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e81828>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81828><colcolor=#ffffff> 투수 | 25 스트람 · 27 놀라 · 44 루자르도 · 45 휠러 · 46 알바라도 · 47 호프먼 · 50 커커링 · 51 존슨 · 56 랑헬 · 58 뱅크스 · 59 두란 · 60 라자 · 61 산체스 · 75 차세 · 79 카브레라 · 99 워커 · # 페인터 · # 맥팔레인 | |
| 포수 | 13 마찬 · 21 스텁스 | ||
| 내야수 | 3 하퍼 · 4 켐프 · 5 스탓 · 7 터너 · 28 봄 · 33 소사 | ||
| 외야수 | 8 카스테야노스 · 16 마쉬 · 23 로하스 · 37 윌슨 · # 링컨스 Jr. · # 레온 | ||
| | |||
| | }}}}}}}}} | ||
|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50번 | ||||
| 헥터 네리스 (2014~2021) | → | 오리온 커커링 (2023~) | → | 현역 |
| | |
| <colbgcolor=#e81828><colcolor=#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 No.50 | |
| 오리온 커커링 Orion Kerkering | |
| 본명 | 리처드 오라이언 커커링[1] Richard Orion Kerkering |
| 출생 | 2001년 4월 4일 ([age(2001-04-04)]세) |
| 캘리포니아 주 헌팅턴 비치 | |
| 국적 | |
| 학력 | 베니스 고등학교 -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 |
| 신체 | 188cm, 92kg |
| 포지션 | 중간계투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입단 | 2022년 드래프트 5라운드 (전체 152번, PHI) |
| 소속팀 | 필라델피아 필리스 (2023~) |
| 계약 | Pre-Arb / $773,000 |
| 연봉 | 2025 / $773,000 |
| SNS | |
1. 개요
필라델피아 필리스 소속 투수.2. 선수 경력
2.1. 필라델피아 필리스
| |
입단한 뒤 마이너리그에서 정신나간 구속 상승폭[2]을 보여주며 호성적을 올렸고, 결국 드래프트된 지 1년 만인 2023년 9월 22일 처음 메이저리그에 콜업되었다.
2.1.1. 2023 시즌
9월 24일 뉴욕 메츠전 8회초에 구원 등판해 브렛 베이티와 라파엘 오르테가를 연속 삼진으로 잡아내는 등 1이닝을 2K 퍼펙트로 막아내며 데뷔전부터 홀드를 챙겼다.[3]그리고 포스트시즌 로스터에도 포함됐고 불펜진의 일원으로 활약하였다. 팀은 2023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7차전에서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에게 패배하며 커커링도 데뷔 첫 시즌을 마쳤다.
2.1.2. 2024 시즌
| |
2.1.3. 2025 시즌
당시 2아웃이었기에 홈으로 송구하려고 했을 땐 김혜성은 거의 홈에 도착했고, 파헤스는 아직 1루까지 반도 못 간 상황이었다. 따라서 땅볼을 곧바로 잡지못했다 해도 1루에만 침착하게 송구했다면, 그대로 3아웃으로 이닝 교대였을 가능성이 높았다. 실제로 포수인 리얼무토도 1루에 송구하라고 오른팔을 들어 지시했지만, 투수가 홈을 선택하자 황급히 홈 커버에 들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이 플레이 하나로 팀의 패배와 함께 필리스의 가을야구가 허무하게 끝나게 되었다.
메이저리그 역사에 두고두고 남을 실책을 저질러[6] 커커링이 입을 심리적 충격을 걱정하는 팬들 역시 많다. 앞서 7회에 마무리인 조안 두란이 이미 등판 했고, 그 이후로도 필리스의 불펜 자원이 많이 소모되었기 때문에 남은 필승조인 커커링이 등판해야 했지만, 빅리그 3년차인 20대 초반의 투수에게 원정 벼랑 끝 승부의 부담감은 그야말로 막중했을 것이다. 애초에 이 정도 벼랑 끝 상황에서 이렇게 어린 애송이 선수에게 모든 걸 맡겨야 하는 것 자체가 필리스 구단의 현실이라는 의견도 있다.
