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ba0c2f>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ba0c2f><colcolor=#ffef00> 투수 | 12 페디 · 30 헨스 · 32 마츠 · 35 무뇨스 · 36 맥그리비 · 38 로비 · 39 마이콜라스 · 44 그라세포 · 47 킹 · 49 스반슨 · 52 리베라토어 · 53 팔란테 · 54 그레이 · 55 오브라이언 · 56 헬슬리 · 57 톰슨 · 58 로이크로프트 · 59 로메로 · 61 로버스 · 62 레이히 · 64 페르난데스 · 67 혼 · 68 루토스 | |
포수 | 40 콘트레라스 · 43 파헤스 · 48 에레라 | ||
내야수 | 0 윈 · 15 페르민 · 16 고먼 · 25 수제이시 · 26 베이커 · 28 아레나도 | ||
외야수 | 11 스캇 2세 · 13 헬먼 · 18 워커 · 21 눗바 · 22 시아니 · 29 코퍼니악 · 33 도노반 · 41 벌레슨 | ||
''' | |||
| }}}}}}}}}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37번 | ||||
브랜든 모스 (2016) | → | 올리버 마몰 (2017~) | → | 현역 |
| |
<colbgcolor=#c41e3a><colcolor=#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No.37 | |
올리버 마몰 Oliver Marmol | |
본명 | 올리버 J. 마몰 Oliver J. Marmol |
출생 | 1986년 7월 2일 ([age(1986-07-02)]세) |
플로리다 주 올랜도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신체 | 178cm | 74kg |
포지션 | 유격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07년 드래프트 6라운드 (전체 202번, STL) |
지도자 | 바타비아 먹독스 코치 (2010~2011) 존슨시티 카디널스 감독 (2012) 팜비치 카디널스 감독 (2015~2016)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루 주루코치 (2017~2018)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벤치코치 (2019~2021)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감독 (2022~)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전 야구선수이자, 현 야구 지도자. 현재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감독이다.2. 선수 경력
닥터 필립스 고등학교[1]를 졸업하고 2004년 드래프트에 참가하여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31라운드 지명을 받았으나 입단하지 않고 찰스턴 대학교에 진학했다. 이후 2007년 드래프트에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6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계약금은 $115,000을 수령했다.입단 이후 4년간 세인트루이스 산하 마이너에서 활동하였으나 AA 이상으로 승급하지 못하고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3. 지도자 경력
선수 은퇴 다음해인 2011년에는 세인트루이스 산하 루키팀인 GFL 카디널스[2]의 타격코치로 부임하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이듬해인 2012년에는 같은 루키 레벨인 존슨 시티 카디널스의 감독으로 승진했고, 2015시즌에는 A+팀인 팜비치 카디널스의 감독이 되었다.2017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1루 코치 통보를 받으며 처음으로 빅리그에 입성하였다. 2019시즌에는 벤치 코치로 보직이 바뀌었다.
현지시각 2021년 10월 24일, 마이크 쉴트 감독에 이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새 감독으로 취임할 것이 유력하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후 곧바로 구단의 공식 보도가 나오며 감독 부임이 확정되었다.
참고로 마몰의 나이는 감독으로서 상당히 어린 편인데, 감독으로 맞을 첫 시즌인 2022년 기준으로 만나이 36세에 지나지 않는다. 로렌조 케인, 다린 러프, 제이크 맥기 등 상당히 많은 동갑 선수들이 아직 현역으로 뛰고 있으며, 세인트루이스 선수단 내에서도 3명의 선수들이[3] 마몰보다 나이가 많다.
2022 시즌에는 종종 요행을 부린다는 평을 받기도 했지만 정규 시즌을 93승 69패를 기록하면서 지구 2위 밀워키 브루어스를 7경기 차이로 여유있게 제치고 중부지구 1위를 확정지었다. 다만 경험 부족 때문인지 2022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 1차전 9회에 아쉬운 투수 운용을 보이며 경기를 내주었고, 결국 우세가 예상되었던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상대로 허무하게 스윕을 당하며 일찌감치 짐을 싸게 되었다. 다만 마몰의 운영도 아쉽긴 했지만 중심타선을 지탱해주어야 할 폴 골드슈미트와 놀란 아레나도가 시즌 말미의 부진이 포스트 시즌까지 이어지면서 화력싸움에서 밀린 부분도 큰 아쉬움으로 작용을 했다. 2022 시즌을 끝으로 베테랑인 야디어 몰리나와 알버트 푸홀스가 은퇴를 선언하면서 다음 시즌이 마몰 감독의 진정한 리더십을 알아볼 수 있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2023 시즌에는 4월 4일 애틀란타 브레이브스전에서 7회에 아쉬운 주루플레이를 보인 타일러 오닐을 기자회견에서 공개적으로 저격을 하였고, 이에 대해 오닐도 공개적으로 반박하는 등 시즌 초반부터 불안불안한 기류가 감돌더니 팀 성적은 5월 4일 기준 6연패를 당하면서 내셔널 리그 승률 최하위로 추락하였다.
