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e81828>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81828><colcolor=#ffffff> 투수 | 25 스트람 · 27 놀라 · 44 루자르도 · 45 휠러IL-60 · 46 알바라도IL-15 · 47 호프먼40인 · 48 로버트IL-60 · 50 커커링 · 51 존슨40인 · 56 랑헬40인 · 58 뱅크스 · 59 두란 · 60 라자40인 · 61 산체스 · 63 머카도40인 · 75 차세40인 · 79 카브레라40인 · 99 워커 | |
| 포수 | 13 마찬 · 21 스텁스40인 | ||
| 내야수 | 3 하퍼 · 4 켐프 · 5 스탓 · 7 터너 · 19 란티과40인 · 28 봄 · 33 소사 | ||
| 외야수 | 8 카스테야노스 · 16 마쉬 · 23 로하스40인 · 37 윌슨 | ||
| | |||
| | }}}}}}}}} | ||
|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49번 | ||||
| 콜비 알라드 (2024) | → | 롭 톰슨 (2025~) | → | 현역 |
| | |
| <colbgcolor=#e81828><colcolor=#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 No.49 | |
| 롭 톰슨 Rob Thomson | |
| 본명 | 로버트 루이스 톰슨 Robert Lewis Thomson |
| 출생 | 1963년 8월 16일 ([age(1963-08-16)]세) |
| 온타리오 주 사니아 | |
| 국적 | |
| 학력 | 캔자스 대학교 |
| 신체 | 183cm | 90kg |
| 포지션 | 포수, 3루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 1985년 드래프트 32라운드 (전체 795번, DET) |
| 지도자 | 프린스 윌리엄 캐넌스 타격코치 (1991) 오네온타 양키스 감독 (1995) 뉴욕 양키스 벤치코치 (2008) 뉴욕 양키스 3루 주루코치 (2009~2014) 뉴욕 양키스 벤치코치 (2015~2017) 필라델피아 필리스 벤치코치 (2018~2022) 필라델피아 필리스 감독대행 (2022) 필라델피아 필리스 감독 (2022~) |
1. 개요
캐나다 국적의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감독.2. 선수 시절
톰슨은 인터카운티 야구리그의 스트라트포드 내셔녈스에서 두드러진 선수였다. 그는 클레이어 카운티 커뮤니티 칼리지에 모집되어 1년간 야구를 한 뒤 1년 후 캔자스 대학교로 편입했다. 1984년과 1985년에 제이호크스의 안타머신으로 팀을 이끌었고 단일 시즌 최고 타율을 보유한 선수이다.1985년 메이저리그 드래프트 32라운드로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에 지명되었다. 1998년까지 마이너리그에서만 뛰었고 포수와 3루수로 경기에 나셨는데 타율 .225 출루율 .312 장타율 .304로 공격은 뛰어나지 않았지만 수비력이 좋았다. 경기 수로는 포수로 136경기 3루수 55경기에 출전했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시범종목이였던 야구에서 캐나다 국가대표팀의 선수로 뛰었다.
3. 지도자 경력
1988년부터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산하 마이너팀에서 코치 생활을 시작, 1990년 뉴욕 양키스 마이너팀으로 이직한다.2008년 조 지라디 신임 감독을 보좌하는 벤치코치로 임명되면서 선수로써 못 이룬 메이저리그 데뷔의 한을 풀었고, 지라디 임기 말년인 2017년까지 벤치코치 지위를 유지하면서 2009년 월드 시리즈 우승의 기쁨을 맛보기도 한다.
3.1. 필라델피아 필리스 감독
3.1.1. 2022 시즌
2018년 필라델피아 필리스 벤치코치로 이직해 게이브 캐플러(2018~2019), 조 지라디(2020~2022) 두 감독을 차례로 보좌하다가 6월 2일 성적 부진으로 해임된 조 지라디 감독을 대신해 감독대행을 맡게 된다. 감독대행 취임 당시 22승 29패로 승패마진 -7이었던 팀을 취임과 동시에 9연승으로 5할 승률로 끌어올렸고, 그 기세로 10월 3일 휴스턴 애스트로스전을 3-0으로 승리하면서 필리스를 11년 만에 포스트시즌으로 인도한다.그리고 2022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에서 가을 좀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를 제압하며 필라델피아 시민들에게 11년 만의 디비전시리즈 홈경기를 선사했고[1], 2022년 10월 9일 2년 연장계약을 맺고 정식 감독으로 승격된다. 그리고 전년도 우승팀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를 2022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에서 꺾고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를 2022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물리치면서 13년 만에 월드시리즈에 진출했다.
2022년 월드 시리즈 1차전에서는 0-5로 지던 경기를 6-5로 극적으로 역전승했고, 톰슨 감독 본인도 효과적인 투수 운용을 함으로써 승리에 기여했다.
