사격 후 엄폐를 반복해야 하는 화력 지원형 중전차임에도 후진이 느린 만큼 엄폐물 앞으로 과도하게 기동해 느려터진 후진으로 엄폐물 뒤까지 후퇴하다가 적 전차들에게 얻어맞는 일이 없도록 딱 필요한 만큼만 기동해야 한다.

중량만 봐도 알 수 있겠지만, 중전차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작고 가벼운 편에 속하는 중전차다. 중전차 중 작은 편에 속하는 소련 중전차나 스웨덴 중전차보다도 훨씬 아담한 사이즈. 덕분에 은/엄폐물을 찾는 건 어렵지 않고, 전고가 워낙에 낮아 지형 고저차를 이용한 헐다운도 충분히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작은 덩치만큼 중량도 매우 가벼워 적 중전차와의 충각은 절대적으로 피해야 하고, 몇몇 지형에서는 오히려 낮은 전고 때문에 사격각이 안 나오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출시와 동시에 전설 위장이 풀렸다. 이름은 Arachnid(거미강). 대표 이미지 중 우측이 해당 위장이다.

다소 어이없게도 채팅에서 이름이 검열되는 전차다(...) TL-7까지만 쳐도 ****로 검열되고, TL-7-120으로 쳐도 ********으로 검열된다. 왜냐면 TL이 Teens Love의 줄임말이기도 하기 때문.[53]

가벼운 무게가 단점이긴 하나, 의외로 작은 덩치에도 불구하고 본인보다 몇 배는 거대한 WZ-114와 비슷한 중량을 지녔고[54], 본 전차와 해치 제외 전고가 비슷하고 전장은 더 긴 소련 중형들보다 거의 10톤 가까이 무거운 전차다. 심지어 전장이 본인보다 확연히 긴 오비옉트 752와 바로 아래 T95E6은 TL-7보다 가벼울 정도. 다만 이 중량도 체급 대비 무거운 것이지 중전차 기준으로는 당연히 가벼운 편이고, 난전에 취약한 TL-7 특성상 다른 전차들 상대로 충각을 걸 일은 없으니 그저 그렇다 정도로만 알아두자.

4.10. T95E6 - 10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AnnoT95_E6.pn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T95E6 127 / 120 / 51 mm 250.0 m 37.55 도/초 2 300 10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Continental AOI-11950-5A 750.0 마력 15 % 998 kg 10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T95E6 44 톤 35.50 도/초 10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분당 화력
120mm Gun T123E6 250 / 330 / 60 mm 400 / 340 / 515 AP / HEAT / HE 10 단계
36 발 0.345 m 4.2 초 8.25 초 / 2 910 DPM
차체 장갑 최고 속도/후진 속도 중량 좌우 포각/올림각/내림각 가격
(골드)
114 / 76 / 19 mm +50 / -15 km/h 40.76 톤 360 / +20 / -10 도 한정
파일:t95e6_2.jpg파일:t95e6_1.jpg
일부 군사 전문 분석가들은 T95류의 실험 전차들이 빠르게 사장될 것이라고 여겼다. 전차의 화력을 향상시키려면, T96에 지정된 새롭고 더 무거운 포탑을 차체에 장착해야 했다. 이를 통해 105-mm 주포를 120-mm 주포로 교체하게 되었다. 그러나 개발이 성공적이지 못한 것으로 판명되자 해당 개발은 1960년 7월 7일에 취소되었다. 한 대의 모형 전차만 제작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T95 전차에 120mm 강선포를 달아둔 형식이다.

공격
매우 높은 연사력연사력 대비 아쉬운 명중률 관련 성능을 지닌 주포를 지녔다. 부품명이 비슷한 T110E5의 주포와는 성향이 좀 다른데, T110E5가 연사력을 조금 희생하고 매우 높은 명중률 관련 성능을 확보했다면, T95E6은 반대로 명중률 관련 성능을 희생하고 T110E5의 최대 DPM보다도 높은 기본 DPM을 확보했다.

일단 T95E6의 최대 장점인 연사력은 중형전차 중하위권 수준이다. 승무원 113%+장전기 기준 무려 3 244에 달하는 DPM은 중형전차 표준(3 300대)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며, 대다수의 중형전차 알파뎀이 300~350 선에서 노는 것과 달리 T95E6은 120mm답게 400 알파뎀을 지녔다 보니, 중형 입장에선 DPM 싸움으로도 이기기 힘들면서 알파뎀 단발 교환으로 가면 답이 더 없는, 그야말로 대 중형 특화 중전차다운 연사력/알파뎀을 갖췄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명중률 관련 성능은 이런 높은 기동성을 갖춘 120mm 중전차에게 있는 것치곤 좀 아쉽다. 우선 관통력부터 골탄은 성작탄 330mm로 부족함이 없으나 은탄이 철갑탄 250mm로, 철갑탄 255mm 관통력이 표준인 10티어 중전차 기준 중하위권인데, 이 때문에 중전차 라인에선 타 중전차로 관통이 뜰 상황에서도 비관통이 뜨기도 하고 후술할 장갑 성능까지 겹쳐 여러모로 불리하다. 다만 이는 중전차 상대 시 기준으로, 중형전차 상대시에는 큰 부족함이 없는 관통력이고, 우회 사격까지 가능할 정도로 높은 기동성을 지닌 T95E6 특성상 이 관통력 문제보단 후술할 조준 성능 문제가 더 부각될 것이다. 보정 포탄을 동원한다면 DPM이 3 081로 하락하는 대신 관통력이 철갑탄 270/성작탄 373mm로 중전 라인에서도 아주 유효한 수준이 되긴 하니, 본인이 DPM을 희생하고 안정성을 택하고 싶다면 보정 포탄을 고르는 것도 방법이다.

조준 성능은 겉보기에는 좋아 보일 수 있지만, 계속 움직여야 하는 본 전차 특성상 비교 대상들에 비하면 하자가 상당하다. 일단 조준 속도부터 기본 1.71초~예상 3.3초, 개량 주포 기준 예상 3.6초까지 느려져 기본 1.40초~예상 2.6초인 T110E5보다 확연히 열세인데, 분산도도 0.326으로 중거리 사격 정도에서나 약점 사격이 확실히 가능하며, 타 분산도 성능은 기동/선회/포탑 회전 시 각각 0.153/0.153/0.068로 T110E5와 정확하게 동일해, 조금이라도 움직이면 조준원이 크게 벌어진다. 문제는 이 분산도 성능을 압도적으로 빠른 조준 속도로 커버칠 수 있는 T110E5와 달리 본 전차는 그게 안 된다는 것. 최대 속도로 기동하다가도 일단 멈추면 약 2초 중후반만에 0.301이라는 레이저급 분산도로 장거리 약점 사격도 가능한 T110E5와 달리, 본 전차는 조금이라도 기동하다가 멈추면 어지간해선 3초 이상 조준원을 조여야 정조준 사격이 가능한데, 그마저도 분산도가 0.326이다 보니 장거리 약점 사격은 당연히 안 되고 중거리에서도 가끔씩 탄이 튄다. 비슷하게 기동성을 활용한 플레이를 하는 Concept 1B는 조준원 성능이 매우 좋아 기본 분산도와 별개로 조준 자체는 아무리 빨리 기동하다가 멈춰도 길어봐야 3초 정도, 조금 움직이다가 멈춰 정조준하면 2초 중반 정도밖에 안 걸리는 것과 달리, T95E6은 표기대로 3.3/3.6초 정도는 기다려야만 정조준이 되는 데다가, 정조준을 해도 이들보단 명중률이나 관통력이 낮은 관계로 관통이 확정적이지도 않다.

다만 이도 110~120mm 기동형 중전차들 중에서는 가장 나쁜 조준 성능을 지닌 것이지, 절대적으로 나쁜 조준 성능은 아니다. 애초에 비교 대상들의 주포 핸들링이 10티어 중전차 최상위권이기 때문. 120mm 기동형 중전차라는 것만 빼고 보면 조준 성능이 오히려 중전차 기준 좋은 편이며, 후술할 장점 덕에 본 전차보다 조준 성능이 좋은 타 110~120mm 기동형 중전차들과도 차별화가 가능하다.

조준 성능 관련으로 약간이나마 도움이 되는 건 10.3 업데이트로 추가된 체코 중전차들의 "전투 안정화" 패시브를 본 전차도 지녔다는 것. 일단 15km/h 미만으로 기동하면 저 분산도가 벌어지진 않다 보니 후진 최고 속력을 찍기 까진 후진을 해도 분산도가 안 벌어지고, 아주 짧은 거리를 저속으로 기동하는 것만으로는 포탑만 안 돌리면 분산도가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아주 약간 움직였다고 3.3초를 조준할 필요는 없어졌다. 다만 본 전차 특성상 어지간해선 15km/h 이상으로 기동하게 되는 데다가, 후진이 하필 딱 +15km/h라 후진 최고 속력을 찍은 후부턴 분산도가 확 벌어지다 보니 Vz. 55마냥 후진 최고 속력에서도 정조준 사격을 하는 건 불가한 게 아쉬운 점.
  • 부각은 미국 중전차답게 -10도에, 양각도 +20도로 부족함이 전혀 없다. 언덕 지형을 달고 살아야 하는 본 전차 특성상 꽤나 도움이 되는 특성.

방어
체력만 중전차급이고 장갑 자체는 10티어 중형전차 수준이다. 다만 장갑 버프 후에는 약점 하나가 사라진지라, 중형전차급 장갑을 가진 것치곤 탱킹을 못하진 않는 수준.

차체는 헐다운을 제외하면 답이 없다. 차체 정면 상부 유효 방호력은 뜬금 도탄을 은근 보여주는 어깨 부위를 빼면 철갑탄 기준 220mm 미만에 성작탄 기준으로도 252mm 선이며, 하단은 아예 점착유탄 계열에 뚫리는 100mm대다. 측면은 정면 76mm로 절대도탄각이 아니면 10티어급 철갑탄을 절대 도탄내지 못하고 대구경 고폭탄/점착유탄 계열에 관통당하는 중형급 방호력이며, 대망의 후면은 미국 중전차 기준으로도 얇은 19mm1티어나 저티어의 저구경 고폭탄에도 후면은 관통당한다. 다만 각도 자체는 굉장히 가파른 관계로 -10도 부각을 이용해 헐다운하면 정면 상부 한정 철갑탄 절대도탄/성작탄 340mm 선의 방호력은 확보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차체를 활용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헐다운을 해야만 한다.

포탑은 중형전차스럽다. 즉 각도빨로 은근 탄을 튕기는 편이나, 확실한 장갑 구멍들이 산재해 Super Conqueror/T110E5 같은 언덕 붙박이 헐다운보단 중형전차처럼 언덕에서 지속적으로 무빙을 치며 해당 장갑 구멍 조준을 어렵게 할 필요가 있다.

포탑에서 가장 믿을 만한 장갑부는 280mm 두께를 자랑하는 포방패 부근 장갑부. 볼따구 정중앙을 노리는 게 아닌 이상 326mm 고철탄(330mm 성작탄과 동급 이상)도 가볍게 씹는지라 동급 중전차 골탄들도 공략하기 힘든 부위다. 그 외에도 종양(...)처럼 생긴 전차장용 부포탑 큐폴라도 중앙 220mm 수직장갑부를 제외한 경사부는 326mm 고철탄도 비관통이 뜰 정도로 생각보다 높은 방호력이 나오며, 이마나 약간 드러난 측면 장갑부는 애초에 절대도탄각+순 두께가 76/120~127mm라 정면에서 이쪽을 쏘면 비관통 또는 절대도탄이 뜬다.

포탑의 최대 약점은 경사각이 그리 가파르지 않고 단순 두께가 127mm인 포탑 정측면 장갑부. 면적만 따지면 차체 정면 상부와 비슷한 수준의 면적 전체가 10티어, 아니 9티어 중전차급 관통력에도 프리패스다. 부각 -10도를 다 사용해 헐다운을 해도 이는 변하지 않으며, 미국 중전차 하면 떠오르는 종양 약점이 '따위'로 보일 정도로 큰 약점부다. 이 약점부 하나 때문이라도 T95E6은 타 미국 중전차와 달리 헐다운 상태에서 버티기보단 피탄 회피를 중점으로 두고 플레이하게 되며, 중형 라인에서도 이 정측면부 약점은 쉽게 공략되다 보니 M48A5나 E 50 M, STB-1 같은 헐다운 괴물들 상대로는 헐다운 교전 자체를 피해야 할 정도다.

과거엔 약점이던 전차장 큐폴라는 버프 전부터 점착유탄 계열은 생각보다 잘 막았는데, 중앙이 수직이라서 그렇지 순 두께는 버프 전에도 220mm라 어지간한 고폭탄으로는 관통이 안 되기 때문. 그 외 탄종들에는 충분히 뚫리긴 하나, 수직장갑부만 벗어나도 220mm 급경사장갑이라 상술했다시피 326mm 고철탄도 씹혔다. 심지어 이도 과거형으로, 패치로 해치 정면 장갑이 248mm로 버프된 후엔 어지간한 은탄은 수직장갑인 정중앙부를 때리지 않으면 절대도탄이고 자시고 할 것도 없이 그냥 비관통이 뜨며, 다른 전차도 아니고 무려 호리 3형이 310mm 철갑은탄으로 공격해도 평지에서 면적의 60% 이상이 관통불능이다. 포탑 주장갑대보다 해치가 더 튼튼할 지경이라, 해치 버프 후엔 이쪽을 노리기보단 그냥 포탑 볼을 때리는 게 정석이다.

체력은 2 300/2 392로 딱 기동형 중전차 수준이다. 중형 체력 최상위권인 1 900대 중형들(T-62A/E 50 M 등)보다도 400이나 높고, 상술했다시피 DPM은 중형급에 알파뎀은 탈 중형급이다 보니 중형 라인에선 맞딜만 해도 적 중형과 최소 물귀신/보통은 1대1에서 확실하게 압도할 수 있으며, 중전차답게 일단 체력을 어느 정도 희생하면서 공세에 나서거나 교전을 유리하게 끌어가는 것도 가능은 하다. 다만 진짜배기 중전차들과 교전할 때에는 중전차 최하위권 체력이 많이 걸리적거리며, 이 때문이라도 평상시에는 1대1 교전을 유리하게 이끌기 힘든 중전 라인보단 중형 라인을 타는 게 본인 성적에도 이득이고 아군 팀 입장에서도 이득이다.

기동
T95E6 운영의 핵심. 10티어 중전차 중 가장 높은 직진 기동성을 지닌 전차다.

일단 최고 속력은 +50/-15km로, 후진이 중전차 표준급인 대신 직진은 중형전차에 근접할 정도로 빠르다. Strv K가 엔진 부스트 출력 향상을 잃은 10.3 업데이트 기준 10티어 중전차 중 가장 높은 전진 최고 속력을 지닌 전차로, 거의 중형에 필적하는 수준이다 보니 중형 라인을 타도 중형들보다 조금 늦게 도착하는 수준으로 중형 전선에 빠르게 도착할 수 있다.