필리스 더그아웃도 계속 동료 선수들이 커커링을 애써 위로하는 모습이 지속적으로 보였고, 롭 톰슨 감독 역시 경기 후 인터뷰로 "우린 팀으로서 진 것이다"라고 말하며 커커링을 감싸는 등, 어린 선수를 격려하고 멘탈을 케어하는 데 집중하고 있는 모습이다[7].
3. 피칭 스타일
메이저리그에서는 최고 100마일 평균 97.6마일의 포심 패스트볼과 96.4마일의 싱커를 던지며 특히 팬그래프 리포트 기준 20-80 스케일 80점 만점의 스위퍼를 주력으로 사용한다. 무려 던진 구종의 80%에 육박하는 스위퍼 구사 비율을 보여준다.4. 연도별 성적
| | |||||||||||||||||
| <rowcolor=#fff>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3 | PHI | 3 | 1 | 0 | 0 | 1 | 3 | 3.00 | 3 | 0 | 2 | 0 | 6 | 1.667 | 160 | 0.1 | 0.1 |
| 2024 | 64 | 8 | 4 | 4 | 19 | 60 | 2.29 | 55 | 6 | 27 | 4 | 65 | 1.37 | 178 | 1.5 | 1.6 | |
| 2025 | 69 | 5 | 3 | 0 | 14 | 63 | 3.30 | 51 | 2 | 17 | 8 | 74 | 1.079 | 178 | 1.5 | 1.6 | |
| MLB 통산 (3시즌) | 136 | 14 | 7 | 4 | 34 | 126 | 2.79 | 109 | 8 | 46 | 12 | 145 | 1.23 | 177 | 1.6 | 1.6 | |
5. 여담
- 한국 한정으로 이름이 묘하게 과자 이름 같다는 의견이 많다. 실제로 오리온이라는 유명 과자 제조사가 있고, 이름이 "링"으로 끝나는 인지도 높은 3글자 이름 과자도(양파링, 버터링 등) 있다.
[1] \OH-ryan kerr-kerr-ring\[2] 입단 당시엔 90마일대 중반 정도였으나, 1년 만에 구속을 무지막지하게 끌어올려 평균 90마일대 후반에 최고 101~102마일의 무시무시한 구속을 선보였다. 이 정도면 스펜서 스트라이더와 비슷한 수준의 구속 상승폭이다.[3] 이 날 커커링의 데뷔를 축하하기 위해 커커링의 가족들이 PNC 파크를 방문했는데 커커링이 마운드에 오르자 커커링의 아버지가 눈물을 보이는 장면이 중계에 잡혔다.[4] 그 와중에 김혜성은 홈플레이트 위에 서 있던 리얼무토와의 충돌 위험 때문에 홈 플레이트를 바로 밟지 못하였으나, 악송구로 인해 이미 공이 완전히 관중석 쪽으로 빠져 해프닝 없이 다시 돌아와서 홈 플레이트를 밟을 수 있었다. 리얼무토가 아무리 포수치고 발이 빠르다지만, 그 상황에서 그 멀리 날아간 악송구를 다시 주워 돌아와 김혜성을 태그하는 건 불가능했다. 만에 하나 악송구가 나오지 않고, 리얼무토가 무사히 포구했더라도, 높은 확률로 리얼무토의 포지 룰 위반에 따른 주루방해 챌린지가 이루어졌을 것이고, 어떤 판정이 나왔든 두고두고 논란이 되었을 것이다.[5] MLB 포지 룰의 경우, 주자가 슬라이딩을 하지 않고 어깨를 앞세우면서 충돌하는 경우 정당한 홈 터치로 인정이 되지 않으며, 야수의 송구를 받기 위해 불가피하게 홈을 가린 경우 또한 정당한 포수의 행위로 인정되기에 아웃이 선언되었을 가능성이 크다.[6] 이를 두고 "1986년 월드시리즈 6차전에서 보스턴의 빌 버크너가 저지른 끝내기 실책을 연상시킨다"는 평까지 나올 정도다. 심지어 버크너조차도 시리즈 최종전에서 패했던 것은 아니었기에, 이번 커커링의 실책은 더욱 뼈아프게 남을 수밖에 없다.[7] 실제로 많은 야구선수들의 재앙이 이러한 실책이 빌미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이러한 상황에서 어린 선수의 멘탈을 잡아주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