하지만 4차전에서는 애런 놀라를 한 템포 늦게 내리는 아쉬운 선택을 하며 경기가 터져버렸다. 물론 이때 크리스티안 하비에르를 비롯한 휴스턴 투수진들에게 팀이 노히터를 당하는 바람에 의미가 없어지긴 했지만...
6차전에서는 거꾸로 잭 휠러를 내리고 호세 알바라도를 올려 역전 쓰리런포를 맞고 월드시리즈 준우승에 그쳤다. 다만 망해가던 팀을 포스트시즌에 올리고 그 포스트시즌에서도 카디널스와 애틀랜타를 꺾고 월드시리즈에 올라간 공로가 있기에 향후 감독으로서의 전망은 밝다.[2]
3.1.2. 2023 시즌
지난 시즌 호세 알바라도와 세란토니 도밍게스밖에 없던 불펜에 제프 호프먼, 그레고리 소토, 맷 스트람, 크레이그 킴브럴 등이 추가되면서 더 단단해진 불펜진을 활용해 신들린 투수교체를 선보이고 있다.그러나 포스트시즌에 들어와서는 타선 운용에서 불호 여론이 강해지는 중이다. 라인업에 변화를 전혀 주지 않아 상위타선 선수들 중 일부가 슬럼프에 빠져 있어 득점에 침체가 생기는 중이기 때문. 결국 킴브럴이 두 경기에서 불을 지르면서 흐름이 넘어갔고, 이후 6차전과 7차전에서도 타선이 응답하지 못하면서 디백스에게 업셋을 당하고 시즌을 마감했다.
3.1.3. 2024 시즌
이 시즌에도 지구 우승을 거두면서 디비전 시리즈에 2번 시드로 직행했으나, 뉴욕 메츠에게 1승 3패를 당하고 탈락하고 말았다.3.1.4. 2025 시즌
96승 66패로 나름대로의 호성적을 거뒀고 전 시즌과는 다르게 후반기에도 팀이 우하향하는 모습은 없었으나, 2번 시드로 디비전 시리즈에 직행했음에도 3번 시드로 올라온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를 상대로 1차전과 2차전에서 크리스토퍼 산체스와 헤수스 루자르도의 교체 타이밍을 놓치는 판단 미스를 범하면서 위기에 몰렸고 3차전을 어찌저찌 승리했으나 4차전에서 오리온 커커링의 송구 실책으로 패하며 다시 한 번 1승 3패로 탈락하고 말았다. 특히 2025 시즌은 우승 배당 상위권이라는 평가였고, 다저스보다 우위라는 평가도 많았으나 뚜껑을 열어보니 다저스에게 완전히 압도당한 모습을 보인 것이 충격적이었다. 시즌을 실망스럽게 마감했음에도 필리스 구단은 톰슨의 유임을 결정했는데, 이는 톰슨 감독이 선수단의 지지도가 높았던 점을 높게 산 것으로 보인다.4. 감독 성적
| 역대 감독 전적 | |||||||
| <rowcolor=#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승률 | 정규시즌 | 포스트시즌 |
| 2022 | PHI | 111[3] | 65 | 46 | .586 | 지구 3위 | WS 준우승 |
| 2023 | 162 | 90 | 72 | .556 | 지구 2위 | CS 탈락 | |
| 2024 | 162 | 95 | 67 | .586 | 지구 1위 | DS 탈락 | |
| 2025 | 162 | 96 | 66 | .593 | 지구 1위 | DS 탈락 | |
| <rowcolor=#373a3c> 총계 | 597 | 346 | 251 | .580 | WS 1패 1CS 2DS | ||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001840><tablebgcolor=#001840>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 | |||||
| <colcolor=#FFFFFF> 동부 | | | | | | |
| 월트 와이스 | 클레이튼 맥컬러 | 카를로스 멘도사 | 롭 톰슨 | 블레이크 뷰테라 | ||
| 중부 | | | | | | |
| 크레이그 카운셀 | 테리 프랑코나 | 팻 머피 | 돈 켈리 | 올리버 마몰 | ||
| 서부 | | | | | | |
| 토리 러벨로 | 워렌 셰이퍼대행 | 데이브 로버츠 | 공석 | 토니 비텔로 | ||
| | ||||||
| 동부 | | | | | | |
| 크레이그 알베나즈 | 알렉스 코라 | 애런 분 | 케빈 캐시 | 존 슈나이더 | ||
| 중부 | | | | | | |
| 윌 베나블 | 스티븐 보트 | A.J. 힌치 | 맷 콰트라로 | 데릭 셸턴 | ||
| 서부 | | | | | | |
| 조 에스파다 | 커트 스즈키 | 마크 캇세이 | 댄 윌슨 | 스킵 슈마커 | ||
| 롭 톰슨의 수상 경력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MLB 월드 시리즈 우승코치 |
| 2009 |
| 롭 톰슨의 역임 직책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오네온타 양키스 역대 감독 | ||||
| 뉴욕 양키스 산하 | |||||