유효 추중비는 도로/험지 기준 무려 19.2/16.0hp/t로, 10티어 중형전차의 최소급 추중비를 지닌 Carro 45 t보다 도로 추중비가 높고(...) 10티어 중전차 중 추중비 2위인 AMX 50 B보다 도로 추중비는 무려 2hp/t나 높다. 진짜배기 중형전차보단 느리기야 하지만, 적어도 느린 중형전차 정도는 따라다닐 수 있을 정도로 추중비가 높고, 이런 고속 중전차들 상당수가 험지에서 기동성이 추락하는 것과 달리, 험지에서도 어지간한 기동형 중전차보다 높은 추중비를 갖춘지라 기동성 하나는 중전차 중 압도적인 수준이다.

기존에는 이런 엄청난 추중비를 그에 비해 느려터진 차체 선회가 많이 깎아먹었는데, 패치 후엔 선회가 승무원 스킬 7렙+승무원 113%+엔진 출력 115% 기준 도로/험지 46.2/38.5도/초로 중전차 중에선 압도적 1위 수준까지 상승했고, 포탑 선회도 초당 43.7도를 찍다 보니, 중전차 중에선 거의 유일하게 선회합이 초당 90도에 근접한다. 중형만큼 복잡한 기동은 불가능하나, 어지간한 중전차는 상상도 못할 기동이 가능하고, 뺑뺑이는 대놓고 뒤에서 기습하는 수준이어도 힘들 지경이다.

다만 이와 별개로 후진이 기동성 대비 좀 아쉽다. 이런 기동형 중전차답지 않게 중전차 표준급인 -15km라, -18km 이상의 후진을 지녔으면 빠져나올 수 있는 상황에서도 빠져나오지 못하기도 한다. 사실상 기동성 관련 스펙에서의 유일한 양심.

게임플레이
보통 '헤듐'이라는 용어는 중형전차와 중전차의 특성을 모두 지닌 중전차 또는 중형전차를 뜻하는데, T95E6은 그 헤듐들 중에서도 특히 중형전차에 가까운 중전차다. 즉 중전차지만 중형전차에 가까운 운용을 해야만 제대로 활약할 수 있는 전차다 보니, 운용 난이도는 매우 높고, 어쨌든 중전차는 중전차다 보니 중형 대비 조준원 성능이나 전반적인 기동성 면에서 하자가 많아 진짜배기 중형보단 운용 시 껄끄러움이 있다. 다만 반대로 생각하면 중형전차의 특성을 지닌 '중전차'라 중형전차에 근접하는 기동성/분당 화력과 중전차의 생존력(체력) 및 골탄 관통력을 모두 갖춘 관계로 제대로 굴릴 시 중전차 기준으로도 압도적으로 높은 고점을 지닌 전차이기도 하다.

이러한 특성상 본 전차는 중형전차에 숙달한 숙련자가 굴릴 시 중형 라인을 실 화력/생존력 우위로 씹어먹고 중전 라인도 중거리 화력 지원으로 도와 게임을 압도적인 승리로 이끌거나, 반대로 열세인 게임도 중형전차들처럼 기동성 및 화력을 활용해 어느 정도 열세를 극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반대로 통상적인 중전차에 익숙한 유저라면 중전차답지 않은 장갑과 중형에 가까운 추천 플레이스타일로 인해 평범한 중전차 A 이하의 활약을 할 가능성도 높으며, 중형 라인 잡아먹기에 특화된 중전차이긴 하나 비슷한 포지션의 WZ-113 같은 전차들과 달리 장갑은 딱 중형전차급인 만큼 본인이 중형 라인 교전에 익숙지 않다면 적 중형들에게 약점 사격만 당하다가 녹아내리기도 쉬운 전차다. 즉 중형전차에 가까운 중전차라는 특성상, 제대로 굴리지 못하면 게임 시작 1분만에 산화하기 십상인 중형들과 마찬가지로 저점은 반대로 중전차치고 많이 낮은 전차이기도 하다. 이처럼 성능이 극단적인 전차다 보니 적정 수준의 생존력을 갖춘 표준적인 중전차를 선호하는 유저들에게는 확실히 비선호되는 전차이며, 중형전차를 좋아하는 유저들도 진짜배기 중형전차보단 떨어지는 유동성으로 인해 비선호하기도 한다. 다만 반대로 혼자서도 열세인 게임을 이길 확률을 만들 정도의 실력을 갖춰 전차의 성능 고점을 중시하는 실력 최상위권 유저들에게는 주포 핸들링이 플레이스타일 대비 영 좋지 못하다는 점과 느린 후진 문제만 빼면 부족한 건 없는 전차다 보니 주포 핸들링을 매우 중시하는 유저만 아니라면 고평가하는 편이다. 이러한 특성상 통상적인 유저들 사이에서는 '고수용 전차'라는 인식이 깔려 있고, 실제로도 그렇다.

기본적으로 중형 라인을 타는 것을 전제로 운용되는 중전차다. 여러 번 서술했다시피 T95E6은 서로의 약점을 노릴 수 있다는 가정하에 그 어느 중형도 1대1로는 이길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지속 화력과 탈 중형급 생존력을 지녔지만, 중전차 상대시에는 낮은 알파뎀과 체력으로 인해 중전 라인의 기본인 단발 교환전에서 매우 불리하다. 고로 되도록 게임 시작과 동시에 기동성을 활용해 중형들을 빠르게 따라가 아군 중형들과 함께 중형 라인을 빠르게 처리한 후 아군 중전차를 도우러 가는 헤듐 표준 플레이스타일을 준수하는 게 좋다.

상술했다시피 T95E6의 분산도 성능은 포지션 대비 좋지 못하다. 특히 기동/선회 시 추가 분산도가 중전차 기준으론 낮아도 통상적인 교전 대상인 중형들보단 많이 높은 관계로 중거리 사격전에선 오히려 중형들에게 명중률 차이로 압도당할 가능성이 높은데, 고로 중형 상대시에는 중형들 상대로 확실한 프리딜이 가능한 근접전을 거는 게 나으며, 반대로 중전차 상대로는 통상적인 중전차보단 조준 성능이 확실히 좋아 중거리 이상에서 교전 시 우위가 있다는 것을 감안해 중거리 이상에서 언덕 같은 엄폐물을 끼고 빼꼼샷을 하는 게 좋다.

아무리 장갑 성능이 중전차치고 좋지 못하다고 해도 일단 헐다운을 하면 장갑 성능 자체는 어느 정도 올라가고, 특히 차체 상부가 "경/중형 은탄도 프리패스"급에서 철갑탄 계열 절대도탄 수준까지 강화되는 만큼, 헐다운을 최대한 활용하는 게 좋다. 어차피 하단이 심각할 정도로 약해 저관통 점착유탄(110mm대) 관통도 우려해야 할 정도인 만큼 하단은 반드시 가려야 하는 전차이고, 역티타임도 은탄 프리패스인 차체 상부 때문에 못하니 되도록이면 헐다운으로 관통 가능 면적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 이래봤자 방호력은 여전히 실망스러운 수준이겠지만, 어쨌든 피탄 면적 자체는 포탑/차체 상부로 한정되고 은탄 관통 가능 부위는 포탑 정측면/전차장 큐폴라 수직 장갑부로 한정되어 조준도 안 한 중전차 은탄에 손쉽게 관통당하는 일은 적어진다. 피탄 면적을 줄이기 위해 헐다운을 하는 중형전차들과 같은 이유로 헐다운을 하는 셈.

본인이 후진은 일반 중전차급이다 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진짜배기 중형들보다 후진이 확연히 느린 만큼, 중형들이 후진 후 빤스런 직진 기동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상황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므로, 피격 회피 시에도 진짜 중형들보다 먼저, 그리고 교전 라인을 바꿀 때에도 마찬가지로 진짜 중형들보다 먼저 기동해야만 진짜 중형들처럼 불리한 상황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 8.1 패치에서 가뜩이나 약한 포탑에서도 심각한 약점 중 하나였던 혹(...) 부위가 피격 판정을 받지 않도록 변경되었다. 이오처럼 기관총 포탑이나 제거해주지
  • 9.1 패치로 상술한대로 DPM이 Chieftain Mk. 6급, 전진 최고 속력이 50km/h로 버프된 대신 포탑 전측면의 장갑이 152mm에서 127mm로 너프되었다. 해당 버프 후에는 장갑이 약하긴 하지만 중형전차에 가까운 기동성을 지녔으면서 알파뎀과 체력은 여전히 중전차급이다 보니 매우 강력한 헤듐으로 평가받는다. 중전차치곤 장갑이 약해 어느 유저나 굴릴 수 있는 전차는 아니지만, 강력한 주포와 높은 기동성 덕에 주포와 기동성을 모두 중시하고 떨어지는 장갑 성능도 어느 정도 커버할 수 있는 고수들의 손에선 중형 라인을 씹어먹고 중전 라인까지 순식간에 지원 사격을 하는 괴랄한 전차가 된다. 특히 저 높은 화력 덕에 대회 환경에서 자주 채택되는 71식[55]이나 크란방[56] 등의 카운터로 작용할 수도 있는 건 덤. 이러한 성능 덕에 9.1 패치로 버프된 후에는 대회 환경에서 71식을 따라 공세에 나서는 주력 딜러 등의 포지션에 조커픽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10.3 업데이트로 은탄 관통력이 8mm, 골탄 관통력이 10mm, 험지 선회력이 초당 3도 가량 감소한 대신 도로 궤도 성능이 개선되어, 추중비가 결국 도로에서 21을 넘기게 되었으며, 연사력이 상승해 DPM이 3 314를 찍게 되었다. 가속력이 진짜배기 중형전차 수준이 된 만큼 기동성이 전보다도 높아졌고, DPM은 중형 중하위권까지 올라가 중형 라인 교전에서 유리해진 대신, 관통력은 반대로 내려가 중전 라인 교전에선 더더욱 불리해졌다. 기존엔 "헤듐"에서 "헤"(중전차) 측면에 가까운 헤듐이었다면, 이 패치로 "듐"(중형전차) 측면에 가까운 헤듐으로 바뀐 셈. 중형전차에 더 가까워진 만큼 고점도 올라갔지만, 그만큼 저점도 내려가 난이도는 더 올라갔으며, 일단 고점이 올라간 만큼 숙련자들 사이에선 10티어 상위권~최대 최상위권 전차로 꼽히는 반면 평범한 유저들에게는 기존보다도 더 운용하기 어려운 전차가 되어, 호불호가 더 갈리게 되었다.
  • 이후 10티어 대규모 밸런스 패치에서 해치가 248mm로 버프되어 더이상 약점부가 아니게 되었고, 추중비가 최대 3 가까이 깎인 대신 선회력도 초당 5도 가까이 버프되면서 오히려 더 매끄러운 기동이 가능해졌다. 이 패치 후에는 같은 패치로 괴물이 된 크란방과 Vz. 55와 마찬가지로 10티어 최상급 중전차로 꼽히며, 생존성과 기동성을 제약하던 큰 약점들이 삭제되면서 기본 체급도 대폭 상승했다. 유저들 평은 '이미 충분히 강력하고 고점도 높은 전차에게 무지성 버프를 해버려서 미친 놈이 되었다' 정도.
  • 11.4 업데이트에서 HD화 되어 전설위장과 함께 PBR 텍스처가 적용되었다. 이 패치로 해치가 더 단단해졌는데, 기존 E6의 해치 모델링은 전면이 수직에 가까워 유효 방호력이 표기된 수치만큼만 나왔지만, PBR 후 E6의 해치는 PC판을 기반으로 모델링되어 전면에 상당한 경사가 있는지라, 기본적으로 철갑탄 280mm/성작탄 310mm급은 되어야 그럭저럭 공략할 수 있을 정도로 튼튼해졌다. 즉 명목상으로는 약점이지만 실제로는 경~중전차급이라면 골탄을 들어야 뚫을 수 있다(...) 고로 정석적인 공략은 그냥 포탑 볼을 때리는 게 되었는데, 알다시피 E6의 볼은 그 구조상 탄이 이상하게 튀면 그대로 비관통/도탄되는 부위 사이에 있는지라 중거리 이상에선 중전차급 명중률로는 노리기 쉬운 부위도 아니다. PBR로 실질적인 방호력까지 대폭 버프된 셈.

기타
중전차보단 중형전차스러운 방호력에서도 이미 짐작할 수 있었겠지만, 본 전차는 PC에선 아예 중형전차이고, 현실에서도 중형전차였다. PC 버전에 비해 블리츠 버전은 기동성이 대폭 칼질당한 대신 체력은 상승했다.

현실에서는 존재 자체로 T110 프로젝트를 지속할 이유를 없앤 전차다. 기존에 중형전차에는 120mm 주포를 달 수 없었기에 강력한 원거리 화력 지원을 목적으로 만든 120mm 중전차가 M103 전차이고, T34와 T43의 연장선격이라 시작부터 구식이던 M103을 대체하고 돌격 전차로 운용하기 위해 설계되던 120mm 중전차가 T110 중전차들(게임 내 T110E3/E5로 지칭된 T110 5/6번째 설계안)인데, T95E6을 기점으로 40톤급 중형전차에도 120mm 주포를 달 수 있다는 판단이 서면서 화력은 동일한데 더 굼뜨고 자원도 많이 들어가는 T110 중전차를 개발할 필요가 사라졌기 때문. 물론 본 전차의 후속기들과 본 전차 프로젝트 자체도 M48A2보다 나을 게 없다는 것을 이유로 취소되었고 T95E7의 포탑만이 남아 M60A1의 포탑으로 채용되었다. 현실에선 미국 10티어 중전차/구축전차들을 존재만으로도 엿먹인(...) 전차인 셈.

전설 위장 "Piranha"(피라냐)가 있다. 가격은 2 550 골드.

호불호가 갈리는 성능과는 별개로 9.1 버전 이전까진 성적은 10티어 전차들 기준 표준급으로 나왔다. 사실상 가장 표준에 가까운 승률을 보여주는 전차. 다만 반대로 생각하면 수집가 전차임에도 불구하고 성능이 전혀 압도적이지 않다는 것이라 본인이 성능을 추구한다면 다른 수집가 전차들을 노리는 게 나았다.

4.11. Concept 1B - 10티어


파일:CS1B.pn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Concept 1B 250 / 110 / 50 ㎜ 250.0 m 23.99 도/초 2 350 9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PLT-27 675.0 마력 20 % 9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XHM-1500-2 30.25 도/초 83 / 77 / 42 % 9 단계 최종, 비상 궤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분당 화력
110 mm EXP-7 258 / 310 / 53 mm 380 / 330 / 500 APCR / HEAT / HE 10 단계
40 발 0.336 m 3.9 초 8.63 초 / 2 642 DP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가격
(골드)
140 / 80 / 60 ㎜ +45 / -16 ㎞/h 43.60 톤 360 / -10 / +20 도 한정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까지 신규 주력 전투 전차 개발 프로그램 하에 다양한 전차 설계가 진행되었다. 이 중 Concept 1B는 낮은 포탑과 탄도가 뛰어난 수동 장전식 110mm 강선포로 무장했다. 금속을 사용한 시제 전차는 제작되지 않았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2021년 12월 연말 이벤트 보상전차. 이전처럼 골드나 자유경험치를 소모하여 일정 확률로 스노우볼을 얻고, 그 스노우볼에서 일정 확률로 얻거나 부적 10개를 모아서 얻을 수 있다. 전반적으로 작년 보상전차인 AMX M4 mle. 54에 비하여 OP성이 매우 짙게 나왔다.