4. 감독 성적
역대 감독 전적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승률 | 정규시즌 | 포스트시즌 |
2022 | STL | 162 | 93 | 69 | .574 | 지구 1위 | WC 탈락 |
2023 | 162 | 71 | 91 | .438 | 지구 5위 | - | |
2024 | 162 | 83 | 79 | .512 | 지구 3위 | - | |
2025 | . | 지구 위 | |||||
총계 | 486 | 247 | 239 | .508 | 1WC |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001840><tablebgcolor=#00184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 | |||||
<colcolor=#FFFFFF> 동부 | | | | | | |
브라이언 스니커 | 클레이튼 맥컬러 | 카를로스 멘도사 | 롭 톰슨 | 데이브 마르티네즈 | ||
중부 | | | | | | |
크레이그 카운셀 | 테리 프랑코나 | 팻 머피 | 데릭 셸턴 | 올리버 마몰 | ||
서부 | | | | | | |
토리 러벨로 | 버드 블랙 | 데이브 로버츠 | 마이크 쉴트 | 밥 멜빈 | ||
| ||||||
동부 | | | | | | |
브랜든 하이드 | 알렉스 코라 | 애런 분 | 케빈 캐시 | 존 슈나이더 | ||
중부 | | | | | | |
윌 베나블 | 스티븐 보트 | A.J. 힌치 | 맷 콰트라로 | 로코 발델리 | ||
서부 | | | | | | |
조 에스파다 | 론 워싱턴 | 마크 캇세이 | 댄 윌슨 | 브루스 보치 |
올리버 마몰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존슨시티 카디널스 역대 감독 |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산하 | |||||
마이크 쉴트 (2009~2011) | → | 올리버 마몰 (2012) | → | 조 크루젤 (2013)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c41e3a>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ddd | 1대 네드 커스버트 1882 | 2대 테드 설리반 1883 | 3대 찰스 코미스키 1883 | 4대 지미 윌리엄스 1884 | 5대 찰스 코미스키 ★★★★ 1884~1889 |
6대 토미 맥카시 1890 | 7대 존 케린스 1890 | 8대 치프 로즈먼 1890 | 9대 카운트 캄파우 1890 | 10대 토미 맥카시 1890 | |
11대 조 거하트 1890 | 12대 찰스 코미스키 1891 | 13대 잭 글래스콕 1892 | 14대 컵 스트라이커 1892 | 15대 잭 크룩스 1892 | |
16대 조지 고어 1892 | 17대 밥 카루터스 1892 | 18대 빌 왓킨스 1893 | 19대 도기 밀러 1894 | 20대 알 버켄버거 1895 | |
21대 크리스 본 더 아헤 1895 | 22대 조 퀸 1895 | 23대 류 펠란 1895 | 24대 해리 디들복 1896 | 25대 알리 라트햄 1896 | |
26대 크리스 본 더 아헤 1896 | 27대 로저 코너 1896 | 28대 토미 다우드 1896~1897 | 29대 휴 니콜 1897 | 30대 빌 홀먼 1897 | |
31대 크리스 본 더 아헤 1897 | 32대 팀 허스트 1898 | 33대 매트시 테뷰 1899~1900 | 34대 루이 헤일브로너 1900 | 35대 팻시 도노번 1901~1903 | |
36대 키드 니콜스 1904~1905 | 37대 지미 버크 1905 | 38대 스탠리 로빈슨 1905 | 39대 존 맥클로스키 1906~1908 | 40대 로저 브레스나한 1909~1912 | |
41대 밀러 허긴스 1913~1917 | 42대 잭 헨드릭스 1918 | 43대 브랜치 리키 1919~1925 | 44대 로저스 혼스비 ★ 1925~1926 | 45대 밥 오패럴 1927 | |
46대 빌 맥케치니 ☆ 1928 | 47대 빌리 사우스워스 1929 | 48대 가비 스트리트 1929 | 49대 빌 맥케치니 1929 | 50대 가비 스트리트 ☆★ 1930~1933 | |
51대 프랭키 프리시 ★ 1933~1938 | 52대 마이크 곤잘레스 1938 | 53대 레이 블레이데스 1939~1940 | 54대 마이크 곤잘레스 1940 | 55대 빌리 사우스워스 ★☆★ 1940~1945 | |
56대 에디 다이어 ★ 1946~1950 | 57대 마티 마리온 1951 | 58대 에디 스탠키 1952~1955 | 59대 해리 워커 1955 | 60대 브래드 허친슨 1956~1958 | |
61대 스탠 핵 1958 | 62대 솔리 헤무스 1959~1961 | 63대 조니 킨 ★ 1961~1964 | 64대 레드 션다인스트 ★☆ 1965~1976 | 65대 번 랩 1977~1978 | |
66대 잭 크롤 1978 | 67대 켄 보이어 1978~1980 | 68대 잭 크롤 1980 | 69대 화이티 허조그 1980 | 70대 레드 션다인스트 1980 | |
71대 화이티 허조그 ★☆☆ 1981~1990 | 72대 레드 션다인스트 1990 | 73대 조 토레 1990~1995 | 74대 마이크 조겐슨 1995 | 75대 토니 라 루사 ☆★★ 1996~2011 | |
76대 마이크 매시니 ☆ 2012~2018 | 77대 마이크 쉴트 2018~2021 | 78대 올리버 마몰 2022~ | | ||
★: 월드 시리즈 우승 / ☆: 월드 시리즈 준우승 / ★: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 우승 |
}}} ||
[1] 플로리다 주 올랜도에 위치하고 있다. 여담으로 MLB 최고의 악당 포수인 A.J. 피어진스키와 Despacito로 유명한 가수 루이스 폰시도 해당 고교를 졸업했다.[2] 걸프 코스트 리그 카디널스, 현 FCL 카디널스[3] 애덤 웨인라이트, 야디어 몰리나, 알버트 푸홀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