| 켄 도밍게즈 (1993~1994) | → | 롭 톰슨 (1995) | → | 게리 턱 (1996)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81828><tablebgcolor=#e81828> | 필라델피아 필리스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ddd | 1대 밥 퍼거슨 (1883) | 2대 블론디 퍼셀 (1883) | 3대 해리 라이트 (1884~1890) | 4대 잭 클레멘츠 (1890) | 5대 알 리치 (1890) |
| 6대 밥 앨런 (1890) | 7대 해리 라이트 (1891~1893) | 8대 아서 어윈 (1894~1895) | 9대 빌 나쉬 (1896) | 10대 조지 스탈링스 (1897~1898) | |
| 11대 빌 쉐츠라인 (1898~1902) | 12대 찰스 짐머 (1903) | 13대 휴 더피 (1904~1906) | 14대 빌리 머레이 (1907~1909) | 15대 레드 두안 (1910~1914) | |
| 16대 팻 모란 ☆ (1915~1918) | 17대 잭 쿰스 (1919) | 18대 가브비 크레바스 (1919~1920) | 19대 빌 도노반(야구) (1921) | 20대 카이저 빌헬름 (1921~1922) | |
| 21대 아트 플레처 (1923~1926) | 22대 스터피 맥기니스 (1927) | 23대 버트 쇼튼 (1928~1933) | 24대 지미 윌슨 (1934~1938) | 25대 한스 로버트 (1938) | |
| 26대 닥 프로스로 (1939~1941) | 27대 한스 로버트 (1942) | 28대 버키 해리스 (1943) | 29대 프레디 피츠시몬스 (1943~1945) | 30대 벤 채프먼 (1945~1948) | |
| 31대 더스티 쿠크 (1948) | 32대 에디 소여 ☆ (1948~1952) | 33대 스티브 오닐 (1952~1954) | 34대 테리 무어 (1954) | 25대 마요 스미스 (1955~1958) | |
| 36대 에디 소여 (1958~1960) | 37대 앤디 코헨 (1960) | 38대 진 모크 (1960~1968) | 39대 밥 스키너 (1968~1969) | 40대 조지 마이어트 (1969) | |
| 41대 프랭크 루체시 (1970~1972) | 42대 폴 오웬스 (1972) | 43대 대니 오자크 (1973~1979) | 44대 달라스 그린 ★ (1979~1981) | 45대 팻 코랄레스 (1982~1983) | |
| 46대 폴 오웬스 ☆ (1983~1984) | 47대 존 펠스케 (1985~1987) | 48대 리 엘리아 (1987~1988) | 49대 존 부코비치 (1988) | 50대 닉 레이바 (1989~1991) | |
| 51대 짐 프레고시 ☆ (1991~1996) | 52대 테리 프랑코나 (1997~2000) | 53대 래리 보와 (2001~2004) | 54대 게리 바쇼 (2004) | 55대 찰리 매뉴얼 ★☆ (2005~2013) | |
| 56대 라인 샌드버그 (2013~2015) | 57대 피트 맥카닌 (2015~2017) | 58대 게이브 캐플러 (2018~2019) | 59대 조 지라디 (2020~2022) | 60대 롭 톰슨 ☆ (2022~) | |
| | |||||
| ★: 월드 시리즈 우승 / ☆: 월드 시리즈 준우승 | |||||
}}} ||
| 롭 톰슨의 이전 등번호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뉴욕 양키스 등번호 59번 | ||||
| 후안 리베라 (2002~2003) | → | 롭 톰슨 (2008~2017) | → | 조시 바드 (2018~2019) | |
|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59번 | |||||
| 마크 라이터 주니어 (2017) | → | 롭 톰슨 (2018~2025) | → | 조안 두란 (2025~) | |
[1] 아이러니하게도 판타스틱 4 선발진을 자랑하던 11년 전 필리스를 디비전 시리즈에서 탈락시키고 가을 좀비 명성을 얻었던 팀이 바로 카디널스다. 필리스로서는 11년 만에 복수에 성공한 셈.[2] 실제로도 2020년 월드 시리즈에서 이번 휠러 사태처럼 블레이크 스넬을 내리고 역전당해 준우승에 그친 탬파베이 레이스의 케빈 캐시 감독이 여전히 호평받는 것처럼 톰슨이 단지 한 번 아쉬운 선택을 했을 뿐 비난받을 이유는 없다. 게다가 톰슨은 신임 감독이었지만 상대 휴스턴의 감독은 통산 2000승 이상에 빛나는 더스티 베이커라는 전설적인 명장이었다. 여기에 필리스에서도 약 4년이라는 긴 벤치코치 생활을 하면서 선수단과도 대체적으로 관계가 좋은 편이며, 그렇게 길러진 리더십이 있다는 것도 그가 필리스에서 감독으로의 자질을 충분히 보여줬다고 볼 수 있다.[3] 시즌 중도 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