이름 때문에 컨셉 일베(...)라는 별명이 있다. 일베 컨셉질

설명만 그럴싸하고 실제로는 계획도 존재조차 하지 않은 워게이밍 특유의 창작 전차 대다수와 달리, 실제로 계획까진 존재한 전차다. M60 전차에 밀려 채택되지 않은 MBT 디자인 중 하나가 게임 내 Concept 1B의 정체. 좀 뜬금없는, 주포의 110mm라는 구경 또한 고증의 일부.

공격
주포가 부품들 중 유일하게 10티어이나, Concept 1B의 스탯 중 그나마 양심 및 하자가 있는 부분이라는 점이 아이러니하다. 사격 성능 자체는 하자가 전혀 없는 대신 다른 문제 때문에 특정 전차들 상대시 힘을 발휘하기 다소 힘든 편이다.

110mm 구경 주포를 사용하며, 구경이 낮음에도 120mm와 동급 피해를 입히던 컴탱과 달리 블리츠에서는 알파뎀이 120mm 평균인 400보다 떨어지는 380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DPM은 너프 전 이오, T95E6, 슈퍼 컨커러 등 120mm 헤비들과 동일한 DPM인 2 850(장전기, 군용품 풀장착 기준)이 나왔었고, 10.3 패치 시점에는 이 DPM마저 버프를 받아 3 009로 E6나 Strv K 처럼 연사력으로 저지력을 창조하는 수준은 아니어도 충분한 저지력을 발휘할 수 있고, 주 교전 대상인 중형전차나 헤듐들의 알파뎀은 300~400대 사이인 만큼 평상시엔 알파뎀이 크게 부족한 건 아니다. 11.0 패치로 장전기의 성능이 너프된 후 3000대 DPM이 2 945로 하락하긴 했지만, 이는 모든 전차가 적용받은 관계로 상대적 DPM 우위는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단지 보정 포탄 쪽 경쟁력이 많이 상승했을 뿐.

보통 알파뎀이 낮을수록 DPM이 높고 알파뎀이 높을수록 DPM이 낮다는 것을 감안하면 알파뎀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DPM이 특별할 정도로 높진 않다. 다만 실전에선 최대 3 009인 DPM은 어쨌든 중전차 상위권이라 거슬리진 않는다. 보정 포탄을 껴도 2 798로 120mm 중전차 표준보다 조금 낮은 정도로 심각하게 낮진 않아 본인이 후술할 골탄 문제가 심히 거슬린다면 이쪽을 택하는 게 나을 수도 있다.

조준 성능은 FV215b처럼 주포에 올인된 중전차 바로 다음 수준으로, 같은 국가의 10티어 헤듐인 T95E6과 달리 매우 준수하다. 기본 조준 속도는 조준기+수직 안정기+승무원 113% 기준 크게 빠른 건 아닌 1.79초까지 내려가나, 최대 조준 속도는 11.0 기준 2.9초로 중전차 기준으로도 아주 짧아 개량 주포를 골라도 문제가 전혀 없을 정도다. 기본 분산도도 0.317[57]로 꽤 쓸만한데 11.0 패치로 버프된 개량 주포를 채용하면 아예 0.269를 찍어 장거리 저격이 가능할 정도다. 그 외에도 기본적으로 포탑 회전 시 분산도가 독일 초중전차들마냥 매우 낮아서 최대한 내리면 0.075로 에임이 거의 벌어지지 않는 수준이 된다.

문제는 중전차답지 않은 관통력. 은탄은 표기상 관통력이 258mm이나 고속철갑탄 특유의 낮은 경사보정 때문에 실제 관통력은 철갑탄 245mm대, 즉 중형전차 수준의 은탄 관통력을 지녔다. 더 큰 문제는 310 관통력의 성형작약탄으로, 이도 마찬가지로 경전차나 중형전차 수준이다. 딱히 알파뎀이 골탄치고 높은 것도 아니면서 중전차 성작탄들의 평균 관통력인 330~340에도 한참 못 미치는, 매우 저질인 성능을 지닌 포탄이다. 은탄은 9.1 버전 기준 IS-7의 하단도 각이 좀만 크게 들어가면 비관통이 뜨고, 골탄은 E 100의 포탑마저도 매우 낮은 확률으로나 관통이 가능할 정도로 저관통으로, 대다수 각 안 준 중전차의 상판은 커녕 헐다운 중형전차들의 볼을 뚫기도 힘들다. 물론 후술할 장점들과 높은 명중률, 그리고 11.0 패치로 보정 포탄이 버프된 후엔 보정 포탄 채용 시 성작탄 관통력이 350mm로 충분한 수준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이 단점은 11.0 버전 전에도 크게 부각되지 않았고, 11.0으로 보정 포탄이 버프되고 개량 장갑까지 너프되어 10티어 전차들의 실질적인 장갑이 너프된 후에는 더욱 그렇다.

방어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장갑 성능은 10점 만점에 포탑 11점, 차체 5점 정도라고 보면 된다. 그만큼 장갑 성능이 포탑에 심히 몰빵된 중전차다.

9.0 버전까진 차체 상판은 각을 주지 않아도 대다수 은탄에 대해서는 면역이었으나, 9.1 버전부터는 차체 상판은 각 없인 중전차 은탄도 못 막는다. 당연하지만 골탄을 들기 시작하면 그 관통력 낮다는 중형전차 골탄에도 뚫린다. 차체 정면은 언덕을 이용해 각을 주거나 아예 숨기지 않으면 손쉽게 공략당하므로 평지 싸움은 최대한 삼가는 게 좋다.

측면의 경우, 120mm라는 어이없는 두께 덕에 평지에서도 역티타임으로 승부를 볼 수 있던 본가와 달리 측면 장갑 두께가 90mm로 너프먹어서 적극적인 역티타임을 하기는 힘들다. 이 90mm 방호력이 나오는 부위는 차체 후면 쪽 측면의 직각 장갑 부위와 궤도로 가려진 측하단 장갑으로, 이쪽 부위는 관통력이 높은 고폭탄 계열한테도 충분히 공략당할 수 있다. 그러나 차체 정면 쪽 측면 상단 장갑은 두께가 150mm에 각이 매우 가파르기 때문에 실 방호력이 400+mm이고, 차체 후면 쪽 측면 상단 장갑도 절대도탄각인 70mm 장갑이라 철갑탄 계열로 공략할 때 낭패를 보는 경우도 간혹 있다. 물론 이럴 땐 그냥 차체 측하단을 때리면 되므로 큰 문제는 아니다.

이 전차의 방어력의 진가는 표기상 9티어(...) 부품인 포탑에서 나타나는데, 크란방의 포탑도 관통하는 고관통 구축전차들의 보정 포탄 골탄도 Concept 1B의 포탑 정면은 못 뚫는다. 비록 형상 때문에 반드시 적을 정확하게 바라봐야만 최대 방호력이 나오긴 하지만, 일단 적을 향해 포탑만 내놓으면 정말 무식하게 단단한 포방패+아주 약간 노출된 장갑 부분만 보이게 된다. 약점 부위라 불릴 수 있는 해치나 특정 취약 부분들이 매우 작은 건 물론이고, 아예 -10도 부각을 최대한 활용하면 해치마저도 그냥 가려진다. 마우스 조작하는 본가에서도 맞추기 힘든 해치는 Concept 1B가 얕은 언덕에서 헐다운을 하더라도 조준선 보정 킨 그릴레 15 급의 명중률은 들고 와야 노려볼 만하다. 즉 포탑 전면은 사실상 무적이라고 보면 된다.


기동
Concept 1B가 주포/차체 장갑 하자에도 불구하고 고평가받는 이유. 분명히 9티어 엔진에 기본 출력이 700 마력도 못 찍지만, 중량이 40톤대로 가볍기 때문에 추중비가 통상적인 기동형 중전차급으로 높아[58] 승무원 113%/고급 연료 주유 시 도로 기준으론 15는 넘어주고, 중전차치곤 높은 +45km/-16km라는 속도 제한 덕에 미국 전차의 고질병인 낮은 최고 속도 문제도 없다.

심지어 프랑스 중전차나 IS-7처럼 직진만 빠른 것도 아니고 선회도 중전차 기준 빠른 편이다. 최대한 끌어올리면 초당 40도도 넘어가는 도로 위 선회력과 돌대가리 전차치곤 빠른 초당 27.94도라는 선회력 덕분에 적 경/중형전차 한 대 정도에겐 뺑뺑이 당할 일은 없다고 봐도 되고, 궤도 성능이 구리다곤 하지만 일단 도로와 험지에서의 지형 적응성이 큰 차이가 나지 않아 험지와 도로 양쪽 모두에서 기동성이 비슷하게 잡힌다는 건 은근 큰 장점.[59]

이처럼 기동성이 중전차 평균보다 높다 보니 주요 헐다운 라인을 선점해서 적 입장에선 도저히 답이 없는 포탑 방어력을 발휘하거나 블리츠에서 성행하는 중형라인 몰빵을 능숙하게 해낼 수 있다. 또한 차체 방호력이 아쉽다는 단점을 높은 기동성으로 차체의 피격 시간 자체를 줄이는 것으로 커버할 수 있으며, Concept 1B의 주포로는 관통을 노리기 어렵지만 우회가 가능한 수준으로 느린 적 전차 상대로는 아예 우회 기동을 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여러모로 높은 기동성 덕을 톡톡히 보는 전차.

10.3 업데이트로 후진이 -18km/h에서 -16km/h로 깎인 대신 비상 궤도 매커니즘을 얻었다. 비상 궤도 자체도 후진 -7km로 버프되어 언덕이나 골목 코너 등에서는 충분히 쓸만한 수준이 되었고, 후진 -18km/h와 -16km/h 차이는 그리 크지 않고, 어차피 주로 활용하게 될 언덕 지형에선 기존과 마찬가지로 -20km 이상의 후진 속력이 나오므로 전반적인 성능은 버프된 셈.

게임플레이
주포가 관통력 하나는 아쉽지만 그 점을 덮을 정도로 나머지 부분에서 평균 이상의 성능을 발휘해 다른 연말 이벤트 전차들과 비교해봐도 전혀 꿇리지 않는 전차다. 그 아쉽다는 주포도 주포가 적군 취급을 받을 정도로 처참한 10.3 버전 이전 숙칠처럼 못 써먹을 성능이 아니라 관통력에서 아쉬운 정도일 뿐이고, 나머지 성능은 중전차 주포 기준으로도 상위권이다 보니 크게 부각되는 약점이 거의 없는 전차다. 포탑이 매우 튼튼한 헤듐이라는 특성상 방호력과 기동성을 살려 중형/중전차 라인 모두에서 활약할 여지가 있는, 주력전차스러운 성능의 중전차라고 할 수 있다.

출시 당시에는 오랜만에 등장한 P2W 전차로 평가받을 정도로 고평가받았다. 양심있게 출시한 2021년 할로윈 전차가 얼마 안 팔렸나 보다 온갖 전차들이 버프로 대폭 강화된 9.1 버전에서는 큰 너프나 버프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패치 하나 안 받은 71식 중전차와 함께 10티어 중전차 중 최강으로 꼽히고, 10티어 전체 기준으로도 최상위권 승률을 보이며 여전히 몇몇 유저들에겐 사기라는 평가를 받는다. 다른 건 몰라도 그놈의 사실상 무적인 헐다운 상태 때문이라도 10티어 최상위권 전차를 오랫동안 유지했었다.[60]

다만 이 사기성은 사용하는 유저가 헐다운과 기동성을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을 때로 한정된다. Concept 1B는 차체 장갑이 다소 약한 만큼 헐다운을 제대로 써먹지 못하는 유저가 잡으면 여타 차체 약한 중전차들처럼 게임 초반부터 차고행을 타기 쉽다. 마침 체력도 2 350/2 491로 중전차 중 하위권이다 보니 이 약한 차체가 더 부각되기도 한다. 본인이 이런 헐다운에 능숙하지 않다면 마찬가지로 사기 전차로 꼽히고 차체가 튼튼한 71식이나 어지간한 중전차보다도 장갑이 튼튼한 오비옉트 268/4 같은 전차들이 사용하기는 훨씬 편할 것이다.

Concept 1B와 기타 헐다운 중전차들의 최대 차이점이자 Concept 1B 운용 시 가장 중요한 스탯은 바로 기동성이다. 10티어에는 Super Conqueror/Kranvagn/T110E5/60TP/Vz. 55 등 다양한 헐다운 특화 중전차들이 있고, 이들 모두 Concept 1B의 정면 무적 포탑은 아닐지라도 그에 근접하는 포탑 방호력을 갖췄으며, 몇몇은 최고 속력도 Concept 1B만큼은 아닐지라도 그럭저럭 높지만, Concept 1B처럼 최고 속력/추중비/선회력 모두 높은 헐다운 특화 중전차는 없다. 덕분에 Concept 1B는 타 헐다운 중전차보다 빠르게 1선에 도착해 먼저 일방적인 사격을 할 수 있고, 맵 및 팀 구성에 따라 중형 라인을 따라가 높은 DPM과 체력 및 튼튼한 포탑으로 중형 라인을 초토화할 수도 있으며, 기동성 덕에 라인이나 헐다운 스팟을 빠르게 옮겨 다닐 수 있어, 일단 헐다운을 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헐다운 특화 중전차들 중 가장 높은 능동성 및 후반 캐리력을 갖췄다. 다만 그만큼 기동성이 중요한 중전차다 보니 통상적인 헐다운 중전차보단 헤듐 및 헐다운 중형전차 운용에 능숙한 유저에게 더 적합한 전차이기도 하다.

Concept 1B를 상대하는 입장이라면, 자신이 샷빨에 자신이 있더라도 헐다운 중인 Concept 1B를 보면 상대하지 말고 다른 공격로를 찾자. Concept 1B가 차체를 제대로 가리고 헐다운하면 고폭탄 이외의 방식으로 피해를 주는 건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어려우니 상대하느라 시간을 낭비하기보단 우회해 측후면을 노리거나 헐다운 포지션에서 벗어나게 하는 게 훨씬 좋은 대처 방법이다.
  • 관통력이 불편할 수 있는 전차로, 중전 라인에서 흔히 보이는 E 100의 각 안 둔 포탑 정면도 쉬이 못 뚫는다는 것은 생각보다 크게 다가오니 본인의 조준 실력이 좋거나 딜각을 잘 잡는 게 아니면 보정 포탄이 더 무난할 수 있다. 장전기를 들고 268/4 같은 떡장이라도 만나면 골탄을 들어도 전면이 해치를 빼면 전부 새빨갛게 보일 것이다. 물론 그 댓가로 DPM이 10티어 중전차 평균인 2 700 중후반대인 2 798이 되는 만큼, 보정 포탄을 채용하면 중형 라인에서의 파괴력이 하락하는 걸 감안해야 한다. 본인 실력이 평범하거나 중전 라인 교전을 더 중시한다면 보정 포탄 쪽이 운용하기 쉽고, 관통이 더 쉬운 만큼 저점도 더 높겠지만, Concept 1B는 저런 떡장 중전/구축전차들까진 우회 기동할 수 있는 기동성을 지닌 관계로 고점은 조준 및 게임 운영 실력이 된다는 가정하에 장전기 쪽이 더 높다. 고로 본인이 저점과 운용 상 안정성을 중시한다면 보정 포탄을, 중형 라인 교전과 고점을 중시한다면 장전기를 채용하는 게 좋다. 운용도 장비에 따라 보정 포탄 쪽을 채용했다면 통상적인 서구권 헐다운 중전차에 가깝게, 장전기 쪽을 채용했다면 무적 포탑 정면과 준수한 기동성 및 화력을 활용해 아군 중형 라인 교전을 보조한 후 중전 라인 우회 기습 시 탱커로 나서는 헤듐에 가깝게 운용하는 것이 좋다. 11.0 버전 이전에는 고수들 사이에서 중형 라인 교전에서의 이점과 고점 향상을 중시한 관계로 장전기 쪽의 우선도가 더 높았지만, 11.0으로 장전기 성능이 눈에 띄게 너프되고 보정 포탄은 반대로 체감될 정도로 버프되면서 보정 포탄 채용률이 올랐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 10.3 업데이트로 후진 최고속력이 -18km/h에서 -16km/h로 너프되고 탄속도 초당 1 478/1 173/1 173m에서 초당 980/1 120/940m로 너프된 대신, 비상 궤도 매커니즘을 얻고 DPM이 최대 2 943에서 3 009로 버프되었다. 탄속 너프는 어차피 중거리 정도 교전이 최대인 Concept 1B 기준 큰 너프는 아니고, 후진도 큰 변화가 없는 데다가 DPM 버프와 비상 궤도 추가는 충분히 체감이 가는 관계로 전반적으로는 버프된 셈. 특히 이런 저 알파뎀 중전차치곤 보정 포탄을 끼는 일이 많아 DPM이 부족하게 느껴질 일이 더 많던 Concept 1B 입장에선 DPM이 유의미한 폭으로 버프되었다는 것이 꽤나 크게 다가온다.


기타
전설 위장 Thunderbird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토템을 연상케 하는 디자인이다.

2021년 크리스마스 이후로 한 동안 일부 상자에서 뽑을 수 있는 것을 빼면 출시되지 않고 있다가, 2022년 7월에 천장이 있는 상자 상품이 출시되었다.

10티어 전차치곤 상당히 독특하게도 주포를 제외한 모든 부품이 9티어다. 다소 골때리는 건 정신나간 방호력의 포탑마저 겨우(?) 9티어 부품이라는 것. 애초에 이 전차는 원래 PC에선 9티어다 보니 부품 티어들이 10티어치곤 이상하리만치 낮은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이녀석을 9티어로 보내버리면 뭐...

특유의 무적 헐다운 능력이 매우 강력하긴 하지만, 주포의 관통력 하자가 은근히 큰 문제인 데다가 차체가 취약하다 보니 일반 공방에서는 사기라고 욕하는 유저들이 많은 반면 9.7 버전 이전 대회 환경에서는 오히려 채택율이 떨어지는 전차다. 대회 환경에선 무식한 장갑과 장갑 대비 높은 기동성으로 공세를 이끌면서 아군 주력 딜러 중전차들을 보호해줄 수 있는 71식이 자주 채용되는데, Concept 1B는 은탄이 고철탄에 골탄도 관통력 낮은 성작탄이라 71식의 전면 장갑 자체를 노리기 힘들다 보니 주포 성능의 장점인 DPM/사격 성능을 활용하기 어렵다. 대회 환경의 주력 전차인 71식을 상대하기 힘들다는 약점이 크게 부각되는 셈.

사실 대회 환경에선 헐다운 탱킹 능력도 문제인데, 구축전차들이 잘 채택되지 않는 대회 환경에선 같은 중전차들의 골탄을 안정적으로 막는 정도만 되어도 헐다운 탱커로 활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침 Concept 1B만큼은 아니더라도 무식하게 단단한 포탑 전면과 더 높은 체력, 그리고 이탈리아식 클립까지 지닌 전차로 크란방이 존재한다. 물론 크란방보다 Concept 1B 쪽 기동성이 훨씬 높긴 하지만, 71식의 전면 장갑도 큰 문제 없이 공략 가능해 71식들의 공세를 어느 정도 저지하는 게 가능이라도 한 크란방과 달리 71식의 공세를 도저히 저지할 수 없는 Concept 1B는 대회 환경에선 크란방보다 채택 가치가 떨어진다. 심지어 그 크란방마저도 DPM 하자와 기동성 하자 때문에 채택 가치에 의문을 표하는 유저들이 있다는 걸 감안하면, 71식을 이기기도 힘들고 크란방보다 헐다운 탱커로써의 가치가 높다고 하기도 힘든 Concept 1B는 대회 환경에 썩 잘 맞지 않는 전차라고 할 수 있다. [61]

5. 구축전차

5.1. T18 - 2티어

파일:external/7042959009e96257eb20c5eb22f8f8e58973d3ba57a8908745b69cbfcc399564.jp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Guiberson T-1020-4 245마력 12% 331kg 3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T18E1 15.00톤 30도/초 1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37mm AT Gun M3 56/78/9mm 40/40/50 철갑탄/고속철갑탄/고폭탄 2단계
110발 0.40m 1.5초 18.71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출고 중량 좌우 포각 가격
(크레딧)
51/32/25mm 48km/h 13.21톤 10도 2850
M3 경전차 차체에 75 mm 곡사포를 장착하자는 제안에 따라 1941년 가을에 Firestone Tire and Rubber 사에서 개발하였다. 기획이 승인된 후 시제 전차 두 대를 주문했으며 1942년 5월에 첫 번째 시제 전차가 제작되어 그해 6월에 애버딘 병기시험장에서 시험 운행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더욱 유망한 기획안이 등장하면서 취소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T18은 저티어 너프 이전에는 2탑방을 쓸고 다녔다. 전투실은 50mm로 티타임 줄 시 3티어 포탄도 튕겨낼수 있고, 고폭탄을 주 탄종으로 사용하는 75mm 단포신 주포는 맞으면 매우 아팠다. 기동력도 나쁘지 않아 저티어 대표 OP 전차였는데, 고폭탄 평관을 20mm로 너프시키면서 관통시킬수 있는 전차가 극히 한정되어버렸다. 만날수 있는 모든 전차를 뚫어버리는데다가 낮은 공격력에 비해 높은 연사력을 자랑하는 최종포를 끼는 것이 낫다.
한때 T7 car 가 풀렸을 때 타면 리얼 도탄송을 들을수 있었다

추천 장비

장점
  • 튼튼한 장갑

    • 2탑방에서 51mm라는 장갑은 관통력 좋은 치하, 테트라크, 2호 전차, 구축전차같은 경우가 아니면 정말 뚫기 힘들다. 특히 각을 주면 테트라크나 구축전차 이외에는 그 어떤 2단계 전차도 T18의 전면을 뚫을 수 없다. 하지만 툭 튀어나온 전면 하단은 어느 포에도 뚫리니 조심해야 한다. 특히 숙련자가 운용하는 일본 2티어 57mm 장착형 Ha-Go나 Chi-Ni를 조심해야 하는데, 이들의 57mm는 2티어에서 강력한 데미지 90을 자랑한다. 물론 곡사포라 관통력과 명중률이 떨어지지만, 주로 위 두 전차는 주로 숙련자가 몰기에 잘만 맞춘다. 이들이 엄폐물을 끼고 공격한다면, T18을 골탄을 쓰지 않고 간단하게 그냥 보내버리는 경우가 많다.
  • 2단계다운 기동성

    • 직진하다보면 시속 50km라는 속도를 보게 된다. 이 녀석의 장갑을 생각해보면 이해가 가지 않는다.

단점
  • 느린 선회

    • 선회가 속도에 비해서 많이 느려서 뺑뺑이 면역이 없다. 사실 선회까지 빠르면 그야말로 답이없는 전차다. 속도가 빠르다고 선회가 빠른게 아니므로 항상 유의해야 한다.
  • 현재 105미리 주포가 삭제된 상태고 고관통 저티어 전차가 흔해서 힘을 못 쓰는 전차이다 이 전차를 복구 하려면 50 골드가 필요한데 50골드가 아까울 정도이므로 복구하지는 말자

패치 사항

기타
원래 자주포인 만큼 PC버전에서는 패치를 거쳐서 티어도 3티어가 되었고 병과가 곡사 자주포로 바뀌었지만, 자주포 병과가 아예 없는 블리츠에서는 2티어 구축전차로 유지되었다.

독일 정찰전차 트리의 2호 G형은 무려 기관포로 이 녀석의 전면을 뚫어버린다. 물론 5티어까지도 괜찮게 쓰는 주포이기 때문에 3티어에선 장탄수, 명중률이 괴악한 편.

5.2. T82 - 3티어

파일:external/cf25168221a9a30ab610617fa5aac9b519ac57af35d986c7eeb7ffde76c15d18.jpg
파일:external/wiki.gcdn.co/AnnoT82.png 1943년 12월 개발이 시작되어 1944년 8월 시험 운행을 거쳤으나 양산되거나 제식 채용되지는 못했다.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좌우 포각 내구도 주포 올림/내림각 주포 회전 속도 비고
없음 7/0/0mm 240m -12~12도 400 27/5도 44도/초 개방형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75mm Continental R-975-C1 320마력 20% 500kg 4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T82T55E2 15.8톤 32도/초 2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Howitzer M1A1 20/92mm 200/135 고폭탄/성형작약탄 4단계
45발 0.47m 4.83초 5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후진 속도 출고 중량 좌우 포각 가격
(크레딧)
13/7/13mm 48/15km/h 12.8톤 360도 비매품
M5A1 차체를 기반으로 설계된 정글전 전용 자주포이다. 개방형 차체에 105 mm 경곡사포를 장착하였다. 1943년 11월 개발이 시작되어 1944년 8월에 시제 전차 두 대를 애버딘 병기시험장에서 시험 운행하였다. 1945년 6월 21일, 필요성을 느끼지 않아 양산되지는 않았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T82는 미국 3단계 구축전차로 M5 스튜어트 차체를 이용하여 HMC, 즉 자주포로 개조한 전차이다. 105 ㎜ 경야포가 차체에 비해 너무 큰 관계로 75 ㎜ 견인포(pack howitzer)를 무개 선회 포탑에 장착한 모델이 M8 HMC로 제식 채택 되어 1 700대 가량 생산 되었다.

막강 화력을 자랑하는 멸적의 105 ㎜를 3단계에서 장착할 수 있다. 고폭탄을 주 탄종으로 쓰는데, 3단계는 고폭탄 관통시 한방에 찢겨나가고, 4단계 전차도 105 ㎜ 고폭 찜질은 많이 아팠다.

공격
강력한 105 ㎜ 곡사포는 T82의 존재이유다. 당장 4단계 에서 OP소리 듣는 Hetzer 와 맞먹는 10,5 ㎝를 달고다닌다. 3단계 방에는 장갑이 얇은 경전차가 많기때문에 적이 쉽게 고폭탄에 걸레짝이 되거나, 즉사한다. 동단계는 일단 고폭탄을 관통시키기만 하면 죽는다. 4단계 떡장을 자랑하는 마틸다에게 유의미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거의 유일한 3단계이다. 105 ㎜의 골탄을마틸다 측면에 발사하면, 측면에 탄약고가 위치해 있기 때문에 유폭이 매우매우 잘된다.

골탄 관통시 200 HP를 웃도는 피해를 입힐 수 있다. 고폭탄을 쏴도 궤도에 씹히거나 하지 않는 이상 대미지가 100 밑으로 떨어지는 일이 거의 없으니 참고하자. 105 ㎜에게 관통당하면 동단계는 사실상 죽거나 빈사상태가 된다. 관통력이 110 ㎜에 달해 헤처 전면 하단을 뚫을 수 있다! 일단 3단계 이하는 약점이나 측후면을 내주면 끝이라고 보면 된다.

대구경 주포가 대부분 그렇듯이 조준원이 크고 재장전 시간이 길다. 인내심을 갖고 완전히 조준 후에 쏘도록 하자. 역시 초보자들이 운용하기 어려워 하는 이유중 하나이다.


방어
개방형 전투실에 장갑은 종이 재질인 양 매우 얇다. 초보자들이 운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 중 하나가 장갑 문제이다. 클립식인 기관포나 대구경 고폭탄을 맞으면 사망 확정이니 눈치 빠르게 빼자. 신기한게 다른 대부분의 전차는 피해 판정이 없는 외부 탑재 기관총인 M2 브라우닝에 피탄 되면 대미지가 들어간다. 은폐 해도 위로 삐쭉 솟아있어 저격시 약점이 되니 조심 하자.

기동
포탑이 없는 만큼 위장이 좋아 피탐 될 위험이 적다. 다만 대구경 탄인 만큼 쏘게 되면 전구가 뜰 가능성이 크다. 수풀을 이용한 은폐에 위장막 까지 쓰면 3단 방에서 105 ㎜ 선빵을 때려 적을 한 명 줄이고 시작할 수 있다.

T18 이후로 타는 T82지만 전혀 답답함을 느낄수가 없을 정도로 주행이 쾌적하다. 다만 미국답게 선회가 2% 부족하다. 이는 스킬이나 연료로 해결하면 된다. 3단계지만 미리 익힌다는 느낌으로 장애물을 근처에 두고 뺑뺑이 차단 전법을 익혀두자.

게임플레이
탄속이 311 m/s로 아음속이다! 심지어 HEAT탄은 고작 249 m/s에 불과하다. 곡사포라 움직이는 적을 대상으로 장거리 저격을 하면 거의 빗나간다. 발사시 보면 곡사포 답게 탄이 정말 크게 휘어서 날아간다. 멈춰 있는 적을 쏠 때는 명중률이 높으니, 장거리에서 적을 쏠 때는 멈춰 있는 적 또는 이제 막 움직이기 시작한 적을 쏘면 좋다. 괜히 BT-7 같은 고속전차에 장거리 리드샷 치려고 하다간 조준원도 깨지고 위장도 깨질 가능성이 있다.

하향을 받아 재장전 시간이 16초가 넘어간다. 3단계에서 105 ㎜를 쓰는 반작용이겠지만, 한 발 빗나갈 때마다 뼈아픈 딜로스가 있다. 명목 DPM은 1 474에 달하건만, 실질 DPM은 그보다 한 참 낮다.

상대 입장에서는 딸피인 T82를 처리하려고 뭣도 모르고 돌격하는 순간 한번에 훅 가는 경우가 있으니 조심하도록 하자. 고폭탄 관통력이 너프먹긴 했지만, 105 ㎜라는 무식한 구경 때문에 방사 피해도 맞으면 아프다. 그래서 일부 2단계 전차의 경우 고폭탄이 운 좋게 관통되지 않았더라도 방사 피해 만으로 차고로 가는 경우가 있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초기 사양포가 엄청나게 너프된 75 ㎜ 단포신이다. 힘들게 저격 해봤자 대미지도 얼마 안 들어간다. 그냥 자경 4 900으로 105 ㎜를 연구 후 장착해준 후 적들을 유린하면 된다. 또한 스톡에선 기동성도 많이 빠르지 않다. 3단계라 경험치가 많이 드는 것도 아니니 그냥 자경을 쓰면 된다. 굳이 평범한 주포를 원하면 그보다 저렴한 3 000 경험치 짜리 57 ㎜ Gun M1을 쓰면 된다. 75 DPS 밖에 안 되지만 관통력이 180 ㎜나 되는 고속철갑탄을 사용 가능하다.

제초꾼이 골탄을 절반 정도 챙기고 장비, 군용품, 승무원 만전이면 16초 초반대 장전속도로 적군의 뼈와 살을 분리해버린다. 왠지 계속해서 킬 리포트를 띄우는 아군이나 적 T82를 보면 적극 협조 하거나 조심 하자.

전 티어와 마찬가지로 원래 M5 스튜어트의 포탑을 제거하고 105 ㎜ 경야포를 올린 만큼 본가 PC판에서는 4티어 자주포로 변경되었지만 자주포 범주 자체가 없는 블리츠 에서는 3티어 구축전차로 남았다. 그리고 수집가 전차로 변경되며 기본 무장이 스톡 포이던 75mm 단포신으로 바뀌면서 고증도 버리고 105mm 포와 모든 것을 잃었다. 걍 골드 바꿔먹기용 쓰레기.

5.3. T40 - 4티어

파일:external/e76fe1ca364e90c9a04a01d525622d5b385211719b254a541261185689046130.jpg
파일:external/wiki.gcdn.co/AnnoT40.pn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주포 올림/내림각 내구도 주포 회전 속도 통신 범위 비고
없음 19/0/0mm 250m 30/10도 390 44도/초 500m 개방형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Chrysler A57 440마력 20% 570kg 5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T40T48 24톤 32도/초 4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76mm AT Gun M1A1 128/177/20mm 135/120/180 철갑탄/고속철갑탄/고폭탄 6단계
68발 0.41m 3.83초 6.45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후진 속도 출고 중량 좌우 포각 가격
(크레딧)
51/38/38mm 38/14km/h 21.8톤 -28.5~28.5도 비매품
M3 전차의 차체를 이용해 1942년 봄에 개발된 실험적인 구축전차로 양산되거나 제식 채용되지는 않았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공격
M4의 최종포인 76mm나 전 티어의 105mm, 57mm를 주로 쓸수 있다. 최종포인 76mm는 연사력이 낮지만 고작 5티어까지 만나는 주제에 평균 관통력이 M4A3E2, M4A3E8 최종포와 동일한 128이고 평균 공격력도 160으로 매우 높다. 105mm는 여전히 4탑방의 사신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전 티어의 그것보다 연사력이 조금 올라갔고 그외의 스펙은 같으므로 너프된 105mm의 관통력으론 5티어에게 강한 한방을 먹이기 힘들다. 57mm는 5티어 포지만 평균 공격력 90에 연사력이 2배 이상이므로 순수 DPM만 따진다면 76mm보다 좋다. 평관이 110으로 약간 낮지만 5탑에서도 대부분의 전차를 충분히 뚫을수 있는 수치이다. 라인 방어로 승률을 유지하고 싶다면 76mm, 한방에 모든걸 걸고 쾌감을 느끼고 싶다면 배고밀, 평딜을 올리려면 57mm를 추천하나 개인 취향대로.

방어
전 티어와 마찬가지로 개방형이지만, 포 주변을 제외한 전면장갑 양 끝의 장갑이 의외로 상당하다. 한때 85mm이하의 고폭탄들이 관통 너프를 먹기 전 포 주변이 고폭탄으로도 뚫릴정도로 물렁했으나 105mm의 성능을 희생시킨 후 이제 옛말이 되었고 상당히 강력해졌다. 4티어 주포는 손쉽게 도탄시키는 정도. 특히 나삼팔의 주포를 전면한정 방호 가능한건 큰 장점.

기동

게임플레이
포각도 매우 넓은 편이라 사격시 제약이 매우 적은 편이며 선회력도 준수하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5.4. T67 - 5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mm m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마력 % kg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mm // // 단계
m 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출고 중량 좌우 포각 가격
(크레딧)
//mm km/h 360도
1942년 봄에 개발이 시작되었다. 시험 운행 후 57 mm 주포를 75 mm 주포로 대체하였다. 시제 전차 두 대가 생산되었지만, 제식 채용되거나 양산되지는 않았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본래 정규 5티어 구축이었으나 수집가 탱으로 바뀐 친구이다. 원래 T49였으나 패치를 거치며 T67로 개명되었다.

공격
주포의 경우, 76mm M1A1을 사용한다. 동티어 중형전차 M4 셔먼과 동일한 주포지만, 포분산이 셔먼(0.43)에 비해 좋다(0.41). 연사력은 분당 9.92발로, 빠른 속사로 딜을 뽑아내기 최적화되었으며 관통력 또한 흠잡을 곳이 없다. 부각 역시 미국 특유의 -10도 부각으로, 지형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는다. 뛰어난 기동, 위장과 함께 부각을 이용한 짤짤이를 애용하면 된다. 다만 T67은 정규 5티어 전차로, 6탑방까지 안정적으로 적들을 관통하려면 고속철갑탄(APCR)을 넉넉하게 챙겨두자.

방어
얇다. 포탑(21/19/13), 차체(21.8/19/13)으로 말이 필요없다. 최대한 피탄당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 스팟당하면 피탄 시 거의 관통당한다. 장갑이 기가 막히게 얇아서 고폭탄에 취약하며 모듈 데미지 컨트롤에 있어서 불리하게 작용하니 자신이 적한테 스팟당했는지. 적의 포신이 어디로 향했는지, 적이 재장전 중인지 꼼꼼하게 확인할 것. 이 운용방식은 다음 티어인 M18 헬캣에도 이어지며, 장갑이 얇은 기동형 저격전차(Leopard 1 등)과도 유사하니 운용방식을 T67로 배워보자.

기동
야지에서는 최고속도까지 내기는 힘들지만 50km/h대는 금방금방 밟아주므로 전장을 누빌 수 있다. 위급한 상황에서는 사지를 벗어나는데에도 큰 도움이 되므로 미니맵을 보며 빠르게 상황 판단을 하자. 최종 엔진은 다음 6티어 구축전차인 M18 헬캣의 최종 엔진과 호환된다.

게임플레이
뛰어난 기동력을 이용해 유리한 고지를 선점한 뒤, 위장률과 주포의 뛰어난 속사능력으로 화력을 최대한으로 투사하는 것이다.

추천 장비

장점
  • 빠른 직진 속도와 높은 추중비
  • 작은 차체와 전고 높이로 뛰어난 위장률
  • 76mm M1A1의 속사 : 분당 9.92발
  • 우수한 부각 : -10도

단점
  • 매우 얇은 장갑
  • 초당 18...이라는 처참한 포탑 선회속도
  • 매우 낮은 내구도

패치 사항
  • 3.7 업데이트에서 명칭을 T49에서 T67로 변경하였다. 경전차 트리의 T49를 내보내기 위한 조치이다.
  • 4.4 업데이트에서 최고 속도와 엔진 마력 및 차체 선회 속도가 대폭 낮아졌다. 즉 그냥 뒤지라는 소리

기타
연구 단계에서는 전티어의 M8A1 자주포형 스튜어트에서 3인치 대전차포를 연구해오므로, 포탑과 76mm M1A1을 연구해주면 된다. 76mm M1A1은 6티어 구축전차 M36 잭슨의 스톡포로, 이지에잇에서 잭슨을 선행 연구하면 T67의 최종포가 열리게 된다. 미국 중형트리와 병행해서 올리는 방법도 부품 호환성에 있어서 이점으로 작용하니 참고.

수집가 전차로 전환되고 오래 지나서 2024년 1월 19일에 시작한 커뮤니티 임무 이벤트의 최종 보상으로 출시되었다. 130,000HP의 누적 피해량을 기록하여 임무를 완료하면 획득한다.

5.5. Enforcer - 6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 ㎜ m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마력 %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도/초 / / %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단계
포탄 적재량 100 m 분산도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화력
// ㎜ // // 단계
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가격
(골드)
// ㎜ ㎞/h 360//도
승무원 구성 :

개요
2022년 9월 배틀 패스 보상 전차. M36 잭슨을 기반으로 한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전설위장 'Vandal'(반달)이 있다. 전설 위장 적용시 기본 전차 이름의 뒤에 전설 위장 이름이 붙는 대다수의 다른 전차들과 달리, Chi-Nu Kai처럼 전투 중 표기되는 차량의 이름이 완전히 달라진다. 전설 위장 착용 이후 전투 중에 표기되는 이름은 Vandal로, 경찰차가 테마였던 전설 위장 적용 이전의 모습과 달리 각종 그래피티로 도배되는 등의 여러 반달리즘이 행해진 모습이다.경찰의 것을 범죄자들이 긴빠이쳤거나 노획했을듯

5.6. T28 HTC - 7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T28 Concept 203/101/50 mm 240 m 18.77 도/초 1200 7 단계 [62]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Wright G200 M781C9GC5 960 마력 20 % 569 kg 10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T28 Concept 73 톤 26.27 도/초 7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105 mm Gun T5 181/224/53 mm 310/260/400 AP/APCR/HE 7 단계
60 발 0.35 m 4.2 초 6.26 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좌우 포각/올림각/내림각 가격
(골드)
203/101/50 mm 29 km/h 70 톤 60/ +15/ -4.4 도 구매 불가
파일:t28-concept-1.jpg파일:t28-concept-2.jpg
1943년 9월 개발이 시작된 중돌파전차이다. 전기 기계식 변속장치, 100mm T5 주포를 장갑 두께 203mm의 회전 반경이 제한된 포탑에 장착하고 M6 전차 부품을 활용할 계획이었다. 미 육군은 이 전차를 독일이 서부 방벽이라 칭했던 지크프리트 방어선에서 사용하려고 했지만, 설계 단계에서 기획안을 백지화했다. 이 전차는 이후 T95 중돌파전차로 개조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2017년 7월 3일 오전 9시부터 시작된 블리츠 트레져 이벤트로 풀리기 시작한 전차.

본래 프리미엄 전차였으나 11.0 업데이트에서 수집가 전차로 전환되었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고정포탑 구축전차인데도 좌우 포각 30도라는 엄청난 수치를 자랑하며, 10티어 엔진[63]을 달고 있어 70톤인데도 30km/h의 최고속력을 낼 수 있어 T28보다 훨씬 빠르며 엔진이 좋아서 추중비도 기본 14 정도에 연료 넣고 엔진 장비까지 달면 16까지 치솟는지라 장갑형 구축전차임에도 답답하지 않다. 또한 장갑까지 그를 상회하여 1.5선까지 나서도 상관없는 수준에 무게도 무거워[64] VK.168나 김병오 등 독일이나 소련제 초중전차를 제외하면 충각에 면역이라 멋도 모르는 중형전차(예를 들면 7탑의 괴물 드라큘라 등)가 들이받아도 자기 체력만 날아간다. 다만 정면에서부터 뻔히 드러나는 약점이 있는데, 바로 주포 옆 양쪽의 기관포탑. 상대가 조준 모드로 보면 붉은색이라 보통 잘 모르지만 잘 보이고 맞으면 뚫린다! 주포 포각을 이용해 각을 주더라도 최대한 바위나 건물 등을 끼고 운용하는 게 좋다. 건물을 이용하여 적당히 티타임을 주면 30도 티타임이 가능해 양쪽 기관총탑을 다 가릴 수 있으니 시도해보자. 좌우포각이 +30도로 좋아 여차하면 티타임을 걸어서 죄다 시뻘건 모습을 보여줄 수 있어 티타임 난이도도 줄어든다. 또한 엄청난 선회각을 얻은 대신 부각이 좋지 않아 굴곡진 곳이거나 언덕 등에서보다는 시가지에서 유리하다. 105mm 골탄은 블랙 프린스 포탄보단 관통력이 떨어지지만, 철갑탄 관통력이 181mm로 좋아 무지성 돌격하는 적을 저지할 정도는 되며, 장전기+숙련도 113%면 장전 속도도 제법 빨라져 쌍팔야티나 포르쉐 티거 뺀 나머지에게 DPM 싸움도 걸어볼 만하다.

큰 약점 2개가 있지만 생각보다 적들이 잘 알아차리지 못한다.

중장갑으로 유명한 포르쉐 티거와 AT 시리즈와 맞먹는 203mm 정면장갑을 덕지덕지 발랐는지라 6탑방인 경우 학살을 할 수 있고, 상대 라인에 고관통 전차만 없으면 도탄송을 들을 때도 많고 적을 우물쭈물하게 만드는 일도 많다. 확실히 이동속도는 느리지만 960마력 엔진을 쓰기 때문에 평지에서 3~40km 정도로 달릴 수 있어 아주 답답할 정도는 아니니 굼벵이 T28처럼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여담이지만 스펙 상에서 포탑이 존재한다. 전면 포탑 장갑이 0이라 표시되어 있지만 실제로 그렇진 않다. 후면 포탑 장갑 수치 역시 마찬가지.
패치로 이건 삭제된 듯하다.

전설 위장이 'MURICA스러워 이쁜 전차이니 콜랙터는 기회가 된다면 구매하는 것도 나쁘진 않을 것이다.

5.7. Super Hellcat - 7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Super Hellcat 75 / 40 / 40 mm 240 m 20.66 도/초 1100 7 단계 360도 회전포탑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Wright Continetal R-974-C4 (858) 460 마력 20 % kg 7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Super Hellcat - 톤 35.46 도/초 7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분당 발사 속도
90mm AT Gun M3T 182 / 243 / 50 mm 225 / 190 / 270 AP / APCR / HE 7 단계
40 발 0.345 m 3.9 초 10.79 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좌우 포각/올림각/내림각 가격
(골드)
25 / 25 / 25 mm 65 / 20 km/h 20.48 톤 360 / + 17 / - 9 도
유럽에서의 전투를 통해 76mm 표준 주포는 현대식 독일 중형전차와 중전차를 상대로 중거리 및 원거리 사격 시 비효율적이라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에 따라 M18 차체에 M36 구축전차의 포탑을 탑재하고 강력한 90mm 주포를 장착한 개량형 전차 개발이 시작되었다. 시제 전차가 1대 제작되어 에버딘 병기 시험장에서 시험 운행을 거쳤으나 전쟁이 종결되어 개발이 중단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헬켓의 강화버젼인 슈퍼 헬켓. 전체적인 성능이 상향된 헬켓으로 생각하면 된다.

2022.2.6 ~ 2.14 동안 진행하는 M60 자물쇠 상자 이벤트로 처음 출시되었다. 상자를 열면 일정 확률로 지급하는 슈퍼헬켓 증서를 100장 모아서 획득할수 있다.

본래 프리미엄 전차였으나 11.0 업데이트에서 수집가 전차로 전환되었다.

공격
6티어 헬켓의 최종포인 90mm주포의 개량형 버젼인 90mm AT Gun M3T를 사용한다.

관통력은 7티어 구축전차의 평균치와 엇비슷한 수치이다. 철갑탄 관통력 182mm는 평균적이라고 볼수 있는데, 고속철갑탄은 9~10티어 중형전차의

은탄급 관통력인 243mm로, 골탄을 사용하과면 8티어 중전차들도 큰 무리 없이 유효타를 먹여줄수 있다.

피해량의 경우에는 구경이 구경이다 보니, 한방 한방이 강력하진 않으나 짧은 장전시간으로 꾸준하게 피해를 누적시킬수 있다는게 장점이다. 이 때문에 슈퍼헬켓은 느리지만 한발 한발을 적에게 꽂아서 적을 제거하는 일반적인 구축전차보다는, DPM으로 적을 녹인다는 느낌으로 플레이하면 좋다.

다만 휴행탄수가 최대 40발로 넉넉하지 않기 때문에, 탄 분배와 사격에 신경써야한다.

방어
테크트리의 일반 헬켓보다 나아진건 그닥 없다. 차체 장갑량이 13mm에서 25mm로 늘어났지만, 여전히 99.9%의 포탄이 프리패스이며, 고폭탄 정면 관통도 여전히 가능하기 때문에 절대로 까불대면 안된다. 특히나 7티어부터 슬슬 중전차와 구축전차들의 주포 구경이 커지기 때문에, 고폭탄이 아니어도 철갑탄 한발 한발조차도 살인적인 수치라 항상 사려야만한다.잘못 걸리면 나비탕 직행이다

기동
고양이는 잽싸다 원본보다 살짝 높아진 엔진 출력, 증가한 최대 후진속도로 여전히 경구축전차로서의 입지는 굳건하다. 다만 물에서의 유효 기동성이 절반으로 줄어버리기에 지형을 좀 타는 편이다. 누가 고양이 아니랄까봐 물 진짜 싫어한다.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원본인 헬켓의 정예상태와 스펙이 큰 차이가 없는데, 이는 고증과 달라서 그렇다.

원래 헬켓은 76mm주포를 사용했는데, 이를 잭슨이 사용하던 90mm 주포를 탑재하고, 이를 위해 포탑을 전용포탑으로 만들고 머즐 브레이크를 단 결과가 슈퍼 헬켓인데, 헬켓에서 포탑업 하고 최종포를 달면 별다른 개수 없이 슈퍼헬켓이 된다 (...)

여담으로 실제 슈퍼 헬켓과의 외형은 Super Hellcat보다 최종연구가 된 테크트리의 hellcat이 더 닮았다. 특히 포탑 비율은 테크트리 헬캣이 좀 더 비슷하다는 말도 있다.

슈퍼 헬켓과 헬켓이 디자인이 상당히 다른데, 이는 테크트리의 헬켓 모델링은 과거에 워게이밍이 임의로 만든 다소 오래된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슈퍼 헬켓의 경우 모델링이 제작된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질감과 디테일이 더 뛰어난 외형을 가지고 있다. HD화 된 것은 덤. 정규 트리의 헬켓도 이후 11.1 패치에서 HD화 되면서 포탑 일부분을 빼면 슈퍼 헬캣과 거의 유사한 모델링으로 바뀌었다.

보유하는 유저수가 많지 않아선지 맛타컷이 낮다. 2800딜 정도에 2킬정도만 해도 딸수있을정도.

2022년 11월의 럭셔리 라운지(일명 대부호) 이벤트에서 부라스크와 함께 상자 보상으로 출시되었다.

5.8. TS-60 - 8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 ㎜ m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마력 %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도/초 / / %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단계
포탄 적재량 100 m 분산도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화력
// ㎜ // // 단계
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가격
(골드)
// ㎜ ㎞/h 360//도
1950년대 초반, 미군은 잠재력이 뛰어난 장갑 전차 개발을 시작했다. 구축전차 개발은 1946에 중단되었지만, 50년대에 개발되던 전차 중에 대전차용 표준형 돌격 자주포처럼 보이는 전차가 있었다. TS-60도 그중 하나였다. 해당 전차는 설계가 독특했다. 엔진실이 차체 중앙에 위치하였으며 포탑은 뒤쪽에 배치되었다. 1950년대 후반에는 미사일 개발이 주를 이루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전차 개발은 중단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후방포탑형 구축전차. 2023년 7월 7일에 출시되었다.

본래 프리미엄 전차였으나 11.1 업데이트에서 수집가 전차로 전환되었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PC월탱에서는 9티어로 출시되었지만, 블리츠에서는 8티어로 내려왔다. 출시 자체는 블리츠가 10~11달 앞선다.

전설위장 '위엄'이 존재한다. 전설위장 적용시 전투 중 표기되는 전차 이름이 TS-60 Dignity로 변경된다.

5.9. XM66F - 10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XM66F 248 / 170 / 150 ㎜ 250.0 m 20.86 도/초 1 900 10 단계 최종, 제한 선회 포탑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LVDS 1100 2 700.0 마력 20 % 10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XM66F 31.29 도/초 104 / 74 / 52 % 10 단계 최종, 비상 궤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단계
포탄 적재량 100 m 분산도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화력
120 mm T123E6M2 270 / 340 / 65 ㎜ 410 / 350 / 470 APCR / HEAT / HE 10 단계
70 발 0.345 m 5.0 초 7.67 초 / 3 207 DP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가격
(골드)
150 / 90 / 40 ㎜ +40 / -20 ㎞/h 52.90 톤 +-45 / -10 / +20 도 한정
1950년대 후반에 주포로 로켓 발사기를 탑재한 전차 설계안 중 하나로서 개발된 전차 기획이다. 모든 승무원을 포탑에 배치하여 방호력을 극대화하고 정면 피격 면적을 줄인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추가 개발 없이 전차 기획이 중단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2023년 12월 연말 이벤트 보상전차. 이전 이벤트들과 마찬가지로 골드나 자유경험치를 소모하여 일정 확률로 스노우볼을 얻고, 그 스노우볼에서 일정 확률로 얻거나 부적 10개를 모아서 얻을 수 있다.

이탈리아 구축전차들과 비슷하게 제한 선회형 포탑을 단 구축전차로, 워게이밍의 창작 전차이나 M60A2의 기반이 된 XM66 설계안에서 이름 및 외형 모티브를 따온 것이 특징이다. 차체를 보면 M60의 차체에서 엔진룸 및 포탑링이 대형화된 변형 차체를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포탑 또한 M60A2의 포탑을 대형화 및 형상변환한 것이다. 추가로 포탑 내 모든 승무원이 탑승하는데, 이는 XM66 계획 자체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MBT-70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1960년대에 디트로이트 전차 설계국에서 디자인한 여러 설계안들 중 하나가 가장 직접적인 디자인 모티브로 보인다. 이 사이트의 5번째 이미지 참고.

공격
10티어 구축 전체 4위의 DPM을 갖춘 대신, 구축치고 낮은 알파뎀/관통력 및 느린 조준/반대로 준수한 주포 핸들링을 지닌 주포를 지녔다.

일단 DPM은 최대 3 574로 10티어 구축 중엔 Object 263/FV217 Badger/Grille 15만이 넘는 수치고, 9티어 구축과 10티어 중형까지 포함해도 SU-122-54/Jagdtiger/Tortoise/Leopard 1/Object 140만이 XM66F를 DPM으로 압도한다. 이렇게 나열해 보이면 많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10탑방에서 만날 수 있는 전차 105종 중 단 8종만이 XM66F를 DPM으로 압도할 수 있는 것이니 XM66F의 DPM은 말할 필요도 없이 10티어 최상위권이며, 이 DPM 덕에 어지간한 전차들 상대로는 맞딜 난타전만 해도 이길 수 있을 정도다. 여기에 후술할 타 스펙들도 준수하다 보니 체감상 화력은 저 8종 전차들과 비슷하거나 더 위협적으로 느껴지는 수준.

알파뎀은 연사력 높은 구축답게 상당히 낮은 410/350/470으로, 특히 고폭탄은 120mm 기준으로도 알파뎀만큼은 수준 미달이다. 다만 이 알파뎀을 최대 6.88초마다 한 발씩 쏴대다 보니 어지간한 중형들을 DPM/알파뎀 양 측면 모두에서, 중전차들을 DPM으로 털어버릴 수 있으며, 구축전차도 상술한 전차들 정도만 빼면 연사력 차이로 교전을 유리하게 끌어갈 수 있다.

관통력은 후술할 플레이스타일을 감안하면 부족하진 않은, 그러나 구축전차 기준으로는 절대적으로 낮다고 할 수 있는 고철은탄 270mm/성작골탄 340mm/고폭탄 65mm다. 탄종 셋 모두 그럭저럭 관통력이 절대적으로 낮진 않지만, 고철은탄의 실 관통력은 철갑탄 255mm 정도에 가깝다 보니 구축치곤 확실히 낮은 편이다. 11.3 업데이트 전엔 은탄이 철갑탄이었기에 구축임을 감안해도 부족한 관통력은 아니었고, 장전기가 너프되기 전이라 명목상 DPM을 최대화하는 장전기가 선호되었는데, 11.3 업데이트로 기본 연사력이 더 올라간 대신 은탄이 고철탄으로 변경되면서 관통력이 유의미하게 감소해, 버프 후 장전기의 아성을 위협할 만큼 강해진 보정 포탄 쪽을 선택하는 경우도 많아졌다.[65] 탄속은 철갑탄/성작탄/고폭탄 기준 각각 초당 1 000/1 100/900m로 느리지 않고, 성작골탄이 성작탄답지 않게 탄속이 빨라 과급기는 사용할 이유가 없다시피 하다. 보정 포탄을 고르면 구축전차치고 부족한 관통력이 384mm를 관통하는 성작골탄 덕에 완벽하게 메꿔진다. 그 외에도 고폭탄 관통력이 통상적인 120mm보단 130mm에 가까워 경장갑 전차 상대로 써먹기 좋다.

조준 성능은 복잡하다. 기본 분산도는 0.326으로 10티어 구축 중상위권이나, 기본/예상 조준 시간은 승무원 113%+조준기+수직 안정기 기준 10티어 120mm 구경 주포치고 느린 2.14~3.9초다. 그러나 실전에서는 저렇게까지 오래 조준할 필요가 없는데, 기동/선회/포탑 회전 시 추가 분산도가 수직 안정기 동원 시 구축, 아니 중전차 기준으로도 낮은 0.117/0.125/0.057이라 조준을 덜 조여도 중근거리 사격은 어지간해선 잘만 맞기 때문. 71식과 비슷하게 조준 자체는 조금 느려도 분산도 성능이 좋아 기동 후 사격까지의 텀이 짧은 전차이며, 중근거리 교전을 하게 되는 XM66F 특성상 느린 조준이라는 단점보단 좋은 조준원 성능이라는 장점이 더 크게 체감된다.

부각은 미국다운 -10도에 양각도 +20도로 부족함이 전혀 없다. 비슷하게 고DPM+떡장+장갑 구축치고 빠른 기동성이라는 특성을 지닌 오비옉트 263과의 최대 차별점. 전고가 낮은 본 전차 특성상 저 부각이 지형 활용 시 큰 도움이 되며, 차체 하단까지만 가려도 방호력이 확 올라가는 본 전차의 방호력을 더욱 쉽게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요소이기도 하다. 포탑 선회 각도도 +-45도로 T110E4의 +-90도보단 아쉽지만 능동적인 플레이에 있어 심각할 정도로 걸리적거리진 않는다. 360도 회전이 되는 포탑을 단 전차들도 몇몇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면 +-45도 이상으로 차체를 돌리지 않는 걸 고려하면 저 선회 각도는 큰 문제도 아니다.

방어
서구권 120mm 중전차스러운 방호 성능을 지녔지만, 의외로 포탑 정면이 무적은 아닌 관계로 어느 정도 피탄 회피 플레이가 요구된다.

차체 정면은 당연히 100mm 하단이 통상적인 9~10티어 은탄에 프리패스이나, 상단은 150mm 경사장갑인 관계로 유효 방호력이 평지에서도 철갑탄/고철탄/성작탄 기준 각각 268-292-310mm 선으로 잡힌다. 부각을 최대한 활용하면 아예 철갑탄 계열 절대도탄/성작탄 430mm 초과라는 방호력이 나오는 관계로 차체 하단을 가리고 헐다운하면 차체 정면은 걱정할 필요가 없으며, 평지에서도 하단을 가리고 약간의 각을 주면 구축 은탄 이상의 관통력은 무리더라도 중전차 은탄까지는 확정적으로 방호할 수 있다.

차체 측면은 차체 정면부터 엔진룸 직전까지가 90mm, 엔진룸 부근이 80mm로 절대도탄각을 유지하는 선에서 역티타임이 가능하다. 타 미국 구축은 역티타임 자체를 생각할 수도 없는 것과 달리, 본 전차는 필요 시 제한적이나마 역티타임이 가능하다 보니 장갑 활용에 있어 타 미국 구축보다 상당히 능동적인 편이다. 차체 후면은 미국 전차답게 면적 넓은 40mm 수직장갑이라 모든 9~10티어급 고폭탄에 공략당하니 후면 노출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대망의 포탑은 예상 외로 약점이 꽤 있다. 미국 전차 공통의 약점...이어야 하는 해치가 정 반대로 면적이 얇고 튼튼해 해치 약점사격은 잘 당하지 않긴 하지만, 그 대신 유효 방호력이 270~300mm 선인 포방패, 헐다운 시 유효 방호력이 성작탄 330mm 미만으로 하락하는 포방패 옆 포탑 볼 부위, 그리고 포수 관측창 부근 248mm 수직장갑부라는 약점부들을 지녔다.

우선 대다수의 블리츠 전차들과 달리 포방패가 실질적인 최대 약점이다. 철갑탄 계열은 270mm 이상의 관통력을 확보하면 큰 문제 없이 포방패 면적 상당 부분을 관통할 수 있고, 포방패 뒤 장갑이 없어 성작탄 계열도 보이는 것과 달리 유효 관통력이 290mm 정도만 되어도 높은 확률로 포방패 관통이 가능하다. 포방패 면적 자체도 그리 좁진 않은 건 덤. 다만 이 관통력은 모두 구축전차 은탄/중형전차 골탄급이므로, 실전에선 상대가 구축전차급만 아니라면 은탄에 포방패 전면이 뚫릴 일은 드물고, 포방패 바로 위/옆은 중전차 골탄에도 잘 안 뚫리는 70mm 급경사부/248mm 주장갑부라, 상대가 조준할 시간을 최대한 뺏기만 해줘도 쉽게 공략당하지는 않는다.

포수 관측창과 포탑 볼은 포방패보단 공략이 까다롭다. 포수 관측창은 유효 방호력 자체야 포방패보다 떨어지나, 그 면적은 더 작고, 바로 옆이 구축전차급 골탄도 쉬이 못 뚫는 반구형 전측면부라 상대 XM66F가 대놓고 정지해있는 게 아닌 이상 쉽게 노리긴 힘들다.

약점부를 제외한 포탑 전면의 나머지 부위들은 몇몇 부위만 빼면 구축전차 골탄도 노리기 힘든 방호력이 나온다. 260mm 포탑링/248mm 포탑링 바로 위 장갑부와 평지에서 유효 방호력이 철갑탄 절대도탄/성작탄 345mm 정도가 나오는 70mm 이마부 정도나 제대로 공략해볼 만한 부위이며, 나머지 부위들은 언터처블이라고 봐도 된다. 약점이 되는 부위들은 확실한 방호력 한계가 있지만 그 한계선이 그리 낮진 않고, 주장갑부는 구멍이 있기야 하지만 매우 튼튼한 포탑 장갑을 갖춘 셈. 다만 그만큼 약점부가 꽤 있는 전차인 만큼, 한 자리에 눌러앉아 헐다운을 하기보단 후술할 기동 성능을 이용해 지속적으로 무빙을 치거나 헐다운 자리를 옮겨다니며 적을 괴롭히는 플레이가 요구된다.

체력은 1 900/1 976으로 장갑형 구축치곤 낮은 편이나, 심각할 정도로 부족하진 않다. 단지 120mm 중전차보단 평균 4~500 이상 낮다는 게 걸리적거릴 뿐.

기동
장갑형 구축치고 빠르다. XM66F가 120mm 중전차처럼 운용될 수 있는 최대 원동력이자, XM66F 운용의 실질적인 핵심.

최고 속력이 무려 +40/-20km로, 중전차 기준으로도 높고 장갑형 구축 기준으로는 오비옉트 268 4와 함께 최고봉이다. 특히 후진이 -20km로 중형전차 수준이라 언덕에서 직후진을 반복하며 무빙을 치면 상대 입장에선 포방패던 포수 관측창이던 노리기 힘들다. 포탑 장갑에 약간의 하자가 있는 XM66F가 헐다운을 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이 후진 속도 덕에 중형전차와 비슷하게 헐다운 상태에서 직후진을 반복하면서 적이 약점을 노리기 힘들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빠른 후진과 더불어 궤도가 파괴되어도 최소 -8km 후진 속력을 보장해주는 비상 궤도까지 있기에, 장갑형 구축답지 않게 적 전차의 측면 기습 같은 비상 상황에서 쉽게 빠져나올 수 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이라면, 최고 속력이 반쯤 뻥카드인 오비옉트 268 4와 달리, 도로 한정 이 최고 속력을 실제로, 그리고 빠르게 찍는다. XM66F는 도로 한정 추중비가 15.3까지 뽑히는데, 덕분에 도로 지형을 전술 기동에 제대로 활용하면 기동형 중전차들과도 발을 맞춰 최전선에 도달하거나, 조금 늦긴 해도 중형 라인 싸움에 가담하는 것도 가능할 정도다.

다만 그와 별개로 궤도 성능 자체는 구려 험지에선 추중비가 10.9로 추락한다. 그래도 어지간한 장갑형 구축들의 9~10대 추중비보단 높고, 선회력도 도로에선 아예 초당 40.8도 선으로 장갑형 구축치고 굉장히 빠르고, 험지에서도 초당 30도에 근접하는 수준까진 나와 심각할 정도로 굼뜬 전차는 아니다. 포탑 선회도 초당 24도 선으로 느리지 않은데 좌우 회전 각도도 고정포탑 구축들보다 확실히 넓고, 무엇보다도 후진이 빨라 상대하는 중형 입장에선 보이는 것과 달리 구축치곤 뺑뺑이 돌리기 까다로운 전차다.

게임플레이
120mm 헐다운 중전차와 T110E4를 섞은 전차 정도로 묘사 가능한, 1~1.5선 교전 특화 장갑형 구축전차. 120mm 헐다운 중전차의 부각과 알파뎀 및 슈퍼 컨커러의 건 핸들링, T110E4의 제한 선회 포탑 및 중전차보단 높은 관통력과 DPM 등, 여러모로 T110E4를 120mm 중전차처럼 개조한 듯한 전차다. T110E4가 제대로 운영되면 중전차 분쇄기로 악명높은 고성능 전차인 것처럼, 본 전차도 낮은 알파뎀 등으로 인해 T110E4보다 난이도는 높아도 잘 굴릴 수 있다면 중전차 입장에선 혼자서 상대하기 굉장히 곤란한 고성능 중전차 분쇄기이며, 도로 한정 기동형 중전차에 근접하는 기동성이 나오기에 이를 이용해 중형 라인 강습도 가능하다. T110E4는 갖추지 못한 기동성, 특히 높은 후진 최고 속력도 지녔으면서 화력은 여전히 뛰어나 1~1.5선에서 게임을 직접 캐리하는 능력은 구축전차 중에서도 상위권이다. 2022년 크리스마스 시즌에 출시되어 10.3 너프 직전까지 토너먼트 메타를 휘어잡던 Strv K나 2021년 크리스마스에 나온, 무적 헐다운으로 악명높던 Concept 1B에 비하면 약점이 좀 더 확실하고, 체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구축전차라는 특성상 토너먼트 환경에서 활용되기엔 한계가 있지만, 높은 화력과 튼튼한 장갑에 기동성까지 겸비한 유사 중전차 구축전차라는 특성상 일반 공방에서는 이들만큼, 또는 그 이상으로 강력한 모습을 보인다.

"낮은 알파뎀을 높은 연사력으로 메꾸는 컨셉의 장갑형 구축"인 263이나 뱃져, 그리고 113G FT나 버프 후 포슈처럼 기동성 좋고 장갑 준수한 장갑형 구축들과 비교해도, "높은 부각+회전 가능한 포탑"이라는 명백한 장점에, 이들과 비슷한 수준의 떡장과 포슈/263 수준은 아니어도 장갑 대비 나름 수준급인 기동성, 그리고 높은 DPM까지 겹쳐, 장갑형 구축 중 최고의 유연성을 보여주는 전차다. 이들 모두가 너프 전 또는 버프 후 기준 모두 고평가받는 전차들임을 감안하면, 이들 이상으로 범용성이 높은 XM66F는 말할 필요도 없이 준수한 구축전차다. 그나마 최후의 양심이라면 "장갑 대비 빠르면서 튼튼한 고화력 구축전차" 중에선 알파뎀과 관통력이 제일 낮다는 것과, 궤도의 지형 적응성에 하자가 있다는 것 정도로, 그 외엔 운용 상 심각하게 다가오는 단점이 없는 편이다. 능동성이 떨어지는 특성상 타 병과보다 승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잡히는 구축전차임에도, 어지간한 사기급 중형/중전차들 수준의 승률이 나오는 것도 이와 같은 능동성 및 균형잡힌 성능 덕분.[66]

상술했다시피 XM66F의 포탑은 튼튼하지만 절대 무적이 아니며, 고로 헐다운 시에도 직후진 무빙과 대구경 구축 포탄 피탄 회피 시도 등은 기본이다. 포탑 장갑에 구멍이 있는 전차들이 다 그러다시피 그 구멍들만 빼면 방호력이 확 높아지는 장갑이기도 하고, 후진도 빠르다 보니 직후진 무빙을 현란하게 쳐주면 중거리 이상에서 공격하는 상대방은 XM66F 포탑을 쉬이 공략하지 못한다. 주포 조준 성능부터 이런 식으로 기동하다가 조준을 덜 조여도 원하는 쪽으로 탄이 갈 수 있게 기동 분산이 낮은 편이니 이게 정석적인 운용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20km 후진을 이용한 헐다운 직후진 무빙이 어지간한 헐다운 중형전차 수준으로 악랄한지라 헐다운하면 체감상 탱킹력은 그 뱃져에게도 크게 밀리지 않는 수준이며, XM66F의 고평가에 일조한다.

XM66F의 주포는 정조준이 느리고 오래 걸리나, 정조준을 하지 않고 사격하는 능력은 구축 기준 최상위권에 중전차 기준으로도 상위권이다. 주포 스탯부터 지속적인 무빙으로 상대방이 약점부를 노리기 힘들게 할 것을 전제로 한 셈. 다만 정조준이 조금 오래 걸리고, 분산도도 장거리 저격은 힘든 0.326인 데다가, 기동 사격은 정조준 사격보다 명중률이 떨어지는 관계로 교전 거리는 중거리 이하로 잡는 게 좋다. 애초에 XM66F는 T110E4처럼 1~1.5선에서 아군 중전차와 함께 싸우는 유사 폭딜형 중전차지, 저격 구축이 아니다. 고로 장비 세팅도 중전차와 동일(광학 장비+조준기+수직 안정기 등)하게 가져가는 것이 좋다.

전고가 상대적으로 낮은 전차인 만큼, 전고가 높은 전차 상대로는 헤드온 시에는 해치가 공략당하거나 70mm 급경사부 각이 완화되어 이마가 은탄에 뚫리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애초에 XM66F의 약점부들은 근거리에선 충분히 노려질 수 있는 면적이고, 일단은 포탑 선회가 제한된 구축전차라 근거리 교전 중 적 전차가 측후면에 붙으면 답이 없으니 교전 거리를 너무 가깝지는 않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본가 PC 월탱에서는 8티어 프리미엄 구축전차로 출시되었던 전차지만, 블리츠에서는 티어가 무려 2단계 상향되어 10티어로 출시되었다. 물론 애초에 XM66 계획안 자체가 10티어인 M60의 파생형이니 블리츠 쪽의 티어 책정이 더 현실적이긴 하다.

전설 위장 'Azimuth'(방위각) 도 존재한다. 장착 시 전투 중 이름이 'XM66F Azimuth'로 변경된다.

FV217 Badger를 이어, 구축전차 중 두 번째, 전체 전차 중 네 번째로 높은 최고 피해량 기록을 세운 전차다. 대미지는 10,192. 독특하게도 출시된 지 일주일도 지나지 않은, 2023년 12월 15일에 세워졌다. XM66F의 괴랄하기 짝이 없는 고점을 보여주는 기록.


[1] 물론 거지같은 명중률과 기관총의 특성 덕에 다 박지는 못한다.[2] 저사양 폰에서 사격하면 초당 프레임이 한자리 수로 바뀐다. 사격 이펙트가 많이 발생하는 특성 상 어쩔수 없지만.[3] 파일:external/pbs.twimg.com/DDQfHDBUAAAgdYx.jpg 한국 전쟁 당시 기록 사진.[4] 장전기 장착시 기준[5] 7톤[6] 각각 3급 숙련장 3개, 2급 숙련장 2개, 1급 숙련장 1개 획득이 완료 조건이며 보상은 T21 부품 40, 40, 50개이다.[7] 2021년 10월에 나온 Titan T24 57도 채피를 기반으로 하긴 하지만, 이쪽은 채피와 AMX-13의 포탑을 합쳐서 만든 전차로 순수하게 테크트리의 채피를 기반으로 한 배틀 패스 전차는 Frosty가 처음이다.[8] 약 6mm 정도의 공간장갑으로 차체 전부가 둘러싸여 고폭탄에 직격 판정을 받지 않음.[9] 셰리든이 사용하는 ATGM은 SACLOS(반자동시선유도) 방식인듯 하다.[10] 파일:sheridanmissileapp.png[11] 최근 30일간 평균 승률[12] 다만 차체는 측면장갑은 45mm로 측면이 38mm인 정규 이지에잇 셔먼보다는 조금 더 두껍다. 물론 그 수준의 두께를 가진 측면장갑을 쓰기 어려운건 여전해서 크게 의미있는 차이는 아니다.[13] 물론, 어디까지나 구조물이 있다는 거지 클립포를 쓰지 않기 때문에 실제 장전은 그냥 별도로 탄약수가 없을 뿐 단발포와 동일하다.[14] 적에게 발각될 경우, 적의 입장에서 스폰할 때의 애니메이션 효과가 보인다.[15] 패스 설정대로면 이 전차는 특수 칩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한다고 하기에 사람이 타지 않는데, 승무원이 아예 없는 무인 전차로 정말 구현하면 너무 사기일 수 있으니 전차장(이자 기타 승무원 겸직) 업무를 처리하는 부분과 운전사 업무를 처리하는 부분은 사람이 아니더라도 전투에 중요한 부분인건 맞으니까 그냥 승무원 판정을 넣어서 밸런스 조절을 했을 가능성도 있다.[16] 근데 이게 또 모르는 게, 탱켄슈타인은 승무원이 좀비라는 설정 때문에 더이상 승무원 부상이 안나게 패치되었다. 얘도 어쩌면 월탱 최초의 무인전차가 될수도 있을지도 모른다.[17] 나머지 2대는 6티어 티거 1, T-34-85, 셔먼으로 이 두대도 튜토리얼 전용으로 따로 제작된 전차들이다. 여담으로 중국서버에서는 T-34-85 대신 중국 개조형인 58식의 튜토리얼 버전이 등증한다.[18] 대부분 연말 경매(옥션)로 밖에 풀리지 않는다.[19] M60A1, M60A1 RISE, M60A2, M60A3[20] 다만 PC와 블리츠에서의 상품 취급은 다른 편이다. PC에서는 클랜전 보상에서 채권으로 구매 가능한 (사실상 상시판매) 전차로 바뀐 데 비해, 블리츠에서는 인게임 추가 이후로 상점에 거의 나오지 않고 나오더라도 상자깡이나 연말 경매 같은 한정판매 성향이 짙다. 그리고 인게임 성능도 상당히 다른 부분들이 있다.[21] 포탑버프와 DPM버프 모두 M48A1와 동시기에 동일한 수치만큼 버프되었다[22] 당시의 M60은 포탑 위치가 잘못 설정이 되어있어 포탑을 회전하면 목이 엇나가며 모델링이 뭉게져버리고 관통 표시 스킨이 보이지 않는 등 완성된 상태로 보기 힘든 녀석이어서 검수도 안 된 물건이 실수로 지급된 것이라는 의견이 매우 팽배해 있었다[23] 방식은 네덜란드식 경매다.[24] 여담으로 T-800의 배우였던 아놀드 슈워제네거는 2022년 12월 크리스마스 이벤트에 등장했었고, 이번 배틀 패스에도 아바타 중에서 T-800의 얼굴로나마 모습을 드러낸다.[25] 고폭탄 피해량이 동 구경 10티어급이다.[26] 컴탱에서는 가상의 제식명인 M54 Renegade로 출시되었기에 붙은 별명이며, 후자는 본 탱크의 전설 스킨이 샤크이기 때문.[27] 다른 하나는 테크트리의 53TP. 이쪽도 T54E2와 마찬가지로 기동성/주포/장갑 그 어느 하나 빠짐없이 훌륭한 데다가, 테크트리 특성상 접근성까지 높다. 기동성은 T54E2가 장갑형 중전차로 보일 정도로 빠르고, 주포도 DPM과 기본 분산도에 하자가 있긴 해도 매우 빠른 조준 속도+높은 알파뎀+훌륭한 부각이라는 조합 덕에 통상적인 122mm 주포들을 바보로 만드는 성능을 지녔으며, 장갑도 포탑은 T54E2와 동급 이상에 차체 정면도 상단은 동급 중전차 은탄까진 문제없이 막는 데다가, 측면은 T54E2보다 두꺼워 역티타임도 가능하다. 사실상 T54E2의 테크트리 버전인 셈.[28] PC판 M54도 다른 건 몰라도 주포의 조준 성능만큼은 매우 좋다고 평가받는다.[29] 해치가 E5보다 취약하고, 평지에서의 방호력은 당연히 E5의 포탑이 더 높지만, 서술했다시피 포탑 장갑 구조가 복잡해 TS-5의 관통력 340mm 성작골탄으로 조준 사격을 해도 이상한 데 맞고 비관통이 뜨는 경우가 많다. E5는 볼을 340mm 성작골탄으로 조준 사격하면 어떻게든 뚫리긴 하는 것과 다른 점. 아무리 E5가 10티어 헐다운 중전차 중 포탑 방호력이 떨어지는 편이라고 해도, 10티어 헐다운 중전차에게 부분 열세/부분 우세를 점하는 8티어 중전차 포탑이라는 데서 T54E2의 포탑이 얼마나 비정상적으로 튼튼한지 알 수 있다.[30] 다만 이 해치도 PC의 M54에 비하면 한참 작다. PC판 M54는 종양(...)으로 비유되곤 하는 미국 특유의 기관총 달린 해치를 지녔다.[31] 기존 출시 골탱 중 최초로 HD화된 건 중국의 WZ-120-1G FT다.[32] 어지간한 경/중형전차는 골탄을 들어도 못 뚫고, 중전차마저 관통력이 딸리는 포를 사용한다면 골탄을 써도 안 뚫리기도 하며, 구축전차들도 ISU-152 같은 특이 케이스가 아닌 경우 은탄으로는 관통이 어렵다. 당장 점보 퍼싱 본인의 골탄으로도 자기 해치 공략이 어렵다(...)[33] 심지어 이것도 평지에서 차체를 가리고 포탑만 내놓았을 때 기준이다. 작정하고 언덕에서 부각을 활용해 헐다운을 하면 해치 방호력이 300mm를 넘어간다.[34] 정/측/후면 모두 160mm로 표기되었지만, 이는 포탑 링 부위 한정이다.[35] 2022년 7월 5일 첫 출시 당시 가격은 17 500. 후술하겠지만 출시된 지 약 9개월 후인 2023년 4월 14일에야 출시 당시 판매 이후 처음으로 단품 상품이 풀렸다. 가격이 강조된 이유는 후술할 성능을 감안하면 어이가 없을 정도로 저렴한 가격으로 상점에 나오는 전차이기 때문.[36] 출시일 기준으로 곧 추가 예정된 전차 랭크 시스템이 처음으로 선행 적용되었다.[37] 숙련도에 따라서 에밀 1의 성능 고점을 T77보다 고평가하는 유저들도 있다. 에밀 1의 유이한 단점인 관통력 하자와 선회력 문제야 T77도 마찬가지로 지니고 있는 단점인 만큼 크게 부각할 만한 단점은 아니고, T77만큼은 아닐지라도 충분히 강력한 폭딜과 중전차 기준 그럭저럭 쓸만한 기동성을 지닌 데다가, 헐다운 시 클립을 훨씬 안정적으로 털 수 있으면서 더 단단한 장갑과 높은 체력 덕에 생존력도 더 뛰어나기 때문. 다만 운용 난이도나 성능 저점 자체는 T77 쪽이 몇 배는 우세이며, 이 때문에 통상적인 플레이어의 손에선 에밀 1보다 T77이 더 수월하게 활약할 가능성이 높다.[38] 대표적으로 차체 정면 장갑은 성작탄 기준 270mm 이상의 관통력이 있어야만 안정적으로 관통 가능한 티거 II와 아주 작은 하단을 가리면 노릴 수 있는 부위가 성작탄 기준 방호력 270mm 이상인 포탑 정면밖에 없는 치세가 있다.[39] 당장 8티어 골탱 중전차 중 기존 최상위권 중전차들인 Object 252U/WZ-112-2/T54E2/EMIL 1951과도 평균 승률이 최소 1% 가량 차이난다. 상위 20% 전차들의 승률 순위가 소숫점대 차이로도 갈리는 만큼, 평균 승률 최소 1% 차이는 매우 큰 격차이므로 유저 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T77은 이들과 성능이 최소 동급인 셈이다.[40] 부라스크는 성능에 하자가 매우 많아서 유저 실력이 좋아야만 활약을 할 수 있고, 스코다 T 56과 57식은 강력한 한 방과 튼튼한 차체 정면 상단/포탑, 그리고 충분히 단단한 포탑을 지닌 대신 포 하자 때문에 사격 각을 아주 잘 잡아야 하다 보니 비숙련자에게는 잘 맞지 않는 전차다. 이와 달리 키메라는 본인이 중형전차 특유의 치고 빠지기와 약점 조준을 할 줄만 안다면 1인분 이상 못 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난이도가 낮은 전차다 보니 해당 전차들 중에서 가장 고평가받는다.[41] 해당 버전에 출시된 토른방과 IS-6 Fearless/Lorraine 40 t Fearless를 제외했을 때 기준. 이 기준 하 평균 승률 1위는 부라스크인데, 그 승률 차이가 0.1%대로 거의 없는 수준이다. 심지어 게임 당 평균 딜은 부라스크보다도 높아 거의 2 000에 근접한다.[42] 다른 중전차들은 칼리반을 제외하면 자신의 체력보다 평균 딜이 낮은 전차들밖에 없다. 당연하지만 T77 쪽이 칼리반보다 승률은 압도적으로 높고, 주포/장갑 성능이나 기동성에서도 칼리반을 압도한다. 칼리반이 유이하게 우세인 건 HESH탄이 있고 선회력이 더 좋다는 것뿐일 정도(...)[43] 항목 참조.[44] 10 000 골드는 대략 9티어 프리미엄 전차 정도의 가격인데, 9티어 프리미엄 전차 절대다수는 티어 대비 성능이 T77보다 한참 떨어지고 크레딧도 확연히 덜 번다. 이와 달리 T77은 성능도 9티어 하위권 전차 정도까지는 이길 수 있는 수준(...)이다 보니 10 000 골드가 전혀 저렴한 가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성능 대비 싼 편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45] 아드레날린을 킨 105mm 단발 중전차들은 DPM이 2 700대까지 올라간다. 티거 II처럼 DPM이 특히 높은 편이라면 2 900 이상도 찍는다. 다만 이 DPM은 15초~최대 18.5초 동안만 발휘되고, 아드레날린의 쿨다운도 길기 때문에 실제로 저 정도의 화력에 장시간 노출될 일은 없다.[46] 굳이 따지자면 8티어 클립 중전차 중 순간 폭딜 능력은 일단 꼴찌(...)다.[47] T54E2에서도 볼 수 있는 그 큐폴라다. 참고로 T54E2도 PC에선 미국 특유의 종양 큐폴라를 지녔다.[48] 이런 특징 때문에 작전 상자에서 매번 얻을 수 있는 물건이 조금씩 달라지더라도 AE Phase I은 고정으로 존재한다.[49] 광고 상자에서 Panther/M10(일명 판버린)을 얻는 확률과 같은 수치로, 주간보상(거대상자)에서 IS-6을 뽑는 0.02%보다는 높다.[50] 2000가지 경우에서 1개를 무작위로 뽑을 때 옳은 것 1개를 맞출 확률이랑 같다.[51] 헐다운 시 10티어 중전차 기준으로도 최상위권인 374mm 성작골탄도 정조준 약점 사격을 해야 할 정도로 무식한 방호력을 발휘해, E 75와 함께 방호력이 가장 높은 9티어 중전차로 꼽힌다. 피격 면적 자체는 TL-7 쪽이 둘보다 압도적으로 작긴 하나, 후술할 장갑과 체력 문제 때문에 실 탱킹력은 당연히 WZ-114와 E 75 쪽이 앞선다.[52] 클랜전 이벤트로 출시된 클바펜은 압도적인 DPM과 바펜4호 특유의 플레이 스타일 덕에 나름 재밌으면서 성능도 준수한 전차로 평가받고, WZ-114는 약점은 확실하지만 10탑방에서도 탱킹이 가능할 정도로 튼튼한 장갑 덕에 전반적으로 평가가 박한 9티어 장갑형 중전차치곤 매우 고평가받고, 둘 이전에 나온 50TP Prototyp과 Object 752는 어지간히만 해도 10탑방에서 1인분을 할 수 있는 9티어 최상위권 전차들이다. 이런 전차들과 비교되다 보니 9티어 전차들 중 중하위권인 M103의 강화형일 뿐인 AE Phase 1과 본 전차의 평가가 썩 좋지 못한 것.[53] 하지만 이상하게 TL-까지는 검열이 안되고 7을 붙이면 검열이 들어간다.[54] 물론 이건 WZ-114 쪽의 게임 내 중량이 체급 대비 비정상적으로 낮은 것도 있다.[55] 골탄으로 71식의 차체 상단을 손쉽게 관통하고, 은탄으로 해치를 노릴 수 있는 정도의 명중률을 갖췄으며, 71식은 T95E6과 알파뎀이 같으면서 장전 속도가 한참 느리기 때문에 T95E6은 재장전이 끝날 때마다 사격만 잘 해도 71식을 이길 수 있다.[56] 클립 전탄을 털어버린 후엔 T95E6의 1/2에 가까운 DPM(...)을 지녀 클립만 빼면 T95E6이 손쉽게 처리할 수 있고, T95E6이 특유의 기동성으로 아군 중전차들과 함께 공격적으로 공세에 나서면 단기전보단 장기전에 유리한 크란방은 클립 한 번 좀 넘게 털고 산화하기 십상이다.[57] 통상적인 120mm대 중전차들의 분산도가 승무원 113% 기준 0.326이고, 중전차 중 명중률이 가장 높다고 평가받는 FV215b의 분산도가 승무원 110% 기준 0.303이며, 명중률이 좋은 편인 중형들의 분산도가 0.308 정도라는 걸 감안하면, 충분히 훌륭한 수치다.[58] 궤도가 9티어답게(?) 구려서 추중비가 표기상 성능만큼 발휘될 일은 절대 없지만, 표기상 추중비 자체는 18대까지 나온다. 실 추중비는 험지 13.93/도로 15.09로 기동형 중전차/헤듐의 대표격인 T110E5보다 도로에선 느려도 험지에선 좀 더 빠르다. '표기상 추중비'에 비해 낮긴 하나, 추중비가 14만 넘어도 병종 대비 직진 기동성 좋은 전차 취급을 받는 중전차 기준으로는 절대적으로 낮은 추중비가 전혀 아니다.[59] 대표적으로 비교 대상으로 자주 사용되는 T110E5는 Concept 1B보다 도로 추중비가 거의 3 가까이 높지만, 도로와 험지의 주행성 차이가 심각해 험지에선 Concept 1B보다 느려지고, 험지에선 원체 직후진 대비 느리던 선회가 더 처참하게 느려져 거의 초중전차급이 되다 보니, 전술 기동 시 도로 지형 의존도가 높다. 이와 달리 Concept 1B는 어느 지형에서나 14에 근접하는, 또는 그 이상의 추중비 덕에 도로에서 가속은 T110E5보다 느릴 수 있어도 타 지형에선 가속이 더 빠르고 최고 속력도 더 높아 결과적으로 비슷한 직진 기동성을 보이며, 선회력이 도로나 험지나 한참 우세라 더 복잡한 기동도 훨씬 수월하게 할 수 있다.[60] 과거형인 이유는 이후 Strv K나 Object 777 II처럼 Concept 1B만큼,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포지션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전차들이 출시되었기 때문. 특히 Strv K는 장갑이 Concept 1B보다 한참 약하긴 하나, 주포는 반대급부로 훨씬 강력하고 기동성마저 확연히 높은데 체력도 Concept 1B보다 높아 출시 이후 토너먼트 메타를 장악했다. 굳이 이 둘을 빼더라도 FV217 Badger처럼 Concept 1B보다 연식이 있지만 9.1 패치로 대폭 버프된 이후 승률 등이 대폭 상승한 전차들도 있어 예전처럼 최상위권이라고 하기에는 다소 어폐가 있는 상황.[61] 대회 환경에선 Concept 1B보다 DPM이 낮고 헐다운 능력과 전반적인 기동성마저 열세인 T110E5가 오히려 평가가 더 좋은데, DPM이 약간 아쉽지만 주포 조준 성능이 좋으면서 관통력이 높아 71식 공략이 어렵지 않고, 차체 장갑을 써먹기 매우 어려운 Concept 1B와 달리 차체 전면이 튼튼해 차체로도 탄을 방호할 수 있어 범용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 헐다운 능력 차이도 대회 환경에선 그닥 크지 않은데, 71식의 관통력이나 조준 성능이 영 좋은 전차가 아니다 보니 헐다운한 Concept 1B나 T110E5나 거기서 거기인 방호력을 보여준다. 결국 Concept 1B가 T110E5와 차별화 가능한 점은 기동성과 DPM 뿐인데, 기동성은 T110E5도 충분하고, DPM은 당연히 높으면 좋지만 T110E5의 DPM도 71식 상대로는 부족하지 않은 데다가 Concept 1B는 관통력 하자 때문에 71식 상대로 저 DPM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다. 즉 Concept 1B의 장점이라고 할 만한 점들마저 특유의 약점으로 인해 상쇄되거나, 경쟁자인 T110E5도 그쪽에서 큰 부족함이 없기 때문에, 대회 환경에선 Concept 1B를 T110E5 대신에 채용할 이유가 거의 없다고 봐도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T110E5도 결국 토너먼트 메타 환경에서 도태되었다. Concept 1B는 T110E5와도 자리를 경쟁해야 할 정도로 토너먼트 환경에서 입지가 애매한데, 그 T110E5도 안 쓴다는 걸 감안하면 토너먼트 환경에서는 사용되기에 다소 무리가 있는 전차인 셈.[62] 게임 내 수치에서 포탑은 확인할 수 없다.[63] 엔진 마력이 960마력에 달한다.[64] 정확히 70.00톤으로 표기된다.[65] 장전기 기준 DPM은 3 574, 보정 포탄 기준 DPM은 3 395다. 수치로 보면 작지 않아보일 수 있는데, 실제론 XM66F의 재장전이 워낙에 빠르다 보니 장전 시간 자체는 겨우 0.37초 차이다. 장전기를 고르면 포탑/전투실 각 둔 E 100+Jagdpanzer E 100처럼 자주 만나는 적들의 골탄 약점을 공략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보정 포탄 쪽이 실질적인 DPM은 더 잘 나오는 경우가 꽤 있다. 어지간한 교전 상황은 난타전인 경우가 적기에 재장전 0.4초 차이보단 적에게 사격한 한 발이 관통되는지 비관통되는지에 따라 승패가 갈리는 경우가 많은 것을 감안하면, 그리고 보정 포탄이 관통력, 즉 관통 확률 자체를 올려줘 사격의 RNG 요소를 줄여주는 걸 생각하면, 보정 포탄도 충분히 실전성 있는 픽이다. 장전기 너프로 대다수 전차들의 DPM도 전반적으로 하락했기에 보정 포탄 픽의 DPM 열세가 상대적으로 적어진 건 덤.[66] 실제로도 XM66F는 11.3 업데이트로 WZ-113G FT이 너프되기 전까지 10티어 구축전차 전체 2위의 평균 승률이 나왔고, 11.2 버전 기준 가장 최근에 나온 리노체론테를 제외하면 오직 WZ-113G FT와 STB-1만이 XM66F를 평균 승률에서 압도했다. WZ-113G FT가 너프되어 상대적으로 약화된 후인 11.3 업데이트 기준으로는 플레이어 상위 10000명 평균 승률 기준 10티어 전체 1위의 승률을 자랑하며, 90일 간 평균 승률도 WZ-113G FT를 제외한 모든 10티어 전차들을 압도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5 (이전 역사)
문서의 r39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